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004B1 -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 Google Patents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004B1
KR100505004B1 KR10-2003-0010713A KR20030010713A KR100505004B1 KR 100505004 B1 KR100505004 B1 KR 100505004B1 KR 20030010713 A KR20030010713 A KR 20030010713A KR 100505004 B1 KR100505004 B1 KR 100505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chloride
saccharin
nickel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207A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인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인바
Priority to KR10-2003-001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004B1/ko
Priority to PCT/KR2004/000334 priority patent/WO2004074550A1/en
Publication of KR2004007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06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r iron group metals, refractory metals or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4Alloys obtained by cathodic reduction of all their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56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iron or nickel or cob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도금(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열팽창계수가 9μm/m·K 이하의 값을 갖는 저열팽창 Fe-Ni 합금을 제조하는 도금(성형)용액과 공정조건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인바합금(Invar Alloy, 64%Fe-36%Ni)을 포함한 저열팽창특성을 나타내는 Fe-Ni 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용해, 주조, 단조, 압연, 열처리 등의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FeSO4·7H2O(Ferrous Sulfate), NiSO4·6H2O(Nickel Sulfate), NiCl2·6H2O(Nickel Chloride),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NH2SO3)2 (Nickel Sulfamate)들 중에서 일부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을 응력완화제로 첨가한 도금(성형)액에서 연속직류 또는 펄스형 직류로 전기도금(성형)하여 음극에 전착하는 Fe-Ni합금을 전극표면에서 분리하여 1∼200μm 두께의 박판으로 제작한다. 특히 전해액은 물 1L당, 25내지 73g의 FeSO4·7H2O(Ferrous Sulfate) 또는, FeCl2·4H2O(Ferrous Chlor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 97g의 NiSO4·6H2O(Nickel Sulfate) 또는 NiCl2·6H2O(Nickel Chloride) 또는 Ni(NH2SO3)2 (Nickel Sulfam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붕산(H3BO3, Boric acid) 20∼30g,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1∼3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 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을 포함한다. 즉, FeSO4·7H2O(Ferrous Sulfate), NiSO4·6H2O(Nickel Sulfate), NiCl2·6H2O(Nickel Chloride),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NH2SO3)2 (Nickel Sulfamate)들 중에서 일부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사카린(C7H4NO3 SNa, Sodium Saccharin)을 응력완화제로 첨가한 도금(성형)액에서 연속직류 또는 펄스형 직류로 전기도금(성형)하여 음극에 전착하는 Fe-Ni합금을 전극표면에서 분리하여 1∼200μm 두께의 박판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Fe-Ni 합금 포일(foil) 또는 박판들은 철화합물과 니켈화합물의 성분의 변화와 함께, 전류밀도, 양극-음극 사이의 거리, pH값, 첨가제 등을 조절함으로써 합금중 Ni의 함량을 20wt%에서 50wt% 사이의 범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Fe-Ni합금 박판을 구성하는 결정립들은 5∼15나노미터 크기의 분포를 갖기 때문에 기존방법에 의한 Fe-Ni 합금보다 항복강도가 2배 이상 높은 새로운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ELECTROLYTE FOR NANOCRYSTALLINE Fe-Ni ALLOYS WITH LOW THERMAL EXPANSION}
본 발명의 목적은 열팽창계수가 9μm/m·K 이하인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Fe-Ni 합금 박판을 전기도금(전주도금)(electrodeposition) 또는 전주성형(electroform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전해(도금, 성형) 용액과 공정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Fe-Ni합금은 Ni 함량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나타내며, 저열팽창 특성은 Ni의 함량이 중량비로 20%∼50% 범위일 때 나타난다 (D. R. Rancourt, S. Chehab and G. Lamarche, J. Mag. Mag. Mater. 78 (1989) 129 참조). 이 중 인바합금(Invar alloy)이라 불리는 64%Fe-36%Ni 조성의 합금은 열팽창계수가 0에 근접하며, Guillaume이 1897년 처음 발명한 이래 (C. E. Guillaume, C.R. Acad. Sci. Paris 124 (1897) 176 참조) 대표적인 저열팽창 합금으로 생산되어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해 오고 있다.
