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611B1 - 도어 락 - Google Patents

도어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611B1
KR100506611B1 KR10-2003-0028493A KR20030028493A KR100506611B1 KR 100506611 B1 KR100506611 B1 KR 100506611B1 KR 20030028493 A KR20030028493 A KR 20030028493A KR 100506611 B1 KR100506611 B1 KR 10050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door
door lock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933A (ko
Inventor
안태호
Original Assignee
(주)동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3-002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6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9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05B63/00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for different door thickn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33Spindles for handles, e.g. square spi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4Fastening the knob or the handle shank to the spindle by screws, springs or snap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Devices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lo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D)의 내외측에 결합된 이너세트(10) 및 아우터세트(20) 사이에서 이너핸들(41)과 아우터핸들(42)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샤프트(5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수평 운동하는 래치볼트(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락(100)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에 각각 결합되는 이너샤프트(51) 및 아우터샤프트(52)로 나뉘어지며, 상기 이너샤프트(51) 및 아우터샤프트(52)는 상기 도어(D)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거리(ℓ1)를 유지하면서 샤프트캡(53)에 의하여 씌워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하여, 도어(D) 두께(W)의 변화에 관계없이 샤프트(50)의 회전력을 보장하면서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도어 락{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 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치볼트의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샤프트를 이너샤프트와 아우터샤프트로 각각 나누어 이격거리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샤프트캡으로 씌워 도어 두께의 변화에 관계없이 샤프트의 회전력을 보장할 수 있는 도어 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등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를 여닫거나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는 도어 락(100)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락(100)을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이너세트(inner set; 10)와 아우터세트(outer set; 20) 사이에 백세트(back set; 30)가 구비된 모습을 간략히 보여주고 있다.
통상적으로 도어 락(100)은 이너핸들(inner handle; 41) 및 아우터핸들(outer handle; 42)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되는 래치볼트(latch bolt; 71)의 수평운동으로 도어(D)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전자적인 모터(미 도시됨)의 힘을 이용하여 도어(D)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데드볼트(dead bolt; 72)를 추가할 수도 있다.
래치볼트(71)만을 이용한 도어 락(100)은 주로 화장실이나 집안의 일반적인 도어(D)에 적용될 수 있고, 래치볼트(71) 및 데드볼트(72)를 함께 채용한 도어 락(100)은 대부분의 주택, 사무실 등에 이용된다.
래치볼트(71)의 수평운동은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의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cam; 예를 들면 하트형 캠(81))과 승강체(82)에 의하여 가능하고, 이러한 캠(81)과 승강체(82)가 아니더라도 랙(rack)과 피니언(pinion) 또는 베벨기어(bevel gear) 등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을 회전시킬 경우 이에 결합된 샤프트(50)가 회전되고, 이 샤프트(50)에 결합된 캠(81)이 그대로 회전력을 승강체(82)에 전달하면, 승강체(82)는 상하로 움직이면서 백세트(30)에 구비된 수직이동체(31)를 연동시키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도어 락(100)에 적용된 백세트(3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2a는 래치볼트(71)가 전진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2b는 래치볼트(71)가 후진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을 회전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자체의 편심에 의하여 하트형 캠(81)은 승강체(82)를 하강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백세트(30) 내의 수직이동체(31) 또한 복귀스프링(32)에 의하여 하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이동체(31)의 기어(31a)에 치합된 피니언아암(pinion arm; 33)은 힌지(hinge; 33a)를 중심으로 복원스프링(34)에 의하여 전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래치볼트(71)를 그대로 지지하게 된다.
반면, 이너핸들(41) 또는 아우터핸들(42)을 회전시킬 경우 샤프트(50)가 동시에 회전되고, 이 샤프트(50)에 결합된 캠(81) 역시 회전되어 승강체(82)를 상승시키므로써 백세트(30) 내의 수직이동체(31) 역시 연이어 상승하게 된다.
