KR100512825B1 - 접힌시트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접힌시트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825B1
KR100512825B1 KR10-1998-0709352A KR19980709352A KR100512825B1 KR 100512825 B1 KR100512825 B1 KR 100512825B1 KR 19980709352 A KR19980709352 A KR 19980709352A KR 100512825 B1 KR100512825 B1 KR 10051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opening
sheet
front wall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803A (ko
Inventor
티모씨 제임스 킹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98-070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8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bottom part of the dispen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다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 재료에 의해 형성된 시트 재료의 칼럼(42)으로부터 시트 재료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디스펜서(10)가 제공된다. 디스펜서(10)는 다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 재료를 수용하기에 알맞은 크기이고, 바닥면(22)과, 전방벽(14)과, 후방벽(16)을 포함한다. 전방벽(14)과 후방벽(16)은 이격된 측면벽(18, 20)에 의해 분리된다. 바닥면(22)은 폭 치수(B)보다 큰 길이 치수(A)를 갖는 개구(30)를 한정한다. 방출 개구(30)는 길이 치구(A)가 전방벽(14)의 배향에 대해 대체로 횡단 배향에 놓이도록 배향된다. 하우징 내의 다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 재료(46)는 바닥면(22)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시트(46)는 이격된 측면 모서리(56)에 의해 분리된 선두 모서리(52)와 미부 모서리를 포함한다. 디스펜서(10)로부터 개별적인 시트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시트의 측면 모서리(56)는 개별적인 시트가 개구(30)를 통과할 때 방출 개구의 폭 치수(B) 만큼 내부로 밀린다.

Description

접힌 시트 디스펜서 {FOLDED SHEET DISPENSER}
본 발명은 접힌 시트 디스펜서(dispens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접힌 티슈 시트, 종이 타월 시트 등을 공급하기 위한 하부 방출 시트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호 개재된 목욕용 티슈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하부 방출 시트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특정 부위가 절취도니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1a는 라인 1-1을 따르는 도1의 단면도이다.
도2는 디스펜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a는 라인 2-2를 따르는 도2의 단면도이다.
도3a 내지 도3e는 다양한 방출 개구부의 형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a 및 도4b는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되어 상호 개재된 시트에 대한 공급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디스펜서의 개략 단면도이며, 본원 발명의 완전한 실시예는 아니다.
도5는 디스펜서 내에 지지된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시트와 함께 사용하는 디스펜서를 예시하는 도1의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방출 개구부와 같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바닥면을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개구부는 개구부의 길이 치수가 폭 치수보다 길게되어 있다. 개구부는 개구부를 통과하는 티슈 또는 종이 타월의 시트와 같은 웹(web) 재료가 개구부의 폭 치수만큼 좁혀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는 이격된 측벽에 의해 연결되는 전방벽과 후방벽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벽은 디스펜서를 지지체에 고착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의 길이 치수는 전방벽의 배향에 대해 횡단 배향으로 놓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개구부의 길이 치수는 전방벽에 대체로 수직이다.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형상은 봉형, 달걀형, 스타형, 아령형, 클로버형, 타원형, 열쇠구멍형, 및/또는 직사각형으로 특징화될 수 있다. 개구부의 형상은 폭 치수가 통과하는 시트 재료를 협소 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한 다른 형태에 의해 특징화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 의해 공급되는 재료는 다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일 수 있다. 