인바합금을 사용하는 한 예로서, TV와 개인용컴퓨터(PC)의 컬러모니터(color monitor)용 음극관(cathode ray tube, CRT)의 필수부품인 섀도우마스크(shadow mask)를 들 수 있다. 섀도우마스크의 역할은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빔이 섀도우마스크의 구멍을 통해 형광체에 충돌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나, 이 과정에서 전체 전자빔의 2/3 정도는 섀도우마스크에 충돌하여 온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섀도우마스크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정확한 구멍크기와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열팽창재료, 즉 인바합금을 사용해야만 컬러모니터의 해상력을 획득할 수 있다. CRT뿐만 아니라 최근 개발되고 있는 평면모니터용 FED(field emission display)에서도 인바합금으로 만든 섀도우마스크의 사용이 예상된다.
저열팽창 Fe-Ni 합금을 사용하는 또 다른 예로서,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칩(chip)을 지지하는 리드프레임(lead frame)을 들 수 있다. 리드프레임은 칩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품인데, 칩에 사용되는 재료와 리드프레임의 열팽창계수가 비슷해야만 열응력을 줄여 IC칩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칩의 재료 선택에 따라 Ni함량을 40%∼49%로 변화시킨 Fe-Ni합금을 사용한다. 이 외에도 저열팽창용 Fe-Ni 합금은 Ni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바이메탈, 유리/금속밀봉, 전기부품, 내연기관 피스톤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Fe-Ni합금 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냉간압연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냉간압연법을 사용하는 경우 진공용해, 단조, 열간압연, 노말라이징, 1차냉간압연, 중간어닐링, 2차냉간압연, 환원분위기에서의 최종어닐링 등의 공정을 거쳐야 하며 두께 0.1mm 이하의 인바합금 박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단 압연을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미국등록특허 US patent 494834 참조) 공정이 복잡하고 균질의 제품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높다. 뿐만 아니라 공정 중에 개입되는 불순물 및 공정조건의 변화에 열팽창계수가 민감하게 변하는 문제가 있다 (Metals Handbook, 9th ed. Vol. 3, ASM (1980) 889 참조).
종래의 제조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전기도금(성형)에 의한 Fe-Ni 합금제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해액의 배합과 공정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Ni 함량을 20∼50wt% 함유하는 Fe-Ni 합금의 전주성형에서는 아직까지 바람직한 제품이 제조되지 못하고 있다. 한 예로, 특허출원(출원번호10-2001-0019169)의 도금(성형)액 및 공정조건으로는 퍼멀로이(20%Fe-80%Ni, Permalloy)는 재현성있게 제조되는 반면, 인바 합금 및 Ni 함유량이 50wt%이하인 Fe-Ni 합금 제조를 위해서는 도금(성형)액의 배합과 공정조건의 근본적인 변화가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소망하는 열팽창계수 값을 갖는 Fe-Ni 합금이 정확한 합금조성을 갖도록 단일공정인 전주성형방법으로 제조하기 위한 도금(성형)액의 조성과 공정조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달성 목적은 다음과 같이 이상적으로 배합된 전해액의 조성과 특정한 공정조건에 의해 정확한 Fe-Ni 합금 조성이 얻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해액은 FeSO4·7H2O(Ferrous Sulfate), NiSO4·6H2O(Nickel Sulfate), NiCl2·6H2O(Nickel Chloride),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NH2SO3)2(Nickel Sulfamate)을 기본으로 하여 배합하였으며, 붕산(H3BO3, Boric acid) 20∼30g/l 와, 사카린(C7H4NO3 SNa, Sodium Saccharin) 1∼3g/l 와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l 와,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l 를 함유한 용액이다. 이 중 붕산(H3BO3, Boric acid)은 22∼25g/l , 사카린(C7H4NO3 SNa, Sodium Saccharin)은 2.0∼2,4g/l 와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2g/l 와,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30∼32g/l 를 함유하였을 때가 더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여진다. 상기한 철화합물과 니켈화합물은 전해액에서 이온으로 유리된 후, 전주도금(성형)과정에서 Fe-Ni로 전착되며, 붕산은 pH 완충제, 사카린은 도금(성형)재의 응력완화제, 염화나트륨은 전해질의 전도도 향상을 위해 첨가한다. 전주도금(성형) 중에 전해액의 pH는 2∼4 범위로 유지되며, 전류밀도는 50∼100mA/cm2, 전해액 온도는 50∼60℃에서 시행된다.
