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631B1 - 해충유인장치 - Google Patents

해충유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631B1
KR100506631B1 KR10-2003-0050742A KR20030050742A KR100506631B1 KR 100506631 B1 KR100506631 B1 KR 100506631B1 KR 20030050742 A KR20030050742 A KR 20030050742A KR 100506631 B1 KR100506631 B1 KR 10050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bulb
air flow
light bulb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582A (ko
Inventor
김경원
Original Assignee
김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원 filed Critical 김경원
Priority to KR10-2003-005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6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된 전구(2)와, 상기 전구(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충 및 풍량흡입구(5)가 구비된 해충유인부(A)와, 상기 해충유인부(A)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며 상부에 해충수거망(6)이 내장된 몸체(7)와,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와, 상기 풍량흡입부(B)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으로 구성된 해충유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유인장치{Apparatus for enticement of vermin}
본 발명은 해충유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에 조명장치가 해충을 유인하며 하부에 임펠라에 의해 송풍하는 선풍기가 내재된 조명장치와 선풍기가 내장된 해충유인장치로서 야외나 원두막에 사용할 수 있는 해충유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리, 모기, 나방등과 같은 해충은 병균을 옮기는 전염체로서 사람이나, 가축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해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리적, 화학적 으로 많이 개발되어 왔다.
화학적으로는 살충제를 사용하였으며, 물리적으로는 해충들이 싫어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거나, 끈적이와, 해충망 및 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한 뒤 열선에 의해 제거하는 등의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고, 최근에는 해충겸용 선풍기가 개발되었으나, 해충은 제거하나 이는 단순히 선풍기의 일부에 발광리드선을 추가한 것에 불과하여 해충구제에 비효율적이어서 많이 사용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개발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4912호에는 공지의 선풍기 날개 뒤쪽에 안전망에 설치된 모기유인장치와, 상기 모기유인장치에 연결된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에 연결된 전원장치로 구성된 모기 유인장치가 구비된 선풍기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98789호에는 반사면을 가진 본체의 전면에 조명등과, 한 쌍의 인장고리를 이용하여 접착테이프를 수평상으로 고정하는 포획부로 구성되고 상기 포획부의 전방에 횡간에 다공관의 걸고리를 걸어서 고정된 해충포획기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91020호에 흡입펜과, 상기 흡입팬의 틈새에 형성된 포집망으로 구성된 해충포집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78650호에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브라켓과, 몸체하단에 형성된 포집통으로 구성된 곤충포집장치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60765호에는 전구와, 전구를 보호하는 갓등과, 상기 갓등의 가장자리에 줄로 연결된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아래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가장자리에 형성된 포집망으로 구성된 모기 포집기가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장치가 복잡하고, 종래의 선풍기에 단순히 조명장치와 포집기를 추가한 것에 불과하여 외형이 조잡하여 현실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형이 수려하고, 가정이나, 식당등 사람이 많은 곳에서 조명등과 선풍기로 사용되면서 해충들을 포집하도록 개량한 것으로서, 상부에 조명등이 형성된 해충유인부(A)와, 하부에는 풍량배출부가 형성되며 몸체 중간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에 화분이 구비된 해충유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된 전구(2)와, 상기 전구(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충 및 풍량흡입구(5)가 구비된 해충유인부 (A)와, 상기 해충유인부(A)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며 상부에 해충수거망(6)이 내장된 몸체(7)와,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와, 상기 풍량흡입부(B)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된 해충유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해충유인부(A)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조명장치는 내부에 전구가 형성되며 전구커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구커버 외측에는 물통이 형성되어 있어, 해충이 전구커버와 부딪친 후에 미끄러져 물통에 빠져 익사되거나, 또는 조명장치 주위에 맴도는 해충은 상기 물통의 외측에 형성된 해충 및 풍량흡입구에 흡입되어 몸체의 상부에 내장된 해충수거망에 걸려 제거되며, 흡입된 풍량의 흡입은 몸체의 하부에 내장된 모터와 연결된 임펠라에 의해 흡입되며,
상기 임펠라 외측에 형성된 화분에 꽃을 재배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실내를 장식할 수 있으며, 상기 화분테두리 외측에는 필요에 따라서, 풍량유입구를 설치하여 또다른 풍량이 흡입되어 하부의 풍량배출구로 배출시켜 선풍기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조명등, 화분, 선풍기 겸용 해충유인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체적으로 원형형태이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필요에 따라 변형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해충유인장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1에 도시된 해충유인장치와 동일하나, 다만, 풍량흡입부(B)와 지지부 (16)를 하부로 연장시켜 연장된 부분에 수족관(20)을 형성시킨 구조만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해충유인장치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해충유인부 상세도, 3은 본 발명의 해충수거망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풍량유입부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풍량배출구 평면 및 