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249B1 - 다기능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249B1
KR100510249B1 KR10-2002-0074571A KR20020074571A KR100510249B1 KR 100510249 B1 KR100510249 B1 KR 100510249B1 KR 20020074571 A KR20020074571 A KR 20020074571A KR 100510249 B1 KR100510249 B1 KR 100510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mobile terminal
interface unit
serv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604A (ko
Inventor
전진규
Original Assignee
전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규 filed Critical 전진규
Priority to KR10-2002-007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2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249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유무선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통신장치로서, 휴대단말기에 대해서 전원충전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통신망과 같은 원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최신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단말기가 유무선으로 근거리 접속되었을 때 정보충전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및 소정의 은 무선전화의 호(call)가 걸려오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대로 휴대단말기 혹은 유선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통화상의 편이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휴대단말기에 대해서 배터리 전원의 충전기능과 더불어 외부시스템으로부터 항상 최신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단말기에 충전시키는 정보충전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통신장치{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유무선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통신장치로서, 휴대단말기에 대해서 전원충전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통신망과 같은 원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최신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단말기가 유무선으로 근거리 접속되었을 때 정보충전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휴대성의 편리함으로 인해 셀룰러 폰(cellular phone)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패드 등의 사용자 명령 입력장치 등과 같은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어 무선인터넷을 비롯하여 다양한 응용분야가 제시되고 있고, 앞으로 그 유용성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휴대단말기는 외부에서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지만 일단 집이나 사무실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거치형 충전기나 책상서랍, 또는 양복 주머니 등 사용자로부터 다소간 떨어진 지점에 두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왔을 때 전화를 받기 위해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찾거나 단말기를 향해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주변의 임의의 통신장치가 있다면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망된다. 역으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상 유선전화로 대표되는 가정내 고정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는 굳이 고정전화기까지 이동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휴대중인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요구된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전원공급을 위해 배터리(battery)를 내장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를 위한 충전장치를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장치는 통상 휴대단말기와 일조로 구성되어 휴대단말기를 위한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 기능에 있어서 단지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충전하는 것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어 그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00년 6월 24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0-0035114호의 발명 "모뎀이 내장된 충전시스템"은 핸디터미널의 충전시스템으로서 핸디터미널을 사용하여 검침한 데이터를 원격검침센터로 가지않고도 충전시스템에 내장된 모뎀을 통해 검침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였다. 또한, 2001년 11월 9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1-0057378호의 발명 "데이터저장부가 구비된 휴대통신장치용 충전기"와 2002년 4월 9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2-7003239호의 "휴대형 통신장치의 데이터 백업 시스템 및 휴대형 통신장치의 데이터 백업 방법"은 휴대통신장치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용 충전 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이들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모두 휴대단말기의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을 충전하는 것에 더하여 그 기능을 확장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최초의 특허출원일 이전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의해 출원공개된 바, 본 발명의 해석 및 특허성 심사에 있어서 참고자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들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충전장치에 휴대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백업 및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가 제공하는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과 정보충전 기능, 그리고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내부구성과 동작방식 등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는 바가 없다.
