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812B1 -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812B1
KR100504812B1 KR10-2002-0081867A KR20020081867A KR100504812B1 KR 100504812 B1 KR100504812 B1 KR 100504812B1 KR 20020081867 A KR20020081867 A KR 20020081867A KR 100504812 B1 KR100504812 B1 KR 10050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wer
level
signal
controllin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233A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812B1/ko
Priority to AT03029251T priority patent/ATE505853T1/de
Priority to DE60336700T priority patent/DE60336700D1/de
Priority to EP03029251A priority patent/EP1432143B1/en
Priority to CNB2003101222970A priority patent/CN100394707C/zh
Priority to US10/740,629 priority patent/US7379747B2/en
Publication of KR2004005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를 전력증폭기와 믹서에 가중치 분할 할당하여 최적 상태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기지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운용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수신되는 경우는 가까운 거리 또는 먼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판단하여 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전력증폭부의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원거리제어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판단하여 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믹서부의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근거리제어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를 계속 반복하는 경우는 상기 수신과정으로 궤환하고 중단하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반복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를 줄이고 통신품질을 제고하며,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통신시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POWER FOR PCP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에서 휴대단말기(UE)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전력증폭기와 믹서에 가중치를 분할 할당하여 증폭율을 제어하므로써 최적 상태로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등록된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하여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을 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무선접속에 사용되는 제한된 주파수 자원(RESOURCE)을 이용하여 다수의 휴대단말기(UE)가 동시 통신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 하나가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DMA) 방식이다.
상기 TD-SCDMA 방식은 CDMA 방식의 신호를 다시 시분할하는 것으로, 주파수 재사용율이 이론적으로 CDMA 보다 높으며, 현재 중국본토에서 표준 이동통신 시스템에 채택하고 있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운용 특성상, 기지국(BS)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휴대단말기(UE)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비슷한 레벨이어야 하며, 상기와 같이 다수의 휴대단말기(UE)로부터 비슷한 레벨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서는 기지국이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여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물리채널 구조 설명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출력전력 제어 코드 상태도 이며, 도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TD-SCDMA 방식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는데, 하나의 프레임을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이라고 하고 10 ms의 시간적 주기를 갖는다.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은, 5 ms 주기의 6,400개 칩(CHIP)으로 이루어지는 부프레임(SUBFRAME)이 2개로 이루어지므로, 1.28 MCHIP/S이고, 각 부프레임은 TS0 내지 TS6의 총 7개 타임슬롯(TIME SLOT)으로 구성되며, 상기 타임슬롯을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UPLINK)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DOWNLINK)로 임의 할당되어 사용된다.
상기 각 타임슬롯은, 0.675 ms이며 864 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데이터 심벌, 첫 번째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미드앰블, SS(SYNCHRONIZATION SHIFT) 심벌, TPC(TRANSMIT POWER CONTROL) 심벌, 두 번째 TFCI, 데이터 심벌, GP(GUARD PERIOD)의 순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중에서 TPC 심벌이 출력전력 제어에 사용되며, 도1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TPC 심벌을 위하여 1 심벌(SYMBOL)이 할당되며, QPSK(QU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에서는 2개의 비트(BIT)가 할당되고, 8PSK 방식에서는 3개의비트가 할당되지만, 각각 2개의 상태(STATUS)를 이용하여 출력전력 증가 또는 감소의 제어만을 한다.
