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122B1 -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 Google Patents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122B1
KR100374122B1 KR1020000016941A KR20000016941A KR100374122B1 KR 100374122 B1 KR100374122 B1 KR 100374122B1 KR 1020000016941 A KR1020000016941 A KR 1020000016941A KR 20000016941 A KR20000016941 A KR 20000016941A KR 100374122 B1 KR100374122 B1 KR 10037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weight
parts
soil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563A (ko
Inventor
천병식
김진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Priority to KR102000001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1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04B28/065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8Compounds chosen for their lat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e.g. pozzu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층 또는 심층 연약지반개량공사,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산책로용 환경친화적인 경관성 포장공사를 위한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에 관한 고안으로서 포틀랜드시멘트와, 포틀랜드시멘트 100 중량부에 입도가 조정된 고로수재슬래그미분말과 같은 포졸란 물질 약 20 내지 200 중량부, 석고 약 5 내지 40 중량부, 석회 약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화재 조성물, 상기 고화재에 대해 약 0.1 내지 5 중량%의 초기 고강도 및 고유동성 향상 및 수화열 억제제인 계면활성제와 상기 고화재에 대해 약 0.01 내지 1 %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공기연행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통의 포틀랜드시멘트에 대상토를 혼합한 종래의 소일시멘트에 비해서 본 발명의 고화재를 대상토에 혼합한 경우의 소일시멘트는 일축압축강도 및 동결융해지수가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Description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Composite Materials of High Hardened and Durable Soil-cement Stabilizer}
본 발명은 천층 및 심층연약지반개량공사, 환경친화적인 경관성 포장도로공사용 소일시멘트에 혼합된 고화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명세서에서 소일시멘트는 통상의 대상토와 고화재를 혼합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포클랜드 시멘트가 그 역할을 수행하였고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특정 요소를 갖는 조성물이 그 역할을 수행한다.
연약지반개량공사에 천층 및 심층의 자연상태의 토사에 고화재를 투입혼합하여 고결시킴으로서 연약한 지반을 개량하는 연약지반개량고화처리공법이 있다. 또한 보행자용 도로, 공원 내부 산책용 도로, 자전거용 도로, 골프장내에서의 작업 및 보행자용 도로 등에 환경친화적으로 포장하는 기술로써, 자연상태의 현장토양을 이용한 소일시멘트 포장공법이 있다. 연약지반개량고화처리공법이나 소일시멘트공법의 종래의 기술수준은 황토, 마사토, 모래, 점토, 사석층(沙石層), 자갈층 등 자연상태의 현장토양을 시멘트와 혼합한 뒤, 더 나아가 공장에서 출하된 상태의 시멘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입도를 갖는 포졸란 물질을 추가 혼합한 뒤 고화처리하는 정도이다. 그런데, 이렇게 형성된 소일시멘트의 일축압축강도가 30∼50kg/cm2정도로 낮고, 동절기 동결융해작용에 대한 저항성도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재하중에 대한 내력과 충분한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는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소일시멘트공법은 그 공법의 가장 큰 장점인 환경친화적인 요소가 필요한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동결융해작용이 심하게 반복되는 곳에서는 내구적인 측면에서 사용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향상시켜주는 고화재의 조성물을 제공하며, 종래의 소일시멘트공법이 갖고 있던 사용성의 한계를 개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를 포함한 소일시멘트의 반응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를 포함한 소일시멘트를 이용하여 경관성 포장공사 현장에 적용하는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립자(-극) 2: 고화재 입자(+극) 3:유기산(R-COOH), R; 알킬기 4: 에트린자이트 5: C-S-H(I)겔, C-S-H(II)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황토, 마사토, 모래, 점토, 사석층(沙石層), 자갈층 등 자연상태의 현장토양(대상토)에 시멘트를 혼합하고, 석고와 석회 및 입도가 조정되어 2가지 이상의 입도를 갖는 포졸란 물질을 고화재로서 추가한다. 