또한, 1999년 7월 26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1997-0079734호의 발명 "정보충전 방법 및 장치"는 관리용 서버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를 미리 다운로드 받은 후 단말기가 접속되었을 때 이 다운로드 받았던 정보를 단말기로 다운로드 해주는 정보충전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이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정보를 미리 충전한 후 휴대단말기가 접속되었을 때 이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와 일부 공통점을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와는 구체적인 기능 및 내부구성에 있어서 상이점을 갖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는 바가 없고 기타 본 발명의 동작방식에 대해서도 전혀 개시하는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유무선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통신장치로서, 휴대단말기에 대해서 전원충전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통신망과 같은 원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최신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단말기가 유무선으로 근거리 접속되었을 때 정보충전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110)가 휴대단말기(120)와 서로 근거리 통신(130)하여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110)의 실시예는 외부의 PSTN 전화망에 접속(140)되어 통상의 유선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120)와 유무선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130)하여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유선전화를 통신장치(110)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120)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고, 역으로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이동통신 전화를 휴대단말기(120) 뿐만 아니라 통신장치(110)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부로부터 PSTN 유선통신망(140)을 통해 유선전화가 걸려왔을 때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110)와 휴대단말기(120)는 전술한 유무선의 근거리 통신 및 소정의 협조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20)를 사용해서도 유선전화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역으로 외부로부터 이동통신 전화가 걸려왔을 때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110)와 휴대단말기(120)는 역시 서로 유무선의 근거리 통신 및 소정의 협조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다기능 통신장치(110)를 사용해서도 이동통신 전화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110)가 통상의 유선전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110)는 도시된 송수화기와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유무선 전화의 릴레이(relay)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무선전화가 들어오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하고 이를 다시 유선전화 신호로 포맷변환한 후 유선전화망(140)에 전달함으로써 이 유선전화망(140)의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1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110)가 일면은 통상의 PSTN 전화망에 접속되고 다른 일면은 외부의 휴대단말기와 유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유선전화와 이동통신 전화 간에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110)가 PSTN 전화망 접속모듈 대신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하거나 혹은 PSTN 전화망 접속모듈에 추가하여 이동통신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로써 외부의 휴대단말기와 유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전화와 이동통신 전화 간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210)가 인터넷(240)을 통해 콘텐츠 서버시스템(230)과 연결되어 정보충전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다기능 통신장치(210)는 도1에 도시된 다기능 통신장치(110)와는 그 외관에 있어서 상이한데,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은 도1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2의 다기능 통신장치(210)는 인터넷(240)을 통해 콘텐츠 서버시스템(230)과 연결되어 정보를 충전하기 위한 원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10:1)과 휴대단말기(220)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모듈(210:2)을 구비한다.
전술한 원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10:1)은 통상의 유무선 모뎀이나 랜(LAN) 카드 등과 같은 공지기술의 원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인데, 모뎀으로는 공공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위한 PSTN 모뎀, 비대칭디지탈가입자라인(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ADSL)을 위한 ADSL 모뎀, 그리고 전력선 통신(power-line communication)을 위한 전력선 모뎀 등이 사용가능하고, 랜 카드로는 IEEE 802.3 규격의 이더넷(ethernet) 카드, IEEE 802.5 규격의 토큰 링(token ring) 카드, CCITT 규격의 ISDN 카드 등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10:1)은 전술한 바와 같은 유선형 기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랜 카드, 블루투스 카드, CDMA 모뎀 등과 같은 무선형 기술에 의한 것도 가능하며, 또한 한가지 기술로 구현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두가지 이상의 기술, 예컨대 PSTN 모뎀과 CDMA 모뎀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구현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210)는 이와같이 원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10:1)과 배터리 충전모듈(210:2)을 하나의 장치에서 제공함으로써,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이중 전화루트 상호통화연결 기능 이외에, 통상의 휴대단말기를 위한 배터리 전원의 충전기능과 사용자가 소망하는 정보나 서비스 관리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충전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와 이에 대응하여 협조동작하는 휴대단말기(320)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유무선의 원거리 통신망(340)에 접속되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휴대단말기(320)와 연결되어 충전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휴대단말기(320)의 배터리 모듈(320:4)에 대해서 통상의 전원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3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이중 전화루트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의 내부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의 충전 및 제공 기능을 위해서,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콘텐츠 서버시스템에 유무선의 원거리 통신망(340)을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 본 장치의 사용자가 장치의 내부구성을 설정하고 정보충전 상태를 확인하며 정보충전 개시/취소와 같은 소정의 명령을 내리고 도1의 유선전화 송수신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2), 및 휴대단말기(320)와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 