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987B1 - 토양 강화 개선재 - Google Patents

토양 강화 개선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987B1
KR100504987B1 KR10-2002-0047190A KR20020047190A KR100504987B1 KR 100504987 B1 KR100504987 B1 KR 100504987B1 KR 20020047190 A KR20020047190 A KR 20020047190A KR 100504987 B1 KR100504987 B1 KR 10050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eight
cement
improving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024A (ko
Inventor
허남태
Original Assignee
강태호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호, 김영규 filed Critical 강태호
Priority to KR10-2002-004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9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1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3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soil stabi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안전한 지반 및 임로 등의 개량공사나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 산책로 등의 경관성이 필요한 곳에 환경친화적인 흙포장 공사를 위해 원지반 모토(흙)에 첨가·혼합되는 토양 강화 개선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플라이애쉬 또는 크린카애쉬 또는 제지 슬러지의 소각재 중 하나를 선택사용하는 광물질 혼화제를 중량비 10∼30%, 조강시멘트(KSL5201) 또는 포틀랜드시멘트 중 하나를 선택사용하는 시멘트를 중량비 50~60%, 석고 및 황산제2철을 중량비 10∼20%, 소석회를 중량비 1∼5%, 실리카흄을 중량비 1∼4%로 구성된 토양 강화 개선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토양 강화 개선재는 대부분의 토양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고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흙의 장점인 자연스러움을 다양하게 표현이 가능하고 건식에 의한 방법을 추구함으로써 양생기간이 짧아 시공직후 이용이 가능하다. 차후 폐기시 풍화에 의한 자연회귀가 가능하여 환경적으로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토양 강화 개선재{Strengthening and refining material for soil}
본 발명은 토양 강화 개선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불안전한 지반 및 임로 등의 개량공사나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 산책로 등의 경관성이 필요한 곳에 환경친화적인 흙포장 공사를 위해 원지반 모토(흙)에 첨가·혼합되는 토양 강화 개선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보도나 차도를 포장할 때 대부분이 콘크리트 제품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제품은 압축강도에 비해 휨강도 및 내휨인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있어 폐기시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폐기물 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차도, 보도에 적용할 경우 포장하부의 지하수 감소에 따른 지반 침하현상이 발생되며, 빛에 따른 시야저해에 따른 운전자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써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일시멘트공법이 있다.
상기 공법은 고화재(시멘트)를 토양과 혼합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압축강도를 얻는 공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일시멘트공법에 쓰는 고화재는 수화반응 및 장기 재령에서의 낮은 강도발현이 나타나고 특히 임도의 점질토 등의 함수비가 높은 토양의 경우, 고화재가 흡수하여 결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적기 때문에 그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수성 고분자에 의한 고화는 물의 침투에 의한 지반의 연약화가 심하고 강도 발현에는 큰 역할을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 시멘트나 고화재의 함량을 높이는 것은 백화발생의 근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흙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흙포장공법은 소일시멘트공법의 큰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압축강도의 증가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여 고화재 첨가량의 증가로 인해 환경적 훼손을 조장하고 있다. 그리고 흙포장의 장점의 하나인 자연적인 면을 무시한 시공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도 및 차도의 흙포장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토양 강화 개선재 조성물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토양 강화 개선재는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른 다양한 흙포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함수비가 높은 토양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보도용 흙포장 조성시 인간에게 한층 부드러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흙포장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이상적인 고화재의 조건으로는 현장에 맞는 충분한 강도와 인간과 환경을 고려한 것으로 지반의 안정뿐 아니라 이용자에게 부드러움을 제공하고 시공 후 또는 폐기시 환경을 고려한 것이어야 하며 동결융해에 강한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화재를 대신할 수 있는 토양 강화 개선재의 효용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환경친화적인 흙포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시되는 본 발명의 토양 강화 개선재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토양 강화 개선재는 플라이애쉬 또는 크린카애쉬 또는 제지 슬러지의 소각재와 같은 광물질 혼화제 25%와, 조강시멘트(KSL5201) 또는 포틀랜드시멘트와 같은 시멘트 50%, 그리고 석고 및 황산제2철을 20%, 소석회 4%, 실리카흄 1%의 비율로 조성되는 바, 이하 상기한 각 조성물의 특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물질 혼화제 중 플라이애쉬는 에너지 다중소비제품인 시멘트 사용량의 절감, 폐자원 재활용으로 인한 자원의 절약, 그리고 폐기처리 비용의 감소 등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기여도가 높은 재료로, 시멘트의 수화생성물로 시멘트풀 중의 공극 구조내에 존재하면서 침투수와 함께 석출되는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알칼리 혼합물을 고정하여, 시멘트풀 중의 공극을 채움으로서 투수성을 개선하고, 침식성 화학물질에 대한 침투성을 억제함으로써 강도와 내구성 증진에 기여한다. 특히 장기 재령에서의 고강도에 기여한다.
그리고 석고 및 황산제2철은 구성 성분인 광물질 혼화제와 시멘트의 상승효과 및 시멘트 응결시간을 조절한다.
