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457B1 -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457B1
KR100511457B1 KR10-2002-0068274A KR20020068274A KR100511457B1 KR 100511457 B1 KR100511457 B1 KR 100511457B1 KR 20020068274 A KR20020068274 A KR 20020068274A KR 100511457 B1 KR100511457 B1 KR 10051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buffer
struts
cross beams
buffer plat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701A (ko
Inventor
박영기
Original Assignee
박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기 filed Critical 박영기
Priority to KR10-2002-006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4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알미늄재가 갖는 저강도의 단점 및 구조적으로 완충성을 갖도록 보완된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난간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지주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앵커볼트를 갖는 S형 완충판과;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물과 상기 S형 완충판 하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력 고무판과; 상기 S형 완충판 상부로 볼팅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앵글과; 상기 앵글들과 지주 하단부를 동시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guard rail haning a shock absorbing function}
본 발명은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파손 정도를 최소화시키고 아울러 차량 등의 주행체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자동차 도로의 양쪽에는 난간을 설치할 뿐 아니라, 높은 축대나 고가교 또는, 인도를 갖지 않는 산길이나 굴곡로 등에도 대개는 난간을 설치하여 차량 등의 주행체가 주행로로에서 이탈하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아울러, 도심에서는 차도를 주행하던 차량이 불의의 사고나 운전미숙 등으로 인하여 인도를 침범할 우려가 다분하므로 난간은 인도의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서도 필수적이다.이와 같은 난간은 도 1에서와 같이 대개 지주(102)에 가로보(103) 및 난간동자(104) 등을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데, 대개는 가볍고 다루기 쉬운 알루미늄재나 강성이 고려된 스텐리스재로 제조되며, 용접 및 볼팅 등의 방법에 의해 결속 되어지고 있다.그러나 위에서와 같은 종래의 난간은, 고정형으로 결속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충돌 사고시 한계강도 이상의 충격력이 작용되면 더 이상 완충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쉽게 파손되며, 따라서 차량은 차도를 넘어 이탈되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 사고시 엄청난 파괴력을 가진 한 순간의 충격력을 흡수 완화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체 파손은 물론, 차도를 이탈하여 야기되는 더 큰 사고의 유발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게 된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들 사이에서 지주들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복수개의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들 사이에서 가로보들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난간동자를 갖는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 각각을 서로 연쇄적으로 물려 4각면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A면체와 한 쌍의 B면체로 구성하여 구비하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지주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앵커볼트를 갖는 S형 완충판과;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물과 상기 S형 완충판 하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되는 탄력 고무판과; 지주 고정용으로서 지주들 하단부에 결할되도록, 상기 S형 완충판 상부로 볼팅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앵글과; 상기 앵글들과 지주 하단부를 동시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로보들 각각이 상기한 지주들 사이 상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지주들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한 가로보들에 각각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립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한 S형 완충판들 사이에 다른 가로보들을 배치하고, 이러한 가로보들에 각각 지주들 하부를 관통하여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 양단이 상기 S형 완충판들의 해당 부위 면판부에 결속되어지는 다수개의 다른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주들의 상단부에 연쇄적인 연통상태로 결착되되, 서로 물려 결착되는 분리,해체 가능한 다른 A면체와 다른 B면체로 이루어지는 톱레일과; 상기한 지주들 최상부를 관통하여 상기한 톱레일에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립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와 또 다른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그 양단이 상기 상,하부의 가로보들 해당 부위를 관통하여 구속시킨 상태하에서 상기 다수 난간동자들의 중공으로 내재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들 단부에 각각 결착되어지며, 해당하는 가로보들에 관통되어 너트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나사부재(104)를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지주(102)와, 상기 지주(102)들 사이에서 지주(102)들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복수개의 가로보(103)와, 상기 가로보(103)들 사이에서 가로보(103)들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난간동자(104)를 갖는 안전난간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지주(102)들 각각이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연쇄적으로 물려 4각면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A'면체와 한 쌍의 'B'면체로 구성하여 구비하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주(102)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앵커볼트(3-1)를 갖는 S형 완충판(2)을 구비하여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물과 상기 S형 완충판(2) 하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되는 탄력 고무판(4) 및 지주(102) 고정용으로서 지주(102)들 하단부에 결할되도록, 상기 S형 완충판(2) 상부로 볼팅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앵글(9), 그리고 상기 앵글(9)들과 지주(102) 하단부를 동시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볼트부재(3) 및 너트부재(도시생략)를 구비한다.
