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153B1 -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153B1
KR100506153B1 KR1019980012911A KR19980012911A KR100506153B1 KR 100506153 B1 KR100506153 B1 KR 100506153B1 KR 1019980012911 A KR1019980012911 A KR 1019980012911A KR 19980012911 A KR19980012911 A KR 19980012911A KR 100506153 B1 KR100506153 B1 KR 10050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um
weight
alumina
zsm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991A (ko
Inventor
박상훈
권태완
오승훈
정종헌
이상일
성경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1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Catalyst for xylene isomerization)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고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30∼80으로 조절된 ZSM-5형 제올라이트에 백금, 납 및 마그네슘의 금속을 담지시켜서 된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혼합 크실렌 또는 C8 방향족 화합물을 이성화시킨 결과 종래 기술에 비해 에틸벤젠의 전환율은 높고, 크실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Catalyst for xylene isomerization)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고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30∼80으로 조절된 ZSM-5형 제올라이트에 백금, 납 및 마그네슘의 금속을 담지시켜서 된 혼합 크실렌 또는 C8 방향족 화합물 이성화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8 방향족 화합물은 석유화학공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원료이며, 상기 C8방향족 화합물로는 메타크실렌(m-xylene), 파라크실렌(p-xylene) 및 오르토크실렌(o-xylene) 등의 크실렌 및 에틸벤젠 등을 들수 있다. 특히, 상기 파라크실렌은 폴리에스터(polyseter) 섬유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데, 파라크실렌은 상업적으로 나프타 개질, 열분해 등을 통해 생산되는 C8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분리하여 얻어진다.
C8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파라크실렌을 분리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은 C8 방향족 화합물을 결정화, 흡착분리 등의 단위 공정에 도입하여 파라크실렌을 분리시키고, 이후 나머지 C8 방향족 화합물인 라피네이트를 파라크실렌을 생성할 수 있는 이성화대역에 도입하여 파라크실렌이 포함된 C8 방향족 화합물로 전환시키고 이것을 다시 분리대역으로 환류시켜 파라크실렌을 추가로 분리 회수하는 것이다.
상업적으로 나프타 개질이나 열분해 등에 의해 생성되는 C8 방향족 화합물은 파라크실렌, 메타크실렌, 오르토크실렌 등의 크실렌 이성체외에도 일반적으로 10∼30중량%의 에틸벤젠을 더욱 포함한다. 에틸벤젠은 파라크실렌을 분리하는 공정의 운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상업적 공정에서는 에틸벤젠을 공정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함으로써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에틸벤젠은 크실렌 이성체들과 분별종류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통상의 방법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상업적 공정에서는 에틸벤젠을 이성화대역 촉매상에서 크실렌 이성체들과 쉽게 분별증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성분으로 전환시켜 분리하거나, 크실렌 이성체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파라크실렌 또는 오르토크실렌을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성화대역 촉매는 일반적으로 크실렌 이성체들 간의 이성화 반응뿐만 아니라 에틸벤젠을 탈알킬화 반응을 통해 벤젠으로 전환시키거나, 이성화반응을 통해 크실렌 이성체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이성화대역 촉매로는 제올라이트에 주기율표 상의 Ⅷ족에 해당하는 금속 성분을 담지시킨 촉매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크실렌 이성화 및 에틸벤젠 전환용 촉매로서, 제올라이트에 여러 금속 성분을 담지시킨 촉매를 사용한 실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합중국 특허 제4,939,110호에는 C8 방향족 화합물의 이성화용 촉매의 제조방법으로서, 감마 알루미나와 같은 무기 산화물 바인더에 ZSM-5와 같은 펜타질 제올라이트를 제올라이트 함량이 1∼20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담체에 백금 등의 Ⅷ족 금속 0.01∼2중량% 및 Ⅷ족 금속 함량에 대한 납의 함량이 2∼10배가 되도록 담지시킨 촉매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는 Ⅷ족 금속 중 80∼100% 및 납 성분의 60∼100%가 제올라이트가 아닌 무기 산화물 바인더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촉매상에서 에틸벤젠이 약 10중량% 함유된 C8 방향족 화합물을 이성화반응시킨 결과 에틸벤젠 전환율이 65중량%일때 크실렌 손실율이 0.8∼1.5중량%에 이르는 결과를 얻었다(도 1 참고). 