각각의 시트는 선단 에지 및 미부 에지를 연결하는 측면 에지에 의해 이격된 선단 에지와 미부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공급 과정 동안, 접힌 시트의 측면 에지는 상기 시트가 방출 개구부를 통과함에 따라 서로를 향하는 내부로 가압되거나 또는 방출 개구부의 폭 너비만큼 모아진다. 이 방식에서, 시트가 방출 개구부를 통과 또는 횡단함에 따라 시트가 방출 개구부의 폭 치수만큼 "좁혀진"다고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로부터 시트 낱장을 공급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디스펜서는 다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바닥면과, 수직으로 배향된 전방벽과, 바닥면, 전방벽 및 후방벽에 연결되고 수직으로 배향된 측벽에 의해 분리된 수직으로 배향된 후방벽을 포함한다. 바닥면은 폭 치수보다 긴 길이 치수를 갖는 시트 방출 개구부를 형성한다. 길이 치수는 전방벽의 배향에 대해 대체로 횡단 배향이다.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 및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되어 상호 개재된 시트가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바닥면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시트는 이격된 측면 에지에 의해 분리된 선단 에지와 미부 에지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트의 측면 에지는 시트가 방출 개구부를 통해 디스펜서로부터 방출됨에 따라 방출 개구부의 폭 치수만큼 내부로 가압된다. 일반적으로, 방출 개구부의 형상은 봉형, 달걀형, 스타형, 아령형, 클로버형, 타원형, 열쇠구멍형 및/또는 직사각형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의 방법으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제, 도1을 참조하면, 바닥 방출 티슈 또는 종이 타월 디스펜서(1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펜서(10)는 공급 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접힌 시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되어 상호 개재된 시트(도4a, 및 도4b 참조)를 수용하는 크기의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전방벽(14)과, 후방벽(16)과, 두개의 측벽(18, 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벽(14)과 후방벽(16)이 수직으로 배향되며,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향된 측벽(18, 20)에 의해 분리된다. 후방벽(16)은 볼트, 아교, 못,브라켓트, 나사에 의해서와 같은 종래 방식으로 벽과 같은 지지면(도4a 및 도4b)에 고정되도록 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에서, 디스펜서(10)의 전방벽(14)은 전방벽(14)에 대면하는 관계로 단일체(도시되지 않음)에 가장 근접하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바닥면(22)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바닥면(22)은 "이중 평면 구조"(bi-planar)이다. 즉, 바닥면(22)은 180˚ 보다 크거나 작은 각도로 에지(28)를 따라 상호 교차하는 두개의 표면(24, 26)에 의해 형성된다. 표면(24, 26)은 편평하거나 또는 곡선일 수 있다.
바닥면(22)은 방출 개구부(30)를 형성하는 부분을 더 포함한다. 방출 개구부(30)는 절취선(A)으로 도시된 길이 치수와, 절취선(B)으로 도시된 폭 치수(B)를 갖는다. 폭 치수(B)는 대체로 후방벽(16) 또는 전방벽(14)의 배향에 대해 평행한 배향으로 놓이고 대체로 측벽 중 하나(18 또는 20)의 배향에 대해 횡단 또는 수직 배향으로 놓인다. 길이 치수(A)는 후방벽(16) 또는 전방벽(14)의 배향에 대해 횡단 또는 수직 배향으로 놓이고 측벽(18 또는 20) 중 하나 또는 모두의 배향에 대해 평행한 배향으로 놓인다. 또한, 바닥면(22)에 대한 개구부(30)의 배향은 "전방 대 후방(front-to-back)"으로 언급되는데, 즉 두개의 치수(A, B) 중 더 긴 길이 치수(A)가 전방벽(14)에서 후방벽(16)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도1a에는 디스펜서(10)의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바닥면(22)에 대해 특히 표면(24, 26)에 대한 개구부(30)의 위치가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2에는, 개구부(30)가 바닥면(22)의 표면(24)의 치수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디스펜서(10)와 대체로 유사한 디스펜서(10A)가 도시되어있다.
도2a에는 디스펜서(10)의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바닥면(22)에 대해, 특히 표면(24, 26)에 대해 개구부(30)의 위치가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3a 내지 도3e에는 방출 개구부 (30)의 형상의 여러가지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3a 내지 도3e에서 각 형상의 개별적인 길이 치수는 절취선(A)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3a 내지 도3e에서 각 형상의 개별적인 폭 치수는 절취선(B)으로 도시되어 있다.