측면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임펠라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해충유인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전구커버(1), 전구(2), 전구캡(3), 물통(4), 해충 및 풍량흡입구(5), 해충수거망(6), 몸체(7), 화분(10), 임펠라(11), 풍량유입구(12), 모터(13), 풍량배출부(14), 풍량배출구(15), 지지부 (16), 수족관(20), 해충유인부(A), 풍량흡입부(B)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해충유인장치는 도1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전구(2)와, 상기 전구(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충 및 풍량흡입구(5)가 구비된 해충유인부(A)와, 상기 해충유인부(A)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며 상부에 해충수거망(6)이 내장된 몸체(7)와,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와, 상기 풍량흡입부(B)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된 해충유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해충유인부(A)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전구캡(3)과, 상기 전구캡(3)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구(2)와, 상기 전구캡(3)의 외부에 형성되어 전구를 보호하는 전구커버(1)와, 상기 전구커버(1)의 외측에 형성된 물통(4)과, 상기 물통(4)의 테두리외측에 형성된 해충 및 풍량흡입구(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7)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임펠라(11)와, 상기 임펠라(11)의 하부에 위치된 모터(13)와, 상기 몸체(7)의 하부 일측 외측에 형성된 화분(10)과, 상기 모터(13)의 하부이며 풍량을 배출하며 다수개의 풍량배출구(15)가 구비된 풍량배출부(14)와, 상기 풍량배출부(14)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된 해충유인장치의 구조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다른 해충유인장치로서, 상부에 형성된 전구(2)와, 상기 전구(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충 및 풍량흡입구(5)가 구비된 해충유인부(A)와, 상기 해충유인부(A)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며 상부에 해충수거망(6)이 내장된 몸체(7)와,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와, 상기 풍량흡입부(B)의 하부에 형성된 수족관(17)과, 상기 수족관(17)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된 해충유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해충유인부(A)는 도1,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전구캡(3)과, 상기 전구캡(3)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구(2)와, 상기 전구캡(3)의 외부에 형성되어 전구를 보호하는 전구커버(1)와, 상기 전구커버(1)의 외측에 형성된 물통(4)과, 상기 물통(4)의 테두리외측에 형성된 해충 및 풍량흡입구(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7)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7)의 하부 일측 외측에 형성된 풍량유입구(12)와, 상기 풍량유입구(12)의 하부에 일정공간 이격되어 형성된 임펠라(11)와, 상기 임펠라(11)의 외측에 다수개의 풍량배출구(15)가 구비된 풍량배출부(14)와, 상기 임펠라(11)의 하부에 축에 의해 연결된 모터(13)와, 상기 모터(13)의 외측에 형성된 수족관(17)과, 상기 수족관(17)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된 해충유인장치의 구조인 것이다.
작동상태를 살펴보면,상부에 형성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구(2)를 온시킨 다음, 모터(13)를 작동시키면 임펠라(11)가 회전하여 공기가 장치내로 유입되며, 해충은 전구(2)의 불빛을 따라 오다 전구커버(3)에 부딪쳐 전구커버(3)의 외측에 형성된 물통(4)에 빠지고, 미쳐 전구커버(3)까지 다다르지 못한 해충은 공기와 함께 물통(4)의 테두리에 형성된 해충 및 풍량흡입구(5)에 유입되어 상기 해충유인부 (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고 몸체(7)의 상부에 구비된 해충수거망(6)에 걸려 제거되며, 유입된 공기는 몸체(7)를 따라 하부로 유입되고,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의 모터(13)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배출구(15)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풍량흡입부(B)에는 화분이 구비되어 각종 꽃들을 재배하여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해충유인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와 동일하고, 다만 지지대(16)의 상부에 구비된 수족관(17)에 고기를 양식하여 실내를 장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구(2)를 온시킨 다음, 모터(13)를 작동시키면 임펠라(11)가 회전하여 공기가 장치내로 유입되며, 해충은 전구(2)의 불빛을 따라 오다 전구커버(3)에 부딪쳐 전구커버(3)의 외측에 형성된 물통(4)에 빠지고, 미쳐 전구커버(3)까지 다다르지 못한 해충은 공기와 함께 물통(4)의 테두리에 형성된 해충 및 풍량흡입구(5)에 유입되어 상기 해충유인부(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고 몸체(7)의 상부에 구비된 해충수거망(6)에 걸려 제거되며, 유입된 공기는 몸체(7)를 따라 하부로 유입되고,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에서 흡입된 또다른 공기와 함께 임펠라(1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풍량배출구(15)로 배출되며, 이때 풍량흡입부(B)에는 화분이 구비되어 각종 꽃들을 재배하여 실내를 장식함과 동시에 모터(13)의 하부이며, 지지대(16)의 상부에 구비된 수족관(17)에 고기를 양식하여 실내를 장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된 조명장치와, 몸체의 상부에 내장된 해충수거망으로 해충을 제거하고, 몸체외측이며 임펠라 외측에 형성된 화분에 꽃을 재배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실내를 장식할 수 있으며, 상기 화분테두리 외측에 형성된, 풍량유입구에 의해 또다른 풍량이 흡입되어 하부의 풍량배출구로 배출시켜 해충을 제거함은 물론 조명등, 화분, 선풍기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해충유인장치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해충유인부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해충수거망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풍량흡입구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풍량배출구 평면 및 측면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임펠라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해충유인장치의 또다른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전구커버(1), 전구(2), 전구캡(3), 물통(4), 해충 및 풍량흡입구(5), 해충수거망(6), 몸체(7), 화분(10), 임펠라(11), 풍량유입구(12), 모터(13), 풍량배출부 (14), 풍량배출구(15), 지지부(16), 수족관(20), 해충유인부(A), 풍량흡입부(B)