상기 도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는, 기지국(BS)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UE)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소정의 설정된 기준 레벨보다 높은 레벨인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판단하여 기준 레벨보다 낮은 경우는, 해당 휴대단말기(UE)에 출력전력을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단계(S20)에서 판단하여 기준레벨보다 높은 경우는, 해당 휴대단말기(UE)에 출력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는 제4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TD-SCDMA 방식 기지국(BS)은 휴대단말기(UE)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고(S10),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준레벨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판단(S20)에서 휴대단말기(UE)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레벨이 기지국(BS)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도2와 같이 출력전력을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도1 의 TPC 심벌위치에 기록하여 전송하므로써, 해당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증가하도록 제어하고(S30), 상기 판단(S20)에서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 경우는 상기 TPC 심벌 위치에 출력전력을 감소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기록하여 전송한다(S4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순하게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키는 것으로만 제어를 하고 있으나, 휴대단말기 내부에 구비되는 증폭부만 고려할 때, 다수의 증폭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 예로, 중간주파(IF) 변조에 구비되는 자동전력제어(APC: AUTOMATIC POWER CONTROL) 증폭부, 고주파(RF) 변조에 구비되는 자동전력제어(APC) 증폭부, 최종 출력전력을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증폭부(HPA: HIGH POWER AMPLIFIER) 등등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각 증폭부에 의하여 증폭되는 비율이 더해지므로써 최종 출력전력이 결정되는 것으로, 증폭부의 위치에 따라 다소의 특성 차이가 있으며, 일 예로, 동일한 출력전력을 발생하여도, 변조부 또는 믹서부에서 많은 비율의 증폭율을 담당하는 경우는 소모되는 전류의 량이 적어지고, 최종 출력전력을 높이는 증폭부에서 많은 비율의 증폭율을 담당하는 경우는 소모되는 전류의 량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는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증폭부에서만 출력전력을 제어하므로, 전류소모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류소모를 줄이면서도 출력전력을 높이는 동시에 인접 채널에 미치는 누설전력비율과 상호변조 등의 영향을 줄이어 통신품질을 제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운용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수신되는 경우는 가까운 거리 또는 먼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판단하여 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전력증폭부의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원거리제어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판단하여 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믹서부의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근거리제어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를 계속 반복하는 경우는 상기 수신과정으로 궤환하고 중단하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반복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4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송신경로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출력전력제어 신호 구성상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휴대단말기(UE)의 송신경로는,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고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 제어하는 동시에 출력전력제어신호(TPC) 신호에 의하여 각 증폭부의 증폭율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BB) 신호를 중간주파부(24)에 의하여 중간주파(IF) 신호로 변조하고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자동전력제어(APC: AUTO POWER CONTROL) 신호에 의하여 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며, 고주파부(22)에 의하여 상기 중간주파(IF) 신호를 고주파(RF) 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자동전력제어(APC) 신호에 의하여 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믹서부(20)와,
상기 믹서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TX)필터(30)와,
상기 송신필터(3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증폭율로 고출력으로 전력증폭하는 전력증폭부(40)와,
상기 전력증폭부(40)의 신호가 역방향으로 다시 궤환되어 인가되지 못하도록 일방향으로 전송하는 분리기(ISOLATOR)(50)와,
상기 분리기(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안테나(ANTENNA)를 통하여 무선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는 다른 경로로 전송되도록 하는 듀플렉서(6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출력전력제어신호(TPC)를 이용하여 해당 분석처리를 하므로써, 상기 믹서부(20)에는 자동전력제어신호(APC)를 출력하고, 상기 전력증폭부(40)에는 하이/로우(HIGH/LOW) 모드의 증폭율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상기 도5를 참조하면, 일 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10)에서 분석처리되는 출력전력제어신호(TPC)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은, 기지국(BS)에 의하여 휴대단말기(UE)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휴대단말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UE)가 기지국(BS)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지 또는 먼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S110)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S110)에서 판단하여 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기지국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레벨(REFERENCE LEVEL)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먼 거리 또는 원거리의 휴대단말기(UE)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판단과정(S120)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증가 제어하는 과정(S130); 상기 판단과정(S120)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감소 제어하는 과정(S140)으로 이루어진 원거리제어과정과,
상기 수신과정(S110)에서 판단하여 휴대단말기(UE)가 기지국(BS)으로부터 근 거리 또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휴대단말기(UE)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믹서부(20)의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근 거리의 휴대단말기(UE)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과정(S160); 상기 판단과정(S160)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믹서부(20)의 증폭율을 증가 제어하는 과정(S170); 상기 판단과정(S160)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믹서부(20)의 증폭율을 감소 제어하는 과정(S180)으로 이루어진 근거리제어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UE) 출력전력 제어를 계속 반복하는 경우는 상기 수신과정(S100)으로 궤환하고 중단하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반복과정(S15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는 안테나(ANTENNA)를 통하여 수신한 기지국의 출력전력제어신호(TPC)를 수신경로를 통하여 인가받고, 해당 분석 처리를 하므로써, 상기 믹서부(20)에 구비되는 증폭부의 증폭율을 제어하는 자동전력제어신호(APC)와 상기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제어하는 하이/로우 모드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상기 믹서부(20)는,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BB) 신호를 중간주파(IF) 신호와 고주파(RF) 신호로 순차 상향변조하는 동시에 각각 변조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자동전력제어신호(APC)에 의하여 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믹서부(20)의 상향변조 과정에서 발생한 잡음성분은, 송신필터(30)에 인가되어 차단되므로써 제거되고, 상기와 같이 잡음성분이 제거된 고주파(RF) 신호는 전력증폭부(40)에 인가되어 다시 증폭되며, 상기 전력증폭부(40)는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하이/로우 모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전력증폭부(4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분리기(50)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전송되지 못하고 상기 듀플렉서(60) 방향으로만 전송되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휴대단말기(UE)의 신호는 해당 기지국(BS)에서 수신하여 수신레벨을 판단하고,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기지국(BS)의 휴대단말기(UE) 출력전력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단말기(UE)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휴대단말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가까운 거리(근 거리)에 있는지 또는 먼 거리(원 거리)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의 거리판단(S110)에서 기지국(BS)과 휴대단말기(UE)의 거리가 먼 원거리의 경우, 소정의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수신되는지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120), 기준레벨보다 낮은 경우는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높이는 출력전력 제어를 하며(S130), 기준레벨보다 높은 경우는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낮추는 출력전력 제어를 한다(S140).