간에 유무선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를 통해 콘텐츠 서버시스템으로 정보충전을 위한 조건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를 통해 콘텐츠 서버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정보를 보유하며 기타 정보충전을 위한 각종 조건을 관리하는 정보충전 관리부(310:3),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정보충전 서비스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관리하는 가입정보 관리부(310:4)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가 특히 PSTN 모뎀과 같이 유선전화가 가능한 통신매개체의 모뎀이거나 CDMA 모뎀과 같이 이동통신 전화가 가능한 통신매개체의 모뎀인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포맷변환부(310:6)를 더 포함하여 전술한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와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 사이에서 소정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양방향의 데이터 변환은 서로 상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한 방향의 데이터 변환을 포맷변환이라 하면, 반대 방향의 데이터 변환은 포맷역변환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휴대단말기(320)의 배터리 전원을 위한 전원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공지기술의 배터리 전원 충전부(310:7)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와 함께 일조로 협조동작하는 휴대단말기(320)는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의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20:1),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로부터 전술한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20:1)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관리부(320:3),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20:1)를 통해 전달되거나 혹은 정보관리부(320:3)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표시부(320:2), 및 휴대단말기(32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320:4)을 포함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휴대단말기(320)는 휴대전화기로서의 통상의 기본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하여야 하는 공지기술의 구성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3에서 다기능 통신장치(310)의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는 유무선의 원거리 통신망(340)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정보충전 서비스 업체의 콘텐츠 서버시스템이나 정보충전 관리업체의 관리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용자를 위해 정보를 다운로드 받기위한 원거리 통신채널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는 원거리 통신망(340)을 통한 원거리 통신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면 충분한 것으로, PSTN 모뎀이나 ADSL 모뎀, 또는 이더넷 카드 등과 같은 유선의 기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랜 카드나 블루투스 카드, 또는 CDMA 모뎀 등과 같은 무선형 기술에 의한 것도 가능하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한가지 기술로 구현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두가지 이상의 기술, 예컨대 PSTN 모뎀과 CDMA 모뎀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구현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3의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가 반드시 원거리 통신에 적합한 기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도 가능함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변형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에서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가 PSTN 모뎀과 같은 유선전화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 경우에는, 전술한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는 통상의 유선통신장치에서 유선전화 서비스를 위해 수행하는 통신기능을 더 제공한다. 즉, 예컨대 전화번호 정보가 제공되면 내부적으로 다이얼-톤(dial-tone)을 생성하여 PSTN 망 상에서 유선전화 호(call)를 발생시킨다거나, 혹은 음성신호와 같은 음성정보를 제공하면 PSTN 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STN 망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비롯한 유선전화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를 필터링하여 다음의 처리단, 즉 포맷변환부(310:6)로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가 특히 PSTN 모뎀과 같이 유선전화가 가능한 통신매개체의 모뎀이거나 CDMA 모뎀과 같이 이동통신 전화가 가능한 통신매개체의 모뎀인 경우에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포맷변환부(310:6)가 제공되어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와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 상호간의 정보중개 기능 및 포맷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의 예로서 PSTN 유선전화의 경우에,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에서 PSTN 유선전화 신호가 수신되어 포맷변환부(310:6)로 전달되면, 포맷변환부(310:6)에서는 이 PSTN 유선전화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과정과 디지탈 데이터 인코딩 과정을 거쳐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전달되거나, 혹은 아날로그 신호 상태에서 바로 신호 포맷팅 과정을 거쳐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의 아날로그 신호처리 부분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전달된다. 이러한 디지탈 데이터 인코딩 과정이나 아날로그 신호 포맷팅 과정은 공지의 디지탈 논리회로 설계기술이나 아날로그 회로설계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더욱이,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5)가 공지의 VoIP 기술에 기초한 경우에는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에서 획득되는 데이터의 형식이 디지탈 데이터이므로 포맷변환부(310:6)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2)는 본 통신장치(310)의 사용자가 정보충전을 위해 내부구성을 설정하거나 현재 정보충전 상태를 확인하며 혹은 도1의 유선전화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다기능 통신장치(310)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2)를 사용하여 소정의 기능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원거리 통신망(340)을 통한 정보충전의 개시/취소 또는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를 통한 휴대단말기(320)로의 정보전송의 개시/취소 등과 같은 명령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에서 정보충전 관리부(310:3)는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인터넷 통신망(340)을 통한 콘텐츠 서버시스템 또는 관리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다기능 통신장치(310)가 콘텐츠 서버시스템 또는 관리서버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들 서버시스템의 IP 주소와 같은 몇가지 접속조건이 반영되어야 하는데, 정보충전 관리부(310:3)는 이러한 조건들을 보유하고 있다가 접속을 수행할 때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를 이에 따라 적절히 제어한다.