그러나, 상기 발명은 에틸벤젠의 전환율에 비해 크실렌 손실이 크고, 또한 납의 함량이 상당히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331,822호에서도 ZSM-5와 같은 제올라이트에 백금을 제 1금속으로 하고, 제 2금속으로서 납을 포함하는 21종의 금속 성분 중 하나를 담지시킨 촉매상에서의 크실렌 이성화반응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발명은 촉매로 제 1 및 제 2의 금속성분만을 이용한 방법만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923,595호에서는 탄화수소의 접촉 개질용 촉매로서 활성탄, 클레이 무기산화물, 제올라이트 등의 담체에 제 1금속으로 백금을, 제 2금속으로 주기율표상의 ⅣA족의 금속을, 제 3금속으로는 로디움, 루테늄, 코발트, 니켈, 이리디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하나의 금속성분을 담지시킨 촉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고, 상기 제 3 금속성분이 주로 촉매 알갱이의 겉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외에도 크실렌 이성화 및 에틸벤젠의 전환용 촉매에 대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 4,482,773호의 실시예 1-3을 보면 바인더가 포함되지 않은 ZSM-5에 백금과 마그네슘을 함침시킨 촉매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함량이 2.4중량%가 되도록 마그네슘니트레이트 용액으로 함침시키고, 이어서 백금을 0.1중량% 함침시킨 촉매의 경우 에틸벤젠 전환율이 70wt%정도에서 크실렌 손실이 2.7%정도이다(도 1참고).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 예시된 이성화반응에서는 일정 수준의 에틸벤젠 전환율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정 수준의 크실렌 손실율의 발생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제올라이트에 제 3금속성분을 추가하여 백금의 수소화 기능과 제올라이트의 산 및 구조적인 특성을 개선하여 우수한 에틸벤젠의 전환율을 유지하면서 부반응을 억제하여 크실렌 손실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C8 방향족 화합물의 이성화 반응시 크실렌의 손실율을 최소로 유지시키면서 에틸벤젠의 전환율은 최대로 높일 수 있는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고,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30∼80의 범위로 조절된 ZSM-5형 제올라이트 및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오린(Kaolin), 크리노프티로라이트(Clinoptilolite), 및 몬트모리로나이트(Montmorillon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기질의 바인더를 혼합하여 ZSM-5가 총 중량의 10∼30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도록 담체를 제조한 후, 여기에 백금을 총중량의 0.05∼0.3중량%, 상기 백금중량의 1∼2배의 납, 및 상기 백금중량의 2∼10배의 마그네슘을 담지시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촉매상에서는 크실렌 이성체들간의 이성화반응과 함께 에틸벤젠의 탈알킬화반응에 의한 벤젠으로의 전환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발명과 달리, 백금, 납 이외에 제 3금속성분을 사용하여 백금의 수소화 기능과 제올라이트의 산 및 구조적 특성을 개선하고, 또한 납의 함량이 백금함량의 1∼2배로 비교적 낮은 비율로 존재하고, 제 3금속성분이 백금함량의 2∼10배로 비교적 높은 비율로 존재할 때 좋은 촉매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ZSM-5에 백금, 납, 마그네슘의 3종 금속을 동시에 도입하여 백금의 수소화 기능 및 제올라이트의 산 및 구조적인 특성을 개선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ZSM-5의 결정크기는 1마이크론 이하로 조절하는데, 특히 0.2∼0.8마이크론이 바람직하다. ZSM-5의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을 초과하면 촉매의 비활성화를 야기하는 코크(coke)의 형성으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면 ZSM-5 촉매는 C8 방향족 화합물의 이성화반응 수행시 불균등화 반응, 알킬화 반응 및 분해반응 등의 부반응을 극히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성화반응이 우세하게 진행되고, 촉매의 비활성화를 야기하는 코크(Coke)형성도 억제될 뿐 아니라, 생성된 코크도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존에 개발된 촉매에 비해 촉매의 활성이 더욱 오래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ZSM-5형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3,702,886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ZSM-5는 최초 합성시 나트륨 형태로 제조되며, 염화 암모늄 또는 질산 암모늄 등으로 이온교환된 후 소성됨으로써 쉽게 수소 형태의 ZSM-5로 전환되고, 본 발명에서는 수소 형태의 ZSM-5를 사용하였다.
