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570B1 - 파티용 폭죽 - Google Patents

파티용 폭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570B1
KR100511570B1 KR10-2002-0054409A KR20020054409A KR100511570B1 KR 100511570 B1 KR100511570 B1 KR 100511570B1 KR 20020054409 A KR20020054409 A KR 20020054409A KR 100511570 B1 KR100511570 B1 KR 10051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d
party
ignition
firecrac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840A (ko
Inventor
안헌상
Original Assignee
안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헌상 filed Critical 안헌상
Priority to KR10-2002-005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5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04Firecrac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행사장에서 사용되는 파티용 폭죽에 관한 것으로, 뚜껑(40)의 저면 가장자리에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얹혀지는 턱(42)을 형성하고, 그 턱(42)을 바깥쪽에 두고 케이스(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형리브(44)를 뚜껑(40)의 저면에 형성하며, 그 환형리브(44)의 외주면에는 환형돌기부(44s)를 형성하여 케이스(30)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환형홈(36)에 걸리도록 하는 한편, 점화끈(50)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뚜껑(4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30)의 외측면에는 점화끈(50)을 끼워서 걸기 위한 돌출편(37)을 형성하여 구성하여 뚜껑이 케이스의 상단 일정한 위치에 항상 자리잡게 되어 밀폐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폭죽의 점화성공률이 향상되고, 폭발음이 일정하여 품질이 균일화되며, 점화끈의 고정이 보다 간편하게 되고, 장기간 보관하여도 점화끈이 뚜껑과 케이스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일방향성 고정홀더가 점화끈이 점화될 수 없는 이완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잡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티용 폭죽{Cracker for party}
본 발명은 주로 행사장에서 사용되는 파티용 폭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케이스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하여 뚜껑이 항상 케이스의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뚜껑과 케이스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여 점화성공률을 높이고, 항상 일정한 폭발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며, 점화끈이 뚜껑 상면의 중심을 가로질러서 반대편 너머의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점화끈의 고정을 견고히 하고, 점화끈을 일방향 걸림구조로하여 점화끈의 해제를 보다 쉽게 하는 동시에 안전도를 향상시킨 파티용 폭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죽은 점화끈을 잡아당기게 되면, 폭음과 함께 다양한 색깔과 여러 가닥으로 된 종이테이프가 한꺼번에 분출되면서 생일파티장, 예식장 등과 같은 축하행사장에서 행사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폭죽은 첨부도면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con) 모양의 폭죽과,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병 모양의 폭죽이 대표적이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내부 바닥을 미량의 화약(도시 않됨)으로 채우고, 그 위에 다양한 색깔로 된 가느다란 종이테이프(도시 않됨)를 차곡차곡 접어서 채운 후 뚜껑(22)으로 덮은 다음, 화약과 연결된 점화끈(24)을 케이스(20)의 아래쪽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접착테이프(26) 등으로 케이스(20)의 외면에 부착하여 둔 것으로, 이 점화끈(24)을 접착테이프(26)로부터 떼어내 잡아당기게 되면, 케이스(20) 내부의 화약이 발화되면서 생기는 순간적인 폭발력에 의해 뚜껑(22)이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종이테이프가 케이스(20) 밖으로 한꺼번에 분출되어 넓게 퍼지고, 동시에 폭발음이 크게 들리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첨부도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와 뚜껑(22)을 결합하기 위해서 폭죽을 제조할 때 케이스(20)의 내주면 상측에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환형돌기(21)를 형성하고, 그 바로 밑에 뚜껑(22)의 가장자리부분이 끼워지는 환형의 단턱(21a)과 간극(21b)을 형성하여 원반형으로 된 뚜껑(22)을 케이스(20)의 개구부(23)를 통해 위에서 밑으로 강제로 밀어 넣게 되면, 뚜껑(22)이 자체의 탄성력에 약간 휘면서 환형돌기(21)를 통과하게 되고, 이 환형돌기(21)의 밑에 형성된 간극(21b)과 단턱(21a)에 이르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단턱(21a)에 걸림과 동시에 간극(21b)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파티용 폭죽은 뚜껑(22)을 케이스(20)의 개구부(23)를 통해 삽입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뚜껑(22)이 단턱(21a)보다 더 밑으로 내려가면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고, 뚜껑(22)과 케이스(2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위와 같이 뚜껑(22)이 케이스(20)에 기울어진 상태로 끼워져서 틈이 발생된 경우 점화시 화약의 폭발력에 의한 분출압력이 틈을 통해 일부 새어나가면서 케이스(20) 내부의 종이테이프가 멀리 나가지 못하거나 아예 뚜껑(22)이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보관 중 뚜껑(22)과 