몇몇 예에서, 예를 들어 도3c 및 도3d에서 절취선(B1, B2)은 각각의 개별적인 형상에서 다양한 크기의 개별적인 폭 치수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길이 치수(A)는 두개의 폭 치수(B1, B2) 중 더 긴 것보다도 길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방출 개구부(30)의 형상은 "봉형"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이제 도3a를 참조하면, 형상(32)은 "스타형"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도3b에 도시된 방출 개구부(30)의 형상(34)은 "클로버형"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도3c에 도시된 방출 개구부(30)의 형상(36)은 "아령형"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도3d에 도시된 방출 개구부(30)의 형상(38)은 "열쇠구멍형"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도3e에 도시된 방출 개구부(30)의 형상(40)은 "타원형"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46), 특히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되어 상호 개재된 시트를 각각 포함하는 두개의 칼럼(42, 44)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칼럼(column)(42, 44) 내에서, 각각의 시트(46)는 접힌 반쪽이 바로 아래 시트의 미부 에지(54)와 바로 위 시트의 선단 에지(52)를 포획하도록 반쪽으로 접혀진다. 각각의 칼럼(42, 44)은 바닥면(22)에 의해 디스펜서(48) 내에 지지된다. 디스펜서(48)는 디스펜서(10, 10A)와 유사하다. 접힌 시트(46)를 설명하기 위해, 디스펜서(48)의 전방벽(14), 후방벽(16), 바닥면(22) 및 방출 개구부(30)만이 도시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48)는 후방벽(16)을 지지면(50)에 견고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벽과 같은 지지면(50)에 고정될 수 있다.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상호 개재되어 접힌 패턴이 "전방 대 후방" 시트 공급 순서를 발생시킨다. 즉, 도4a를 참조하면, 개구부(30)를 통해 뻗어 있는 시트(46) 부분은 후방벽(16)보다 전방벽(14)에 가깝다. 이와 같이, 도4a에서 시트(46)는 전방 대 후방 순서 중 "전방"에 있다. 디스펜서(48)의 개구부(30)를 통해 뻗어 있는 시트(46)의 나머지 부분(도4a 참조)이 제거됨에 따라, 다음 시트(46)의 선단 에지(52)가 개구부(30)를 통해 뻗어 나오게 된다(도4b 참조). 도4b에서 개구부(30)를 통해 뻗어 있는 시트(46) 부분이 전방벽(14)보다 후방벽(16)에 가깝다. 이와 같이, 도4b에서 시트(46)는 전방 대 후방 순서 중 "후방"에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디스펜서(10)가 공급 작동 상태로 도시된다. 측벽(18)과 전방벽(14)의 일부가 제거되어, 디스펜서(10)의 하우징(12) 내에 위치된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46)를 포함하는 칼럼(42)이 도시된다.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46)가 바닥면(22)에 의해 지지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취선(A)으로 도시된 방출 개구부(30)의 길이 치수가 절취선(B)에 의해 도시된 폭 치수보다 길다. 방출 개구부(30)의 배향은, 전방벽(14) 및/또는 후방벽(16) 각각에 대해 그리고/또는 측벽(18 및/또는 20)에 대해 길이 치수의 배향 및/또는 폭 치수의 배향을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치수(A)는 전방벽(14) 또는 후방벽(16)의 배향에 대해 횡단 배향, 바람직하게는 수직 배향으로 놓이고 대체로 측벽(18 또는 20)의 배향에 대해 평행 배향으로 놓인다. 예를 들어, 폭 치수(B)인 개구부(30)의 배향의 다른 설명은 측벽(18 및/또는 20)의 배향에 대해 횡단 배향, 바람직하게는 수직 배향으로 놓이고 전방벽(14) 및/또는 후방벽(16)의 배향에 대해 평행 배향으로 놓인다.
도5는 방출 개구부(30)를 통해 뻗어 나온 시트(46) 중 한 장의 일부를 도시한다. 특히, 시트(46)의 선단 에지(52)는 개구부(30) 아래로 뻗어 있고, 각각의 측면 에지(56)의 일부도 개구부(30) 아래로 뻗어 있다. 디스펜서(10)로부터 시트(46)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시트(46)의 측면 에지(56)는 서로를 향해 내부로 가압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가 개구부(30)를 통과함에 따라 개구부(30)의 폭 치수(B)로 모아진다. 이 방식에서, 시트(46)가 개구부(30)를 통과하거나 또는 횡단할 때, 시트(46)는 개구부(30)의 폭 치수(B) 만큼 "좁혀진"다고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힌 시트(46)의 적층은 선단 에지(52)가 폭 치수(B)에 평행[즉, 길이 치수(A)에 수직]하게 개구부(30)를 통해 뻗어 나오도록 형상화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 내용을 이해하면, 당업자는 이들 실시예의 수정, 변형 및 등가적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1)

  1. 선단 에지, 미부 에지 및 이격된 측면 에지를 가진 복수의 접혀진 시트(46)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공급하는 디스펜서(10)이며,
    이격된 측면벽(18, 20)에 의해 연결된 전방벽(14) 및 후방벽(16)과,
    제1 면(24) 및 제2 면(26)에 의해 형성되고, 폭 치수(B)보다 긴 길이 치수(A)를 갖는 개구부(30)를 구비하는 바닥면(22)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벽은 디스펜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사용시에, 상기 시트(46)가 개구부(30)를 통과할 때, 각 시트(46)의 측면 에지가 개구부(30)의 폭 치수(B)에 의해 내부로 가압되고,
    제1 면(24) 및 제2 면(26)은 180°보다 작은 각도로 개구부(30)의 폭 치수(B) 방향에 평행한 에지(28)에서 교차하여, 제1 면(24)은 에지(28)로부터 디스펜서의 전방벽(14)을 향해서 상향으로 뻗어 있고,
    개구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면(24)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길이 치수는 전방벽의 배향에 대해 대체로 횡단 배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길이 치수의 배향이 대체로 전방벽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면을 갖고 상기 바닥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시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되어 상호 개재된 시트인 디스펜서.