상기 ZSM-5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무기질 바인더와 혼합하여야 하는데, 상기 무기질 바인더는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벤토나이트, 카오린, 크리노프티로라이트 및 몬트모리로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및 알루미나의 무결정 무기산화물이 바람직하며, 좋은 촉매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감마 알루미나 및 실리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질 바인더와 ZSM-5를 결합시킬 때에는 ZSM-5의 중량비가 10∼30%가 되도록 혼합한 후, 압출하여 실린더 형태로 성형하며, 하나의 촉매 알갱이가 직경 약 2㎜, 길이는 5∼15㎜가 되도록 성형한다. 이와 같이 성형된 ZSM-5 및 무기질 바인더의 혼합 담체는 겉보기 충진 밀도 0.5∼0.8㏄/g, 평균 기공직경 50∼200Å, 기공부피 0.1∼1㏄/g, 비표면적 200∼400㎡/g의 물리적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ZSM-5와 무기질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에 백금, 납 및 마그네슘을 담지시켜 최종 촉매를 제조할 수도 있고, 담체성형시 상기 세 개의 금속 전부를 혼합하여 성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성형시 상기 세 개의 금속중 1종 또는 2종의 금속을 혼합하여 성형한 후 나머지 금속을 담지시켜 최종 촉매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성형후 금속을 담지하는 경우 담지되는 세 금속의 도입 순서는 어떤 금속을 먼저 도입시키든지 큰 차이가 없으며, 동시에 2종 또는 3종을 도입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백금은 총중량의 0.05∼0.3중량%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ZSM-5와 무기질 바인더의 혼합 성형물에 이온 교환이나 함침 방법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때 백금의 중량이 0.05중량%미만이면 에틸벤젠의 탈알킬화 반응이 약화되어 에틸벤젠의 전환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0.3중량%를 초과하면 백금의 기능이 너무 강하여 분자량이 작은 탄화수소(C1∼C4)와 나프텐(Naphthene)계 화합물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온 교환에 의한 백금 도입시에는 전구체로써 염화백금산 암모늄, 디니트로 디아미노 백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함침에 의한 백금 도입시에는 전구체로써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 암모늄 등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금속 성분인 납은 상기 백금 중량의 1∼2배가 되도록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백금과 마찬가지로 이온교환이나 함침 방법으로 도입할 수 있다. 납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백금의 기능을 너무 약화시키고, 너무 적으면 크실렌의 불균등화 반응이 증가되고, 백금의 기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다. 납의 전구체로는 납 아세테이트, 납 니트레이트, 및 납 설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납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함침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금속 성분인 마그네슘은 상기 백금중량의 2∼10배가 되도록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침 방법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그네슘의 중량 또한 백금중량의 10배를 초과하면 ZSM-5 촉매의 산기능과 백금의 기능을 너무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고, 백금중량의 2배에 미치지 못하면 반대로 ZSM-5 촉매의 산기능과 백금의 기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마그네슘의 전구체로는 산화마그네슘, 마그네슘아세테이트, 마그네슘씨트레이트, 수산화마그네슘, 마그네슘니트레이트, 마그네슘설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3종의 금속 성분들은 ZSM-5와 무기질 바인더의 혼합 담체에 도입될 때, 도입순서에는 큰 관계가 없으며, 3종 금속을 동시에 도입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금속들은 서로 적절히 결합된 상태에서 담체 전체에 골고루 분포되어야 한다. 