상기한 공정조건하에서 Ni 함량이 20∼50wt% 범위의 조성을 갖는 Fe-Ni합금 박판을 전주도금(성형)방법으로 제조하기 위한 도금(성형, 전해)액의 조성을 <표1∼6>에 나타내었다.
FeSO4·7H2O(Ferrous Sulfate)와 NiSO4·6H2O(Nickel Sulfate) 용액 사용
실시예 FeSO4·7H2O(g) NiSO4·6H2O(g) 붕산(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사카린(g) 염화나트륨(g) 도금(성형)재의 조성(wt%Ni)
1 28 97 22 0.1 2.0 32 50.4
2 33 97 22 0.1 2.0 32 45.3
3 38 97 22 0.1 2.0 32 41.0
4 43 97 22 0.1 2.0 32 38.8
5 48 97 22 0.1 2.0 32 36.4
6 53 97 22 0.1 2.0 32 34.2
7 58 97 22 0.1 2.0 32 32.3
8 63 97 22 0.1 2.0 32 30.3
9 68 97 22 0.1 2.0 32 27.8
10 73 97 22 0.1 2.0 32 20.7
<증류수 1liter 기준>
FeSO4·7H2O(Ferrous Sulfate)와 NiCl2·6H2O(Nickel Chloride) 용액 사용
실시예 FeSO4·7H2O(g) NiCl2·6H2O(g) 붕산(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사카린(g) 염화나트륨(g) 도금(성형)재의 조성(wt%Ni)
11 36 97 22 0.1 2.0 32 50.6
12 40 97 22 0.1 2.0 32 45.1
13 43 97 22 0.1 2.0 32 42.4
14 45 97 22 0.1 2.0 32 40.0
15 50 97 22 0.1 2.0 32 36.6
16 58 97 22 0.1 2.0 32 31.4
17 70 97 22 0.1 2.0 32 19.8
<증류수 1liter 기준>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SO4·6H2O(Nickel Sulfate) 용액 사용
실시예 FeCl2·4H2O(g) NiSO4·6H2O(g) 붕산(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사카린(g) 염화나트륨(g) 도금(성형)재의 조성(wt%Ni)
18 30 97 22 0.1 2.0 32 49.2
19 36 97 22 0.1 2.0 32 43.0
20 42 97 22 0.1 2.0 32 37.5
21 44 97 22 0.1 2.0 32 36.2
22 52 97 22 0.1 2.0 32 30.1
23 70 97 22 0.1 2.0 32 21.0
<증류수 1liter 기준>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Cl2·6H2O(Nickel Chloride) 용액 사용
실시예 FeCl2·4H2O(g NiCl2·6H2O(g) 붕산(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사카린(g) 염화나트륨(g) 도금(성형)재의 조성(wt%Ni)
24 34 97 22 0.1 2.0 32 48.7
25 40 97 22 0.1 2.0 32 41.9
26 44 97 22 0.1 2.0 32 38.3
27 46 97 22 0.1 2.0 32 36.2
28 50 97 22 0.1 2.0 32 32.7
29 65 97 22 0.1 2.0 32 21.8
FeSO4·7H2O(Ferrous Sulfate)와 Ni(NH2SO3)2(Nickel Sulfamate)용액 사용
실시예 FeSO4·7H2O(g) Ni(NH2SO3)2 (g) 붕산(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사카린(g) 염화나트륨(g) 도금(성형)재의 조성(wt%Ni)
30 25 97 22 0.1 2.0 32 49.5
31 28 97 22 0.1 2.0 32 44.8
32 35 97 22 0.1 2.0 32 36.3
33 37 97 22 0.1 2.0 32 34.5
34 45 97 22 0.1 2.0 32 27.4
35 52 97 22 0.1 2.0 32 22.1
<증류수 1liter 기준>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NH2SO3)2(Nickel Sulfamate)용액 사용
실시예 FeCl2 ·4H2O(g) Ni(NH2SO3)2(g) 붕산(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사카린(g) 염화나트륨(g) 도금(성형)재의 조성(wt%Ni)
36 22 97 22 0.1 2.0 32 50.2
37 26 97 25 0.1 2.0 32 44.0
38 32 97 25 0.1 2.0 32 37.0
39 34 97 25 0.1 2.0 32 35.2
40 42 97 25 0.1 2.0 32 28
41 52 97 25 0.1 2.0 32 20.4
<증류수 1liter 기준>
<표1>은 FeSO4·7H2O(Ferrous Sulfate)와 NiSO4·6H2O(Nickel Sulfate)를 도금(성형)액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Nickel Sulfate의 양을 97g/l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Ferrous Sulfate의 양을 28∼73g/l 범위에서 변화하여 소망하는 조성의 Fe-Ni합금을 제조한 결과를 (실시예1∼10)에 나타냈다.