케이스(20)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면서 내부의 화약이 수분을 머금게 되고, 눅눅해지면서 점화가 어렵게 되며, 폭죽의 점화성공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 뚜껑(22)이 걸리는 단턱(21a)의 폭이 좁아서 뚜껑(22)을 케이스(20)에 조립할 때 조금만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뚜껑(22)이 단턱(21a) 밑으로 쉽게 내려가 버리기 때문에 제품마다 뚜껑(22)과 케이스(20)의 결합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품질이 불균일하게 되고, 이에 따른 폭발음도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파티용 폭죽은 길게 늘어진 점화끈(24)을 케이스(20)에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테이프(26)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접착테이프(26)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접착력이 점차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점화끈(24)이 케이스(20)로부터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경우 부주의에 의한 화재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점화끈(24)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테이프(26)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점화시 접착테이프(26)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있는 점화끈(24)을 강제로 잡아당기는 경우 접착테이프(26)가 완전하게 찢어지기 전에 점화끈(24)이 접착테이프(26)로부터 미끄러지면서 미리 점화되어 매우 위험하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뚜껑과 케이스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뚜껑에 의한 케이스의 밀폐력을 높임으로써 폭죽의 점화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뚜껑과 케이스의 결합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발음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고, 점화끈의 자연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화끈의 고정이 보다 간편하게 되고, 점화끈을 케이스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 폭죽이 점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파티용 폭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뚜껑의 저면 가장자리에 케이스의 상단부에 얹혀지는 턱을 형성하고, 그 턱을 바깥쪽에 두고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형리브를 뚜껑의 저면에 형성하며, 그 환형리브의 외주면에는 환형돌기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환형홈에 걸리도록 하는 한편, 점화끈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를 뚜껑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점화끈을 끼워서 걸기 위한 돌출편을 형성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뚜껑의 저면 가장자리에 케이스의 상단부에 얹혀지는 턱을 형성하고, 그 턱을 바깥쪽에 두고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하향돌기를 뚜껑의 저면에 등각도로 형성하며, 각 하향돌기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환형홈에 걸리도록 하고, 하향돌기 사이사이에는 보강리브를 형성하는 한편, 점화끈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를 뚜껑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점화끈을 끼워서 걸기 위한 돌출편을 형성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케이스의 상단부에 두툼한 형태의 억지끼움부를 형성하고, 뚜껑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동심원상의 원형리브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억지끼움부의 내외측을 감싸듯이 잡는 원형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점화끈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를 뚜껑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점화끈을 끼워서 걸기 위한 돌출편을 형성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의 저면 가장자리에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얹혀지는 턱(42)을 형성하고, 그 턱(42)을 바깥쪽에 두고 케이스(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형리브(44)를 뚜껑(40)의 저면에 형성하며, 그 환형리브(44)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반원형 단면모양을 갖는 환형돌기부(44s)를 형성하여 케이스(30)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환형홈(36)에 걸리도록 하는 한편, 점화끈(50)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뚜껑(4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30)의 외측면에는 점화끈(50)을 끼워서 걸기 위한 돌출편(37)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티용 폭죽(100)은 뚜껑(40)과 케이스(30)가 힌지(48)에 의해 연결된다. 