상기 석고와 석회의 반응으로 에트린자이트 수화물이 다량 생성되고 상기 수화물은 현장토양의 미세한 토립자를 초기에 단립화시켜 큰 덩어리를 형성하여 구속한다. 입도가 조정된 포졸란 물질은 초기재령의 시멘트수화에 의해서 발생한 수화간극물질인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2차적인 고결물질이 생성됨으로서 소일시멘트의 고강도와 고내구성(동결융해작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시멘트는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석고는 (포틀랜드)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약 5내지 약 40 중량부이며, 석회는 상기 포클랜드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약 5내지 약 30 중량부이다. 포졸란 물질은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약 20 내지 약 200 중량부로, 2가지 이상의 종류의 입도로 구성된다. 입도 조정된 포졸란 물질은 상기 입도 조정한 포졸란 물질에 대해 약 50 내지 약 60 중량%의 약 15μm 내지 약 30μm의 입도를 갖는 제 1 성분과 상기 입도 조정한 포졸란 물질에 대해 약 40 내지 약 50 중량%의 약 3μm 내지 약 8μm의 입도를 갖는 제 2성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졸란 물질은 고로슬래그미분말, 석탄회미분말, 화산재, 왕겨재, 규조토, 실리카흄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한편, 상기의 조성을 갖는 고화재에 계면활성제를 추가하여 소일시멘트에서의 함수량을 감소시켜 소일시멘트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동결융해작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고화제에 공기 연행제를 추가하여 동결융해작용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여기서, 추가되는 계면활성제는 고화제 총량에에 대해 약 0.1 내지 5 중량%로, 나프탈렌계 화합물, 폴리카르본산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및 아미노술폰산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추가되는 공기연행제는 상기 고화재 총량에 대해 약 0.01 내지 1 중량%으로 통상의 유기계 기포제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일시멘트에 고강도·고내구성을 제공하는 소일시멘트용 고화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소일시멘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포틀랜드 시멘트와 상기 시멘트와 현지 토양의 토립자를 결속시키는 고화재로 구성되며, 고화재는 적어도 석고, 석회, 입도조정되어 2가지 이상의 입도로 구성된 포졸란 물질을 포함하고, 계면활성제 및/또는 공기 연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석고(무수석고)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해 약 5 내지 약 40중량부이며, 석회는 생석회 또는 소석회를 사용하고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약 5내지 약 30 중량부이다. 상기 포졸란 물질은 고로슬래그미분말, 석탄회미분말, 화산재, 왕겨재, 규조토, 실리카흄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약 20 내지 약 80 중량부이다. 상기 포졸란 물질은 2가지 이상의 입도를 갖도록 조정되고, 상기 입도 조정된 포졸란 물질에 대해 약 50 내지 약 60 중량%로 약 15μm 내지 약 30μm의 입도를 갖는 제 1 성분과 상기 입도 조정된 포졸란 물질에 대해 약 40 내지 약 50 중량%로 약 3μm 내지 약 8μm의 입도를 갖는 제 2성분으로 구성된다.
계면활성제는 고화재에 대해 약 0.1 내지 5 중량%로, 나프탈렌계 화합물, 폴리카르본산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및 아미노술폰산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공기연행제는 상기 고화재에 대해 약 0.01 내지 1 중량%이며 통상의 유기제 연행제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소일시멘트용 고화재와 현지토양(대상토)의 토립자간의 반응을 도 1을 참고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를 현장토양(대상토)에 혼합한다. 토립자(1)의 표면에는 토양중의 유기물의 부식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기물질에 의해서 발생된 R-COOH계 유기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R은 알킬기이다. 