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804B1 -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804B1
KR100507804B1 KR20030004405A KR20030004405A KR100507804B1 KR 100507804 B1 KR100507804 B1 KR 100507804B1 KR 20030004405 A KR20030004405 A KR 20030004405A KR 20030004405 A KR20030004405 A KR 20030004405A KR 100507804 B1 KR100507804 B1 KR 10050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wireless
integrated service
wireless terminal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359A (ko
Inventor
이귀중
함영철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0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8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804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와 휴대폰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대한 착신 실패시에 다른 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착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동응답 시스템으로 다이얼링을 하면 교환기/사설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과 통화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자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서비스 가입자이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Location Register Method At The Internal wired, wireless network Co-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와 휴대폰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대한 착신 실패시에 다른 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착신을 시도하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대중에게 생활속에서 가장 밀접하다고 여겨지는 통신은 공중전화망을 사용하는 일반 유선전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전화에다 사용자의 주거지역에서만 이동이 가능한 가정용 통신기기가 1970년대말부터 우리나라에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무선전화기(cordless phone)이다.
이 무선전화기는 사용 주파수가 46/49Mhz 대역이고 실내 통달거리가 일반적으로 50m 내외로 채널 간격이 25khz이고 FM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초기에는 사용주파수가 고정된 고정채널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1980년 중반쯤부부터 요구채널 방식이라 할 수 있는 MCA(Multi Channel Access)방식이 상용되고 있다.
그리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통화품질의 향상을 고려하여 900Mhz 대역의 무선전화기가 등장하였다.
위와 같이 가정의 일반 전화기의 송수화를 무선화하여 주거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전화기를 총칭하여 CT-1(First Generation Cordless Phone)이라고 한다.
CT-1은 가정에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공공장소에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로 발신전화 통화만 가능한 것으로 발신전용 휴대전화기라고 하는 CT-2(Second Generation Cordless Phone)시스템이 1989년도에 영국에서 최초로 제안되어 유럽에서 유럽표준으로 채택되었으며, 현재 몇몇 나라에서 서비스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 초에 상용 서비스로 실시된 적이 있다.
CT-2의 특징을 단적으로 표현한다면 가정에서는 CT-1 처럼 사용할 수 있으면서, 공공 장소에서는 공중전화처럼 사용하는 200m 반경내에서 보행하면서 통화할 수 있는 보행자용 무선공중전화라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CT-2의 단점은 착신기능, 핸드오버 기능등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등장한 시스템이 바로 CT-3(Third Genration cordless Phone)라 할 수 있다.
CT-3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사설망 차원과 공중망 차원으로 구분하여 언급할 수 있는데 사설망 차원에서는 사설교환시스템(PBX)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존에 빌딩내에서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시스템에는 주로 사설교환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을 무선화하여 빌딩내에서 이동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등장한 것이 무선사설교환기(Wireless PBX)로 이에 해당하는 시스템은 상당수가 있으며 DECT도 이중 한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CT-3 시스템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라는 시스템은 유럽 표준기국인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서 1992년 3월에 유럽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이 시스템의 주요 특성은 무선접속방식이 TDMA방식이며 2Ghz 대역을 사용하고 채널 대역폭은 1.73Mhz로 채널당 12타임 슬롯을 갖는다.
CT-3 시스템을 핸드오버, 로밍등의 시스템 기능 보완을 통하여 공중망 차원으로 발전시키면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통화가 가능한 개인통신을 실현한 시스템인 무선전화에서 진화한 개인통신시스템 즉 Low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가 등장하게 되었다.
Low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는 무선전화를 기본으로 하여 보행자 및 실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시스템으로는 유럽의 DECT, 일본의 PHS(Personal Hand-phone System) 및 미국의 PACS(Personal Access Communication Service) 등이 있다.
한편, Low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와 대응되는 것으로 아날로그 셀룰러 기술을 발전시켜 보행자를 포함한 차량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로 셀화하는 High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가 있다.
High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의 기반이 되는 아날로그 셀룰러는 1983년 10월에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가 Bell Lab에 의해서 개발되어 시작된 시스템으로 셀 개념을 도입한 것이 특징으로 824~894Mhz 대역에서 채널 대역이 30kHz이고 변조방식 FM이다.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의 시스템이 유럽에선 NMT(Nordic Mobile Telephone), TACS(Total Access Cellular System)등이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도 NTT 방식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이동전화 가입자가 80년대 말에 급속히 증가하면서 용량의 한계와 용량 증가에 따른 통신 품질의 저하와 서비스의 다양한 요구가 발생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등장하게 된다.