또한, 정보충전 관리부(310:3)는 정보충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부하가 적게 걸려 통신속도가 높은 시간대 또는 PSTN 모뎀을 사용하는 경우 통화료가 저렴한 시간대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보다 고차원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정보충전 관리부(310:3)가 외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이러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로부터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2)를 이용하거나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을 받아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무방하다. 정보충전 관리부(310:3)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차원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시각 정보(time-clock information)는 자체적으로 타이머 유닛을 보유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혹은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를 통해 휴대단말기(320)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정보충전 관리부(310:3)는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를 통해 다운로드 되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 명시적인 정보충전 요구가 검출되거나 휴대단말기(320)가 직접 접속되는 것과 같은 암시적인 정보충전 요구가 검출되는 경우에 이들 정보가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를 통해 휴대단말기(320)로 전달되도록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에서 가입정보 관리부(310: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대해서 정보충전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등의 가입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입정보 관리부(310:4)는 충전된 정보를 휴대단말기(320)로 제공함에 있어서 현재 연결된 휴대단말기(320)의 식별자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정보만 선택하여 제공한다. 앞으로 휴대단말기(320)와 다기능 통신장치(310) 간에 전원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 정해지면 하나의 충전장치를 여러 대의 휴대단말기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310)의 가입정보 관리부(310:4)는 바람직하게는 현재 연결된 휴대단말기(320)의 식별자, 예컨대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휴대단말기별로 별도의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가입정보 관리부(310:4)에 있어서, 원거리 인터페이스부(310:1)를 위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등의 가입정보와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를 위한 휴대단말기 식별자와의 관계는 서로 별도로 설정되면서 가입정보 관리부(310:4)에서 가입정보와 휴대단말기 식별자 간의 매핑 테이블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가입정보 중에서 사용자 ID 또는 패스워드의 하나 또는 전부를 휴대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에서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320)와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 간에 유무선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10:5)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20)와 다기능 통신장치(310)를 결속시키지 않더라도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900 MHz 통신이나 무선랜, 블루투스, 혹은 UWB 등과 같은 무선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휴대단말기(320)가 배터리 모듈(320:4)의 충전을 위해서 다기능 통신장치(310)로 결속될 때 다기능 통신장치(3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원충전과 함께 충전된 정보도 전달되도록 하는 시나리오도 가능하므로 RS-232C나 USB 등과 같은 공지기술의 유선 인터페이스 기술 또는 자체적으로 설계한 유선접속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공지기술의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던 혹은 자체설계한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던 휴대단말기(320)와 다기능 통신장치(310)가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었을 때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인터페이스부(320:1, 310:5)의 구현기술에 따른 소위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라고 불리는 기법이 사용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310)는 휴대단말기(320)에 대한 정보, 예컨대 가입정보 또는 휴대단말기 식별자 등을 획득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다기능 통신장치(310)가 휴대단말기(320)로부터 가입정보 또는 식별자 등의 정보를 획득하는 메커니즘은 이러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기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메세지를 주고받거나 특정 레지스터 공간을 읽는 등의 기법을 통해서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410)가 소정의 유무선 네트워크(440)를 통해 하나이상의 콘텐츠 서버시스템(430:1 ~ 430:n)과 연결되어 정보를 충전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에 있어서 다기능 통신장치(410)는 원거리 통신망(44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정보충전 서비스 업체, 예컨대 엠파스(www.empas.com), 코리아닷컴(www.korea.com), 조선일보(www.chosun.com) 등으로부터 정보를 충전받는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술한 정보충전 서비스 업체에 가입하여 가입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정보충전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를 액세스하여 서비스 가입을 신청하는 종래기술의 인터넷 서비스 가입방법에 따르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보충전을 위해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410)와 정보충전서비스 업체의 콘텐츠 서버시스템(430:1 ~ 430:n) 간의 정보충전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은 공지의 통신 프로토콜, 예컨대 HTTP나 FTP, 혹은 WSP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정보충전을 위해 전용의 통신 및 다운로드 프로토콜을 설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기능 통신장치(410)가 정보충전 서비스 업체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충전받는 시점에 대해서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정보를 충전하는 것이 가장 구현이 용이하지만 다른 방식, 예컨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에만 다운로드 프로세스를 기동시켜 정보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정보를 충전하는 경우에도 여러가지 구현 실시예가 가능한데, 본 명세서에서는 일 실시예를 도5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510)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 530:k)으로부터 정보를 충전하는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510)는 소정의 주기마다 도시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전의 정보충전 이후에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은 정보의 업데이트가 없었고 다른 콘텐츠 서버시스템(530:k)은 정보의 업데이트가 있었다고 가정한다.
