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769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769B1
KR100508769B1 KR1019970034033A KR19970034033A KR100508769B1 KR 100508769 B1 KR100508769 B1 KR 100508769B1 KR 1019970034033 A KR1019970034033 A KR 1019970034033A KR 19970034033 A KR19970034033 A KR 19970034033A KR 100508769 B1 KR100508769 B1 KR 100508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gas
drying chamber
dried
dry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081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1997003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7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 축산용 및 산업용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데 건조시 열 효율을 높이고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너에 의해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피 건조물을 상부에 투입하거나 공급부에 의해 건조실 상부로 공급되는 피 건조물이 상기 건조실 하부에서부터 건조되고, 상기 건조된 건조물은 상부에 있는 피 건조물의 자중에 의해 눌려 부스러지면서 하부의 스크린과 건조물 수거함체 또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고, 피 건조물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포함된 가스는 버너를 통과시켜 연소되도록 하며, 상기 건조실 외부에서는 열이 효율적으로 흡수되게 나선형의 가스 순환로를 형성시켜 건조실내의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 가스 순환로의 배기구로 배기되는 연소가스는 열 교환부와 정화 장치부를 통해 배기되는 과정에 열 회수 및 분진과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하여 연속처리와 분진 및 악취와 유해가스가 방출되지 않게 처리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 장치
본 발명은 농, 축산용 및 산업용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데, 건조시 열 효율을 높이고,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하며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 또는 시스템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며, 상당한 수준까지 기술 개발이 되어 있다.
그러나 유독성 가스나 악취가 많이 발생되는 산업용 피 건조물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나 축분과 같은 폐기물들을 대상물로 한 건조처리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 미진하여 환경공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1차 탈수된 물과 분리된 슬러지 형태의 산업용 피 건조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나 축분과 같은 피 건조물은 탈수된 상태로 수분함량이 약 60-70%정도의 준 건성 피 건조물에 해당되며, 이러한 종류의 피 건조물은 건조 시에 유해가스와 악취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 및 악취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 대기의 환경오염으로 인체에 대단히 유해하기 때문에 법으로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법적 강제수단으로 제재하기에 이르르고 있는 것이다.
건조장치에 있어 바람직하기는, 건조시 유해가스의 방출을 극소화하면서 건조 효율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특허출원 제97-8487호에도 언급된 바와 같이, 피 건조물을 가열시키면서 휀으로 송풍시켜 건조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많은 에너지 낭비와 유독가스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특허출원 제97-8487호에 있어서도 열효율을 높이고 유해가스 제거에 대하여 효과적이나, 연속처리가 곤란하고 관리 및 취급이 불편하며, 가열시 건조실내에 공기가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다소 건조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건조시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건조 효율이 높고, 관리와 유지가 용이한 건조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농. 축산용 및 산업용 또는 음식물 쓰레기등, 피 건조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와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연속처리 가능하도록 개선된 피 건조물의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른 목적은 열 회수와 분진제거가 도모되는 피 건조물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버너의 화력에 의해 건조실내에서 건조되는 피 건조물이 건조 완료되면, 상부에 있는 피 건조물의 중량에 의해, 눌리어 부스러지면서 배출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건조시 발생되는 고열의 가스는 열 교환 수단에 의해 열 회수와 동시에, 냉각되어 적정한 온도로 배기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소가스와 같이 배기 되는 분진제거와 미연소 유해가스의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 건조물의 건조 장치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장치(10)는 건조실(11) 하부에는 스크린(12)이 설치되고, 스크린(12) 하부에는 받침대(13)가 설치되어, 건조장치 상부의 덮개(26)를 열고 피 건조물(P)을 투입하면 피 건조물(P)은 망체로 된 스크린(12)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12)상에 쌓이게 된다.
상기 건조실(11) 외주 연에 수열판(14)이 나선상으로 연소가스(g)가 배기 되는 가스 순환로(14')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 순환로(14')는 배기구(15)와 연결되어 연소된 가스(g)가 배기 되며, 배기 되는 연소가스(g)중 열은 수열판(14)에 흡수되어 건조실(11)의 내 주면에 다수 설치된 방열편(16)으로 건조실(11)내에 방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순환로(14')의 최하부 일측에는 버너(17)가 설치되고, 버너(17)의 하측에는 건조실(11)과 스크린(12)으로 분리된 건조물(Pa)을 배출시킬 수 있는 급기구(28)가 형성된 수거 함체(27)를 구성한다.
이러한 건조장치(10)는 버너(17)의 화력에 의해 건조실(11)이 가열되고, 상기 건조실(11) 외주 연에 있는 가스 순환로(14')를 따라 배기 되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효율적으로 건조실(11)을 가열하게 된다.