특히, 백금은 촉매내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 보다는 납 및 마그네슘과 결합되거나, 서로 전기적·화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의 근접한 거리에 존재하여야 좋은 촉매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백금이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에는 백금의 높은 수소화 활성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과도한 크실렌 손실이 발생할 수 있지만, 납과 마그네슘이 백금과 결합되거나 충분히 근접한 거리에 존재할 경우에는 앙상블 효과 또는 리간드 효과 등으로 설명될 수 있는 금속 성분 상호간의 작용으로 인하여 백금의 높은 수소화 활성이 억제되어, C8 방향족 화합물의 수소화 분해반응 및 나프텐계 화합물로의 수소화반응에 의한 크실렌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벤젠의 수소화도 방지함에 따라 에틸벤젠으로부터 벤젠으로 전환되는 반응의 선택도(벤젠 선택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납 및 마그네슘의 첨가는 이와 같은 백금의 수소화 기능 억제의 개선 효과를 주는 것 이외에, 촉매의 주요 구성 성분인 제올라이트의 산 및 구조적인 특성 개선 효과도 제공한다. 즉, 백금-납-마그네슘이 결합된 금속 결정의 크기는 백금이 단독으로 존재할 때의 결정크기 보다 훨씬 커지게 되며, 이러한 큰 크기의 금속 결정의 일부가 제올라이트의 기공내부 또는 기공 입구에 존재하게 되어 제올라이트의 형상 선택성(Shape Selectivity)을 증가시킴으로써 크실렌 이성체간의 불균등화 반응에 의한 크실렌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백금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는 마그네슘이 양이온 상태로 존재하면서 제올라이트가 보유하고 있는 강한 산성의 하이드록실군을 선택적으로 중화시킴으로써 제올라이트의 강한 산점(Strong Acid Site)을 약화시켜, 비교적 강한 산점을 필요로 하는 크실렌 이성체간의 불균등화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촉매상에서 오르토크실렌 80중량%, 에틸벤젠 20중량%로 이루어진 C8 방향족화합물의 이성화반응 수행 결과, 에틸벤젠 전환율 65∼80중량%을 얻었고, 이 때의 크실렌 손실율이 0.5∼2.0중량%에 이르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55인 수소형태의 ZSM-5를 알루미나를 바인더로 하여 성형하여 ZSM-5의 중량 비율이 20%가 되도록 제조한 담체에 백금 0.2중량%, 납 0.2중량% 및 마그네슘 1.0중량%를 각각 순차적으로 담지시켜 제조하였다. 백금의 전구체로는 염화 백금산, 납의 전구체로는 납 아세테이트, 마그네슘의 전구체로는 마그네슘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으며, 담지된 모든 금속은 함침 방법으로 도입하였다.
오르토크실렌 80중량% 및 에틸벤젠 20중량%가 존재하도록 제조한 C8 방향족 화합물을 소형반응기(내경 1인치, 길이 30cm의 스테인레스스틸 반응기)에 투입하고, 반응온도 380∼430℃, 반응압력 9∼15Kg/㎠, 수소/탄화수소 몰비율 2.0∼6.0, 액상 반응물 공간속도 WHSV=3.0∼10.0hr-1의 범위로 각각 조절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촉매 1.0∼5.0g을 투입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반응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있어서 실시예 1에 의한 결과를 보면 비교예 1 및 기타 종래기술에 따른 촉매보다 촉매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ZSM-5 및 알루미나의 혼합 담체에 백금 0.2중량% 및 납 0.8중량%를 각각 담지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하였다. 반응결과는 도 1에 있어서 비교예 1로 도시하였다.