<표2>는 FeSO4·7H2O(Ferrous Sulfate)와 NiCl2·6H2O(Nickel Chloride)를 도금(성형)액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Nickel Chloride의 양을 97g/l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Ferrous Sulfate의 양을 36∼70g/l 범위에서 변화하여 소망하는 조성의 Fe-Ni합금을 제조한 결과를 (실시예11∼17)에 나타냈다.
<표3>은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SO4·6H2O(Nickel Sulfate)를 도금(성형)액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Nickel Sulfate의 양을 97g/l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Ferrous Chloride의 양을 30∼70g/l 범위에서 변화하여 소망하는 조성의 Fe-Ni합금을 제조한 결과를 (실시예18∼23)에 나타냈다.
<표4>는 FeCl2·4H2O(Ferrous Chloride)와 NiCl2·6H2O(Nickel Chloride)를 도금(성형)액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Nickel Chloride의 양을 97g/l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Ferrous Chloride의양을 34∼65g/l 범위에서 변화하여 소망하는 조성의 Fe-Ni 합금을 제조한 결과를 (실시예24∼29)에 나타냈다.
<표5>는 FeSO4·7H2O(Ferrous Sulfate) 와 Ni(NH2SO3) 2(Nickel Sulfamate)를 도금(성형)액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Nickel Sulfamate의 양을 97g/l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Ferrous Sulfate의 양을 25∼52g/l 범위에서 변화하여 소망하는 조성의 Fe-Ni 합금을 제조한 결과를 (실시예30∼35)에 나타냈다.
<표6>은 FeCl2·4H2O(Ferrous Chloride) 와 Ni(NH2SO3) 2(Nickel Sulfamate)를 도금(성형)액의 주성분으로 사용였으며, Nickel Sulfamate의 양을 97g/l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Ferrous Chloride의 양을 22∼52g/l 범위에서 변화하여 소망하는 조성의 Fe-Ni 합금을 제조한 결과를 (실시예36∼41)에 나타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해액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조성의 Fe-Ni 합금을 제조하기위한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1∼6>에 나타낸 (실시예1∼41)의Ni 합금 박판을 제조하기 위해 <도 1>의 배치형 전기도금(성형)장치를 제작하여 이용하였다. <도 1>에서, 전해조(9)에 본 연구에서 발명한 전해액(3)을 넣고 간격거리가 10 mm인 음극(1)과 양극(2) 사이를 전해액이 0.1∼2.0m/sec의 유속으로 흘러가도록 순환펌프(5)를 작동하면서 전주도금(성형)을 실시하였다. 두께 20μm의 Fe-Ni합금이 음극에 전착하면 전류공급장치(4)를 멈춘 후, 음극표면으로부터 도금(성형)재를 분리하여 박판을 획득했다. 이 장치에서 양극재는 유속에 따라 경사각도(10)를 달리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Fe-Ni 합금은, <표1∼6>에 나타낸 전해액의 종류에 관계없이, 합금조성에 따라서만 1∼9μm/m·K 범위의 열팽창계수값을 나타냈다. <표7>은 열팽창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열팽창계수의 값을 몇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용인바합금이 같은 온도범위에서 1.2∼1.5μm/m·K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바합금 박판은 우수한 저열팽창 특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표7> 본 발명에서 제조한 Fe-Ni 합금의 열팽차계수 (50∼100℃ 범위)
실시예 열팽창계수(μm/m·K)
1 9.01
2 8.12
3 6.23
4 2.99
5 1.58
6 2.21
7 4.25
8 8.30
본 발명에 의한 Fe-Ni 합금의 또 다른 특징은 그것을 구성하는 결정립(grain)들이 5∼15 nm인 나노결정질 구조란 점이다. X-ray 회절을 이용하여 결정립의 크기분포를 합금조성에 따라 계산한 결과, 인바합금 조성에서 결정립의 크기가 5∼7 nm (10nm까지인 경우도 있음)정도로 가장 작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나노결정구조를 갖는 경우, 항복강도는 약 2,000 MPa로 기존방식에 의한 인바합금의 항복강도 260∼500 MPa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Fe-Ni 합금 박판은 고강도를 요구하는 새로운 용도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Fe-Ni합금을 단일공정인 전주성형방법으로 제작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며, 특히 나노결정질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기계적 성질이 탁월하기 때문에 산업적 이용의 범위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Fe-Ni합금 박판을 제작할 수 있는 전주도금(성형)장치의 개략도이다.