도5에서,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에 대해서 다기능 통신장치(510)는 먼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정보(Vj)를 요구(단계 j-1)하고 이에 대응하여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은 응답 메세지에 자신의 버전정보(Vj)를 첨부하여 다기능 통신장치(510)로 전송(단계 j-2)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510)는 각각의 콘텐츠 서버시스템(330:1 ~ 330:n)에 대해서 최종의 버전정보(V1' ~ Vn')를 관리하므로, 통신장치(510)는 전달받은 버전정보(Vj)와 자신이 관리하는 버전정보(Vj')를 비교판단(단계 j-3)함으로써 현재 연결된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에 대해서 정보충전이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에 대해서는 정보충전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콘텐츠 서버시스템(530:k)에 대해서도 다기능 통신장치(510)는 먼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정보(Vk)를 요구(단계 k-1)할 것이고 이에 대응하여 콘텐츠 서버시스템(530:k)은 응답 메세지에 자신의 버전정보(Vk)를 첨부하여 다기능 통신장치(510)로 전송(단계 k-2)한다. 가정에 따라, 다기능 통신장치(510)는 자신이 관리하는 버전정보(Vk')와 전달받은 버전정보(Vk)를 비교판단(단계 k-3)함으로써 현재 연결된 콘텐츠 서버시스템(530:k)에 대해서는 정보충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510)는 콘텐츠 서버시스템(530:k)에 대해서 정보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전송(단계 k-4)하고, 이에 대응하여 콘텐츠 서버시스템(530:k)은 응답 메세지에 정보를 첨부하여 다기능 통신장치(510)로 전송(단계 k-5)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정보충전이 이루어진다.
도5에 도시된 정보충전의 실시예는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 530:k) 각각에 대해서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여부를 체크하고 이전의 정보충전에 비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에만 정보충전을 수행하는 실시예인데, 이와 같이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를 체크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510)의 동작 프로세스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510)는 전술한 업데이트 체크 과정(단계 j-1 ~ j-3; 단계 k-1 ~ k-3)없이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 530:k)에 연결되어 바로 정보충전 동작(단계 k-4, k-5)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510)에 있어서 이전의 정보충전에 비해서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 530:k)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만 정보충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그 구체적인 구현방법은 도5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 다양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510)가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 530:k)으로 접속요구를 할 때 먼저 로그인(login)을 위해 사용자 ID를 제공할 것이므로, 콘텐츠 서버시스템(530:j, 530:k)에서 각 사용자 ID 별로 정보충전 상태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현재 연결된 다기능 통신장치(510)에 대해서 최종의 정보충전 이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가 없었던 경우에는 접속요구에 대한 응답 메세지에 현재는 정보충전이 필요하지 않다는 취지의 코드나 메세지를 포함시키면 충분할 것이다.