실시예 2
ZSM-5 및 알루미나의 혼합 담체에 백금 0.2중량%, 납 0.4중량%, 마그네슘 1.0중량%를 각각 순차적으로 담지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하였다. 반응결과를 도 1에 실시예 2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3
ZSM-5의 중량 비율이 10%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하였다. 반응결과 도 1에 실시예 3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4
ZSM-5 및 알루미나의 혼합 담체에 먼저 납 0.4중량% 및 마그네슘 0.5중량%를 동시에 담지시킨 후 백금 0.2중량%를 담지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하였다. 반응결과 도 1에 실시예 4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마그네슘의 전구체로 마그네슘 니트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하였다. 반응결과를 도 1에 실시예 5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마그네슘의 전구체로 마그네슘니트레이트를, 납의 전구체로 납니트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실시하였고, 반응결과를 도 1에 실시예 6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7
ZSM-5와 알루미나의 혼합담체에 백금 0.2중량%, 납 0.4중량%, 마그네슘 0.5중량%를 각각 순차적으로 담지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반응결과를 도 1에 실시예 7로 표시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는 에틸벤젠의 전환율은 종래의 방법에 제조된 촉매보다 더 높고, 크실렌 손실은 더 낮게 하여 크실렌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촉매 및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서의 에틸벤젠 전환율과 크실렌 손실의 관계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7)

  1.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고,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30∼80의 범위로 조절된 ZSM-5형 제올라이트, 및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벤토나이트, 카오린, 크리노프티로라이트, 및 몬트모리로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기질의 바인더로 이루어진 총중량의 10∼30중량%의 ZSM-5가 존재하는 담체와 총중량의 0.05∼0.3중량%의 백금, 상기 백금중량의 1∼2배의 납, 및 상기 백금중량의 2∼10배의 마그네슘이 담지된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ZSM-5의 결정크기가 0.2∼0.8마이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바인더가 감마 알루미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의 함량이 0.05∼0.25중량%이고, 상기 납의 함량이 상기 백금중량의 1.5∼2배이며, 상기 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백금중량의 2.5∼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5.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고,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30∼80의 범위로 조절된 ZSM-5형 제올라이트, 및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벤토나이트, 카오린, 크리노프티로라이트, 및 몬트모리로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기질의 바인더를 혼합하여 ZSM-5가 총 중량의 10∼30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도록 담체를 제조한 후, 여기에 총중량의 0.05∼0.3중량%의 백금과, 상기 백금중량의 1∼2배의 납, 및 상기 백금중량의 2∼10배의 마그네슘을 담지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의 제조방법.
  6.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고,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30∼80의 범위로 조절된 ZSM-5형 제올라이트와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벤토나이트, 카오린, 크리노프티로라이트, 및 몬트모리로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기질의 바인더 및 백금, 납 및 마그네슘을 혼합성형하여, ZSM-5가 총 중량의 10∼30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며 총중량의 0.05∼0.3중량%의 백금과, 상기 백금중량의 1∼2배의 납, 및 상기 백금중량의 2∼10배의 마그네슘이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의 제조방법.
  7. 결정크기가 1마이크론 이하이고, 실리카/알루미나의 몰 비율이 30∼80의 범위로 조절된 ZSM-5형 제올라이트와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벤토나이트, 카오린, 크리노프티로라이트, 및 몬트모리로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기질의 바인더 및 백금, 납 및 마그네슘 중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ZSM-5가 총 중량의 10∼30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도록 담체를 제조한 후, 나머지 금속을 상기 담체에 담지시켜 성형하여 총중량의 0.05∼0.3중량%의 백금과, 상기 백금중량의 1∼2배의 납, 및 상기 백금중량의 2∼10배의 마그네슘이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의 제조방법.