이 유기산(3)은 고화재와 토립자간의 반응을 방해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석고와 석회의 반응시에 다량 생성되는 쇄사슬 모양의 침상 결정 수화물인 에트린자이트(4)가 유기산(3)의 표면을 감싸줌으로 유기산(3)이 존재하더라도 뒤이어 진행되는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의 생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수화 초기단계에 에트린자이트 수화물이 유기산(3)으로 둘러쌓인 토립자(1)를 구속하여 토립자 단위를 크게 만들어 토립자(1)가 안정된 후, 수화 중기단계에서는 약 1개월 정도까지 고화재 중의 석회질 성분(CaO)과 규산질 성분(SiO2)이 물과 반응하는 수화반응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C-S-H(I)겔(5)(여기서 C-S-H는 CaO와 SiO2및 H2O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겔 상태의 수화물을 지칭한다)이 형성된다. 약 1개월 후부터는 C-S-H(I)겔(5)이 생성되면서 발생한 수화간극물질이 Ca(OH)2나 토질속에 존재하는 활성 Ca(OH)2가 포졸란 물질속의 비정질 SiO2와 반응에 의해서 2차적인 수화물인 C-S-H(II)겔(5)이 생성된다. 상기 2차적인 수화물 생성단계를 포졸란반응이라고 지칭하고 상기 포졸란반응에 의해서 수화조직이 더욱 치밀해지면서 소일시멘트의 고강도가 발휘될뿐만아니라 차수막이 형성되어 고내구성이 발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토립자(1)가 초기에 에트린자이트에 의해 결속되는 제 1단계 과정과, 결속된 토립자를 고결시켜서 강도를 증진시켜 가는 2단계과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2단계의 강도발현단계는 다시 통상의 소일시멘트에서 볼 수 있는 석회-규산질의 수화반응과 포졸란 물질의 부가적인 포졸란반응으로 세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고강도가 발현됨과 아울러, 계면활성제에 의해서소일시멘트의 함수량이 감소되므로 자유수가 이동할 수 있는 개방형 공극이 줄어들게 되어 소일시멘트의 혼합물의 강도가 증가되고 응결지연효과가 획득된다. 또한 공기 연행제에 의해 200㎛이하의 안정한 폐쇄형 공기포가 충분히 연행됨으로써, 공기 연행제는 소일시멘트 내의 자유수가 동결될 때 발생하는 팽창압력을 충분히 흡수하는 효과적인 스폰지 작용을 발휘하여, 소일시멘트의 동결융해 파괴에 대한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전술한 원리에 기초하여, 초기에는 현장토(대상토)의 토질공학적 특성을 개선시키면서 장기적으로는 소일시멘트의 역학적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시멘트로서 포틀랜드시멘트, 상기 포틀랜드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입도를 조정한 포졸란 물질의 미분말 20내지 200 중량부,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한 석고 5내지 40 중량부,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한 생석회 또는 소석회 5내지 30 중량부로 구성된 소일시멘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석고와 생석회 또는 소석회의 첨가에 의해 소일시멘트 내부의 토립자가 초기에 구속되고, 소일시멘트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건조수축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침상형 수화물인 에트린자이트(Ettringite)가 다량 생성된다.
포틀랜드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조강포틀랜드시멘트, 내황산염포틀랜드시멘트 중의 하나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보통포틀랜드시멘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동절기(5℃이하)와 같이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고화재의 수화속도가 저하되어 초기 강도 발현이 저조함으로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거나 응결촉진제 또는 조강용 혼화제를 첨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포틀랜드시멘트에 대한 첨가재로는 일반적으로 포졸란 물질인 고로슬래그분말, 석탄회분말, 화산재, 왕겨재, 규조토, 실리카흄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특히 고로슬래그분말과 플라이애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재료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수화열도 줄일 수 있고, 장기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지만, 초기 강도를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특정 입도 분포를 갖는 포졸란 물질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소일시멘트의 초기 강도 및 유동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포졸란 물질의 입도가 미세할수록 포졸란 반응성(Pozzolanic activity)이 향상되므로 이들 포졸란 재료를 미분쇄하여 사용하는 경우, 소일시멘트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포졸란 물질의 분체중에서 약 10㎛이하의 미립자가 많을 경우(예를 들면 전체의 60%이상일 때) 응집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므로, 동일한 작업성(Workability)을 얻기위한 소요 물량이 증가하여 오히려 응결시간이 길어지고 내부에 자유수 이동 공극이 증가한다. 