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703B1 -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703B1
KR100512703B1 KR10-2003-0032043A KR20030032043A KR100512703B1 KR 100512703 B1 KR100512703 B1 KR 100512703B1 KR 20030032043 A KR20030032043 A KR 20030032043A KR 100512703 B1 KR100512703 B1 KR 10051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stes
organic
incineration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909A (ko
Inventor
정일섭
Original Assignee
(주)파워코리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코리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파워코리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03-003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7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10Dryin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80Shred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어 반입되는 일반쓰레기와 매립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종류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폐기물을 계량하고, 그 폐기물에 포함된 자원을 선별한 다음, 균질화과정 등의 다단계 공정을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땅에 매립되는 쓰레기의 양을 대폭 줄이고, 매립쓰레기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립지로 반입되는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의 각 중량을 계량하여 각 폐기물의 처리량을 파악하는 계량공정과; 생활폐기물 및 유기성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소정의 건조수단을 통해 일정비율의 함수율까지 건조시키는 건조공정과; 건축폐기물, 가내폐기물 및 건조공정을 거친 생활폐기물, 유기성폐기물에 포함된 불연물 및 유용물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가연물을 선별하는 선별공정과; 각 폐기물을 연소에 적합한 형태로 다시 혼합, 파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연료화하는 균질화공정과; 균질화공정을 거친 각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발전 및 지역난방 등에 사용되는 열원을 생산하는 소각공정과; 반입되는 소각재 및 자체 소각공정에서 발생하는 소각재를 건축자재로 재활용하는 소각재 처리공정; 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Renewable resource circulation recycling process}
본 발명은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어 반입되는 일반쓰레기와 매립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종류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폐기물을 계량하고, 그 폐기물에 포함된 자원을 선별한 다음, 균질화과정을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땅에 매립되는 쓰레기의 양을 대폭 줄이고, 매립쓰레기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일반쓰레기 및 매립쓰레기의 일부는 소각하고, 그 나머지는 대부분 땅에 전량 매립하게 된다.
하지만 쓰레기의 매립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으며,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쓰레기를 매립할 수 있는 매립지도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쓰레기의 매립으로 인하여 파생되는 문제점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있다.
일 예로 합성수지 및 섬유류 등과 같은 내부식성 쓰레기를 땅에 그냥 매립하였을 때, 이들은 썩거나 분해되지 않은 채 거의 영구적인 공해물질로 남아 있어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 지금까지는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어 반입되는 폐기물을 종류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소각 및 매립하게 됨으로서, 폐기물에 포함된 악취, 침출수, 먼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매립장 주변에 환경이 오염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반입된 폐기물의 선별작업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인위적인 방법을 통해 매립쓰레기를 선별하고있어 그 효과도 아주 미미하고, 처리능력이상으로 반입되는 쓰레기의 증가 및 그로 인한 쓰레기의 적체현상은 결국, 쓰레기를 분리하기보다는 그냥 매립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는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어 반입되는 일반쓰레기와 매립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종류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폐기물을 계량하고, 그 폐기물에 포함된 자원을 선별한 다음, 균질화과정을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땅에 매립되는 쓰레기의 양을 대폭 줄이고, 매립쓰레기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시스템을 설명하는 전체 공정도이고, 도 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립지로 반입되는 생활폐기물(1), 건축폐기물(2), 유기성폐기물(3) 및 가내폐기물(4)의 각 중량을 계량하여 각 폐기물의 처리량을 파악하는 계량공정(200)과;
생활폐기물(1) 및 유기성폐기물(3)에 포함된 수분을 소정의 건조수단을 통해 일정비율의 함수율까지 건조시키는 건조공정(300)과;
건축폐기물(2), 가내폐기물(4) 및 건조공정(300)을 거친 생활폐기물(1), 유기성폐기물(3)에 포함된 불연물 및 유용물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가연물을 선별하는 선별공정(400)과;
각 폐기물을 연소에 적합한 형태로 다시 혼합, 파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연료화하는 균질화공정(500)과;
균질화공정(500)을 거친 각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발전 및 지역난방 등에 사용되는 열원을 생산하는 소각공정(600)과;
반입되는 소각재 및 상기 소각공정에서 발생하는 소각재를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소각재 처리공정(70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시스템에 의하면, 먼저 매립지로 반입되는 폐기물을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한 다음, 각 폐기물의 각 중량을 계량하여 각 폐기물의 처리량을 파악하는 계량공정에 투입되도록 한다.
이때, 반입되는 폐기물 중에서 생활폐기물 및 유기성폐기물은 건조공정에 투입하여, 그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소정의 건조수단을 통해 일정비율의 함수율까지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 건축폐기물, 가내폐기물 및 건조공정을 거친 생활폐기물, 유기성폐기물은 선별공정에 투입하여 각 폐기물에 포함된 불연물 및 유용물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가연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별공정을 통해 성상별로 선별된 각 폐기물은 균질화공정에 투입하여 연소에 적합한 형태로 다시 혼합, 파쇄, 건조되어 최종적으로 연료화 되도록 한다.