  6. 제4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길이 치수는 전방벽의 배향에 대해 대체로 횡단 배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길이 치수의 배향이 대체로 전방벽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8.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이며,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상호 개재된 시트를 수용하기에 알맞은 크기이고 바닥면과 수직으로 배향된 전방벽과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향된 측면벽에 의해 분리된 수직으로 배향된 후방벽을 갖는 하우징과,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고 하우징 내의 복수의 수직으로 적층된 접힌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제1 면(24) 및 제2 면(26)으로 형성되고, 길이 치수가 폭 치수보다 긴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길이 치수는 전방벽의 배향에 대해 대체로 횡단 배향이고,
    각각의 시트는 이격된 측면 에지에 의해 분리된 선단 에지와 미부 에지를 포함하고, 시트의 측면 에지는 상기 시트가 개구부를 통과할 때 개구부의 폭 치수만큼 내부로 가압되게 하며,
    제1 면(24) 및 제2 면(26)은 180°보다 작은 각도로 개구부(30)의 폭 치수(B) 방향에 평행한 에지(28)에서 교차하여, 제1 면(24)은 모서리(28)로부터 디스펜서의 전방벽(14)을 향해서 상향으로 뻗어 있고, 개구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면(24)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길이 치수의 배향이 전방벽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접힌 시트는 상호 개재된 시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1.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형상은 봉형, 달걀형, 스타형, 아령형, 클로버형, 타원형, 열쇠구멍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단체로부터 선택된 형상에 의해 대체로 특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10-1998-0709352A 1996-05-20 1997-05-20 접힌시트디스펜서 KR10051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352A KR100512825B1 (ko) 1996-05-20 1997-05-20 접힌시트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50,725 1996-05-20
KR10-1998-0709352A KR100512825B1 (ko) 1996-05-20 1997-05-20 접힌시트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03A KR20000015803A (ko) 2000-03-15
KR100512825B1 true KR100512825B1 (ko) 2005-11-25

Family

ID=4367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352A KR100512825B1 (ko) 1996-05-20 1997-05-20 접힌시트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1075B2 (ja) * 2001-05-10 2006-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収納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12680A (en) * 1965-07-17 1968-05-08 Waldhof Zellstoff Fab Dispenser for folded paper sheets and the like
US3819043A (en) * 1972-10-10 1974-06-25 Sterling Drug Inc Dispenser pack for pre-moistened towelet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12680A (en) * 1965-07-17 1968-05-08 Waldhof Zellstoff Fab Dispenser for folded paper sheets and the like
US3819043A (en) * 1972-10-10 1974-06-25 Sterling Drug Inc Dispenser pack for pre-moistened towelet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03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0043B1 (en) Folded sheet dispenser
RU98123113A (ru)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ложенных листов
US5562964A (en) Perforated rolled paper or nonwoven products with variable bonded l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0512825B1 (ko) 접힌시트디스펜서
JPS6484877A (en) Tissue paper package
US4735437A (en) Quick tear tractor feed computer paper
CA2246833A1 (en) Dual block cigarette paper dispenser with block separators
US5901875A (en) Separator for use in packets of papers
JP2655805B2 (ja) 容 器
KR100441574B1 (ko) 로타리다이절단기용다이절단삽입물및그다이절단기
US5769403A (en) Printing form
JPH08300300A (ja) 目打ち装置
US4771921A (en) Conversion kit to adapt a single-feed continuous form press to dual-feed operation
JPS59100762U (ja) 枚葉排紙機における紙受け機構
JPH081244Y2 (ja) シート集積用カセット
US20030111377A1 (en) Sheet dispenser carton with support member
JPS6186359U (ko)
JPS59212361A (ja) 用紙セパレ−タの紙受けガイド装置
JPS63161255U (ko)
JPS5816875Y2 (ja) 複写帳票
JPS617169A (ja) 用紙トレイ
GB2257656A (en) Flip chart pad
CZ375198A3 (cs) Dávkovači kontejner pro skládané archy materiálu
JPH01156146U (ko)
JPS6319236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