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350B1 - 자동 향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향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350B1
KR100509350B1 KR10-2003-0057485A KR20030057485A KR100509350B1 KR 100509350 B1 KR100509350 B1 KR 100509350B1 KR 20030057485 A KR20030057485 A KR 20030057485A KR 100509350 B1 KR100509350 B1 KR 10050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incense
fragranc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058A (ko
Inventor
안한옥
Original Assignee
안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한옥 filed Critical 안한옥
Publication of KR2004011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회로(12)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10)의 구동력을 이용해, 향 용기(5) 내의 향을 주기적으로 분사시키는 자동 향 분사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로부터 주기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실린더블록(24)을 따라 전진 및 후퇴하는 피스톤(22)을 구비함으로써 자체 구비된 공기 구멍을 통해 공기를 고속으로 흡입 또는 배출하는 공압실린더부(20); 상기 향 용기(5)에 연통하는 분사노즐(42) 및 그 분사노즐(42)의 주위를 둘러싸는 분사캡(44)을 구비한 채 외부로 통해 있는 향 분사부(40); 및 상기 공압실린더부(20)와 상기 분사캡(44)의 사이 그리고 상기 향 용기(5)와 상기 분사노즐(42) 사이에, 공기의 배출 유로(32a) 및 향의 유로(52)를 각각 별도로 구획형성하고 있어, 상기 향 분사부(40)의 말단에 향 분사를 위한 차압이 발생되게 하는 유로 형성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향 분사 장치{AUTOMATIC PERFUME SPRAY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향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용기 내에 담긴 향을 주기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진 자동 향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 각국에서는 향기 산업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기존에는 향기가 화장실 등의 악취를 약화시키거나 화장품의 일종으로 사용되는데 그쳤지만, 이제는 대체의학의 한 방편으로 질병의 치료나 예방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향기가 사람의 뇌를 자극하여 생체리듬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준다는 믿을 수 있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향 분사장치는 수동 향 분사장치와 자동 향 분사장치로 구분되는데, 수동 향 분사장치는 예를 들면 분무형 향수병과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용기 내의 향수를 원하는 만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반면, 자동 향 분사장치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일정 주기로 향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 향 분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회로(102)에 의해 구동모터(103)가 미리 설정된 주기로 구동되고, 그 구동모터(103)와 연결된 편심캠(104)이 향 용기(105)의 분사버튼(106)을 주기적으로 눌러 향 용기(105)를 개방시키고 이에 따라 향 용기 내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이 때, 향 용기의 개방만으로 그 내부에 충전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향 용기 내의 향 배출압이 외부의 압력보다 항상 커야하며, 이를 위해, 종래의 자동 향 분사장치는 향 용기 내에 프레온 가스와 같은 분사제가 향기와 함께 충전되어져야만 한다.
그런데, 프레온 가스와 같은 분사제는 환경에 대단히 유해한 물질로서 지구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1989년 1월 발효된 몬트리올 의정서를 통해 오존층 파괴물질인 프레온 가스의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프레온 가스를 향 용기 내로 충전시키는 공정은 향 자동 분사장치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며, 또한, 프레온 가스가 충전되었던 향 용기는 향기의 리필, 즉 재충전이 불가능하여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컸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프레온 가스와 같은 분사제의 사용없이 미리 정해진 주기로 향기의 자동 분사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 향 분사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온 가스와 같은 분사제의 사용없이도, 주기적인 구동모터의 구동 및 이에 따른 피스톤의 전진 및 후퇴에 따라 향 용기 내외의 차압이 발생되게 하여 향기가 향 용기로부터 주기적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자동 향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의 구동력을 이용해, 향 용기 내의 향을 주기적으로 분사시키는 자동 향 분사장치을 제공하되, 그 자동 향 분사장치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주기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실린더블록을 따라 전진 및 후퇴하는 피스톤을 구비함으로써 자체 구비된 공기 구멍을 통해 공기를 고속으로 흡입 또는 배출하는 공압실린더부와, 상기 향 용기에 연통하는 분사노즐 및 그 분사노즐의 주위를 둘러싸는 분사캡을 구비한 채 외부로 통해 있는 향 분사부와, 상기 