이어, 균질화공정을 거친 각 폐기물은 소각공정에 투입하여, 그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발전 및 지역난방 등에 사용되는 열원으로 생산되도록 한다.
또, 반입되는 소각재 및 상기 소각공정에서 발생하는 소각재는 소각재 처리공정에 투입하여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시스템은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일반쓰레기와 매립쓰레기 등의 모든 폐기물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반입되는 폐기물을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한 다음, 그 각각의 폐기물의 각 중량을 계량하여 각 폐기물의 처리량을 파악하기 위한 계량공정이 먼저 필요하게 되며,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각 공정에 투입여부를 결정토록 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생활폐기물(1)을 처리하기 위한 생활폐기물처리공정에 의하면, 계량공정(200)을 거친 생활폐기물을 파봉기(311)에서 종량제봉투에 파봉한 다음, 3실로 이루어진 건조피트(312)에 투입하여 약 30%의 함수율로 건조한 후, 체선별기(313)에 투입하여 불연물질이 선별되도록 한다.
이어 체선별기를 거친 폐기물은 수선별(314), 자력선별(315)을 통해 유가물질을 회수하도록 한 다음, 건설폐기물(2), 가내폐기물(4), 유기성폐기물(3)과 함께 균질화공정(500)에 투입하여 혼합, 건조, 파쇄과정을 거쳐 연료화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작업으로 연료화된 폐기물은 소각공정(600)에서 열분해하여 발전, 지역난방의 열원으로 회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폐기물의 자원화 및 소각시 우수한 열효율과 유해가스 배출량의 대폭감소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폐기물이 건축폐기물(2)인 경우의 건축폐기물 처리공정으로는 계량공정(200)을 통과한 건축폐기물(2)을 체선별기(322)에 투입하여 폐기물내에서 콘크리트, 자갈, 토사 등의 미세 불연물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어, 체선별기(322)를 거친 폐기물을 파쇄기(323)로 투입하여 일정크기로 파쇄되도록 한 다음, 풍력선별기(324)를 통해 불연물 및 가연물로 분리하고, 자력선별기(325)에 투입하여 금속류 등을 제거토록 한다.
상기 작업으로 금속류 등이 제거된 불연물질은 복토재로 활용되도록 하되,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기준에 따라 이물질 1%미만의 토사로 재가공하여 현장내에서 복토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연성물질은 균질화공정(500)으로 투입한다.
따라서, 복토재 등의 자원의 극대화로 매립폐기량의 대폭감소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4에서와 같이 폐기물이 유기성폐기물(3)인 경우의 유기성폐기물 처리공정으로는 계량공정(200)을 통과한 유기성폐기물(3)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약 10%까지 건조되도록 한 다음, 체선별기(333)를 통해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하되, 4mm이상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최초 유기성폐기물(3, 슬러지)과 혼합되도록 하고, 4mm이하는 전용연소로 또는 균질화공정(500)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건조효율의 증대 및 열회수율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5에서와 같이 폐기물이 가내폐기물(4)인 경우의 가내폐기물 처리공정으로는 계량공정(200)을 거친 가내폐기물(200)을 자력선별기(342)를 통과시켜 금속류 등을 선별토록 하고, 이어 파쇄기(343)에 투입하여 일정크기로 파쇄한 다음, 균질화공정(500)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열회수율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 폐기물이 소각재인 경우에는 반입되어 계량공정을 거친 소각재를 소각공정 후 발생하는 자체 발생 소각재와 혼합하고, 이어 소성설비에서 용융 또는 첨가물의 혼합을 통해 중금속 용출방지처리를 한 다음, 도로기층재,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단순매립에 의한 2차 환경오염방지 및 부가가치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매립장으로 반입되는 각종 폐기물을 성상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를 거치도록 하므로서, 폐기물을 처리하였을 때 95%는 자원으로 재활용되고, 나머지 5%정도만 땅에 매립하게 됨으로써 폐기물의 처리 효과가 아주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 및 산업 현장등에서 반입되는 폐기물을 종류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 등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폐기물을 계량하고, 그 폐기물에 포함된 자원을 선별한 다음, 균질화과정 등의 다단계 공정을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 매립위주에 따른 악취, 침출수, 먼지, 해충 등에 의한 매립장 환경문제의 근원적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폐기물의 성상에 적합한 과학적 처리 및 자원화를 통해 부가가치 창출의 극대화할 수 있게 되고, 매립부지를 안정적이고, 효율적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환시스템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생활폐기물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건축폐기물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유기성폐기물의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가내폐기물의 공정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매립지로 반입되는 생활폐기물, 건축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및 가내폐기물의 각 중량을 계량하여 각 폐기물의 처리량을 파악하는 계량공정과;
    생활폐기물 및 유기성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소정의 건조수단을 통해 일정비율의 함수율까지 건조시키는 건조공정과;