수직이동체(31)가 상승함에 따라 힌지(33a)를 중심으로 피니언아암(33)이 연동되어 래치볼트(71)를 후진시키므로써 최종적으로 도어(D)의 오픈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락(100)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샤프트(50)가 이너핸들(41)과 아우터핸들(42)에 일체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너핸들(41) 또는 아우터핸들(42)을 회전시킬 경우 필연적으로 샤프트(50)가 회전되어야 하는 이치는 래치볼트(71)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핸들(41)과 아우터핸들(42) 사이에 샤프트(50)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취해 래치볼트(71)의 전후진 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물론, 본 설명에서는 캠(81)과 승강체(82)에 의한 백세트(30)라는 다수의 부품을 통하여 래치볼트(71)를 전후진시키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그 밖의 샤프트(50)에 단순하게 결합된 아암(미 도시됨)이나 기타의 구조 등으로도 래치볼트(71)를 전후진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락(100)은 래치볼트(71)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구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50)가 이너핸들(41)과 아우터핸들(42)에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조립시 도어(D)의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를 갖는 샤프트(50)를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즉, 도어(D)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길이가 긴 샤프트(50)를 준비하여야만 하고, 도어(D)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샤프트(50)를 조립하여야만 하여, 결국 도어(D)의 두께에 의존되어 샤프트(50)의 길이를 선택하여야만 하여 도어 락(100)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너핸들 및 아우터핸들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래치볼트의 전후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샤프트를 이너샤프트와 아우터샤프트로 각각 나누어 이격거리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샤프트캡으로 씌워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내외측에 결합된 이너세트 및 아우터세트 사이에서 이너핸들과 아우터핸들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샤프트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수평 운동하는 래치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락에 있어서,상기 샤프트는 상기 이너핸들 및 아우터핸들에 각각 결합되는 이너샤프트 및 아우터샤프트로 나뉘어지고,상기 이너샤프트 및 아우터샤프트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샤프트캡에 의하여 씌워지고,상기 이너세트는 상기 이너샤프트가 끼워지는 플레이트구멍 및 캡구멍을 각각 구비한 이너플레이트 및 이너캡을 포함하고,상기 이너핸들은 상기 이너샤프트를 고정하는 핸들축을 더 구비하며,상기 캡구멍은 상기 핸들축의 상기 도어방향으로의 진입을 제한하도록 계단형의 소구멍 및 대구멍으로 연통되고,상기 이너샤프트는 상기 이너핸들의 이너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너플레이트의 내측에 스냅링으로 고정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종래의 구성과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100)을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이너세트(10)와 아우터세트(20) 사이에 백세트(30)가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래치볼트(71)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이너핸들(41)과 아우터핸들(42) 사이에 구비된 샤프트(50)의 구조개선에 관한 것으로 기타의 변화가능한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설명으로 갈음하되 그러한 설명으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백세트(30)에 구비된 데드볼트(72)는 그 존재의 유무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달성될 수 있으므로, 즉 데드볼트(72)가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래치볼트(71)에 의하여 적어도 도어(D)의 여닫는 기능으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72)에 대한 특별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을 회전시킬 경우 이에 결합된 샤프트(50)가 회전되고, 이 샤프트(50)에 결합된 캠(81)이 그대로 회전력을 승강체(82)에 전달하면, 승강체(82)는 상하로 움직여 백세트(30)에 구비된 수직이동체(31)를 연동시키고,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71)의 전후진 운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래치볼트(71)의 전후진 운동은 캠(81), 승강체(82) 또는 별도의 랙, 피니언이나 백세트(30)가 아니더라도 샤프트(50)에 단순히 결합된 아암(미 도시됨) 등으로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100)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로서 래치볼트(71)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샤프트(50)가 이너샤프트(51)와 아우터샤프트(52)로 각각 나뉘어져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이너샤프트(51) 및 아우터샤프트(52)는 도어(D)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거리(ℓ1)를 유지하면서 샤프트캡(53)에 의하여 씌워져 회전력을 종전과 변함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 된다.