상기 거리판단(S110)에서 기지국(BS)과 휴대단말기(UE)의 거리가 가까운 근거리의 경우, 상기 기지국(BS)은 설정된 소정의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수신되는지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160), 기준레벨보다 낮은 경우는 믹서부(20)의 중간주파부(24)와 고주파부(22)를 각각 구성하는 해당 증폭부의 증폭율을 높이는 출력전력 제어를 하며(S170), 기준레벨보다 높은 경우는 상기 믹서부(20)의 증폭율을 낮추는 출력전력 제어를 한다(S180).
상기와 같은 출력전력 제어를 반복하여 계속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50),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수신과정(S100)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최종 출력전력이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높이고 믹서부(20)의 증폭율을 낮추는 경우와, 반대로,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낮추고 믹서부(20)의 증폭율을 높이고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동일한 출력전력에서 전력증폭부(40)의 증폭율을 믹서부(20)의 증폭율 보다 높게 설정하여 제어하는 경우, 휴대단말기는 소모 전류가 많지만,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이 좋아지며, 상기와 반대의 경우로써, 믹서부(20)의 증폭율을 전력증폭부(20)의 증폭율 보다 높게 설정하여 제어하는 경우는 휴대단말기의 소모 전류가 작지만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이 나빠진다.
상기와 같은 IMD 특성은 송신특성으로써, 인접 채널에 미치는 전력의 비율(ACALA: 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RATIO)과 상호변조(INTERMEDIATION)와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동일한 출력전력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도 믹서부(20)에 높은 증폭율을 할당하는 경우와 전력증폭부(40)에 높은 증폭율을 할당하는 경우에 각각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지국과 휴대단말기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는 AMD 특성이 비교적 좋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믹서부(20)의 증폭율을 높게 할당하고, 상기 기지국과 휴대단말기의 거리가 먼 경우는 AMD 특성이 좋아야 하므로, 전력증폭부(40)에 높은 증폭율을 할당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환경에 적응하면서도 제고된 통신품질과 적은 전류를 소모하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상기 도5에 도시된 QPSK 방식에서는, 중국의 TD-SCDMA 방식에 의한 CATS TS C103 규격에 의하면, 출력전력제어신호(TPC)를 위하여 2 비트를 할당하므로, 4가지 상태(STATUS)의 통신환경에 적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8ASK 방식에서는 3 비트가 할당되므로, 8 가지 상태의 통신환경에 적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TD-S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통신환경에 적응하여 제어하므로 써, 전류소모를 줄이는 동시에 통신품질을 제고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를 줄이므로 써,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통신시간을 연장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물리채널 구조 설명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출력전력 제어 코드 상태도 이며,
도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순서도 이고,
도4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송신경로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출력전력제어 신호 구성상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제어부 20 : 믹서부
22 : 고주파부 24 : 중간주파부
30 : 송신필터 40 : 전력증폭부
50 : 분리기 60 : 듀플렉서

Claims (3)

  1. 기지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운용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수신되는 경우는 가까운 거리 또는 먼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판단하여 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전력증폭부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원거리제어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판단하여 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기준레벨보다 높은 레벨 또는 낮은 레벨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믹서부 증폭율 제어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근거리제어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를 계속 반복하는 경우는 상기 수신과정으로 궤환하고 중단하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반복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제어과정은,
    먼 거리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증폭부의 증폭율을 증가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증폭부의 증폭율을 감소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제어과정은,
    근 거리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믹서부의 증폭율을 증가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수신신호의 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믹서부의 증폭율을 감소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KR10-2002-0081867A 2002-12-20 2002-12-20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KR10050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67A KR100504812B1 (ko) 2002-12-20 2002-12-20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AT03029251T ATE505853T1 (de) 2002-12-20 2003-12-18 Sendeleistungsverfahren in mobilkommunikationssystemen
DE60336700T DE60336700D1 (de) 2002-12-20 2003-12-18 Sendeleistungsverfahren in Mobilkommunikationssystemen
EP03029251A EP1432143B1 (en) 2002-12-20 2003-12-18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B2003101222970A CN100394707C (zh) 2002-12-20 2003-12-20 用于控制移动通信系统中手持终端的输出功率的方法
US10/740,629 US7379747B2 (en) 2002-12-20 2003-12-22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handheld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67A KR100504812B1 (ko) 2002-12-20 2002-12-20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233A KR20040055233A (ko) 2004-06-26
KR100504812B1 true KR100504812B1 (ko) 2005-07-29

Family

ID=3238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867A KR100504812B1 (ko) 2002-12-20 2002-12-20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79747B2 (ko)