즉, 뚜껑(40)의 외주면 일단부와 케이스(30)의 상단 일부분이 힌지(48)에 의해 연결되므로 뚜겅(40)의 분리를 방지하고, 특히, 힌지(48)에 의해 연결된 뚜껑(40)과 케이스(30)는 금형비용과 부품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의 구성은 사이에 점화끈(50)을 끼우기 위한 틈을 형성하는 에지부(60a)(60b)(62a)(62b)가 양측에 위치되고, 이 에지부(60a)(60b)(62a)(62b) 사이의 틈은 상측에서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되며, 점화끈(50)이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지부(60a)(60b)(62a)(62b)가 모두 점화끈(50)의 이완방향(弛緩方向)을 향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점화끈(50)이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점화끈(50)을 잡아당기게 되면, 에지부(60a)(60b)(62a)(62b)의 틈이 좁아지면서 점화끈(50)이 움직일 수 없게 되며, 점화끈(50)이 그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에지부(60a)(60b)(62a)(62b)의 틈이 벌어지면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와 돌출편(37)은 예컨대, 평면에서 볼 때 모두 뚜껑(40)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돌출편(37)은 케이스(30)의 외측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점화끈(50)을 밑으로부터 위쪽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는 달리 상기 케이스(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홈(36)을 케이스(30)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되는 환형리브(44)를 케이스(30)의 바깥쪽에 두며, 환형돌기부(44s)는 환형리브(44)의 내측에 형성하여 뚜껑(40)이 케이스(30)의 바깥쪽에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 및 돌출편(37)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성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단지 뚜껑(40)과 케이스(3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다르게 되어있다.
위와 같은 제 2실시예에서 뚜껑(40)과 케이스(3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은 뚜껑(40)의 저면 가장자리에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얹혀지는 턱(42)을 형성하고, 그 턱(42)을 바깥쪽에 두고 케이스(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하향돌기(45)를 뚜껑(40)의 저면에 등각도로 형성하며, 각 하향돌기(45)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부(45s)를 형성하여 케이스(30)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환형홈(38)에 걸리도록 하고, 하향돌기(45) 사이사이에는 보강리브(47)를 형성하였다.
여기서 케이스(30)의 상단 내외측면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보강리브(47)는 하향돌기(45)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걸림돌기부(45s)는 예컨대, 반원형의 단면모양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티용 폭죽(100)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뚜껑(40)과 케이스(30)가 힌지(48)에 의해 연결된다. 즉, 뚜껑(40)의 외주면 일단부와 케이스(30)의 상단 일부분이 힌지(48)에 의해 연결되므로 뚜겅(40)의 분리를 방지하고, 그리고, 제2실시예의 뚜껑(40)과 케이스(30)도 힌지(48)에 의해 연결되므로 금형비용과 부품수가 감소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제 2실시예의 구성과는 달리 상기 케이스(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홈(38)을 케이스(30)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향돌기(45)와 보강리브(47)를 모두 케이스(30)의 바깥쪽에 두며, 걸림돌기부(45s)는 하향돌기(45)의 내측에 형성하여 뚜껑(40)이 케이스(30)의 바깥쪽에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 및 돌출편(37)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고, 단지 뚜껑(40)과 케이스(3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다르며, 이러한 구성은 케이스(30)의 상단부에 두툼한 형태의 억지끼움부(70)를 형성하고, 뚜껑(4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동심원상의 원형리브(74)(76)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억지끼움부(70)의 내외측을 감싸듯이 잡는 원형홈(7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억지끼움부(70)와 원형홈(72)은 예컨대, "C"자 모양으로 된 원형단면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원형홈(72)은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억지끼움부(70)가 처음에 진입할 때에는 억지로 진입되고, 이를 통과한 후에는 단면이 일치되면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는 화약은 보통 약 0.03g을 채우게 되나 중량을 가감함으로써 용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구성은 제 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며, 단지 상기 돌출편(37)을 "C" 자나 "O" 자 모양으로 돌출고리(37c)로 구성하여 점화끈(50)을 여러 번 감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0은 폭죽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3a 내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서 케이스(30)와 뚜껑(40)을 덮으면서 조립하는 과정은 케이스(3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된 환형리브(44)를 밑으로 하여 케이스(30) 내측으로 압입하게 되면, 이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리브(44)가 케이스(30)의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개구부(32)가 덮이고,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된 턱(42)이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걸리는 순간 환형리브(44)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돌기부(44s)가 환형리브(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스(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홈(36)과 일치되면서 걸리게 된다.