KR1019980012911A 1998-04-10 1998-04-10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6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911A KR100506153B1 (ko) 1998-04-10 1998-04-10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911A KR100506153B1 (ko) 1998-04-10 1998-04-10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991A KR19990079991A (ko) 1999-11-05
KR100506153B1 true KR100506153B1 (ko) 2006-02-28

Family

ID=3717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911A KR100506153B1 (ko) 1998-04-10 1998-04-10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1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9282A (en) * 1978-06-09 1979-06-26 Mobil Oil Corporation Xylene isomerization
US4379027A (en) * 1981-12-24 1983-04-05 Mobil Oil Corporation Selective hydrogenation of vinyltoluene
US4482773A (en) * 1982-02-25 1984-11-13 Mobil Oil Corporation Catalyst for xylene isomerization
US4899007A (en) * 1979-01-31 1990-02-06 Mobil Oil Corporation Aromatic conversion reactions with zeolitic catalyst composition of improved shape selectivity
US4939110A (en) * 1988-10-17 1990-07-03 Uop Catalyst for the isomerization of aromatics
US5034362A (en) * 1979-01-31 1991-07-23 Mobil Oil Corporation Zeolitic catalyst composition of improved shape selectiv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9282A (en) * 1978-06-09 1979-06-26 Mobil Oil Corporation Xylene isomerization
US4899007A (en) * 1979-01-31 1990-02-06 Mobil Oil Corporation Aromatic conversion reactions with zeolitic catalyst composition of improved shape selectivity
US5034362A (en) * 1979-01-31 1991-07-23 Mobil Oil Corporation Zeolitic catalyst composition of improved shape selectivity
US4379027A (en) * 1981-12-24 1983-04-05 Mobil Oil Corporation Selective hydrogenation of vinyltoluene
US4482773A (en) * 1982-02-25 1984-11-13 Mobil Oil Corporation Catalyst for xylene isomerization
US4939110A (en) * 1988-10-17 1990-07-03 Uop Catalyst for the isomerization of aroma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991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9110A (en) Catalyst for the isomerization of aromatics
JP4351393B2 (ja) 芳香族炭化水素の不均化/トランスアルキル化のための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1530B1 (ko) 크실렌 이성질화
US5922630A (en) Hydrotreating catalyst composition and processes therefor and therewith
WO2008060117A1 (en) Catalyst for xylene isomeriza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P0923512B1 (en) A stabilized dual bed xylene isomerization catalyst system
US6114592A (en) Selective aromatics disproportionation process
AU715452B2 (en) Hydrocarbon conversion catalyst composition and processes therefor and therewith
US4584423A (en) Xylene isomerization using a zeolite with a group II metal
US5866742A (en) Transalkylation/hydrodealkylation of C9 + aromatic compounds with a zeolite
US5877374A (en) Low pressure hydrodealkylation of ethylbenzene and xylene isomerization
US661727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catalyst for aromatic production
EP0014545A1 (en) Method of preparing a zeolitic catalyst composition of improved shape selectivity and thermal stability, and use thereof in catalytic hydrocarbon conversion process
US20010008949A1 (en) Hydrocarbon conversion catalyst composition and processes therefor and therewith
US6051744A (en) Low pressure hydrodealkylation of ethylbenzene and xylene isomerization
US11529615B2 (en) Process for making modified small-crystal mordenite, transalkylation process using same, and modified small-crystal mordenite
KR100506153B1 (ko) 크실렌 이성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EP0534019A1 (en) Isomerization of alkylphenols
KR20010033329A (ko) 메타-크실렌의 제조 방법
US5817903A (en) Hydrotreating catalyst composition and processes therefor and therewith
US5053558A (en) Process for the isomerization of cresols
US4931416A (en) Thallium or lead-containing microporous crystalline materials and their use as dehydrogenation dehydrocyclization and reforming catalysts
KR20210077835A (ko) 방향족 탄화수소의 전환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97586B1 (ko) 벤젠, 톨루엔 및 c9 이상의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혼합 자일렌 제조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03859B2 (en) UZM-54 and transalkylation process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