공압실린더부와 상기 분사캡의 사이 그리고 상기 향 용기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공기의 배출 유로 및 향의 유로를 각각 별도로 구획형성하고 있어, 상기 향 분사부의 말단에 향 분사를 위한 차압이 발생되게 하는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구동부는, 구동회로에 의해 주기적으로 구동되어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일단이 고정된 채 그 타단이 상기 피스톤의 기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전진 및 후퇴를 허용하는 편심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부의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배출 유로와 통해 있는 배출공 및 그 배출공과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흡입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배출 유로와 별도로 상기 흡입공 및 이에 상응하는 공기실에 연통하는 흡입 유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 유로 및 흡입 유로는 유로 형성부에 마련된 채 공기의 일방향 흐름만을 허용하는 개스킷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개스킷은 자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출 유로 및 흡입 유로를 닫고 있는 한 쌍의 개폐편이 공기의 흡입 또는 배출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설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향 분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 향 분사장치(1)는, 향이 담겨 있는 향 용기(5)와, 향 분사를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와, 그 구동부(10)의 동력에 따라 고속으로 공기를 배출 및 흡입하는 공압실린더부(20)와, 그 공압실린더부(20)로부터 배출되거나 그 공압실린더부(20)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는 유로 형성부(30)와, 공기 흐름에 의한 차압에 의해 향 용기(5)로부터 나온 향이 배출되어지는 향 분사부(40)를 전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10)는 구동회로(12), 구동모터(14) 및 편심캠(16)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회로(12)는, 예를 들어 하루 중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모터(14)를 주기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되, 그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향이 하루 중 분사되는 시간 및 양이 임의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편심캠(16)은, 구동모터(14)의 회전운동을 이하 기술될 공압실린더부(20)에 마련된 피스톤(22)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구동모터(14)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부착된 채 타단이 피스톤(22)의 기단에 있는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공압실린더부(20)는 자체 구비된 피스톤(22)이 편심캠(16)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불록(24)을 따라서 왕복운동하게 되어 있으며, 실린더블록(24)의 선단에는 피스톤의 전진 및 후퇴에 따라 공기를 배출 및 흡입하는 배출공(25) 및 흡입공(26)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린더블록(24)에 마련된 공기 구멍이 배출공(25)과 흡입공(26)의 2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하나의 공기 구멍이 배출공(25)과 흡입공(26)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피스톤(22)이 실린더블록(24)을 따라 전진하면, 배출공(25)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유로 형성부(30)에 구획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로를 통해 이하 상세히 설명될 향 분사부(40)까지 고속으로 흐르게 되는데, 유로 형성부(30)의 하류에 마련된 홀더(38)에는 향 분사부(40)의 분사노즐(42)을 향 용기(5)에 연통시키는 향 유로(31)가 구획형성되어 있다.
유로 형성부(30)는, 향 분사부(40)에서의 차압발생 및 공기흡입을 위한 공기 유로의 구획형성을 위해, 개스킷(34), 디스크(36) 및 홀더(38)가 연속적으로 정렬되어 조립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공기 유로는 공압실린더부(20)의 배출공(25) 및 흡입공(26)에 각각 통해 있는 배출 유로(32a) 및 흡입 유로(32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배출 유로 및 흡입 유로(32a, 32b)는 공기의 배출 및 흡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려지거나 닫혀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개스킷(34)에 목젖 형태로 일체 마련된 한 쌍의 개폐편(34a, 34b; 도 3a 및 내지 도 4 참조)이 공기흐름에 의해 탄성변형됨으로써 배출 유로 및 흡입 유로(32a, 32b)를 선택적으로 열거나 닫도록 되어 있음으로 해서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의 개스킷(34)은 시일 또는 패킹 소재로 널리 이용되는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출 유로(32a)는 홀더(38)를 지나 이하 기술될 분사캡의 내측 공간으로 통해 있어서, 향의 분사시, 향 분사부(40)에서 차압이 발생되어지는 것을 허용하며, 흡입 유로(32b)는 디스크(36)와 홀더(38) 사이에 마련된 공기실(37)에 통해 있어, 공기의 흡입시, 피스톤(22)이 원할하게 후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때, 홀더(38)는, 향 용기(5) 및 향 분사부(40)에 예를 들면 나사식으로 결합된 채 향 용기(5) 및 향 분사부(40)를 바람직하게 지지하고 있다.