한편,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볼 때 상기 가로보(102)들 각각이 상기한 지주(102)들 사이 상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가로보(103)들에 각각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립(6)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개의 스프링(1-1)이 상기 지주(102)들 상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한 S형 완충판(2)들 사이에 다른 가로보(103)들을 배치하고, 이러한 가로보(103)들에 각각 지주(102)들 하부를 관통하여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 양단이 상기 S형 완충판(2)들의 해당 부위 면판부에 결속되어지는 다수개의 다른 스프링(1-1)을 구비하여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은 상기 지주(102)들의 상단부에 연쇄적인 연통상태로 결착되는 톱레일(101)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3을 참조하여 볼 때 이러한 톱레일(101) 역시 서로 물려 결착되는 분리,해체 가능한 다른 'A'면체와 다른 'B'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8에서 도시되었듯이 상기한 바와 같은 지주(102)들 최상부를 관통하여 상기한 톱레일(101)에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립(6)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7)와 또 다른 스프링(1)이 더 구비되어질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그 양단이 상기 상,하부의 가로보(103)들 해당 부위를 관통하여 구속시킨 상태하에서 상기 다수 난간동자(104)들의 중공으로 내재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7-2)와; 상기 와이어(7-2)들 단부에 각각 결착되어지며, 해당하는 가로보(103)들에 관통되어 너트부재(도시생략)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나사부재(3-2)를 더 구비하게 된 것일 수도 있다.
위에서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우선 '제2도'에 예시된 지주 하단부에 있는 S형 완충판(2)은 본 난간대를 설치 하고자 하는 목적지에 설계에 의하여 설치할 지점을 설정한 후 '제7도'에 명시된 앵카볼트(3-1)을 수직으로 매입 시킨 후 '제7도'와 '제11도'에 예시된 S형 완충판(2) 하단부에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력 고무판을(4) 타설된 콘크리 위로 돌출된 앵카 볼트에 안착시킨 후 너트(nut)(5)로 고정시켜 둔다.
S형 완충판(2) 위에는 '제7도'에 앵글(9)을 지주 고정용으로 형성된 볼트 구멍을 이용하여 보도를 끼워서 상하 수직으로 나란히 고정 시켜준다.제2단계로 S형 완충판(2)과 쇠 파이프(지주 보강용)(102-1)를 완충판 상단에 고정된 앵글(9)을 외면으로 하여 '제7도'와 같이 앵글(9)이 파이프(102-1) 내면으로 들어가도록 안착시킨 후 보도(3)를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너트 조임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수의 지주(102)를 모두 고정 설치한다.이때 '제7도'에 명시된 충돌의 힘(P1)을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 시켰을 때 힘이(P2)로 이동할 수 있도록 S형 완충판(2)의 합금으로 L의 값을 변경 조정되도록 설치한다.제3단계로 지주(post)와 가로보(sub rail)의 설치 방법은 '제4도'에 지주(102)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중 B면을 '제8도'의 쇠 파이프(102-1) 좌·우측 면으로 기준하여 A면을 앞·뒤로 하여 끼워넣기 방법으로 설치한 후 '제5도'에 가로보(103) B면을 '제8도'에 지주(102)와 지주 사이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지 부분과 하지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내측면(102)으로 대칭이 되도록 수평선으로 하여 각종 금구를 기존 공법을 응용하여 고정시켜준다.제4단계로 완충용으로 와이어과 용수철의 설치 방법은 첫째, 상지의 와이어과 용수철은 '제8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주(102)와 쇠 파이프(102-1)를 평행선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뚫어진 구멍(7-1R)으로 통과를 시킨 후 보조 용수철(1-1)과 와이어을 그립(6)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으로 결속시켜 준다.이때 보조 와이어은 두가닥 혹은 그 이상으로 배설할 수 있으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정하여 순차적으로 보조 와이어의 단락 등으로 충격 강도를 흡수할 수 있도록 조정 설치한다.둘째, 하지부의 와이어과 용수철은 도11의 S형 완충판에 뚫려져 있는 구멍(8-1)에 보조 용수철(1-1)을 걸어서 그립(6)으로 보조 와이어과 연결 결속시키되 지주(102)와 지주(102) 사이를 한 구간으로 하여 역시 상지부의 설치 방법과 같이 순차적으로 힘을 흡수 완화할 수 있도록 와이어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매설한다.세째로, 메인 와이어과 용수철은 '제8도'의 톱레일(101)과 상지부 가로보(103)와 하지부 가로보(103)등 세곳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제8도에 도시한 지주(102)와 쇠 파이프(102-1)를 수평으로 통과 시킨 구멍(7R)으로 메인 와이어(7)을 통과 시켜서 지주(102)와 지주(102) 사이에 적당한 지점에 메인 스프링(1)과 메인 와이어(7)을 그립(6)으로 구간 구간 결속시켜 주면 된다.이는 최후의 충격,완충,흡수의 수단으로 단락이 되지않도록 견고한 용수철과 와이어로 난간 전체의 힘을 충격 완료시점까지 분포할 수 있도록 설치하면 된다.