그러므로 건조실(11)은 고온상태가 되는데, 특히 버너(17)가 있는 최하부에는 더욱 고온상태가 되어 건조실(11) 내의 피 건조물(P)은 건조실(11)의 하부에서부터 건조되게 된다.
그리고 건조장치(10)의 하단에 위치한 급기구(28)는 버너(17)에 공기를 공급하고, 건조실(11)내에도 스크린(12)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피 건조물(P)에 함유한 수분을 버너(17)에 의해 가열되는 일기에 의해 방열편(16)에 안내되어 건조실(11)의 상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건조되게 되지만, 하부 쪽에서의 건조 속도가 더욱 빠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건조 시에는 습기 및 유해가스가 필히 발생되는데, 이러한 습기 및 유해가스는 상부로 상승된다. 이때 방열관(16)을 따라 열의 방열과 함께 방열편(16)에 안내되어 상승되므로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건조실(11) 상부로 상승된 습기 및 유해가스는 일측에 있는 가스관(18)으로 배 기되어 버너(17)로 유입되고, 아울러서 버너(17)의 연소연료 및 공기와 함께 분사되어 연소되게 된다.
그에 따라, 건조시 피 건조물(P)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연소되게 되므로 서 없어지게 되고, 연소되지 못하는 가스의 경우는 연소가스와 함께 배기구(15)로 배기되게 되어 제거수단에 의해 제거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10)는 건조실(11) 하부에서부터 신속한 건조가 도모된다. 그러므로 하부에서 건조된 피 건조물(P)은 건조됨에 따라 가루와 덩어리와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건조물(Pa)은 상부에 있는 젖은 상태의 피 건조물(P)의 하중을 받게 되고, 그 하중에 의한 힘을 받게 되므로 가루덩어리의 건조물(Pa)은 어느 정도의 건조상태가 되면 상부로부터 눌리게 되는 하중에 의해 부스 러지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부스러진 건조물(Pa)은 결과적으로 입자 상태가 되므로 스크린(12)을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되고, 낙하되는 건조물(Pa)은 서랍형태의 수거용 함체(27)에 모아 처리하게 된다.
한편, 배기구(15)로 배기된 고온의 연소가스(g)는 열 교환수단인 열 교환부(30)로 유입된다.
상기 열 교환부(30)는 물(w)로 채워져 있으며, 이 물(w)을 따라 연소 가스관(31)이 지그재그 식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온의 연소가스(g)는 냉각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물(w)이 순환되도록 구성시키므로 서 물(w)이 더워져서 온수가 되면 온수 및 난방 등에 쓰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난방기술은 이미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도면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연소가스 냉각에 따라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는 순수한 연소가스와 함께 분진 및 유해가스제거수단인 정화 장치부(40)로 배기된다.
상기 정화 장치부(40)는 절반정도가 물(w)이 채워지게 되고, 상, 하 방향으로는 다수의 흡수부재(41)가 설치되는데, 상기 흡수부재(41)를 지그재그 식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연소가스(g)가 도 2에 보인바와 같이 지그재그 식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소가스(g)가 배기 되는 과정에 자연히 흡수부재(41)를 거치게 되고, 상기 흡수부재(41)는 항시 물(w)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g)중에 있는 분진이나 유해가스를 물의 표면장력과 가스를 용해시키는 성질에 의해 흡착 또는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흡착 및 흡수가 계속되면 결국에는 흡수부재(41)의 표면에 덩어리 상태로 달라붙게 되는 상태가 되고, 이것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자중에 못 이겨서 자연스럽게 물(w)이 있는 아랫방향으로 흘러내려서 물(w)에 섞이게 된다.
그러므로 물(w)이 완전히 증발되기 전까지는 흡수부재(41)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고, 아울러서 물(w)은 계속 보충해주면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흡수부재(41)에 의해 유해가스 및 분진이 제거되므로 정화된 상태의 연소가스(g)가 배기 되기 때문에 공기오염 발생이 초래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공급과 배출장치가 설치된 상태로, 피 건조물 공급부(20)는 건조장치(10)의 상단 일측에, 모타(21)와 스크류(22) 및 스크류관(24)으로 구성되어, 피 건조물(Pa)이 건조실(11)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즉, 모타(21)의 동력에 의해 스크류(22)가 회전되면 호퍼(23)내부의 피 건조물(P)이 건조실(11)로 투입된다.
