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308B1 -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308B1
KR100507308B1 KR10-2002-0069306A KR20020069306A KR100507308B1 KR 100507308 B1 KR100507308 B1 KR 100507308B1 KR 20020069306 A KR20020069306 A KR 20020069306A KR 100507308 B1 KR100507308 B1 KR 10050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time
present
temperatur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940A (ko
Inventor
김봉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3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시간 또는 설정온도 내에서만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동안만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조건인 경우에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에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은 본체 및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고유키번호를 가지고서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구동조건을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서 불필요한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A driving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위한 작동시간 및 작동온도를 설정하여,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한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 요구에 의해서 난방 사이클 및 냉방 사이클을 구동하고, 상기 난방 사이클의 운전에 의해서 추운 겨울에 실내를 따뜻하게 조성하며, 상기 냉방 사이클의 운전에 의해서 더운 여름에 실내를 시원하게 조성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순환 사이클은, 실내측의 열교환기가 응축기의 기능을 담당할 때 난방 사이클로 구성되고, 실내측의 열교환기가 증발기의 기능을 담당할 때 냉방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사이클이다.
상기 난방 사이클에 의한 난방 운전은, 먼저 압축기(3)에서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로 전달된다. 이때, 실내 열교환기(1)에 흐르는 냉매가 실내 측으로 열을 방출하여, 실내측으로 따뜻한 바람이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를 통과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2)가 증발 동작을 수행하여 차가운 바람을 실외로 토출시킨다.
한편, 냉방사이클에 의한 냉방 운전은, 먼저 압축기(3)에서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로 전달된다. 실외 열교환기(2)는 전달된 냉매를 응축하고, 응축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1)로 전달시킨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1)가 구동됨에 따라, 냉매가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측으로 차가운 바람이 토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에는 작동제한 기능으로서, 차일드 락(Child lock)기능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차일드 락(Child lock)이란, 어린이가 임의로 공기조화기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차일드락(Child lock) 입력시 차일드 락(Child lock) 해제까지 어떠한 키입력이 있어도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차일드 락(Child lock)기능 외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다른 작동제한 기능이 구비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불필요한 운전 및 실수로 제품이 구동되었을 때, 제품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전력 낭비와 사용자의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으로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조건 제한을 위한 운전제한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제한모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온도 제한을 위해 실내온도값의 범위를 지정하는 동작제한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상기 설정된 동작제한온도 범위에 포함될 때, 공기조화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운전제한모드에서, 상기 운전제한모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각 제한을 위한 동작제한시각을 설정하는 단계와; 현재시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시각과 동작제한시각을 비교하고, 공기조화기의 구동은 설정된 동작제한시각 동안에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운전제한모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간 제한을 위한 동작제한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간이 상기 설정된 동작제한시간에 도달하면,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제한을 위한 제어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10)와, 사용자가 입력한 키입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와,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40)와, 공기조화기의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50)와, 리모컨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통신회로(60)와 현재시각을 계측하는 시각계측수단(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리모컨은,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90)와,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제어신호를 공기조화기 본체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80)와, 동작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통신회로(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10) 또는 리모컨을 통해서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신호를 전달받은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열교환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제어신호에서 설정온도에 제한을 두었다면, 열교환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온도감지부(40)가 실내온도를 항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열교환작업을 계속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제어한다.
또는, 동작제어신호에서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에 제한을 두었다면, 열교환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구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에 도달되면, 열교환작업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품 관리자가 동작기능에 따라 기설정된 고유키신호를 본체 또는 무선리모컨을 통해서 선택하여, 동작제어신호가 공기조화기 본체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 온도 등이 재설정되어 열교환작업을 수행되도록 구동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작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현재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정된 냉방설정온도가 18℃~30℃인 경우, 제품에 설정된 냉방 하한 온도를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냉방설정온도 18℃~30℃를 22℃~30℃로 변경시, 냉방 하한 온도가 변경되어 18℃까지 냉각구동되던 것이 22℃까지만 냉방구동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24시간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임의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필요한 시간에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시간을 오전 10시~12시, 오후 1시~5시까지 설정하여, 설정한 시간동안만 구동하도록 제한함으로서, 이로 인해서 상기 시간 이외에는 공기조화기가 작동되지 않아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는다.
또한, 작동 타이머 기능과 같이 임의의 시간동안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예를 들어 현재시간에서 2시간 동안, 또는 5시간 동안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구동된 후, 상기 구동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구성을 가지고 동작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제한에 따라 구동하는 동작제어흐름도이다.
우선, 표준운전조건에 따른 동작제어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제품에 전원이 인가된 후, 사용자는 본체 및 리모컨 상에 설정된 동작기능에 따른 고유키번호를 선택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된 동작제어신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전달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입력된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 본체에 구성된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전달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부하가 구동되도록 구동부(50) 등을 구동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0)는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냉/난방 운전조건을 선택하면, 24시간 내내 별도의 동작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한 계속 구동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이용해서 선택적으로 동작온도와 동작제한시간 등을 설정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온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앞서 표준운전모드에서 제한적으로 운전사양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운전제한모드를 선택하고(제 100 단계), 제한모드에 따른 동작기능의 고유키번호를 입력한다(제 110 단계). 그리고 입력한 제한모드에 따른 동작기능의 고유키번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전달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입력된 신호가 제한모드에 따른 동작기능의 고유키번호인지를 판단한다(제 120 단계).
즉, 사용자가 본체 및 리모컨 상에 구비된 동작기능에 따른 고유키번호를 선택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작제어신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전달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설정온도제한에 따른 고유키번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제 130 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조건으로 온도를 설정한다(제 140 단계).
이에 따라 제 140 단계에서 설정된 온도조건은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전달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설정된 온도조건에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부하가 구동되도록 구동부(50)를 구동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사용시간제한에 따른 고유키번호를 입력하였다고 판단하면(제 160 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을 설정한다(제 170 단계).
이에 따라 제 170 단계에서 설정된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이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전달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0)는 설정된 공기조화기의 구동시간동안만 구동부(50)를 구동시켜 열교환작업을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고유키번호는 변경 및 등록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한 고유키번호로 재설정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저장하면, 이후부터 사용자는 변경된 고유키번호로 운전제한모드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도제한에 따른 구동을 실시하기 위해 실내온도를 직접 감지하였으나 이것은 일예이며, 실내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도 실내배관온도 측정에 따라 실내온도를 간접적으로 인지하여 실내온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등 실내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가 제한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설정온도와 작동시간을 미리 기설정하고,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입력한 상기 설정온도와 작동시간에 따라 제한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으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해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키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동작없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가정에서 뿐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원격제어하여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사이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제한을 위한 제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제한에 따른 동작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90 : 키입력부 20 : 디스플레이부
30, 80 : 마이크로컨트롤러 40 : 온도감지부
50 : 구동부 60 : 제 1 통신회로
70 : 제 2 통신회로