따라서, 포졸란 물질의 미분쇄화에 따른 소일시멘트의 강도 상승이 상쇄되고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포졸란 물질을 2가지 이상의 입도를 갖는 성분으로 구성하여 고화토의 초기강도를 개선한다. 포졸란 물질은 포틀랜드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포졸란 물질을 20내지 200 중량부를 갖되 해당 포졸란 물질의 입자 크기가 약 15㎛ 내지 30㎛인 제 1 성분이 포졸란 물질 전체의 약 50내지 60 중량% 입자 크기가 약 3㎛ 내지 8㎛인 제 2성분이 약 40내지 50중량%일 때 소일시멘트의 유동성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동일한 작업성을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감소하여 소일시멘트의 강도(특히, 초기강도)가 개선된다. 이것은 포졸란 물질의 중간 입자 크기의 분말을 줄여 주어 입자들간의 마찰을 줄이고 충진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포졸란물질의 미분말화에 따른 동일한 작업성을 얻기 위한 요구수량(단위수량)을 줄일 수 있는 혼화제로서 소일시멘트에 대해 약 0.1내지 약 5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계면활성제는 나프탈렌계, 폴리카르본산계, 멜라민계 및 아미노술폰산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미분화된 고체입자는 물과 접촉하면 입체표면의 습윤작용보다는 표면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서로 응집하려는 경향이 강하여 유동성이 저하된다. 그런데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면 고화재의 입자표면에 계면활성제가 흡착하여 확산전기 2중층이라 불리우는 대전층이 형성된다. 그런데, 대전층의 전위가 비슷한 입자 사이에는 전기적 상호 반발력이 생겨서 토립자에 고화재 성분이 혼합된 고화토의 유동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런 원리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고화토의 단위수량이 줄고 초기에 급격한 수화로 인한 응결현상이 방지되어 초기의 고유동성이 발휘된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수화 초기에 고화재 입자 표면에 부착하여 응결을 지연시키는 작용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비해 초기 유동성이 상당히 향상되어 소일시멘트를 사용하여 도로포장공사 등를 하기 편리하며, 하절기 소일시멘트 포장공사 시 발생되는 작업성 손실의 방지 및 콜드죠인트 발생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졸란물질의 미분말의 입도 조정에 의해 수화속도를 입도에 따라 조절하므로써 소일시멘트 포장공사 시 최대 약점인 건조수축에 의한 수축균열을 단계별로 조정하므로 건조수축균열이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한편, 고화재에 대해 약 0.01내지 약 1 중량%의 유기제의 공기연행제가 고화재에 추가되어 동결 융해 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2는 전술한 소일시멘트를 사용하여 앞에서 상술한 경포장도로를 포장하는 공정 흐름도를 나타낸다.
현장준비(10)는 소일시멘트로 포장할 대상지반을 소정 깊이까지 굴착한 후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때까지 다짐을 하는 단계이다. 거푸집(시공조인트) 설치(12)는 다짐완료 후 포장폭 양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도로의 경우 적당한 간격(보통은 1.5∼4m)으로 횡방향 시공조인트를 설치하는 단계다. 야적장과 같이 넓은 포장인 경우 종·횡 방향으로 시공조인트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시료토 선정(14)은 거푸집(시공조인트) 설치(12) 완료된 후 시공목적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소일시멘트용 대상토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현장의 자연토사를 그대로 재활용하나 목적상 대상토를 별도지역에서 선정할 수도 있다. 배합설계(16)는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와 현장토양 또는 배합대상토가 선정되면 입도, 유기물 등 이물질 함유량, 최적함수비 등 포장시공에 필요한 토질공학적 특성을 조사한 후 설계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실험실적으로 시방배합을 확정하고 시공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고화재와 현장토양 배합(18)은 시방배합이 완료된 후 시공 당일에는 대상토의 함수비를 조사하여 시방배합을 보정한 후 고화재와 대상토를 혼합한다. 혼합후 포설(20)단계를 실시하는데, 전압다짐(22)은 소일시멘트를 전압다짐으로 시공할경우로 최적함수비 근처에서 함수량을 맞추는 것이며, 진동 다짐(24)은 콘크리트 타설형으로 시공할 경우로 플라스틱상태가 될 정도로 충분히 가수를 해서 진동봉으로 다짐을 실시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시공이 완료되면 습윤양생(26)단계에서 표면으로부터 습기의 증발을 막기 위해서 도로 표면을 습포로 덮어 충분히 습윤양생을 실시함으로서 건조수축균열 발생을 억제한다. 약 7일정도의 습윤양생이 표준이지만 기후조건과 교통상황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습윤양생이 완료되면 교통개방(28)이 이루어진다.