Claims (8)

  1. 삭제
  2. 물 1L당, 28 내지 73g의 FeSO4·7H2O(Ferrous Sulfate), 97g의 NiSO4·6H2O(Nickel Sulfate), 붕산(H3BO3, Boric acid) 20∼30g,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1.0∼3.0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을 포함하고, pH는 2∼4 , 전류밀도는 50∼100mA/cm2, 온도는 5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5~15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는 Fe-Ni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액.
  3. 물 1L당, 36내지 70g의 FeSO7H2O(Ferrous Sulfate), 97g의 NiCl2·6H2O(Nickel Chloride), 붕산(H3BO3, Boric acid) 20∼30g,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1.0∼3.0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pH는 2∼4 , 전류밀도는 50∼100mA/cm2, 온도는 5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5~15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는 Fe-Ni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액.
  4. 물 1L당, 30내지 70g의 FeCl2·4H2O(Ferrous Chloride), 97g의 NiSO4·6H2O(Nickel Sulfate), 붕산(H3BO3, Boric acid) 20∼30g,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1.0∼3.0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pH는 2∼4 , 전류밀도는 50∼100mA/cm2, 온도는 5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5~15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는 Fe-Ni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액.
  5. 물 1L당, 34내지 65g의 FeCl2·4H2O(Ferrous Chloride), 97g의 NiCl2·6H2O(Nickel Chloride), 붕산(H3BO3, Boric acid) 20∼30g,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1.0∼3.0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pH는 2∼4 , 전류밀도는 50∼100mA/cm2, 온도는 5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5~15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는 Fe-Ni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액.
  6. 물 1L당, 25내지 52g의 FeSO4·7H2O(Ferrous Sulfate), 97g의 Ni(NH2SO3)2 (Nickel Sulfamate), 붕산(H3BO3, Boric acid) 20∼30g,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1.0∼3.0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pH는 2∼4 , 전류밀도는 50∼100mA/cm2, 온도는 5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5~15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는 Fe-Ni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액.
  7. 물 1L당, 22내지 52g의 FeCl2·4H2O(Ferrous Chloride), 97g의 Ni(NH2SO3)2 (Nickel Sulfamate), 붕산(H3BO3, Boric acid) 20∼30g, 사카린(C7H4NO3SNa, Sodium Saccharin) 1.0∼3.0g,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C12H25O4SNa, Sodium Lauryl Sulfate) 0.1 ∼ 0.3g, 염화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20∼40g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pH는 2∼4 , 전류밀도는 50∼100mA/cm2, 온도는 5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5~15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는 Fe-Ni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액.