Claims (3)

  1. 공기조화기의 작동조건 제한을 위한 운전제한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제한모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온도 제한을 위해 실내온도값의 범위를 지정하는 동작제한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상기 설정된 동작제한온도 범위에 포함될 때, 공기조화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한모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각 제한을 위한 동작제한시각을 설정하는 단계와;
    현재시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시각과 동작제한시각을 비교하고, 공기조화기의 구동은 설정된 동작제한시각 동안에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한모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간 제한을 위한 동작제한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시간이 상기 설정된 동작제한시간에 도달하면,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2002-0069306A 2002-11-08 2002-11-0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50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06A KR100507308B1 (ko) 2002-11-08 2002-11-0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06A KR100507308B1 (ko) 2002-11-08 2002-11-0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940A KR20040040940A (ko) 2004-05-13
KR100507308B1 true KR100507308B1 (ko) 2005-08-09

Family

ID=3733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306A KR100507308B1 (ko) 2002-11-08 2002-11-08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3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940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576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0730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00034166A (ko) 공기조화기의 절전운전 제어방법
KR10113945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47448B1 (ko) 공기조화기의제어장치
JP2001355890A (ja) 空気調和機
KR20010045980A (ko) 공조기기의 냉난방모드 자동제어방법
JP4168212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および同制御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048777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23957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62642B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 설정 방법
KR200391777Y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3197748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10047639A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JP2001041553A (ja) 空気調和機
WO2024114700A1 (zh) 空调器及其自清洁控制方法
KR100275557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7646A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20000055143A (ko) 공기조화기의 리모컨 제어방법
KR2000003874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283519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40003687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0114920Y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보호장치
JP2017072323A (ja) 空気調和機
KR100487780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