아날로그 셀룰러의 단점인 용량 문제와 통신 품질 및 데이터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 한국은 협대역 CDMA 방식을 개발하여 1996년 초부터 상용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미국은 IS-95 CDMA가 1993년 7월에 표준화기 되었으며 IS-54 TDMA 방식 모두가 개발되었다.
또한, 유럽에서 범유럽방식으로 TDMA를 상용한 GSM(Groupe Special Mobile) 방식이 다른 곳에 비해 먼저 시작되었으며 유럽 각국의 상호접속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고 1992년 발부터 상용화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1993년초에 TDMA를 사용한 PDC(Public Digital Communications) 방식을 상용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은 통화 품질과 어느 정도의 용량은 해결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저가격에 일반 대중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 볼 수는 없다, 즉, 보편적 서비스의 제공에는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차량 이동전화 시스템을 보편적인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진화된 것이 High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라 할 수 있으며 고속 이동성과 망 구성의 간단하다는 점과 디지털 셀룰러 기술을 활용한다는 잇점이 있다.
High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IS-95 CDMA에서 진화된 Up-band IS-95 CDMA 방식과 GSM 에서 진화된 DSC-1800(Digit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 등이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 휴대 통신(PCS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의 개발은 High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와 Low Tie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으나, 최근에는 High Tier 방식은 Low Tier 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진행되고 있고, Low Tier 방식 또한 High Tier 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진행되어 궁극적으로 IMT-2000(FPLMTS,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으로 통합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IMT-2000의 통신망은 유선과 무선을 통합하여 상호 연동되는 구조의 네트워크로서 무선환경인 저속 데이터 전송(14.4kbps)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384kbps)으로 가능한 망이 구축됨으로써 유선인터넷과 전송속도가 비슷한 무선인터넷의 활성화가 가시화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이러한 IMT-2000의 전단계로서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중전화망 등의 유선망과 이동통신망 등의 무선망을 통합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여러가지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단말기 측면에서도 최근에 무선전화 기능과 이동통신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가진 무선단말이 개발됨에 따라 하나의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공중전화망을 통한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복합기능을 가진 무선단말을 이용한 종래 방식은 일반 공중전화망과 이동통신망이 분리되어 있어 한쪽망에서 착신이 실패할 경우에 착신자가 다시 다른망으로의 호 설정을 재시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로 무선전화 기능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대한 착신 실패시에 다른 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착신을 시도하도록 함으로써 착신 실패시에 발신자가 다른망으로 호 설정을 재시도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착신 전환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개발된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등록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전화와 휴대폰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대한 착신 실패시에 다른 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착신을 시도하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동응답 시스템으로 다이얼링을 하면 교환기 또는 사설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과 통화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자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서비스 가입자이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복합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가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으로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이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복합 무선 단말로 확인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1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망 구조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복합 무선 단말(110, 112), 무선전화 접속 장치(120), 공중전화망의 교환기(130),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 기지국 제어기(150), 기지국(160)을 구비하고 있다.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은 무선전화 접속 장치(120)를 통하여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160)을 통해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은 두개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내장하여 하나의 RF 모듈로는 기지국(160)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다른 하나의 RF 모듈로는 무선전화 접속 장치(120)를 통하여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두개의 RF 모듈을 내장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을 하이브리드 형 복합 무선 단말이라고 부른다.
하이브리드 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은 일반적으로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선전화 휴대폰부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휴대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용부와 각 구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무선전화 휴대폰부는 무선전화 주파수 처리부와, 무선전화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선전화 주파수 처리부는 이동통신 휴대폰부가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와 달리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전화 접속 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휴대폰부 또한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전용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지국(160)과 통신을 수행한다.