그리고 건조물 배출부(20')는 모타(21)와 스크류(22) 및 스크류관(24) 그리고, 배출구(25)로 구성된 것으로 피 건조물 공급부(2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피 건조물(P) 및 건조물(Pa)의 공급과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배출된 건조물(Pa)만큼의 피 건조물(P)은 공급부(20)에 의해 계속 공급되는 과정을 갖게 되므로 서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일반적 기술이므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건조상태에 따라 센서(미도시)에 의해 버너(17)의 화력 그리고 피 건조물의 공급부(20)와 배출부(20')를 제어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건조장치(10')를 보인 것으로, 상기 건조장치(10')는 건조실(11)을 여러개 구성되도록 하므로 서 보다 처리 효율을 높인 것이며, 그 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된 건조장치(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건조장치(10')에서는 결과적으로 건조실(11) 용적을 넓게 함에 따라 보다 빠른 건조 처리능력을 갖게 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건조장치(10)(10')에서 공기(산소)공급은 스크린(12)을 통해 공급됨은 물론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공기공급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의 특징은, 첫째,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문제를 연소 및 흡수 제거하므로 공기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둘째, 처리실의 상부에서 폐기물을 공급하고 하부에서는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연속적인 건조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셋째로는 고열의 연소가스를 열 교환 수단을 가지므로 효율적인 열사용 효과가 있으며, 넷째로는 분진제거 및 민원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에 공급 및 배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C - 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건조장치 11 : 건조실 12 : 스크린
13 : 받침대 14 : 수열판 14' : 가스 순환로
15 : 배기구 16 : 방열편 17 : 버너
18 : 가스관 20 : 공급부 20' : 배출부
21 : 모타 22 : 스크류 23 : 호퍼
24 : 스크류관 25 : 배출구 26 :덮개
27 : 함체 28 : 급기구 30 : 열 교환부
31 : 연소가스관 40 :정화장치부 41 : 흡수부재
g : 연소가스 P : 피 건조물 Pa : 건조물 w : 물

Claims (1)

  1. 버너에 의해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피 건조물을 상부에 투입하거나 공급부에 의해 건조실 상부로 공급되는 피 건조물이 상기 건조실 하부에서 부터 건조되고,
    상기 건조된 건조물은 상부에 있는 피 건조물의 자중에 의해 눌림으로 부스러지면서 하부의 스크린과 건조물의 수거 함체 또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고, 피 건조물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포함된 가스는 버너를 통과시켜 연소되도록 하며,
    상기 건조실 외부에서는 열이 효율적으로 흡수되게 나선형의 가스순환로를 형성시켜 건조실내의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 가스 순환로의 배기구로 배기 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열 교환부와 정화장치부를 통해 배기 되는 과정에 열 회수 및 분진과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하여 연속처리와 분진 및 악취와 유해가스가 방출되지 않게 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19970034033A 1997-07-15 1997-07-15 건조장치 KR10050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033A KR100508769B1 (ko) 1997-07-15 1997-07-15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033A KR100508769B1 (ko) 1997-07-15 1997-07-15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081A KR19990011081A (ko) 1999-02-18
KR100508769B1 true KR100508769B1 (ko) 2005-11-21

Family

ID=3730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033A KR100508769B1 (ko) 1997-07-15 1997-07-15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82A (ko) * 1999-01-14 2000-08-05 여광웅 고속 건조장치
KR100755891B1 (ko) * 2006-02-10 2007-09-12 송욱 입상 건조기의 응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081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61B1 (ko) 순환증기 재가열 슬러지 건조시스템
ES2527999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ón de secado de materiales pastosos, en particular de lodos de plantas de depuración, con generación de energía térmica
TW548384B (en) Multifunctional disposal apparatus
KR10169283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WO1992000250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drying sludge
KR101792782B1 (ko) 일체형 슬러지 건조장치 및 슬러지 건조방법
HU218755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fűtőértékkel rendelkező hulladékanyag feldolgozására
KR101154826B1 (ko)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KR100508769B1 (ko) 건조장치
KR10033747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4340510B2 (ja) 有機材料炭化装置
KR100508766B1 (ko) 소각장치
RU215224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JP2005024160A (ja) 除湿乾燥装置及び除湿乾燥方法
CN108644782A (zh) 一种小型垃圾焚烧的结构及其方法
HU18478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spare drying particularly heat-sensitive materials furthermore materials generating toxic and/or stinking gases
JP2008212800A (ja) 汚泥処理装置
KR101229985B1 (ko) 오염공기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시스템
KR100430073B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KR20170135090A (ko) 바이오매스의 저 녹스 연소 장치
JPS5594696A (en) Device for jointly drying and incinerating sludge or the like
JP2003047929A (ja) 畜糞処理方法及びその畜糞処理装置
JP2011005405A (ja) 消臭装置及び消臭装置付磁気分解装置
RU2622604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TH165642B (th) เตาเผาขยะชื้นระบบหมุนเวียนพลังงา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