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864B1 - 접촉여재 홀더 - Google Patents

접촉여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864B1
KR100511864B1 KR10-2002-0048376A KR20020048376A KR100511864B1 KR 100511864 B1 KR100511864 B1 KR 100511864B1 KR 20020048376 A KR20020048376 A KR 20020048376A KR 100511864 B1 KR100511864 B1 KR 10051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ct
contact media
pai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135A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경기술용역단
(주)태멘이엔티
김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경기술용역단, (주)태멘이엔티, 김진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경기술용역단
Priority to KR10-2002-004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8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폐수를 처리하는 접촉여재를 포기조 내에 장착하기 위해 접촉여재를 홀딩하는 접촉여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촉여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접촉여재 케이스와; 상기 접촉여재 케이스가 적어도 하나씩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의 케이스레일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긴 막대형상의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로울러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로울러가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레일부를 갖는 프레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포기조 내에 프레임을 입체적으로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어 효과적인 유기성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며, 접촉여재와 유기성폐수와의 접촉면이 넓어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항시 접촉여재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접촉여재 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촉여재 홀더{Humus holder}
본 발명은, 접촉여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기조 내에 프레임을 입체적으로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어 효과적인 유기성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며, 접촉여재와 유기성폐수와의 접촉면이 넓어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항시 접촉여재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접촉여재 홀더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날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정이나 공장, 혹은 축사 등에서 방출되는 오폐수, 공장 폐수, 축산 폐수 등(이하, 이들을 통틀어 "유기성폐수"라 함)은 지하수 및 하천으로 흘러 결국에는 바다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처럼 유기성폐수를 처리하여 정화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하면 각종 유기물, 미생물 및 질소(N), 인(P) 등으로 인해 하천 등의 부영화 현상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수중 생태계가 파될 뿐만 아니라 토양의 오염을 유발하여 생활환경이나 생태계의 먹이사슬까지 파괴함으로써 인간의 생존권을 위협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유기성폐수의 배출을 줄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유기성폐수의 배출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유기성폐수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바, 근자에 들어서는 각계 각층에서는 유기성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유기성폐수 처리방법에 대해 수많은 연구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유기성폐수를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에는 크게, 물리적 처리방법 및 화학적 처리방법 또는 생물학적처리 방법을 병합하여 유기성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형적인 처리방법은 다분히 임의적이고 처리대상 유기성폐수의 성상, 목표 제거율, 처리시설의 특징 등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공지된 유기성폐수 처리방법 중, 주로 사용된 활성오니법에 의하면, 비교적 많은 양의 슬러지가 발생되고 고액분리를 위한 처리 약품의 과다사용으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처리능력 또한 저조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유기성폐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접촉여재를 포기조 내에 마련하여 접촉여재에 의한 미생물의 접촉에 따라 유기성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런 장비 없이, 접촉여재를 포기조 내에 장착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촉여재 홀더를 마련하고 홀더 내에 접촉여재를 넣고 포기조 내에 배치함으로써, 포기시 발생하는 유기성폐수의 흐름에 따라 포기조 내에 균등하게 위치시켜 유기성폐수와 접촉재의 접촉을 균등하게 하고 시간을 길게 함과 동시에 접촉면적을 최대한 크게 하고, 유입되는 유기성폐수의 농도 및 포기조의 크기에 따라 접촉여재의 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유기성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기조 내에 프레임을 입체적으로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어 효과적인 유기성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며, 접촉여재와 유기성폐수와의 접촉면이 넓어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항시 접촉여재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접촉여재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기성폐수를 처리하는 접촉여재를 포기조 내에 장착하기 위해 접촉여재를 홀딩하는 접촉여재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접촉여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접촉여재 케이스와; 상기 접촉여재 케이스가 적어도 하나씩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의 케이스레일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긴 막대형상의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로울러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로울러가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레일부를 갖는 프레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여재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울러는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케이스레일 내에 슬라이딩 삽입된 상기 접촉여재 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방지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내에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각 프레임의 연부면에는 인접한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연결고리는 연결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홀더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상태에서 접촉여재 케이스를 제거한 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접촉여재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프레임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홀더는, 포기조 내에 장착되어 포기조 내로 유입되는 유기성폐수를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여재 홀더는, 접촉여재(1)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접촉여재 케이스(10)와, 접촉여재 케이스(10)가 하나씩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의 케이스레일(20a)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긴 막대형상의 한 쌍의 지지부(25)와, 한 쌍의 지지부(25)에 대해 프레임(2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이동부(30)를 갖는다.