석고 및 황산제2철이 용해되면 강한 흡착력이 생성되며, 광물질 혼화제와 반응으로 장기 재령에서의 안정성 및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며 고강도 발현에 기여한다.
또한 소석회는 포졸란 반응에 의한 수화물을 생성하여 강도 발현에 기여한다. 이때 수산화칼슘을 형성함으로써 토양의 함수비를 저감시겨 초기 강도 확보와 함께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 방지에 도움을 주는 구성요소이다.
실리카흄은 적절한 배합을 하면 실리카흄의 포졸란 반응은 수화초기부터 시작되어 공극 충전효과에 따른 강도증진과 투기, 투수성을 감소시키므로 강도에 대한 물리적, 역학적 성질을 개선하는데 유효한 물질이다.
상기의 각 조성물이 상호 반응에 의해 에트링자이트의 생성, 토양과의 포졸란 반응, 토양 입자의 응집 반응으로 에트린가이드 수화 생성물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므로 함수비를 저하시켜 토양입자의 이동을 구속하고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소석회 및 실리카흄은 에트링자이트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토양과의 포졸란 반응을 일으켜 속경화와 고강도화가 가능하게 하고, 시멘트 및 광물질 혼화제로부터 용출된 초기의 다량의 칼슘이온을 통해 토양입자를 응집시킨다.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나 동절기와 같이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고화재의 수화속도가 저하되어 초기 강도 발현이 저조함으로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거나 응결촉진제 또는 조강용 혼화제를 첨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강화 개선재를 사용할 경우, 처리 대상 토양의 유동성, 산모래 재생율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고성능 감수제, 유동화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양 강화 개선재를 사용할 시 흙은 유기토양이나 반응성을 가진 토양을 제외한 대부분의 토양에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도 재현 방법은 습식에 의한 몰타르 혼합이 아닌 알맞은 함수비에 따른 전압다짐을 시공방법으로 한다.
따라서 습식에 의한 포장공사시 최대 약점인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과 동결융해에 대한 단점이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화 메커니즘에 의한 강도 발현뿐만 아니라 전압다짐에 의한 강도 발현이 가능하여 첨가재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환경 저해 요소를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흙포장 첨가재인 토양 강화 개선재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를 통해 그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 강화 개선재 조성물의 배합비
조성물 단위(%)
시멘트(포틀랜드시멘트 등) 50
광물질 혼화제(플라이애쉬 등) 25
석고 및 황산제2철 20
소석회 4
실리카흄 1
합 계 100
본 발명에 따른 토양 강화 개선재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는 시멘트를 단독으로 사용한다.
대상 토양 1㎥당 토양 강화 개선재 첨가량(단위 :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00 150 200 100 150 200
본 발명의 토양 강화 개선재의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 3의 강도 측정을 위하여 상기의 첨가량에 따른 첨가재와 대상토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한 다음 29㎝×29㎝ 크기로 제작한 것을 공시체로 정하여 휨강도 및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휨강도 측정 결과(단위 : ㎏/㎤)
토양 재령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사질토 7일 19 21 23 3 3 4
14일 25 30 32 5 6 6
28일 32 44 52 8 10 12
마사토 7일 17 19 20 2 3 3
14일 24 25 29 4 6 6
28일 31 40 46 8 9 9
황토 7일 11 13 13 1 2 2
14일 17 19 23 3 3 4
28일 29 33 39 5 6 7
실트질 7일 10 11 12 1 1 2
14일 16 16 19 3 3 3
28일 29 31 38 5 6 7
압축강도 측정 결과(단위 : ㎏/㎤)
토양 재령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사질토 7일 89 99 130 12 12 16
14일 102 123 143 20 23 24
28일 131 149 170 32 40 47
마사토 7일 77 96 118 8 12 12
14일 98 120 140 16 24 24
28일 120 147 159 32 36 40
황토 7일 75 83 89 4 8 8
14일 86 100 110 12 12 16
28일 104 126 137 20 25 29
실트질 7일 73 79 96 4 5 8
14일 87 97 119 12 12 13
28일 108 121 139 21 24 29
이상의 강도 측정 결과에서도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토양 강화 개선재는 모든 대상 토양(사질토, 마사토, 황토, 실트질)에서 투입하는 첨가량과 재령 기간에 따라 비교예와는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한 휨강도 및 압축강도의 향상효과가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토양 강화 개선재는 광범위한 토양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고함수의 토양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첨가재를 적게 사용하여도 안정적인 고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최대 단점인 취성, 즉 압축강도에 비해 휨강도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 단면에 걸쳐 동일한 색상을 띄므로 열화에 의한 색바램 현상이 발생이 거의 없고, 자연에 가까운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양 강화 개선재는 산업 폐기물에 속하는 플라이애쉬 등을 재활용함으로써 사회적, 환경적으로 좋은 영향을 주며, 폐기시 풍화과정을 통해 자연상태의 회귀가 가능하여 폐기물 처리비용이 절감되는 등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재와 미래에 효용성이 크게 기대되는 우수 발명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각종 도로나 인도 등에 흙포장 공사를 행하기 위해 원지반 모토에 첨가·혼합되는 토양 강화 개선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토양 강화 개선재는 플라이애쉬, 크린카애쉬, 제지슬러지의 소각재 중 선택된 하나의 광물질 혼화제가 10∼30중량%, 조강시멘트(KSL5201) 또는 포틀랜드시멘트 중 선택된 시멘트 50∼60중량%, 석고 및 황산제2철 10∼20중량%, 소석회 1∼5중량%, 실리카흄 1∼4중량%로 조성된 토양 강화 개선재.
