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380B1 - 핀 파일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핀 파일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380B1
KR100504380B1 KR10-2002-0078786A KR20020078786A KR100504380B1 KR 100504380 B1 KR100504380 B1 KR 100504380B1 KR 20020078786 A KR20020078786 A KR 20020078786A KR 100504380 B1 KR100504380 B1 KR 10050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in pile
pile
main frame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975A (ko
Inventor
양인권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3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02D27/525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using elements penetrating the underwater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 파일의 수직균형을 유지한 채로 그 최하단부를 일정 높이 이상으로 들어 올릴수 있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는, 일측부에는 볼트홈이 있는 가로 바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모멘트의 원리에 의해 핀 파일의 하중을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 및 핀 파일에 결합되고 해체될 수 있도록 좌우로 벌어지는 구조를 갖고 일측부에 볼트홈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리프팅 아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는, 일측 단부에는 걸쇠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바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모멘트의 원리에 의해 핀 파일의 하중을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 및 측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있는 리프팅 아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가 매우 긴 핀 파일을 중간부를 절단하지 않고도 보통 용량의 해상 기중기에 의해 핀 파일을 쟈켓 파일의 내부공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핀 파일의 강도 저하 및 추가 공정에 의한 시공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핀 파일 리프팅 장치{Pine Pile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핀 파일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핀 파일의 중간에 설치된 리프팅 아이(Lifting Eye)와 모멘트를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를 사용하여 긴 길이의 핀 파일을 해상 기중기에 의해 쉽게 일정 높이 이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역 부두 또는 해상 교량 바다 위에 세워지는 구조물로서, 다수개의 교각이 세워지고 그 위에 상판이 설치되는 형태가 보통이다. 특히, 교각은 파도 및 해류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 깊이 이하로 해저 지반에 핀 파일을 고정시키고 몰타르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해저 지면에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쟈켓 레그를 설치하고 쟈켓 레그 내부에 쟈켓 파일을 삽입한 후, 드릴을 쟈켓 파일 내부에 삽입하여 해저 지반에 구멍을 뚫는다. 이어서, 핀 파일을 쟈켓 파일 위로 들어 올린 후 쟈켓 파일을 관통하여 해저 지반의 구멍에 핀 파일을 삽입하고 몰타르를 타설하면쟈켓 파일과 핀 파일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교각이 완성된다.
즉, 쟈켓 파일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 파일로서 해저 지반에 박히는 핀 파일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핀 파일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핀 파일을 쟈켓 파일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의 쟈켓 파일(160)을 해저 지면에 세워 놓은 후 내부에 드릴을 삽입하여 해저 지반에 구멍을 뚫는다. 이어서, 핀 파일(150)을 쟈켓 파일(160) 내부공에 삽입하려면 해상 기중기선(110)이 핀 파일(150)의 최하단부를 쟈켓 파일(160)의 최상단부보다 더 높게 들어올려야 한다. 이때 핀 파일(150)의 수직 균형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해상 기중기(120)의 붐(Boom)(130)에 핀 파일(150)의 최상단부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핀 파일(150)의 길이가 약 50 미터이고 쟈켓 파일(160)의 해수면 위 높이가 약 10 미터이므로 붐(Boom)(130)의 높이가 60 미터 이상인 대형 해상 기중기선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파일을 2개로 절단한 후 먼저 절단된 일부 핀 파일(210)의 상단부에 스토퍼(Stopper)(230)를 용접 설치하여 쟈켓 파일(160)에 가거치하고, 잔여 파일(220)을 들어서 쟈켓 파일(160)에 가거치한 핀 파일(210) 위로 가져가 용접을 실시한 후 핀 파일 스토퍼(230)를 철거함으로써 쟈켓 파일(160) 안으로 핀 파일(150)을 삽입 완료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핀 파일을 절단한 후 재 용접하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됨으로써 시공 비용이 상승하고 용접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가 매우 긴 핀 파일을 절단하지 않고도 보통 용량의 해상 기중기에 의해 쟈켓 파일의 내부공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핀 파일의 중간부를 지지하여 들어 올릴뿐 아니라 쟈켓 파일의 내부공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핀 파일의 수직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는, 중심부에는 해상 기중기의 붐에 로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리프팅 아이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바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모멘트의 원리에 의해 핀 파일의 하중을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 상기 메인 프레임과 리프팅 아이를 연결하는 결합수단; 및 핀 파일에 결합되고 해체될 수 있도록 좌우로 벌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리프팅 아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는, 중심부에는 해상 기중기의 붐에 로프에 의해 연결되기 위한 연결 고리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리프팅 아이와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걸쇠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바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모멘트의 원리에 의해 핀 파일의 하중을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 및 상기 걸쇠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 고리 형상의 걸림홈이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 파일에 결합되고 해체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리프팅 아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10), 이동차(350), 무게 추(360), 리프팅 아이(370) 등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310)은 긴 바 형태로서 중앙 상부에 해상 기중기(120)의 로프(140)가 연결될 수 있는 로프 연결고리(32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리프팅 아이(37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2개 이상의 볼트 홈(332)이 있는 연결부(330)가 있고, 타측 단부의 하부에는 이동차(350)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340)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차(350)는 해상 기중기(120)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수평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해상 기중기(120)의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기중기 운전석에 액츄에이터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무게 추(360)는 핀 파일(150)이 해상 기중기(120)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핀 파일(150)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보상해 줌으로써 핀 파일(150)의 수직 균형을 유지해 주기 위한 것이다.