    건축폐기물, 가내폐기물 및 건조공정을 거친 생활폐기물, 유기성폐기물에 포함된 불연물 및 유용물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가연물을 선별하는 선별공정과;
    각 폐기물을 연소에 적합한 형태로 다시 혼합, 파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연료화하는 균질화공정과;
    균질화공정을 거친 각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발전 및 지역난방 등에 사용되는 열원을 생산하는 소각공정과;
    반입되는 소각재 및 자체 소각공정에서 발생하는 소각재를 건축자재로 재활용하는 소각재 처리공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이 생활폐기물인 경우에는 계량공정을 거친 생활폐기물을 파봉기에서 종량제봉투에 파봉한 다음, 3실로 이루어진 건조피트에 투입하여 약 30%의 함수율로 건조한 후, 체선별기에 투입하여 불연물질이 선별되도록 하고, 이어 체선별기를 거친 폐기물은 수선별, 자력선별을 통해 유가물질을 회수하도록 한 다음, 건설폐기물, 가내폐기물, 유기성폐기물과 함께 균질화공정에 투입하여 혼합, 건조, 파쇄과정을 거쳐 연료화되도록 하며, 그 연료화된 폐기물은 소각공정에서 열분해하여 발전, 지역난방의 열원으로 회수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폐기물이 건축폐기물인 경우에는 계량공정을 통과한 건축폐기물을 체선별기에 투입하여 폐기물내에서 콘크리트, 자갈, 토사 등의 미세 불연물이 제거되도록 하고 이어, 체선별기를 거친 폐기물을 파쇄기로 투입하여 일정크기로 파쇄되도록 한 다음, 풍력선별기를 통해 불연물 및 가연물로 분리하고, 저력선별기에 투입하여 금속류 등을 제거토록 하며, 금속류 등이 제거된 불연물질은 복토재로 활용되도록 하고, 가연물은 균질화공정으로 투입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폐기물이 유기성폐기물인 경우에는 계량공정을 통과한 유기성폐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약 10%까지 건조되도록 한 다음, 체선별기를 통해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하되, 4mm이상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최초 유기성폐기물(슬러지)과 혼합되도록 하고, 4mm이하는 전용연소로 또는 균질화공정으로 투입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폐기물이 가내폐기물인 경우에는 계량공정을 통과한 가내폐기물을 자력선별기를 통과시켜 금속류 등을 선별토록 하고, 이어 파쇄기에 투입하여 일정크기로 파쇄한 다음, 균질화공정으로 투입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폐기물이 소각재인 경우에는 반입되어 계량공정을 거친 소각재를 소각공정 후 발생하는 자체 발생 소각재와 혼합하고, 이어 소성설비에서 용융 또는 첨가물의 혼합을 통해 중금속 용출방지처리를 한 다음, 도로기층재,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KR10-2003-0032043A 2003-05-20 2003-05-20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KR10051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43A KR100512703B1 (ko) 2003-05-20 2003-05-20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43A KR100512703B1 (ko) 2003-05-20 2003-05-20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09A KR20040099909A (ko) 2004-12-02
KR100512703B1 true KR100512703B1 (ko) 2005-09-06

Family

ID=3737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043A KR100512703B1 (ko) 2003-05-20 2003-05-20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6578A4 (en) * 2007-07-25 2011-11-30 Qihui Lian DISPOSAL METHOD FOR FULLY RECYCLABLE SOLID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09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140B1 (ko) 순환형 매립지 정비 및 매립 가연물 연료화 공정시스템
CN101829672A (zh) 城市生活垃圾的处理方法及其装置
CN108393333A (zh) 基于mbt和焚烧相结合的垃圾资源化综合处理方法
CN105750295A (zh) 一种城市生活垃圾处理方法及其装置
WO2014127600A1 (zh) 城市生活垃圾与污泥综合再生利用的方法
CN103962366A (zh) 建筑垃圾处理回收利用方法
CN109759416B (zh) 一种生活垃圾的综合处理方法
KR100383036B1 (ko)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의해 선별된 쓰레기의 이용방법과 가연성 물질을 이용한 대체연료 제조방법
CN112139212A (zh) 一种炉渣处理工艺
CN104858217A (zh) 一种生活垃圾综合处理工艺
CS226724B2 (en) Method of preparing compositions for land reclaiming
KR100512703B1 (ko)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순환재생방법
KR20210124802A (ko) 소각재를 이용한 순환골재 및 고화제 제조방법
CN107457245B (zh) 一种农村生活垃圾资源化处理方法
KR100349026B1 (ko)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순환시스템
CN108787705B (zh) 城市生活垃圾处理工艺方法
CN111574192A (zh) 一种将多种固体废弃物综合建材化处理的工艺
CN107685064A (zh) 一种生活垃圾处理方法
Elnaas et al. Biodrying for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of mixed municipal solid waste and potential for RDF production
CN106278130A (zh) 一种采用垃圾制砖的方法和装置
EP2268426A1 (en) Integrated plant for separation, recovery and re-use of solid domestic waste, with production of cement and/or bricks
KR100561216B1 (ko) 폐기물가공연료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의재생장치
Grzesik The environmental impact of municipal waste management systems
Cobb et al. Mining and reclaiming existing sanitary landfills
CN112974483A (zh) 一种基于机械生物处理的生活垃圾处置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