접촉여재 케이스(10)는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접촉여재(1)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여재(1)로는 천연담체를 채용하고 있다. 천연담체는, 예를 들어 나뭇잎 등이 썩은 부엽토와 같은 것으로 화단이나 화분에 사용되는 것을 손쉽게 채용할 수 있다.
천연담체는 낙엽이나 나무의 뿌리 및 줄기 등이 수천, 수백년동안 퇴적되어 분해·합성된 리그닌-단백질 복합체를 핵으로 해서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커다란 분자로 형성되어 있는 일종의 약산이다.
천연담체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부식산 그 자체에는 물에 안정된 반응을 진행시키는 능력은 없지만 천연담체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우로나이드(Poly-uronide)에는 그 능력이 있어 물 속에서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폴리우로나이드(Poly-uronide)는 글루트론산과 켈렉트론의 일종인 우론산을 함유한 일종의 다당류이다. 이 우론산은 대개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나뭇잎이나 나뭇가지 등의 분해가 덜된 부분에 함유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채용하고 있는 천연담체는 통기성을 증가시키며 양분공급을 활성화시켜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활발히 진행시킴으로써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유기성폐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처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발생 억제시켜 환경개선의 역할을 수행한다.
프레임(20)은 정방형 혹은 장방형으로 된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측에는 판형으로 제작된 접촉여재 케이스(10)를 탈착 및 고정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레일(20a)이 복수개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케이스레일(20a)의 간격 및 프레임(20) 내에 배치되는 접촉여재 케이스(10)의 개수는 유입되는 유기성폐수의 오염 정도 및 포기조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여재 케이스(10)는 오염에 의한 부식에 강하고 유기성폐수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스테인리스 메쉬 혹은 그 이상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접촉여재 케이스(10) 사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유기성폐수와의 접촉 면적이 최대화 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이동부(30)는 로울러(31)와 레일부(32)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울러(31)는 프레임(20)의 각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레일부(32)는 한 쌍의 지지부(25)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프레임(20)은 한 쌍의 지지부(25) 내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25)에는 한 쌍의 지지부(25)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프레임(20)의 케이스레일(20a) 내에 슬라이딩 삽입된 접촉여재 케이스(10)가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방지바아(40)가 마련되어 있다. 이탈방지바아(40)는 프레임(20)에 설치된 접촉여재 케이스(10)가 유입된 유기성폐수의 흐름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저지한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25)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5)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20)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프레임(20)의 연부면에는 인접한 프레임(2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51)가 설치되어 있고, 각 연결고리(51)는 연결와이어(5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는, 유입되는 유기성폐수의 농도 및 포기조의 크기에 따라 접촉여재(1)의 양이 결정될 수 있는 바, 포기조 내에서 유기성폐수에 균등하게 접촉시키기 위하여 필요할 경우, 도 4와 같이, 연결고리(51) 및 연결와이어(52)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프레임(20)을 한 쌍의 지지부(25)에 결합시키면 된다.
만일, 포기조 내에서 포기시 발생하는 유기성폐수의 흐름, 혹은 장기간 포기에 의한 접촉여재(1)의 유실과 접촉여재(1)를 보충 혹은 교환이 필요할 경우, 포기조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20)은 포기조 내의 유기성폐수를 비워야 할 상황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 때는, 연결고리(51) 및 연결와이어(52)로 인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최상부의 프레임(20)을 상부로 인양하게 되면 프레임(20)에 설치된 각 로울러(31)가 한 쌍의 지지부(25)에 마련된 레일부(32)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수면 밖으로 쉽게 노출된다. 이 때, 포기조의 유기성폐수를 비울 필요 없이 접촉여재(1)를 손쉽게 보충 혹은 교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촉여재 홀더에 의하면, 포기조 내에 프레임(20)을 입체적으로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어 효과적인 유기성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며, 접촉여재(1)와 유기성폐수와의 접촉면이 넓어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항시 접촉여재(1)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기조 내에 프레임을 입체적으로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어 효과적인 유기성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며, 접촉여재와 유기성폐수와의 접촉면이 넓어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항시 접촉여재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홀더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평면도,
도 3a는 도 2의 상태에서 접촉여재 케이스를 제거한 프레임의 평면도,
도 3b는 접촉여재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프레임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촉여재 10 : 케이스
20 : 프레임 20a : 케이스레일
25 : 지지부 30 : 프레임이동부
31 : 로울러 32 : 레일부
40 : 이탈방지바아 51 : 연결고리
52 : 연결와이어