(실시 예 1 내지 8 및 비교 예 1내지 7)
실시 예 1 내지 8 및 비교 예 1 내지 7에서 사용한 시멘트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KS규격을 만족하는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였고, 포졸란재료는 국내 제철사에서 발생한 고로수재슬래그를 시멘트 첨가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제조한 슬래그 미분말을 입수하여 입도를 조정하였다. 기타 생석회, 무수석고, 나프탈렌계 계면활성제 및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6 및 비교예 1∼5]
실시예 2 내지 6은 실시예 1의 소일시멘트와 대상토양을 혼합한 것이며, 비교예1 내지 5는 보통시멘트와 대상토양을 혼합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고강도·고내구성을 갖는 소일시멘트용 고화재를 사용한 소일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2배 이상 고강도가 발현되었다.
[실시예 7∼8 및 비교예 6∼7]
실시예 7-8 및 비교예 6-7은 각각 대상토질을 마사토와 황토로 하고, 본 발명의 고강도·고내구성을 갖는 고화재를 사용한 소일시멘트와 종래의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이용한 경우의 소일크리트와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결과를 평가한 것이다.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 본 발명의 고강도·고내구성을 갖는 고화재를 사용한 소일시멘트의 동결융해지수는 동결융해 30회전에서 동결융해지수가 60이상으로 종래의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크게 향상되고 동결융해지수가 클수록 내구성이 크므로, 본 발명의 고화재에 의해 소일시멘트의 동결융해저항성이 훨씬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화재를 사용한 소일시멘트는 일축압축강도 및 동결융해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 고강도·고내구성을 갖으므로, 소일시멘트의 용도를 기존의 공원, 사찰내부에서 농로, 임로, 보행도로, 산책로 등으로 대폭 확대시킬 수 있으며 천층 및 심층 연약지반개량공사의 적용범위를 가시설적 차원에서 항구적 구조물로 개념을 넓힐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 다량 발생되는 석탄회, 고로슬래그 등 산업 부산자원을 사용하므로 자원재활용과 환경보존 측면에서도 상당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1)

  1. 시멘트가 포함된 소일시멘트용 고화재로서,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해 약 5 내지 40 중량부의 석고와,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해 약 5 내지 30 중량부의 석회와,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약 20 내지 200 중량부의 2가지 이상의 입도를 갖도록 조정된 포졸란 물질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입도 조절된 포졸란 물질은, 상기 입도 조절된 포졸란 물질에 대해 50 내지 60 중량%의 약 15 내지 약 30㎛의 입도를 갖고 있는 제1성분과, 상기 입도 조절된 포졸란 물질에 대해 40 내지 50 중량%의 약 3 내지 약 8㎛의 입도를 갖고 있는 제2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고화재의 표면에 대전층을 형성하며, 나프탈렌계 화합물, 폴리카르본산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및 아미노술폰산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시멘트용 고화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고화재에 대해 약 0.1 내지 5 중량%인 소일시멘트용 고화재.
  8. 삭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재를 대상토양과 혼합하여 소일시멘트를 형성할 시, 상기 소일시멘트내의 미세 공기포를 충분히 연행시키기 위한 공기 연행제를 더 포함하는 소일시멘트용 고화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연행제는 상기 고화재에 대해 약 0.01 내지 1 중량%인 소일시멘트용 고화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졸란 물질은 고로슬래그미분말, 석탄회미분말, 화산재, 왕겨재, 규조토, 실리카흄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소일시멘트용 고화재.