샤프트(50)가 이너샤프트(51)와 아우터샤프트(52)로 분리되어 도어(D)의 내부에서 이격거리(ℓ1)를 유지하면서 샤프트캡(53)으로 씌워질 경우 도어(D) 두께(W)에 관계없이 이격거리(ℓ1)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그 변화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능률적으로 조립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생산성 또한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실제적으로, 이너샤프트(51)와 아우터샤프트(52)의 이격거리(ℓ1)만큼 도어(D)의 두께(W)가 얇아지더라도, 더불어 샤프트캡(53)의 길이(ℓ2)이내만큼 도어(D)의 두께(W)가 두꺼워지더라도 샤프트(50)로서의 기능을 변함없이 수행할 수 있어, 결국 샤프트(50)의 분리로서 도어(D) 두께(W)의 변화에 따른 비효율성(도어 두께의 변화에 맞추어 각각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를 별도로 구비하여야만 하는 비효율성)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샤프트(50)가 이너샤프트(51)와 아우터샤프트(52)로 나뉘어 이격되더라도 샤프트캡(53)에 의하여 씌워지므로써 여전히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상의 문제점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때, 샤프트캡(53)과 이너샤프트(51) 및 아우터샤프트(52)는 원통형이 아닌 타원통형 내지 다각통형(도면에서는 사각통으로 나타냄)을 취할 수 있고, 더불어 미도시하고 있지만 키홈과 키의 조합으로 상호 조립되어 회전방향으로는 함께 움직이되 길이방향으로는 샤프트캡(53)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이너세트(10)는 이너샤프트(51)가 끼워지는 플레이트구멍(11a) 및 캡구멍(12a)을 각각 구비한 이너플레이트(11) 및 이너캡(12)을 포함하고, 이너핸들(41)은 이너샤프트(51)를 고정하는 핸들축(41a)을 더 구비하며, 이때 캡구멍(12a)은 핸들축(41a)의 도어(D)방향으로의 진입을 제한하도록 계단형의 소구멍(12b) 및 대구멍(12c)으로 연통되고, 이너샤프트(51)는 이너핸들(41)의 이너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너플레이트(11)의 내측에 와셔(62) 및 스냅링(61)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샤프트(51)가 이너캡(12)에 구비된 소구멍(12b) 및 대구멍(12c)의 캡구멍(12a)에 끼워지면서 반대쪽의 이너플레이트(11) 내측에서 와셔(62) 및 스냅링(61)으로 결합되므로써 조립상의 편리함이 더욱 증진될 수 있고, 이러한 조립구조는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너핸들(41)의 회전시 핸들축(41a)과 대구멍(12c)과의 마찰이 심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대구멍(12c)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면서 외부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63)을 핸들축(41a)에 씌우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아우터핸들(42)과 아우터샤프트(52)의 결합구조 역시 상기한 이너핸들(41)과 이너샤프트(51)의 결합구조와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설명은 특별히 제시하지 않더라도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100)에 의하면,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래치볼트(71)의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샤프트(50)를 이너샤프트(51)와 아우터샤프트(52)로 각각 나누어 이격거리(ℓ1)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샤프트캡(53)으로 씌우므로써 도어(D) 두께(W)의 변화에 관계없이 샤프트(50)의 회전력을 보장하면서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락을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도어 락에 적용된 백세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을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너세트 11 : 이너플레이트
11a : 플레이트구멍 12 : 이너캡
12a : 캡구멍 12b : 소구멍
12c : 대구멍 20 : 아우터세트
30 : 백세트 31 : 수직이동체
31a : 기어 32 : 복귀스프링
33 : 피니언아암 33a : 힌지
34 : 복원스프링 41 : 이너핸들
41a : 핸들축 42 : 아우터핸들
50 : 샤프트 51: 이너샤프트
52 : 아우터샤프트 53 : 샤프트캡
61 : 스냅링 62 : 와셔
63 : 패킹 71 : 래치볼트
72 : 데드볼트 81 : 캠
82 : 승강체 D : 도어
ℓ1 : 이격거리 ℓ2 : 길이
W : 두께 100 : 도어 락

Claims (5)

  1. 도어(D)의 내외측에 결합된 이너세트(10) 및 아우터세트(20) 사이에서 이너핸들(41)과 아우터핸들(42)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샤프트(5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수평 운동하는 래치볼트(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락(100)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이너핸들(41) 및 아우터핸들(42)에 각각 결합되는 이너샤프트(51) 및 아우터샤프트(52)로 나뉘어지고,
    상기 이너샤프트(51) 및 아우터샤프트(52)는 상기 도어(D)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거리(ℓ1)를 유지하면서 샤프트캡(53)에 의하여 씌워지고,
    상기 이너세트(10)는 상기 이너샤프트(51)가 끼워지는 플레이트구멍(11a) 및 캡구멍(12a)을 각각 구비한 이너플레이트(11) 및 이너캡(12)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핸들(41)은 상기 이너샤프트(51)를 고정하는 핸들축(41a)을 더 구비하며,
    상기 캡구멍(12a)은 상기 핸들축(41a)의 상기 도어(D)방향으로의 진입을 제한하도록 계단형의 소구멍(12b) 및 대구멍(12c)으로 연통되고,
    상기 이너샤프트(51)는 상기 이너핸들(41)의 이너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너플레이트(11)의 내측에 스냅링(61)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61)과 상기 이너플레이트(11) 사이의 상기 이너샤프트(51)에는 와셔(62)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41a)에 씌워져 상기 대구멍(12c)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면서 외부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패킹(6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핸들(42)과 아우터샤프트(52)의 결합구조는 상기 이너핸들(41)과 이너샤프트(51)의 결합구조와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100).