반면, 현재 연결된 다기능 통신장치(510)에 대해서 최종의 정보충전 이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가 있었던 경우에는 접속요구에 대한 응답 메세지에 바로 정보를 첨부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아니면 응답 메세지에는 정보 업데이트가 있었다는 표시만 하고, 이후의 정보 다운로드 요구에 대한 응답 메세지에 정보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 접속요구에 대한 응답 메세지에 정보 업데이트가 있었다는 표시와 더불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정보를 함께 포함시켜준다면 정보 다운로드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다기능 통신장치(510)에서 추가로 더 할 수 있어 보다 견실(robust)한 정보충전 관리가 가능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610)가 소정의네트워크(640)를 통해 관리서버시스템(630)과 연결되어 정보를 충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에서 다기능 통신장치(610)는 네트워크(64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충전 관리업체(예컨대, www.info-pwr-charger.com)의 서버시스템(630)으로부터 정보를 충전받는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전술한 정보충전 관리업체에 가입하여 가입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도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정보충전을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610)와 정보충전 관리업체의 관리서버시스템(630) 간의 정보충전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은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6에서 다기능 통신장치(610)는 소정의 네트워크(640), 예컨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충전 관리업체로부터 정보를 충전받는데, 이 정보충전 관리업체는 스스로 콘텐츠를 마련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정보제공 업체, 예컨대 엠파스(www.empas.com), 코리아닷컴(www.korea.com), 조선일보(www.chosun.com) 등으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중개할 수도 있다. 도6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정보충전 관리업체의 관리서버시스템(630)은 또다른 네트워크(650), 예컨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다른 정보제공 업체의 콘텐츠 서버시스템(660:1 ~ 660:n)으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고, 다시 네트워크(640)를 통해 다기능 통신장치(610)로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6에 도시된 구성을 다소 변형한 실시예도 가능한데, 즉 도6에서 다기능 통신장치(610)와 관리서버시스템(630) 사이에서 인터넷 통신망으로 표시된 네트워크(640)는 통상의 랜(LAN)이나 블루투스, 혹은 USB 등과 같은 근거리에 적합한 유무선 네트워크이고, 도6에서 관리서버시스템으로 표시된 컴퓨터 시스템(630)은 사용자의 호스트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630)에 전용의 정보탐색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여 컴퓨터 시스템(630)이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650)을 통해 하나이상의 정보제공 업체의 콘텐츠 서버시스템(660:1 ~ 660:n)에 접속하여 최신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되어 컴퓨터 시스템(630)에 축적된 정보가 네트워크(640)를 통해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610)로 제공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710)에 있어서 호스트 시스템(720)과 연결하기 위한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710)는 콘텐츠 서버시스템 또는 관리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가 필요한데, 이러한 정보에는 이러한 서버시스템의 IP 주소 및 콘텐츠 서비스의 가입정보 등과 같은 정보에서부터 정보충전을 수행하기에 적당한 시간대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다기능 통신장치(710)에 대해서 이러한 정보를 설정함에 있어서 도3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2)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2)를 통해서 이러한 조건정보 설정을 수행한다는 것은 통상 비용효과적이지 못하므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나 RS-232C와 같은 공지기술의 네트워킹 기술을 이용하여 호스트 인터페이스부(710:4)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710)와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720)을 연결한 후, 호스트 시스템(7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기능 통신장치(710)를 위한 전술한 조건정보 설정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7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720)을 통한 조건정보 설정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서, 호스트 시스템(720)과 데이터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부(710:4), 전술한 호스트 인터페이스부(710:4)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10:3), 및 전술한 호스트 인터페이스부(710:4)를 통한 데이터 통신채널의 관리와 전달되는 정보를 메모리부(710:3)로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저장된 정보를 로딩(loading)하여 원거리 인터페이스부(710:1)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판단부(710:2)를 포함한다. 구현에 따라서는 도7의 제어판단부(710:2)는 도3의 정보충전 관리부(310:3)과 동일하다. 전술한 메모리부(710:3)는 임의의 메모리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일단 제공된 정보를 저장하면 이후에 전원이 일시적으로 제공되지 않더라도 그 정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성된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810)가 소정의 네트워크(830)을 통해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820)과 연결되어, 호스트 시스템(8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기능 통신장치(810)의 조건정보 설정을 수행하는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에 도시된 조건정보 설정의 실시예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810)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정보충전 서비스 업체, 예컨대 엠파스(www.empas.com), 코리아닷컴(www.korea.com), 조선일보(www.chosun.com) 등으로부터 정보를 충전받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호스트 시스템(82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조건정보 설정 페이지(840) 상에서 정보충전에 필요한 정보, 즉 본 발명에 따른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업체의 홈페이지 주소와 가입자 ID 및 패스워드 등에 관한 정보를 설정한다. 도8의 도면에서 사용자가 조건정보 설정 페이지(840)의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설정된 정보가 네트워크(830)를 통해 다기능 통신장치(810)로 전송되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무결성(integrity) 검사를 거쳐 메모리부(710:3)에 저장된다.