KR1020000016941A 2000-03-31 2000-03-31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KR100374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941A KR100374122B1 (ko) 2000-03-31 2000-03-31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941A KR100374122B1 (ko) 2000-03-31 2000-03-31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563A KR20010094563A (ko) 2001-11-01
KR100374122B1 true KR100374122B1 (ko) 2003-03-03

Family

ID=1966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941A KR100374122B1 (ko) 2000-03-31 2000-03-31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1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85B1 (ko) * 2008-06-26 2011-01-14 한국해양연구원 동상방지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 형성방법
KR101146339B1 (ko) 2009-05-18 2012-05-21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무다짐 무진동 기능성 유동화 채움재
KR101185626B1 (ko) * 2012-03-20 2012-09-26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고화재를 이용한 친환경 방재댐 산간 저류지 축조공법
KR101636278B1 (ko) 2015-01-30 2016-07-08 건설자원기술단 주식회사 경소백운석을 활용한 심층혼합공법용 고화재
KR101638079B1 (ko) 2015-02-13 2016-07-08 건설자원기술단 주식회사 심층혼합공법용 고화재
KR101636282B1 (ko) 2015-01-30 2016-07-08 건설자원기술단 주식회사 심층혼합공법용 고화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86B1 (ko) * 2001-03-26 2004-03-24 대지종합건설 주식회사 현장 발생토를 이용한 차수층 고화토 공법
KR100424078B1 (ko) * 2001-03-26 2004-03-24 대지종합건설 주식회사 현장 발생토를 이용한 고화에 의한 지반의 안정화방법
KR100504987B1 (ko) * 2002-08-09 2005-08-01 강태호 토양 강화 개선재
KR100563975B1 (ko) * 2003-03-12 2006-03-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화재 지반 침하를 보수하기 위한 지반강화재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0908675B1 (ko) * 2008-04-17 2009-07-22 (주)대덕레미콘 저온 조기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136947B1 (ko) * 2011-11-22 2012-04-20 고재웅 인공 경량 골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611A (ko) * 1981-09-30 1984-05-16 하인나히 벡커,베른하르트 베크 섬유-반응성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611A (ko) * 1981-09-30 1984-05-16 하인나히 벡커,베른하르트 베크 섬유-반응성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85B1 (ko) * 2008-06-26 2011-01-14 한국해양연구원 동상방지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 형성방법
KR101146339B1 (ko) 2009-05-18 2012-05-21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무다짐 무진동 기능성 유동화 채움재
KR101185626B1 (ko) * 2012-03-20 2012-09-26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고화재를 이용한 친환경 방재댐 산간 저류지 축조공법
KR101636278B1 (ko) 2015-01-30 2016-07-08 건설자원기술단 주식회사 경소백운석을 활용한 심층혼합공법용 고화재
KR101636282B1 (ko) 2015-01-30 2016-07-08 건설자원기술단 주식회사 심층혼합공법용 고화재
KR101638079B1 (ko) 2015-02-13 2016-07-08 건설자원기술단 주식회사 심층혼합공법용 고화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563A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492B1 (ko) 폐아스콘을 활용한 반강성포장용 조성물과 포장시공방법
KR101340856B1 (ko) 내구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562542B1 (ko)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8969464B2 (en) Synthetic construction aggre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392958B1 (ko) 폴리머 결합재를 구비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JP2019031438A (ja) レオロジーが改変されたコンクリート材料、その作製法、およびその使用
KR101355111B1 (ko)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20090120467A (ko) 산업 부산물을 함유하는 고강도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US11078117B2 (en) Thermally-conductive, low strength backfill material
KR100374122B1 (ko) 소일시멘트에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제공하는 고화재
CN107382358A (zh) 一种适用于重载路面的透水碱矿渣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775360B1 (ko) 건식 황토흙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929977B1 (ko) 마사토와 순환골재를 주재료로 하는 토목용 조성물
KR101074371B1 (ko) 내염성 시멘트를 사용한 반강성 도로포장용 시멘트 밀크와 이를 가진 주입 시공한 고내구성 반강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0625172B1 (ko) 팽창제 또는 보수제를 이용한 흙콘크리트 및 흙콘크리트블럭의 제조 방법
KR101096641B1 (ko) 지반 안정화 방법
KR102457167B1 (ko) 친환경 지반주입 보강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4341B1 (ko) 흙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흙포장 시공방법
KR20120074385A (ko) 순환골재를 사용한 주입형 초속경 포장공법
KR101154280B1 (ko) 친환경 흙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흙포장 시공방법
KR102160579B1 (ko) 경화용 조성물
JP2018002515A (ja) 凍結融解防止強化剤及びそれを用いた土固化モルタル施工方法
KR101041207B1 (ko) 고강도 생황토 습식 콘크리트 조성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톳길 포장공법
KR100789877B1 (ko) 순환자원형 무기계바인더를 이용한 마사토 경도로 포장재의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장체 제조 방법
JP6334310B2 (ja) 水硬性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水硬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