이때 뚜껑(40)에 형성된 턱(42)이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걸려 있기 때문에 뚜껑(40)에 무리한 가압력을 가하더라도 뚜껑(40)이 케이스(30) 내부로 진입되지 못하고,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또, 첨부도면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에서 케이스(30)와 뚜껑(40)을 덮으면서 조립하는 과정은 케이스(3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된 하향돌기(45)와 보강리브(47)를 밑으로 하여 케이스(30) 내측으로 압입하게 되면, 이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돌기(45)와 보강리브(47)가 케이스(30)의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개구부(32)가 덮이고, 뚜껑(42)의 저면에 형성된 턱(42)이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걸리는 순간 하향돌기(45)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부(45s)가 하향돌기(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스(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홈(38)과 일치되면서 걸리게 된다.
이때 보강리브(47)는 하향돌기(45)의 휨강도를 보강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뚜껑(40)에 형성된 턱(42)이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걸려 있기 때문에 뚜껑(40)에 무리한 가압력을 가하더라도 뚜껑(40)이 케이스(30) 내부로 진입되지 못하고,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하향돌기(45)의 개수와 폭에 따라서 뚜껑(40)과 케이스(30)의 결합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서 케이스(30)와 뚜껑(40)을 조립하는 과정은 케이스(3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뚜껑(40)의 저면에 형성된 원형리브(74)(76)를 밑으로 하여 케이스(30)의 개구부(32)를 덮어 씌운 후 누르게 되면, 뚜껑(40)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리브(74)(76)가 억지끼움부(70)에 의해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형성된 원형홈(72)의 입구가 넓어지고, 억지끼움부(70)가 원형홈(72)으로 진입되어 일치되면, 벌어진 원형리브(74)(76)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억지끼움부(70)의 내외측을 물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3a 내지 도5c에 도시된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 모두 공통적으로 이후 뚜껑(40)이 케이스(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30)의 밑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길게 늘어진 점화끈(5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점화끈(50)을 뚜껑(4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로 끼운 다음 다시 그 반대편 너머에 형성된 돌출편(37)에 걸어서 끼우게 되면, 점화끈(5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구성하고 있는 에지부(60a)(60b)(62a)(62b)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에지부(60a)(60b)(62a)(62b) 사이로 점화끈(50)을 위에서부터 밑으로 밀어 넣게 되면, 점화끈(50)이 에지부(60a)(60b)(62a)(62b)의 날카로운 부분에 물려서 고정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의 경우 돌출편(37)이 돌출고리(37c)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끈(50)을 밑에서 위로 끼워 감거나 여러번 감아서 고정하게 되면, 점화끈(50)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점화끈(50)에 예기치 못한 외력이 가해지면서 점화끈(50)에 인장력이 작용되면,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구성하고 있는 에지부(60a)(60b)(62a)(62b)가 모두 점화끈(50)의 이완방향을 향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지부(60a)(60b)(62a)(62b)는 점화끈(50)의 측면을 점점 파고들면서 점화끈(50)을 잡게 되므로 점화끈(50)은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즉, 점화끈(50)이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에 끼워져 있는 이상 점화하기 위해 당기는 방향인 인장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한편, 폭죽(100)을 사용하기 위해 점화끈(50)을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우선 돌출편(37)에 걸려 있는 점화끈(50)을 풀어 낸 다음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의 위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점화끈(50)이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구성하고 있는 에지부(60a)(60b)(62a)(62b)로부터 상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빠져나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점화끈(50)을 잡아당기게 되면, 케이스(30) 내부의 화약이 폭발하면서 그 폭발력에 의해 뚜껑(40)이 개방되고, 내부의 종이테이프가 튀어나오는 동시에 폭발음이 발생된다.