즉, 하이브리드 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있어서는 유선전화에 내장된 무선전화 접속 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할 때 무선전화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기지국(16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는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 두개의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을 통한 무선 전화 서비스가 일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보다 요금이 저렴하여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사용자에게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의 소지자는 무선전화가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때 내장된 사용자 메뉴를 이용하여 무선전화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유형의 복합 무선 단말(110, 112)로서 전용 FA(Frequency Assignment) 방식의 복합 무선 단말이 있는데, 전용 FA 방식의 복합 무선 단말은 이동통신망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RF 모듈만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160)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무선전화 접속 장치(120)를 통하여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전용 FA 방식의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이 사용하는 주파수는 기존의 무선전화 주파수 대역이 아닌 일반 이동통신망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용 FA 방식의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은 무선 전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무선 전화 접속 장치(120)가 방사하는 RF 신호를 받기 시작하거나 또는 전용 파일럿(Pilot)을 자신의 참조 파일럿(reference pilot)로 잡게 되면, 무선 전화 서비스 지역에 들어왔음을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이 자동으로 인지하여 무선 전화 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전용 FA 방식의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을 소지하고 무선 전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을 통한 무선 전화 서비스가 일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보다 요금이 저렴하여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사용자에게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무선전화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에서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할 때에는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구비된 메뉴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모드를 선택하면 무선 전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하이브리드 방식과 전용 FA 방식을 혼합한 혼합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이 구현가능한데, 이러한 혼합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은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처리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하여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면 무선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용 FA와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FA를 동시에 감시하여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혼합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은 무선 전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무선 전화 접속 장치(120)가 방사하는 RF 신호를 받기 시작하거나 또는 전용 파일럿(Pilot)을 자신의 참조 파일럿(reference pilot)로 잡게 되면, 무선 전화 서비스 지역에 들어왔음을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이 자동으로 인지하여 무선 전화를 위한 RF 모듈을 구동하여 무선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때, 여전히 이동통신망의 기지국(16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면 혼합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은 동시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을 통한 무선 전화 서비스가 일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보다 요금이 저렴하여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사용자에게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혼합형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의 사용자는 무선전화가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때 무선전화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내장된 메뉴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화 접속 장치(120)는 유선의 전화에 내장되며, 무선 회로부, 베이스 밴드 회로부, 전화망 접속부, 제어 회로부, 전원회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 접속 장치(120)의 베이스 밴드 회로부는 무선 전송을 위한 음성 신호의 압축 신장, 복합 무선 단말(110, 112)과의 접속 시퀀스 제어 신호의 변복조, 음성 신호와 제어 신호와의 합성과 분리 등을 한다.
무선 회로부는 베이스밴드 신호의 무선주파수로의 변조와 복조, 안테나에서의 송수신 신호의 증폭, 반송파 주파수의 발진, 다른 채널 주파수의 신호 레벨 검출 등을 수행한다.
제어 회로는 전체적인 제어를 하며 무선국 설비의 제어 장치로서 필수적인 호출 명칭 기억 장치, 식별장치, 캐리어 센스 회로등을 포함한다. 전원회로는 필요한 직류 전압을 상용 전원으로 만들고 또 정전시에 전지로 백업을 한다.
그리고, 무선 전화 접속 장치(120)는 전용 FA 방식을 사용하는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 전용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은 공중 전화망과 이동통신망의 연동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복합 무선 단말을 지원하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 및 각 가입자에 대한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이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로서는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그리고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정용 무선전화의 전화번호, 사업용 무선전화의 전화번호, 일반 유선전화 등을 있을 수 있다.
물론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이 사업용 무선전화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을 때에는 가입자의 사업용 무선전화의 내선번호까지를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표 1)은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이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가입자 이름/전화번호 이동통신전화번호 가정용무선전화번호 사업용 무선전화번호(내선번호) 현재 통화가능전호번호
홍길동 016-111-1111 02-333-3333 02-334-3334(112) 02-333-3333
홍길순 016-111-1112 02-333-3334 02-334-3335(114) 02-334-3335(114)
홍길준 ... ... ... ...