KR10-2002-0047190A 2002-08-09 2002-08-09 토양 강화 개선재 KR10050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190A KR100504987B1 (ko) 2002-08-09 2002-08-09 토양 강화 개선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190A KR100504987B1 (ko) 2002-08-09 2002-08-09 토양 강화 개선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24A KR20040014024A (ko) 2004-02-14
KR100504987B1 true KR100504987B1 (ko) 2005-08-01

Family

ID=3732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190A KR100504987B1 (ko) 2002-08-09 2002-08-09 토양 강화 개선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31A (ko)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공사 황토 포장도로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836A (ja) * 1996-07-26 1998-02-10 Yamashita Kenji 緑化吹付け用土壌安定剤
JPH10273663A (ja) * 1997-03-28 1998-10-13 Ube Ind Ltd 含水土壌用固化材及び含水土壌の固化改良方法
KR20000073533A (ko) * 1999-05-11 2000-12-05 김승곤 고강도 흙포장 첨가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토양에 첨가하여
KR20010064830A (ko) * 1999-12-20 2001-07-11 김남호 토양과의 접착력이 우수한 도전성 시멘트 조성물 및 그조성물로 제조되는 도전성 경화체
KR20010094563A (ko) * 2000-03-31 2001-11-01 김진춘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KR20020035180A (ko) * 2000-11-04 2002-05-10 안상욱 시멘트계 급결 첨가제
KR20030081983A (ko) * 2002-04-15 2003-10-22 강태호 단립화 식생기반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836A (ja) * 1996-07-26 1998-02-10 Yamashita Kenji 緑化吹付け用土壌安定剤
JPH10273663A (ja) * 1997-03-28 1998-10-13 Ube Ind Ltd 含水土壌用固化材及び含水土壌の固化改良方法
KR20000073533A (ko) * 1999-05-11 2000-12-05 김승곤 고강도 흙포장 첨가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토양에 첨가하여
KR20010064830A (ko) * 1999-12-20 2001-07-11 김남호 토양과의 접착력이 우수한 도전성 시멘트 조성물 및 그조성물로 제조되는 도전성 경화체
KR20010094563A (ko) * 2000-03-31 2001-11-01 김진춘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KR20020035180A (ko) * 2000-11-04 2002-05-10 안상욱 시멘트계 급결 첨가제
KR20030081983A (ko) * 2002-04-15 2003-10-22 강태호 단립화 식생기반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31A (ko)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공사 황토 포장도로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024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740B1 (en) Inorganic cementitious material
KR100951032B1 (ko)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0632705B1 (ko) 흙 고화포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 고화포장공법
CN107382358A (zh) 一种适用于重载路面的透水碱矿渣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929977B1 (ko) 마사토와 순환골재를 주재료로 하는 토목용 조성물
CN106365682A (zh) 利用钢渣作骨料的透水砖
KR100625172B1 (ko) 팽창제 또는 보수제를 이용한 흙콘크리트 및 흙콘크리트블럭의 제조 방법
KR101134172B1 (ko)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KR100374122B1 (ko)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RU2433973C1 (ru) Бетонная смесь
KR102043397B1 (ko) 해조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및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친환경 초속경 포장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4341B1 (ko) 흙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흙포장 시공방법
KR100504987B1 (ko) 토양 강화 개선재
KR100252690B1 (ko) 토양 콘크리트용 첨가재 및 그 토양 콘크리트
KR101454422B1 (ko) 친환경 무기 고화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동결 및 염화칼슘에 강한 흙콘크리트 제조 및 흙길 포장 시공 방법
KR101852957B1 (ko) 토사, 폐기물, 해사, 및 사막모래 경화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경화체 조성물
KR20000073533A (ko) 고강도 흙포장 첨가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토양에 첨가하여
KR100454875B1 (ko) 도로포장재 조성물
KR100370268B1 (ko) 폐석회를 이용한 건축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60579B1 (ko) 경화용 조성물
KR100581227B1 (ko) 토양 경화용 화학 조성물
KR100789877B1 (ko) 순환자원형 무기계바인더를 이용한 마사토 경도로 포장재의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장체 제조 방법
KR100483492B1 (ko) 케익상 석분토를 활용한 터널/지하시설물의 공동부채움용경량기포 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060112748A (ko) 실란계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강도 수중콘크리트 혼화제
KR101283630B1 (ko) 마그네슘계 고화재를 사용한 흙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