제5단계로 난간동자의 구성 방법으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동자는 '제6도'의 모양 등으로 압출하여 나선형의 마르보 두개와 와이어을 함께 난간동자 속으로 삽입한 후 '제8도'의 난간동자(104)와 같은 모양등으로 밴딩을 하여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동자(104)를 가로보(103)에 뚫려진 구멍으로 보도와 와이어을 유입하여 제10도의 와셔(10)와 너트(5)로 고정시켜 주되 상지부 가로보(103)와 하지부 가로보(103)를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켜준다끝으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동자(104)에서 유도된 와이어(7-2)로 가로보(103) 속으로 통과되는 메인 와이어(7)과 보조 와이어(7-1)을 모두 감산상태로 그립(6)으로 결속시켜준다.모든 완충장치가 끝나면 도 4에 도면과 같은 모양으로 지주에 삽입시키고 도 5에 가로보(103) A면을 설치된 B면과 결합시킨다.'제3도' 톱레일(101) B면 내측에 있는 반사홈(101-1)에 반사띠나 반사경을 삽입한 후 톱레일 A면을 설치된 톱레일B면과 결속(합) 시켜 주면 완충장치가 내장된 안전 난간대에 관한 신재품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난간대 속에 내장된 와이어과 용수철과 S형 완충판의 유기적인 작동으로 충격을 흡수 완충·완화 시켜주므로 귀중한 재산과 인명을 보호하여 주며, 고가의 알미늄 원자재를 70%이상 절약할 수 있어 달러를 절약할 수 있으며, 동자의 밴딩공법으로 교량등의 품위를 높여주며, 반사경의 삽입으로 안전 운행에 유익을 준다.
도 1은 종래 난간의 일 구간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의 일 구간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에 적용된 톱 레일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에 적용된 지주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에 적용된 가로보(sub rail)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에 적용된 난간동자(guard rail pole)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을 이루는 지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을 이루는 지주와 가로보의 결속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을 이루는 가로보(sub rail)와 난간동자의 결속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취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을 이루는 난간동자에 대한 와이어 내장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취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난간을 이루는 지주와 이의 하단부 S형 완충판 및 하측 가로보의 결속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내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1 : 톱 레일 1 : 메인 용수철 2 : S형 완충판
102 : 지주 4 : 탄력 고무판 6 : 그립
103 : 가로보 7 : 메인 와이어 7-1 : 보조 와이어
104 : 난간동자 7-2 : 난간동자 와이어 8-1 : 보조 용수철구멍
7-1R : 보조 와이어 구멍 102-1 : 보강용 쇠 파이프
삭제
삭제

Claims (4)

  1.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들 사이에서 지주들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복수개의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들 사이에서 가로보들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난간동자를 갖는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 각각을 서로 연쇄적으로 물려 4각면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A면체와 한 쌍의 B면체로 구비하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지주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앵커볼트를 갖는 S형 완충판과;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물과 상기 S형 완충판 하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되는 탄력 고무판과;
    지주 고정용으로서 지주들 하단부에 결할되도록, 상기 S형 완충판 상부로 볼팅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앵글과;
    상기 앵글들과 지주 하단부를 동시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들 각각이 상기한 지주들 사이 상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지주들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로보들에 각각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립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한 S형 완충판들 사이에 다른 가로보들을 배치하고, 이러한 가로보들에 각각 지주들 하부를 관통하여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 양단이 상기 S형 완충판들의 해당 부위 면판부에 결속되어지는 다수개의 다른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의 상단부에 연쇄적인 연통상태로 결착되되, 서로 물려 결착되는 분리,해체 가능한 다른 A면체와 다른 B면체로 이루어지는 톱레일과;
    상기한 지주들 최상부를 관통하여 상기한 톱레일에 연속되는 상태로 내재되되, 그립으로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와 또 다른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
  4. 제 1항에 있어서, 그 양단이 상기 상,하부의 가로보들 해당 부위를 관통하여 구속시킨 상태하에서 상기 다수 난간동자들의 중공으로 내재되어지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들 단부에 각각 결착되어지며, 해당하는 가로보들에 관통되어 너트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난간.