Claims (4)

  1. 유기성폐수를 처리하는 접촉여재를 포기조 내에 장착하기 위해 접촉여재를 홀딩하는 접촉여재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접촉여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접촉여재 케이스와;
    상기 접촉여재 케이스가 적어도 하나씩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의 케이스레일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긴 막대형상의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로울러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로울러가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레일부를 갖는 프레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여재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여재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케이스레일 내에 슬라이딩 삽입된 상기 접촉여재 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방지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여재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내에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각 프레임의 연부면에는 인접한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연결고리는 연결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여재 홀더.
KR10-2002-0048376A 2002-08-16 2002-08-16 접촉여재 홀더 KR100511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76A KR100511864B1 (ko) 2002-08-16 2002-08-16 접촉여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76A KR100511864B1 (ko) 2002-08-16 2002-08-16 접촉여재 홀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441U Division KR200299237Y1 (ko) 2002-08-16 2002-08-16 접촉여재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35A KR20040016135A (ko) 2004-02-21
KR100511864B1 true KR100511864B1 (ko) 2005-09-02

Family

ID=3732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376A KR100511864B1 (ko) 2002-08-16 2002-08-16 접촉여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39B1 (ko) * 2017-08-18 2020-02-04 옥수금속(주)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4591A (ja) * 1989-09-27 1991-05-15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ダイナミック固定床バイオリアクター
JPH03202198A (ja) * 1989-12-27 1991-09-03 Mitsuru Takasaki 汚水処理装置
KR910015500A (ko) * 1990-02-15 1991-09-30 한종옥 오수처리 장치
JPH08117778A (ja) * 1994-10-20 1996-05-14 Kajima Corp 紐状濾材利用の水処理用混床
JPH08117774A (ja) * 1994-10-19 1996-05-14 Kajima Corp 水路浄化用浮子付き濾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4591A (ja) * 1989-09-27 1991-05-15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ダイナミック固定床バイオリアクター
JPH03202198A (ja) * 1989-12-27 1991-09-03 Mitsuru Takasaki 汚水処理装置
KR910015500A (ko) * 1990-02-15 1991-09-30 한종옥 오수처리 장치
JPH08117774A (ja) * 1994-10-19 1996-05-14 Kajima Corp 水路浄化用浮子付き濾床
JPH08117778A (ja) * 1994-10-20 1996-05-14 Kajima Corp 紐状濾材利用の水処理用混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35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mmerfelt et al. Aquaculture sludge removal and stabilization within created wetlands
US20060151387A1 (en) Multiple soil-layering system for wastewater purification
Valipour et al. Performance of high-rate constructed phytoremediation process with attached growth for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Effect of high TDS and Cu
WO1987000516A1 (en)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US20120145628A1 (en) Phytoremediation for desalinated water post-processing
KR100631373B1 (ko) 질소 및 인 제거효율이 극대화된 접촉산화장치 및 이를이용한 접촉산화방법
KR100511864B1 (ko) 접촉여재 홀더
Randerson Constructed wetlands and vegetation filters: an ecological approach to wastewater treatment
KR200299237Y1 (ko) 접촉여재 홀더
KR20050053208A (ko) 하천 직접정화공법
KR0126883Y1 (ko) 대규모 오수 처리 시설
KR100453199B1 (ko) 기능성세라믹에 의한 호수 수질정화장치 및 방법
Yahiaoui et al.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by vertical-flow filter grown with Juncus Maritimus in Arid Region
KR100336484B1 (ko) 토양피복형 내부순환 접촉산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접촉산화방법
KR100232361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오,폐수 자연 정화 시스템
JP2022135704A (ja) 浮遊型人工湿地
KR100519263B1 (ko) 오수처리시스템
Karami et al. Effect of rhamnolipid biosurfactant on the degradation of pentaerythritoltetranitrate (PETN)
Obeti et al. Bio-Filtration Technologies for Filtering Ammonia in Fish Tank Effluent for Reuse—A Review
KR20160010802A (ko) 염분함유 폐수의 개선된 처리 방법
JP2003062595A (ja) 養液栽培排水の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52934B1 (ko) 질산성 질소 제거용 정수처리장치
CN108046434B (zh) 一种稳定塘
ES2375755T3 (es) Instalación para la purificación previa de aguas sucias con tratamiento ulterior de los sólidos integrado.
Koli et al. Development of field-scale composite biorack constructed wetland–startup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