이때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는 뚜껑(40)이 환형리브(44)에 의해 케이스(30)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저면에 형성된 턱(42)에 의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폭발음이 거의 일정하게 되며, 제 3실시예의 경우 원형리브(74)(76)와 케이스(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억지끼움부(70)에 결합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폭발음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뚜껑과 케이스가 결합될 때 뚜껑이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에 다소 무리한 힘을 가하더라도 기존과 같이 뚜껑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일 없이 케이스의 상단 일정한 위치에 항상 자리잡게 되어 밀폐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뚜껑의 턱과 케이스의 상단부가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과 케이스의 밀폐력이 향상되면서 폭죽의 점화성공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뚜껑의 결합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마다 폭발음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과 같이 별도의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필요 없이 뚜껑과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성 고정홀더와 돌출편에 끼워서 걸면 점화끈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점화끈의 고정이 보다 간편하게 되고, 장기간 보관하여도 점화끈이 뚜껑과 케이스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어 부주의에 의한 화재위험성이 없게 되며, 점화끈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점화끈을 잡고 있는 일방향성 고정홀더가 점화끈이 점화할 수 없는 일방향(점화끈의 이완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잡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과 케이스가 힌지에 의해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금형비용과 부품수가 감소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콘 형태로 된 파티용 폭죽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종래 콘 형태로 된 파티용 폭죽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병 모양으로 된 파티용 폭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위에서 본 뚜껑이 열린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밑에서 본 뚜껑이 열린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위에서 본 뚜껑이 열린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밑에서 본 뚜껑이 열린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밑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용 폭죽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케이스 32 : 개구부
34 : 상단부 36,38 : 환형홈
37 : 돌출편 40 : 뚜껑
42 : 턱 44 : 환형리브
44s : 환형돌기부 45 : 하향돌기
45s : 걸림돌기부 47 : 보강리브
48 : 힌지 50 : 점화끈
60,62 : 일방향성 고정홀더 70 : 억지끼움부
72 : 원형홈 74,76 : 원형리브

Claims (5)

  1. 케이스(30)의 상단 개구부(32)가 뚜껑(4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그 케이스(30)의 하단부로부터 점화끈(50)이 인출되어 있는 파티용 폭죽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의 저면 가장자리에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얹혀지는 턱(42)을 형성하고, 그 턱(42)을 바깥쪽에 두고 케이스(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환형리브(44)를 뚜껑(40)의 저면에 형성하며, 그 환형리브(44)의 외주면에는 환형돌기부(44s)를 형성하여 케이스(30)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환형홈(36)에 걸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점화끈(50)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뚜껑(4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30)의 외측면에는 점화끈(50)을 끼워서 걸기 위한 돌출편(37)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용 폭죽.
  2. 케이스(30)의 상단 개구부(32)가 뚜껑(4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그 케이스(30)의 하단부로부터 점화끈(50)이 인출되어 있는 파티용 폭죽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의 저면 가장자리에 케이스(30)의 상단부(34)에 얹혀지는 턱(42)을 형성하고, 그 턱(42)을 바깥쪽에 두고 케이스(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하향돌기(45)를 뚜껑(40)의 저면에 등각도로 형성하며, 각 하향돌기(45)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부(45s)를 형성하여 케이스(30)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환형홈(38)에 걸리도록 하고, 하향돌기(45) 사이사이에는 보강리브(47)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점화끈(50)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뚜껑(4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30)의 외측면에는 점화끈(50)을 끼워서 걸기 위한 돌출편(37)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용 폭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와 뚜껑은 힌지(4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용 폭죽.
  4. 케이스(30)의 상단 개구부(32)가 뚜껑(4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그 케이스(30)의 하단부로부터 점화끈(50)이 인출되어 있는 파티용 폭죽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의 상단부에 두툼한 형태의 억지끼움부(70)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4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동심원상의 원형리브(74)(76)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억지끼움부(70)의 내외측을 감싸듯이 잡는 원형홈(72)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점화끈(50)을 끼우기 위한 복수의 일방향성 고정홀더(60)(62)를 뚜껑(4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케이스(30)의 외측면에는 점화끈(50)을 걸기 위한 돌출편(37)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용 폭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37)은 돌출고리(37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용 폭죽.