Claims (2)

  1. 해충유인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형성된 전구(2)와, 상기 전구(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충 및 풍량흡입구(5)가 구비된 해충유인부(A)와, 상기 해충유인부(A)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며 상부에 해충수거망(6)이 내장된 몸체(7)와,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와, 상기 풍량흡입부(B)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충유인부(A)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전구캡(3)과, 상기 전구캡(3)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구(2)와, 상기 전구캡(3)의 외부에 형성되어 전구를 보호하는 전구커버(1)와, 상기 전구커버(1)의 외측에 형성된 물통(4)과, 상기 물통(4)의 테두리외측에 형성된 해충 및 풍량흡입구(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7)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는 몸체(7)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임펠라(11)와, 상기 임펠라(11)의 하부에 위치된 모터(13)와, 상기 몸체(7)의 하부 일측 외측에 형성된 화분(10)과, 상기 모터(13)의 하부이며 풍량을 배출하며 다수개의 풍량배출구(15)가 구비된 풍량배출부(14)와, 상기 풍량배출부(14)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유인장치.
  2. 해충유인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형성된 전구(2)와, 상기 전구(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충 및 풍량흡입구(5)가 구비된 해충유인부(A)와, 상기 해충유인부(A)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충 및 풍량흡입구(5)와 연결되며 상부에 해충수거망(6)이 내장된 몸체(7)와, 상기 몸체(7)의 하부에 형성된 풍량흡입부(B)와, 상기 풍량흡입부(B)의 하부에 형성된 수족관(17)과, 상기 수족관(17)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충유인부(A)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된 전구캡(3)과, 상기 전구캡(3)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구(2)와, 상기 전구캡(3)의 외부에 형성되어 전구를 보호하는 전구커버(1)와, 상기 전구커버(1)의 외측에 형성된 물통(4)과, 상기 물통(4)의 테두리외측에 형성된 해충 및 풍량흡입구(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풍량흡입부(B)는 몸체(7)의 하부 일측 외측에 형성된 풍량유입구(12)와, 상기 풍량유입구(12)의 하부에 일정공간 이격되어 형성된 임펠라(11)와, 상기 임펠라(11)의 외측에 다수개의 풍량배출구(15)가 구비된 풍량배출부(14)와, 상기 임펠라(11)의 하부에 축에 의해 연결된 모터(13)와, 상기 모터(13)의 외측에 형성된 수족관(17)과, 상기 수족관(17)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6)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유인장치.
KR10-2003-0050742A 2003-07-23 2003-07-23 해충유인장치 KR10050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742A KR100506631B1 (ko) 2003-07-23 2003-07-23 해충유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742A KR100506631B1 (ko) 2003-07-23 2003-07-23 해충유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811U Division KR200330580Y1 (ko) 2003-07-23 2003-07-23 해충유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582A KR20050011582A (ko) 2005-01-29
KR100506631B1 true KR100506631B1 (ko) 2005-08-10

Family

ID=3722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742A KR100506631B1 (ko) 2003-07-23 2003-07-23 해충유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65Y1 (ko) 2011-05-13 2011-07-15 김승준 수족관용 포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13U (ko) 2015-06-08 2016-12-16 조상래 화분 겸용 천연재료 해충 퇴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65Y1 (ko) 2011-05-13 2011-07-15 김승준 수족관용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582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8851A1 (en) Insect trap device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US20060248782A1 (en) Mosquito breeding trap and method for eliminating mosquitoes
US6502347B1 (en) Lighted insect trap
KR101825680B1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WO2007135687A2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JP2004521641A (ja) 虫取り器
US20050055870A1 (en) Light attractant insect trap
US20180288992A1 (en) Insect Trap To Control Mosquito Population
KR101194928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200093132A (ko)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조명등과 해충유인 솔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KR20120097077A (ko)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KR20120132132A (ko) 모기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유인 포집기
JP2010166845A (ja) 植物栽培施設
KR100506631B1 (ko) 해충유인장치
KR200330580Y1 (ko) 해충유인장치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KR20120017511A (ko) 친환경 해충 포집기
JP2005013232A (ja) 田・畑の飛翔性害虫捕獲器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101168513B1 (ko) 끈끈이 해충 포집기
KR200410977Y1 (ko) 해충 포살기
KR200166065Y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442596Y1 (ko) 유인제 수용부가 구비된 해충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