향 분사부(40)는, 홀더(38)에 마련된 향 유로(31)에 의해 향 용기(5)와 연통되어 있는 분사노즐(42)과, 그 분사노즐(42)을 둘러싼 채 상기 향 유로(31)와 별도로 공기의 배출 유로(32a)와 통해 있는 분사캡(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분사노즐(42)이 그 선단에서 단면이 축소되어진 채 외부로 통해 있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분사캡(44) 또한 그 선단이 외부로 통해 있으며, 이는 분사캡(44)의 내측공간을 거쳐 외부로 흐르는 공기가 향 용기(5)의 내측과 분사노즐(42)의 선단 부근 사이에 차압을 발생시키고, 이 차압은 향 용기(5) 내의 향이 분사노즐(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끔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자동 향 분사장치(1)가 작동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14)가 구동회로(12)에 구동되면, 편심캠(16)이 회전운동하면서 이에 편심 연결된 피스톤(22)을 실린더 블록(24)을 따라 전후로 후퇴시킨다.
피스톤(22)이 실린더블록(24)을 따라 전진하면, 개스킷(34)의 상부 개폐편(34b)이 디스크에 접해 흡입 유로(32b)를 닫은 상태로 유지시키고, 개스킷(34)의 하부 개폐편(34a)이 위로 젖혀져 배출 유로(32a)를 열며, 그 후, 공압실린더부(2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배출 유로(32a)를 통해 분사캡(44)의 내측 공간까지 고속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고속 흐름은 분사노즐(42) 주위에 향 용기(5) 내부에 대한 차압을 발생시키며, 이 차압은 향 용기(5) 내의 향이 향 유출관(52)을 따라 위쪽으로 상승되게 하여 향이 분사노즐(4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피스톤(22)이 실린더블록(24)을 따라 후퇴하면, 개스킷(34)의 하부 개폐편(34a)이 실린더 블록(24)의 선단면에 접해 배출 유로(32a)를 닫고, 개스킷(34)의 상부 개폐편(34b)이 위로 젖혀져서 흡입 유로(32b)를 열며, 그 후, 공기실(37) 내 공기가 흡입 유로(32b) 및 공압실린더부의 흡입공(26)을 통해 공압실린더부(2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그 후, 구동모터(14)는 구동회로(12)에 프로그래밍된 시간동안 구동되고, 이러한 구동은 피스톤(22)을 정해진 시간 동안 왕복운동시켜, 향 용기(5) 내의 향을 외부로 분사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온 가스와 같이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분사제의 사용 없이 향을 주기적으로 자동 분사할 수 있어 기존의 자동 향 분사장치에 비해 친환경적인 것은 물론이며, 향 용기에 향액 등을 충전시키는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향액 등을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의 전진 및 후퇴에 따른 큰 차압 발생에 의해 향을 분사하는 구성을 가져 보다 확실한 향의 분사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의 전진 및 후퇴에 따른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이 2개의 공기 유로를 통해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향의 분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덧붙혀, 본 발명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고장의 염려가 작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향 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원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향 분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 자동 향 분사장치의 개스킷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도 2 자동 향 분사장치가 향을 분사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Claims (4)

  1. 구동회로(12)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10)의 구동력을 이용해, 향 용기(5) 내의 향을 주기적으로 분사시키는 자동 향 분사장치(1)로서,
    상기 구동부(10)로부터 주기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실린더블록(24)을 따라 전진 및 후퇴하는 피스톤(22)을 구비함으로써 자체 구비된 공기 구멍을 통해 공기를 고속으로 흡입 또는 배출하는 공압실린더부(20);
    상기 향 용기(5)에 연통하는 분사노즐(42) 및 그 분사노즐(42)의 주위를 둘러싸는 분사캡(44)을 구비한 채 외부로 통해 있는 향 분사부(40); 및
    상기 공압실린더부(20)와 상기 분사캡(44)의 사이 그리고 상기 향 용기(5)와 상기 분사노즐(42) 사이에, 공기의 배출 유로(32a) 및 향의 유로(52)를 각각 별도로 구획형성하고 있어, 상기 향 분사부(40)의 말단에 향 분사를 위한 차압이 발생되게 하는 유로 형성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향 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회로(12)에 의해 주기적으로 구동되어지는 구동모터(14)와,
    상기 구동모터(14)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일단이 고정된 채 그 타단이 상기 피스톤(22)의 기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2)의 전진 및 후퇴를 허용하는 편심캠(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향 분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부(20)의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배출 유로(32a)와 통해 있는 배출공(25) 및 그 배출공(25)과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흡입공(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 형성부(30)는 상기 배출 유로(32a)와 별도로 상기 흡입공(26) 및 이에 상응하는 공기실(37)에 연통하는 흡입 유로(32b)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 유로 및 흡입 유로(32a, 32b)는 유로 형성부(30)에 마련된 채 공기의 일방향 흐름만을 허용하는 개스킷(3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향 분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34)은 자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출 유로 및 흡입 유로(32a, 32b)를 닫고 있는 한 쌍의 개폐편(34a, 34b)이 공기의 흡입 또는 배출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향 분사장치.