KR10-2002-0054409A 2002-09-10 2002-09-10 파티용 폭죽 KR100511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409A KR100511570B1 (ko) 2002-09-10 2002-09-10 파티용 폭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409A KR100511570B1 (ko) 2002-09-10 2002-09-10 파티용 폭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840A KR20040022840A (ko) 2004-03-18
KR100511570B1 true KR100511570B1 (ko) 2005-09-02

Family

ID=3732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409A KR100511570B1 (ko) 2002-09-10 2002-09-10 파티용 폭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5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20B1 (ko) * 2005-11-30 2006-11-14 안헌상 폭죽용 케이스
KR100881247B1 (ko) 2008-01-24 2009-02-05 안헌상 폭죽용 케이스
WO2013105761A1 (ko) * 2012-01-09 2013-07-18 Ahn Heon-Sang 폭죽용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386U (ko) * 1988-07-13 1990-02-07 서경발 축하용 테이프 자동 발사기
KR930002961U (en) * 1990-11-19 1993-02-26 Ilyang Antimon Co Ltd Antimony trioxide
JPH0640698U (ja) * 1991-04-03 1994-05-31 株式会社フジカ くじ式クラッカー
KR200291829Y1 (ko) * 2002-06-28 2002-10-11 안헌상 파티용 폭죽
WO2003018159A1 (es) * 2001-08-24 2003-03-06 Casado Soler, Olga Barrera flexible para un lanzador de serpentinas
KR20040012412A (ko) * 2002-09-02 2004-02-11 안헌상 파티용 폭죽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386U (ko) * 1988-07-13 1990-02-07 서경발 축하용 테이프 자동 발사기
KR930002961U (en) * 1990-11-19 1993-02-26 Ilyang Antimon Co Ltd Antimony trioxide
JPH0640698U (ja) * 1991-04-03 1994-05-31 株式会社フジカ くじ式クラッカー
WO2003018159A1 (es) * 2001-08-24 2003-03-06 Casado Soler, Olga Barrera flexible para un lanzador de serpentinas
KR200291829Y1 (ko) * 2002-06-28 2002-10-11 안헌상 파티용 폭죽
KR20040012412A (ko) * 2002-09-02 2004-02-11 안헌상 파티용 폭죽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20B1 (ko) * 2005-11-30 2006-11-14 안헌상 폭죽용 케이스
KR100881247B1 (ko) 2008-01-24 2009-02-05 안헌상 폭죽용 케이스
WO2013105761A1 (ko) * 2012-01-09 2013-07-18 Ahn Heon-Sang 폭죽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840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6639A (en) Shock cord hooks
US5542461A (en) Safety tassel for pull cords
US20100195332A1 (en) Decorative Lighting Strand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Same
US20040079579A1 (en) Corded hearing protectiv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11570B1 (ko) 파티용 폭죽
KR950009297Y1 (ko) 끈 고정구
US3967050A (en) Strain grommet
KR100646020B1 (ko) 폭죽용 케이스
KR100881247B1 (ko) 폭죽용 케이스
US5531237A (en) Shelter means on umbrella ferrules for concealing wire ends of rib-fastening wire
KR200291829Y1 (ko) 파티용 폭죽
KR100435633B1 (ko) 파티용 폭죽 케이스
JP3226741U (ja) 高強度の組立紐止め構造
JPH0212476Y2 (ko)
CN1325873C (zh) 晚会用爆竹
TWI610852B (zh) 飛機降落傘裝置
US5513978A (en) Quick attach anchor and method for attaching decorations to wreaths
JP2001197919A (ja) ネック・ストラップ
KR200302507Y1 (ko) 파티용 폭죽
KR101329464B1 (ko) 폭죽용 케이스
KR200483123Y1 (ko) 안전용 폭죽 케이스
US4046075A (en) Fusee cap closure
US2318282A (en) Fuse anchor
US1420897A (en) Jewelry
US3152440A (en) Swi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