EP (1) EP1432143B1 (ko)
KR (1) KR100504812B1 (ko)
CN (1) CN100394707C (ko)
AT (1) ATE505853T1 (ko)
DE (1) DE6033670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652B1 (ko) * 2004-02-12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80425B2 (en) * 2004-09-16 2012-10-02 Motorola Mobility Llc Wireless transmitter configuration
US8909945B2 (en) * 2005-04-08 2014-12-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power control in mesh systems
KR101253167B1 (ko) * 2006-08-1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상향링크 출력 전력 제어방법
US8050701B2 (en) * 2006-10-13 2011-11-01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8069603A1 (en) * 2006-12-07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KR100865378B1 (ko) * 2006-12-07 2008-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1237260B (zh) 2007-02-02 2011-1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装置与方法
US7970427B2 (en) * 2007-03-20 2011-06-28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improving call connection
KR101421164B1 (ko) * 2007-12-18 2014-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방법
KR101081452B1 (ko) * 2008-04-14 2011-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이득 제어기, 그것을 포함한 송수신기, 및 그것의자동 이득 제어 방법
KR102008247B1 (ko) * 2013-11-29 2019-08-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환경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056A (ja) * 1993-09-24 1995-06-02 Hitachi Ltd 移動体通信装置
US6236365B1 (en) * 1996-09-09 2001-05-22 Tracbeam, Llc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using a plurality of commercial wireless infrastructures
JP2954086B2 (ja) * 1997-05-16 1999-09-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6085108A (en) * 1997-12-15 2000-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GB9819113D0 (en) * 1998-09-02 1998-10-28 Roke Manor Research Measurement improvement in W-CDMA
JP3397237B2 (ja) * 1998-09-29 2003-04-14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通信システムと移動局およ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US6166622A (en) * 1998-10-28 2000-12-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ime slot structure for improved TPC estimation in WCDMA
ES2244110T3 (es) * 1998-12-07 2005-12-01 Nokia Corporation Metodo y sistema de control de potencia en redes de comunicaciones moviles.
KR100320425B1 (ko) * 1999-08-12 2002-01-15 서평원 순방향 링크 저속 전력 제어 방법
CN1119906C (zh) * 1999-10-26 2003-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通信功率控制的信干比门限调整方法及其装置
US6963752B1 (en) * 2000-09-18 2005-11-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energy
JP3479836B2 (ja) * 2000-09-18 2003-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受信装置
CN1157880C (zh) * 2000-09-25 2004-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时隙功率控制方法
KR100381003B1 (ko) * 2000-12-13 2003-04-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4707C (zh) 2008-06-11
EP1432143A3 (en) 2005-03-23
DE60336700D1 (de) 2011-05-26
EP1432143A2 (en) 2004-06-23
EP1432143B1 (en) 2011-04-13
ATE505853T1 (de) 2011-04-15
US7379747B2 (en) 2008-05-27
US20040132478A1 (en) 2004-07-08
KR20040055233A (ko) 2004-06-26
CN1510848A (zh)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09B1 (ko)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및 이동국 및 통신 제어 방법
JP3078330B2 (ja) C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遠隔送信機電力制御
EP1681780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0847147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a CDMA communication system
CN1771677B (zh) 发送功率的控制方法和装置
US757383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8015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ownlink signaling pow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1182801A1 (en)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KR10050481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출력전력 제어방법
KR20020070149A (ko) 이동 통신 시스템, 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것에사용하는 기지국
US20050159176A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tpc command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00071240A (ko) 수신기에 대한 자동 이득 제어 및 그 방법
US7206296B2 (en)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US66582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order message management
KR101016567B1 (ko) Wcdma 이동 단말기내 전력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를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US20050141446A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4208177A (ja)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4186212B2 (ja) 高速送信レート時の可変レート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17950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3660171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547720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84134B1 (ko) 역방향 송출전력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JP3660353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3660352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1248482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