  5. 삭제
KR10-2003-0028493A 2003-05-06 2003-05-06 도어 락 KR100506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493A KR100506611B1 (ko) 2003-05-06 2003-05-06 도어 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493A KR100506611B1 (ko) 2003-05-06 2003-05-06 도어 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933A KR20040094933A (ko) 2004-11-12
KR100506611B1 true KR100506611B1 (ko) 2005-08-09

Family

ID=3737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493A KR100506611B1 (ko) 2003-05-06 2003-05-06 도어 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08B1 (ko) * 2006-05-26 2007-06-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778A (en) * 1991-04-09 1992-02-18 Lin Jui C Handle lock with improved engagement and linking-up
KR200184340Y1 (ko) * 1997-11-08 2000-06-01 김제숙 출입문의 손잡이를 겸한 도어록장치
JP2001032581A (ja) * 1999-07-19 2001-02-06 Hitoshi Watanabe ドアー錠の軸固定式二重ロック
KR200238413Y1 (ko) * 2001-03-27 2001-10-18 주식회사 지오텍 문짝의 두께에 따라서 회동축의 길이조정이 자유로운도어록장치
US6427505B2 (en) * 2000-03-01 2002-08-06 Escudos Kala Internacional, S.L. Latch mechanism for electronic lock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778A (en) * 1991-04-09 1992-02-18 Lin Jui C Handle lock with improved engagement and linking-up
KR200184340Y1 (ko) * 1997-11-08 2000-06-01 김제숙 출입문의 손잡이를 겸한 도어록장치
JP2001032581A (ja) * 1999-07-19 2001-02-06 Hitoshi Watanabe ドアー錠の軸固定式二重ロック
US6427505B2 (en) * 2000-03-01 2002-08-06 Escudos Kala Internacional, S.L. Latch mechanism for electronic locks
KR200238413Y1 (ko) * 2001-03-27 2001-10-18 주식회사 지오텍 문짝의 두께에 따라서 회동축의 길이조정이 자유로운도어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933A (ko) 200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654A (en) Door lock with clutch arrangement
US5398531A (en) Rotational housing assembly for a lock assembly with a removable core
EP3212867B1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EP2703581A1 (en) Door locking device
US8256253B2 (en) Cylindrical lock
KR20180007076A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0506611B1 (ko) 도어 락
US4925222A (en) Door latch actuating mechanism
US7963133B2 (en) Cylinder lock and unlock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US10329802B1 (en) Lock mechanism
WO2000037754A1 (en) Cylinder lock arrangement
KR101836890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340813Y1 (ko) 도어 락
KR200364429Y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CN115110848A (zh) 摆出式隐藏门把手及车辆
CN109989677B (zh) 多重防护的单扇防盗推拉门
CN110067465B (zh) 单扇推拉门的多重防护、防盗的控制方法
US5619874A (en) Handle lock for safe doors and the like
CN210316906U (zh) 推拉式锁具
KR100575592B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EP1483471B1 (en) Safety lock for glass doors
CN220705429U (zh) 自动闭锁锁体结构
CN2576862Y (zh) 一种机械锁
CN110173153B (zh) 推拉门锁换向机构以及推拉门锁
GB2264743A (en)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