... ... ... ... ...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예로 홍길동은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016-111-1111이지만 현재 통화 가능한 지역은 가정용 무선전화번호인 02-333-3333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홍길동이 댁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다음예로 홍길순의 경우에는 이동통신전화번호가 016-111-1112이지만 현재 통화 가능전화번호로 02-334-3335(114)로 사업장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이 저장하고 있는 현재 전화 가능한 전화번호로는 사용자가 자신의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을 사용하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지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에서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사용자가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자동 응답 시스템)를 이용하여 등록하거나, 전화번호 변경 메시지를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에 전송하여 전화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화번호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화번호를 변경할 때에는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이 자동으로 전화번호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화번호를 변경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복합 무선 단말(110, 112)의 메뉴 조작에 의하여 전화번호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여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때 가입자가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화번호로 하나만 지정이 가능하다면 이러한 변경 작업을 불필요하게 반복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공중전화망의 교환기(130)는 무선전화 접속장치(120)를 통하여 복합 무선 단말(110)로부터/에 대한 호 설정 동작을 수행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공중전화망의 교환기(130)는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대한 호 설정 동작의 수행중에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대한 착신 시도가 실패할 경우(무응답을 포함함)에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에 복합 무선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문의한다.
그리고, 공중전화망의 교환기(130)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으로부터 복합 무선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라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전화가 가능한 전화번호의 전송을 요구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으로부터 전송받은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대한 현재 전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을 시도한다. 이때,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이 서비스 가입자 확인 신호를 전송하면서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교환기(130)가 (표 1)의 홍길동에 대한 사업용 무선전화로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사업용 무선전화로 착신을 시도하게 되고, 이러한 착신 시도가 실패하게 되면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에 있는 현재 전화 가능한 전화번호인 02-333-3333으로 착신을 시도한다.
물론 이때, 교환기(130)가 현재 전화 가능한 전화번호인 02-333-3333으로 착신을 시도하였는데 역시 착신 시도에 실패할 경우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로 착신을 시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150)는 기지국(160)을 통하여 복합 무선 단말(112)로부터/에 대한 호 설정 동작을 수행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150)는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대한 호 설정 동작의 수행중에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대한 착신 시도가 실패할 경우(무응답을 포함함)에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에 복합 무선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문의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150)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으로부터 복합 무선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라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전화가 가능한 전화번호의 전송을 요구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으로부터 전송받은 복합 무선 단말(110, 112)에 대한 현재 전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을 시도한다.
일예로, 기지국 제어기(150)가 (표 1)의 홍길동에 대한 이동통신 전화번호로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전화번호로 착신을 시도하게 되고, 이러한 착신 시도가 실패하게 되면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140)에 있는 현재 전화 가능한 전화번호인 02-333-3333으로 착신을 시도한다.
물론 이때, 기지국 제어기(150)가 현재 전화 가능한 전화번호인 02-333-3333으로 착신을 시도하였는데 역시 착신 시도에 실패할 경우에는 사업용 무선전화로 착신을 시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S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S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은 먼저, 사용자는 일반전화기/복합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일예로 1588-1000으로 다이얼링한다(단계 S100). 그러면 교환기/기지국 제어기는 ARS와 사용자간에 통화로를 형성한다(단계 S102).
다음에, ARS는 교환기/기지국 제어기에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화번호 전송을 요청하여(단계 S104) 발신자번호을 알아내고(단계 S106), 알아낸 발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8). 여기에서는 전화번호의 전송을 요청하였으나 주민등록번호, 이동통신 전화번호, 기타 여러가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전송받아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면 서비스 불가를 통보하고(단계 S112),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이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의 전송을 요청하여(단계 S114),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받아(단계 S116),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단계 S118),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단계 S120).
한편, ARS는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통화가 불가시에 예비적으로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의 전송을 요구하여 예비적인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ARS는 발신자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발신자로부터 직접 전송받지 않고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신자를 확인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MS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MS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은, 사용자가 복합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기지국 제어기의 SMS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단계 S200~S204), 기지국 제어기의 SMS 서버가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으로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단계 S208),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이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확인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단계 S210~S2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복합 무선 단말에서 메뉴 조작에 의하여 위치 등록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등록 메뉴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가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메뉴이다.
사용자가 위치 등록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단계 S200) 복합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갱신을 원하는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전화번호 입력창을 제공하여(단계 S202),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단계 S204).
이때, 추가적으로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착신이 되지 않을 때 예비적으로 착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예비적 전화번호의 입력을 요구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다음에, 복합 무선 단말은 문자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SMS 서버(Short Message Service Server))로 전송한다(단계 S206).