도9에 도시된 조건정보 설정 페이지의 실시예(910)는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820)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충전 관리업체(예컨대, www.info-pwr-charger.com)로부터 정보를 충전받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사용자가 호스트 시스템(82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조건정보 설정 페이지(910) 상에서 정보충전에 필요한 정보, 즉 가입자 ID와 패스워드, 그리고 본인확인을 위한 주민번호 등의 조건정보 설정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설정 페이지(910)의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설정된 정보가 네트워크(830)를 통해 다기능 통신장치(820)로 전송되어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무결성 검사를 거쳐 메모리부(710:3)에 저장됨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도9에 도시된 조건정보 설정 페이지의 다른 실시예(920)는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820)에 있어서 정보충전을 수행하는 시간대 설정이나 기타 다기능 통신장치(810)의 초기화 명령어 입력, 그리고 포트 설정이나 기본설정 변경 등과 같은 보다 고급의 선택사항을 설정하는 실시예이다. 설정내용 이외의 다른 부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및 소정의 은 무선전화의 호(call)가 걸려오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대로 휴대단말기 혹은 고정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통화상의 편이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에 대해서 배터리 전원의 충전기능과 더불어 외부시스템으로부터 항상 최신의 정보를 제공받아 휴대단말기에 충전시키는 정보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에 따르면,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음에 있어서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유무를 체크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한 트랜젝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통신장치에 따르면,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음에 있어서 통신속도가 높은 시간대 또는 통화료가 저렴한 시간대 등을 설정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운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단말기"라 함은 통상의 휴대통신장치(cellular phone) 뿐만 아니라 기타 무선통신장치(cordless phone) 등을 포함하여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가 휴대단말기와 서로 근거리 통신하여 이중 전화루트의 상호통화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가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정보충전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휴대단말기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이상의 콘텐츠 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정보를 충전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충전하는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정보를 충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시스템과 연결하여 조건정보 설정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시스템과 연결하여 조건정보 설정을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다기능 통신장치
310:1 : 원거리 인터페이스부
310:2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10:3 : 정보충전 관리부
310:4 : 가입정보 관리부
310:5 : 근거리 인터페이스부
310:6 : 포맷변환부
310:7 : 배터리 전원 충전부
320 : 휴대단말기
320:1 : 근거리 인터페이스부
320:2 : 정보표시부
320:3 : 정보관리부
320:4 : 배터리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고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로 정보를 충전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 간에 통화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통신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 상에 공지기술에 따른 전화통신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화통신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1);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5);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조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데이터를 보유하며, 상기 정보데이터에 대한 충전 요구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정보데이터가 휴대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시스템 연결에 관한 시간관련 정보를 설정 보유하여 타이머를 통해 상기 설정된 시간관련 정보에 해당함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정보충전 관리부(310:3);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충전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가입자 정보를 보유하고, 휴대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이상의 가입자 정보 중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대한 유효한 가입자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서버시스템에 연결할 때 상기 선택된 유효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정보충전 관리부로 제공하는 가입정보 관리부(310:4);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로부터 휴대단말 통화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상에 유선전화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선전화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휴대단말기로 상기 유선전화 신호에 대응하는 휴대단말 통화정보가 전달되도록 포맷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포맷변환부(3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통신장치.
  12.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고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로 정보를 충전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 간에 통화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통신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 상에 공지기술에 따른 전화통신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화통신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1);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5);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조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데이터를 보유하며, 상기 정보데이터에 대한 충전 요구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정보데이터가 휴대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정보충전 관리부(310:3);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충전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가입자 정보를 보유하고, 휴대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이상의 가입자 정보 중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대한 유효한 가입자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서버시스템에 연결할 때 상기 선택된 유효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정보충전 관리부로 제공하는 가입정보 관리부(310:4);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단말기로부터 휴대단말 통화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상에 유선전화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선전화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휴대단말기로 상기 유선전화 신호에 대응하는 휴대단말 통화정보가 전달되도록 포맷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포맷변환부(3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통신장치.