KR10-2002-0068274A 2002-11-05 2002-11-05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 KR10051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74A KR100511457B1 (ko) 2002-11-05 2002-11-05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74A KR100511457B1 (ko) 2002-11-05 2002-11-05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701A KR20020093701A (ko) 2002-12-16
KR100511457B1 true KR100511457B1 (ko) 2005-08-31

Family

ID=2772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274A KR100511457B1 (ko) 2002-11-05 2002-11-05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6833B (zh) * 2012-07-09 2014-07-30 镇江蓝舶工程科技有限公司 主缆工作车安全锁止装置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6306A (ja) * 1989-03-08 1990-09-19 Yoshitsugu Hirano 防護柵支柱
KR940005166U (ko) * 1992-08-31 1994-03-16 함영식 인형 놀이구 작동장치
US5354144A (en) * 1993-10-29 1994-10-11 Lizakowski Allen J Adjustable and recoverable vertical assembly
KR19980064160U (ko) * 1997-04-25 1998-11-25 김기중 안전성이 강화된 가드레일
JP2000179177A (ja) * 1998-12-11 2000-06-27 Shin Nikkei Co Ltd 路面ポ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遮蔽体
KR200215173Y1 (ko) * 2000-09-05 2001-03-02 조대연 도로 난간 보강 구조
KR200220490Y1 (ko) * 2000-11-07 2001-04-16 최복자 도로표시판 지주의 완충장치
KR200228307Y1 (ko) * 2001-01-12 2001-06-15 김민숙 가드레일
KR200233400Y1 (ko) * 1998-07-11 2001-08-07 김기중 와이어 로우프 외장형 난간
KR200242750Y1 (ko) * 2001-02-03 2001-09-26 (주)한맥기술 완충형 가드 레일
KR200287791Y1 (ko) *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완충장치가 구비된 낙석방지용 울타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6306A (ja) * 1989-03-08 1990-09-19 Yoshitsugu Hirano 防護柵支柱
KR940005166U (ko) * 1992-08-31 1994-03-16 함영식 인형 놀이구 작동장치
US5354144A (en) * 1993-10-29 1994-10-11 Lizakowski Allen J Adjustable and recoverable vertical assembly
KR19980064160U (ko) * 1997-04-25 1998-11-25 김기중 안전성이 강화된 가드레일
KR200233400Y1 (ko) * 1998-07-11 2001-08-07 김기중 와이어 로우프 외장형 난간
JP2000179177A (ja) * 1998-12-11 2000-06-27 Shin Nikkei Co Ltd 路面ポ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遮蔽体
KR200215173Y1 (ko) * 2000-09-05 2001-03-02 조대연 도로 난간 보강 구조
KR200220490Y1 (ko) * 2000-11-07 2001-04-16 최복자 도로표시판 지주의 완충장치
KR200228307Y1 (ko) * 2001-01-12 2001-06-15 김민숙 가드레일
KR200242750Y1 (ko) * 2001-02-03 2001-09-26 (주)한맥기술 완충형 가드 레일
KR200287791Y1 (ko) *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완충장치가 구비된 낙석방지용 울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701A (ko) 200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013B2 (ja) 衝撃吸収装置
KR101778300B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MX2012004799A (es) Aparato atenuador de choques de vehiculo.
KR101000588B1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283689B1 (ko) 교통안전시설물의 지주보강구조
KR100511457B1 (ko)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난간
KR200202334Y1 (ko) 고규격 교량난간 겸용 가드레일
JP4156556B2 (ja) 防護柵
CN201024393Y (zh) 高速公路钢管预应力索式防撞活动护栏
KR101854818B1 (ko) 고장력방형망과 완충범퍼를 이용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4837114A (zh) 一种公路桥梁上的安全防撞装置
CN102619177A (zh) 柔性车辆限高栏
KR100903214B1 (ko) 가드레일
KR101250536B1 (ko) 충격완화용 자전거 전용 도로 난간 설치대
CN112695631A (zh) 一种大桥钢护栏及其施工方法
KR100597654B1 (ko) 차량용 교량에 설치된 인도 및 그 설치방법
CN212582526U (zh) 一种交通工程道路防护栏
JP2000170131A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JP4115418B2 (ja) 防護柵
CN113832877B (zh) 一种桥梁钢结构的加固施工方法
CN115323960B (zh) 一种城市交通防护栏
KR101217832B1 (ko) 직, 간접 고정방식의 개방형 차량 방호 울타리
KR200274028Y1 (ko) 내향만곡된 와이어 고정구를 갖는 도로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