  8. 삭제
KR10-2003-0010713A 2003-02-20 2003-02-20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KR100505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13A KR100505004B1 (ko) 2003-02-20 2003-02-20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PCT/KR2004/000334 WO2004074550A1 (en) 2003-02-20 2004-02-19 ELECTROLYTE FOR NANOCRYSTALLINE Fe-Ni ALLOYS WITH LOW THERMAL EXPAN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13A KR100505004B1 (ko) 2003-02-20 2003-02-20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207A KR20040075207A (ko) 2004-08-27
KR100505004B1 true KR100505004B1 (ko) 2005-08-01

Family

ID=3290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713A KR100505004B1 (ko) 2003-02-20 2003-02-20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05004B1 (ko)
WO (1) WO2004074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7578B2 (en) 2004-12-17 2008-06-17 Integran Technologies Inc. Strong, lightweight article containing a fine-grained metallic layer
US7320832B2 (en) 2004-12-17 2008-01-22 Integran Technologies Inc. Fine-grained metallic coatings having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atched to the one of the substrate
KR100931739B1 (ko) * 2007-10-19 2009-12-14 성낙훈 인바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420755B1 (ko) * 2013-12-02 2014-07-17 주식회사 나노인바 저열팽창 특성을 갖는 철-니켈-인 3원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DE102014208047A1 (de) * 2014-04-29 2015-10-29 Mahle International Gmbh Anode und Elektrolyt für eine Metall-Luft-Batterie
KR200484645Y1 (ko) 2015-10-07 2017-10-12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납작이 브러시가 구비된 컴팩트 용기
KR102154556B1 (ko) * 2018-11-30 2020-09-10 (주)영진아스텍 이종 다층 전주도금과 열처리를 통한 고해상도 저열팽창성 oled 기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759A (en) * 1975-07-09 1977-03-29 M & T Chemicals Inc. Electroplating iron alloys containing nickel, cobalt or nickel and cobalt
JPS61190091A (ja) * 1985-02-18 1986-08-23 Tdk Corp 磁性合金めつき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74550A1 (en) 2004-09-02
KR20040075207A (ko) 200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7671A1 (en) Nano invar alloy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19367B1 (ko) 철-니켈 합금 박 및 이의 제조방법
EP2554693B1 (en) Ni-si-co copper alloy for electronic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3239363B1 (en) Fe-ni alloy metal foil having excellent heat resili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692878B1 (en) Cu-si-co-base copper alloy for electronic material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0344089B (zh) 一种亚硫酸金钠镀液及其电镀方法
EP3991881A1 (en) Co-fe-ni alloy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strength for mold and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05004B1 (ko) 저열팽창특성을 갖는 나노결정질 철-니켈 합금 제조를 위한 전해(도금, 성형)액
JP5478292B2 (ja) 高硬度及び低熱膨張係数を有する鉄−ニッケル合金めっき皮膜の製造方法
EP2692879A1 (en) Cu-co-si-based copper alloy strip for electron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E102017003106A1 (de) Kupferlegierungsblechwerkstoff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230193429A1 (en) Aluminum alloy and use thereof
KR101266922B1 (ko) 니켈-철 합금 제조방법
CN109763008A (zh) 一种高强高弹含铌铜合金及其制备方法
KR102065216B1 (ko) 내굴곡성이 우수한 철-니켈 합금박
KR100931739B1 (ko) 인바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617B1 (ko) 저열팽창 철-니켈-코발트 3원계 합금의 전주도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전주도금된 저열팽창 철-니켈-코발트 3원계 합금
CN110408976B (zh) 一种具有组织可控的石墨烯/纳米孪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68799B1 (ko) 전착도금에 의한 구리/철-니켈계 합금 접합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3503B1 (ko) 전기도금법에 의한 표면조도가 우수한 Fe-Ni 합금도금 포일 제조방법 및 표면조도 향상용 도금액
KR101867733B1 (ko) 철-니켈 합금 전해액, 표면조도가 우수한 철-니켈 합금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0755B1 (ko) 저열팽창 특성을 갖는 철-니켈-인 3원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031439B1 (ko) 연마 용액,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박의 연마방법 및 철-니켈 합금박
KR102065215B1 (ko) 전기도금법에 의한 표면조도가 우수한 Fe-Ni계 합금 포일의 제조 방법 및 표면조도 향상용 도금액
KR20200058759A (ko) 열팽창 특성이 우수한 전해 인바 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