  13. 삭제
KR10-2002-0074571A 2002-11-28 2002-11-28 다기능 통신장치 KR100510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571A KR100510249B1 (ko) 2002-11-28 2002-11-28 다기능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571A KR100510249B1 (ko) 2002-11-28 2002-11-28 다기능 통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555U Division KR200306134Y1 (ko) 2002-11-28 2002-11-28 다기능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604A KR20040046604A (ko) 2004-06-05
KR100510249B1 true KR100510249B1 (ko) 2005-08-26

Family

ID=3734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571A KR100510249B1 (ko) 2002-11-28 2002-11-28 다기능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73B1 (ko) * 2004-09-18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 무선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14240B1 (ko) * 2006-09-13 2008-03-17 (주) 엘지텔레콤 인터넷 연동을 통한 발/착신단말기의 통화연결장치 및 그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526A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정보 충전 방법 및 장치
KR19990076146A (ko) * 1998-03-28 1999-10-15 윤종용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KR20010070694A (ko) * 2001-05-31 2001-07-27 장준원 이동전화기와 연결기능을 갖는 유선전화기장치
KR20010088194A (ko) * 2000-03-11 2001-09-26 김규호 휴대전화용 배터리 충전기의 인터페이스장치
KR20010088994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93374A (ko) * 2000-03-28 2001-10-29 오병선 전화기
KR20020006719A (ko) * 1999-05-20 2002-01-24 도쿠나까 테루히사 수신 시스템, 배터리 충전 디바이스, 휴대용 정보 단말기,및 전송 및 수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526A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정보 충전 방법 및 장치
KR19990076146A (ko) * 1998-03-28 1999-10-15 윤종용 착탈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장치
KR20020006719A (ko) * 1999-05-20 2002-01-24 도쿠나까 테루히사 수신 시스템, 배터리 충전 디바이스, 휴대용 정보 단말기,및 전송 및 수신 시스템
KR20010088194A (ko) * 2000-03-11 2001-09-26 김규호 휴대전화용 배터리 충전기의 인터페이스장치
KR20010093374A (ko) * 2000-03-28 2001-10-29 오병선 전화기
KR20010070694A (ko) * 2001-05-31 2001-07-27 장준원 이동전화기와 연결기능을 갖는 유선전화기장치
KR20010088994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604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9805B (zh) 移动信息终端信息下载的方法与系统
US200801956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ccessing data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JP2003234936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からディジタル画像を転送する方法
CN101366264A (zh) 使用有线线路适配器的通信系统与方法
CN101884201A (zh) 进行呼叫的系统和方法
EP2104322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voice-over internet protocol using license-free frequencies
CN102299963A (zh) 文件下载系统
EP1879352A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a group of subscriber terminals having a common identification
JP2004135324A (ja) 携帯電話用アダプタ及び電話装置
CN102378400A (zh) 蓝牙服务的管理方法和装置
KR100510249B1 (ko) 다기능 통신장치
TWI542186B (zh) 可攜式語音路由裝置、系統與電話語音通訊的方法
KR200306134Y1 (ko) 다기능 통신장치
CN100488209C (zh) 基于通用即插即用协议的网络电话及其使用方法
JP5423659B2 (ja) 管理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8306206B2 (en) Callback system, transmitting terminal, telephone relay server, callback method and callback program
KR101081037B1 (ko) Ip―pbx 통신 시스템
US85330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ccessing data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US20100159875A1 (en) Telephone Handset Contact List Synchronization
JP6262003B2 (ja) スマートフォン用アダプタ
JP2006074552A (ja) 送受信システム
KR100578654B1 (ko) 벨소리를 이용한 통화연결음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7195174A (ja) インターネット接続機能つき通信装置
KR20070076803A (ko) 이동통신단말기간의 동기화 방법
KR100363610B1 (ko)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