KR10-2003-0057485A 2003-06-20 2003-08-20 자동 향 분사 장치 KR100509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9626 2003-06-20
KR2020030019626 200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058A KR20040110058A (ko) 2004-12-29
KR100509350B1 true KR100509350B1 (ko) 2005-08-18

Family

ID=3738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485A KR100509350B1 (ko) 2003-06-20 2003-08-20 자동 향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3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56B1 (ko) 2012-06-27 2015-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KR102081414B1 (ko) * 2019-08-28 2020-02-25 박은지 카트리지 공급 방식의 실내 및 차량용 방향제 장치
KR20210091511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세스코 향 분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28B1 (ko) * 2008-05-30 2009-06-05 김병철 벽면 고정형 전동식 소독액 분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56B1 (ko) 2012-06-27 2015-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KR102081414B1 (ko) * 2019-08-28 2020-02-25 박은지 카트리지 공급 방식의 실내 및 차량용 방향제 장치
KR20210091511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세스코 향 분사 장치
KR102318971B1 (ko) 2020-01-14 2021-11-02 주식회사 세스코 향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058A (ko)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65232T3 (es) Dispositivo de pulverización de uso doméstico
CN105041381B (zh) 用于洗涤系统操作的压缩气体马达
ES2374041T3 (es) Bomba de espuma de diafragma.
US9604242B2 (en) Volatile liquid droplet dispenser device
CN109646964B (zh) 一种带有消毒装置的机器人
CA2701389C (en) Dispensing method and system of a capillary aerosol generator
US20070095942A1 (en) Application and method to disperse substance contain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JP6656928B2 (ja) ジェット型の流体の流れ及び力学的動作を用いた口腔ケア機器
JP5404114B2 (ja) 高速泡ポンプ
CN105073062B (zh) 利用可变流体流的口腔护理器具
HU216121B (hu) Inhalálókészülék és eljárás porlasztásra
KR20100054128A (ko) 벤츄리 효과 스프레이 장치, 및 미용 및 향료에서의 용도
KR100509350B1 (ko) 자동 향 분사 장치
KR20020004944A (ko) 정량조절 및 배출 장치
WO1996010372A1 (fr) Instrument de nettoyage de la poche parodontale
KR101869578B1 (ko) 분사 장치 및 향수와 물의 분사 방법
ES2967079T3 (es) Dispensador de fluidos para dispensar una composición cosmética
KR101242578B1 (ko) 이중챔버 공기압 발생장치를 적용한 공기 분사식 구강세정기
JP2000313404A (ja) 粘性物質充填装置及び方法
KR200334177Y1 (ko) 분무기를 가지는 헤어 브러시
JPH08117254A (ja) 口腔洗浄器
KR200266854Y1 (ko) 유체분사장치
JP2004000579A (ja) 吐水装置
JP2004210315A (ja) 充填ノズル
KR200482918Y1 (ko) 압축식 수동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