이후에,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는 전송받은 문자 메시지를 목적지인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으로 전송한다(단계 S208).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은 전송받은 문자 메시지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추출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단계 S210) 요청하는 서비스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의 갱신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전화번호를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갱신한다(단계 S212).
다음에,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의 복합 무선 단말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14)
이때, 사용되는 문자 메시지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오스 어드레스( Source Address : S.A )(410), 목적지 어드레스( Destination : D.A. )(420), 서비스 타입(430) 및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440), 기타(45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오스 어드레스 필드에는 복합 무선 단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지정되고 목적지 어드레스 필드에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의 전화번호가 지정되며 서비스 타입 필드에는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의 갱신 요청이 지정되고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 필드에는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가 지정된다.
추가적으로 예비적 전화번호 필드를 더 구비하여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착신 시도시 실패할 경우에 예비적 전화번호로 착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한쪽망에서의 착신 실패시 다른 망으로 자동 착신이 가능하도록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등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망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S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MS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문자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2 : 복합 무선 단말 120 : 무선 전화 접속 장치
130 : 교환기 140 :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
150 : 기지국 제어기 160 : 기지국

Claims (12)

  1.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동응답 시스템으로 다이얼링을 하면 교환기 또는 사설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과 통화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자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서비스 가입자이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주민등록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이후에,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의 착신 불능에 대비한 예비적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상기 교환기/기지국 제어기에 접속된 사용자에게 사용자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 2-1 단계;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전송받은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이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 3-1 단계;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7.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복합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가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으로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이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복합 무선 단말로 확인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사용자가 위치 등록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복합 무선 단말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전화번호 입력창을 제공하는 제 1-1 단계;
    상기 복합 무선 단말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복합 무선 단말은 문자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 이후에, 상기 복합 무선 단말은 예비적 전화번호 입력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예비적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입력된 예비적 전화번호를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 전송 문자 메시지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제 1-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은 전송받은 문자 메시지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추출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3-1 단계;
    상기 제 3-1 단계의 확인 결과 서비스 가입자이면 서비스 타입을 확인하는 제 3-2 단계;
    상기 제 3-2 단계의 확인 결과 서비스 타입이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의 갱신이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전화번호를 전송받은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로 갱신하는 제 3-3 단계; 및
    상기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기 복합 무선 단말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복합 무선단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지정되는 소오스 어드레스 필드;
    목적지 어드레스 필드에는 상기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어국의 전화번호가 지정되는 목적지 어드레스 필드;
    서비스 타입이 지정되는 서비스 타입 필드; 및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가 지정되는 현재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착신실패시 착신을 시도할 수 있는 예비적 전화번호를 지정할 수 있는 예비적 전화번호 필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KR20030004405A 2003-01-22 2003-01-22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KR10050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405A KR100507804B1 (ko) 2003-01-22 2003-01-22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405A KR100507804B1 (ko) 2003-01-22 2003-01-22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59A KR20040067359A (ko) 2004-07-30
KR100507804B1 true KR100507804B1 (ko) 2005-08-17

Family

ID=3735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4405A KR100507804B1 (ko) 2003-01-22 2003-01-22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8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59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9758B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location updating from a mobile cellular radiophone system to another cellular radiophone system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KR100960248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국제 다이얼링을 지원하는방법 및 장치
AU2004202077B2 (en) Complex wireless service arrangement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448013B1 (en) Wireless user apparatu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5873033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fer between a cord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U671031B2 (en)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US20070232306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selecting a plmn for network sharing
US7991393B1 (en) Wireline terminal accessing mobile telephone services
US70432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H08505025A (ja) 通話を確立する方法
JPH10174174A (ja) 無線通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US20050202810A1 (en) Mobile and landline connection
CN102318403B (zh) 融合式无绳和蜂窝电话系统
CN100463577C (zh) 一种phs系统用户的定位方法
KR100507804B1 (ko)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위치 등록 방법
KR100489946B1 (ko) 복합 무선 단말에 기반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있어서 자동착신 전환 방법
KR100884113B1 (ko) 국제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1002284B1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3715539B2 (ja) 移動端末の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CA2457606C (en) Complex wireless service apparatu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thereof
KR200900127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2035817A1 (en) A communication device for placing calls withi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060063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dual-mode mobile station
KR20010089186A (ko) 적어도 하나의 전화 네트워크에 다수의 게이트웨이를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