즉, 무게 추(360)의 모멘트는 추의 질량과 중심축으로부터 거리의 곱으로 계산되므로, 해상 기중기(120)의 붐(130)과 연결된 메인 프레임(310)의 로프 연결 고리(320)를 중심축으로 볼 때 핀 파일(150)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와 핀 파일(150) 하중을 곱한 값에 비례해서 거리 및 질량을 정하여 무게 추(360)를 설치하여야 한다.
핀 파일(150)이 쟈켓 파일(160)을 관통하여 해저 지반의 시공구에 삽입되려면 핀 파일(150)의 수직 균형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무게 추(360)에 의한 모멘트 값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310)의 타단부에 설치된 레일(340)에 이동차(350)를 장착하고, 상기 이동차(350)의 하부에 무게 추(360)를 설치함으로써, 이동차(350)의 수평이동 거리에 따라 무게 추(360)의 모멘트 값이 달라지도록 한다.
무게 추(360)에 의한 모멘트 값을 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무게 추(360)의 하중을 가감할 수 있도록 무게 추(360)의 형상을 박스 형태의 바스켓 내부에 다수개의 추를 넣을 수 있는 구조물로 제작한다. 이렇게 하면, 바스켓 내부의 추의 숫자를 가감함으로써 용이하게 무게 추의 하중을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게 추에 의한 모멘트 값도 달라진다.
더욱이, 핀 파일(150) 수직 균형의 미세한 조정을 위하여 무게 추(360)가 있는 쪽의 메인 프레임(310) 상단부에 보조 로프가 해상 기중기의 붐(130)과 연결되어 있다.
리프팅 아이(370)는 해상 기중기(120)에 의해 이송될 핀 파일(150)의 중간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원기둥 형태의 핀 파일(15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핀 파일(150)의 외주면과 같은 크기의 내주면을 갖고 단부가 좌우로 벌어질 수 있는 2 개의 반원통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좌우로 벌어지는 단부로부터 판 형태로 연장된 결합부(372)에는 다수개의 체결구(37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체결구(374)에 볼트를 삽입하고 반대편의 너트와 체결함으로써 리프팅 아이(370)를 핀 파일(150)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핀 파일(150)의 하중이 매우 무거워 상기한 구조를 가진 리프팅 아이(370)에 의해 들어 올려질 수 없는 경우에는 리프팅 아이(370)를 핀 파일(150)의 측부에 용접하여 연결하고 작업 종료 후에 용접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리프팅 아이(370)의 다른 측부에는 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376)가 있고, 상기 연결부(376)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310)의 연결부(330)에 형성된 볼트 홈(332)과 대응되는 위치에 2 개 이상의 볼트 홈(37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2 군데 이상을 볼트로 연결하는 이유는 핀 파일(150)의 수직 균형이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310)와 상기 리프팅 아이(370)의 결합 수단은 제 1 실시예에서 보여준 볼트 및 너트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핀, 리벳 등 다양한 형태의 연결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연결 수단일수록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시공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핀 파일 리프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원통 형상의 리프팅 아이(370)의 개방 단부를 좌우로 벌려 핀 파일(150)을 삽입한 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재 결합시켜 리프팅 아이(370)를 핀 파일(150)의 중간 위치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3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330)와 리프팅 아이의 연결부(376)를 볼트 홈(332, 378)이 일치하도록 겹쳐 놓은 후 상기 볼트 홈(332, 378)에 볼트(334)를 삽입하여 반대편의 너트(336)와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핀 파일(150)에 고정된 리프팅 아이(370)는 메인 프레임(3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핀 파일 리프팅 장치(300)에 의하여 핀 파일(150)의 중간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해상 기중기(120)를 이용하여 핀 파일(150)을 들어 올리면, 대형 기중기에 의하지 않고도 핀 파일(150)의 최하단부를 원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수 있다.
한편, 핀 파일(150)이 리프팅 아이(370)에 의해 고정된 쪽과 반대쪽의 메인 프레임(310) 하부에 무게 추(360)를 설치함으로써, 핀 파일(150)의 하중에 의해 메인 프레임(310)이 받게 되는 회전 모멘트를 보상하여 핀 파일(150)의 수직 균형을 유지한다.
회전 모멘트는 중심축과의 거리와 하중에 따라 달라지므로 핀 파일(150)의 하중에 따라 무게 추(360)의 하중을 다르게 조정하거나, 중심축으로부터의 무게 추(360)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 방법으로는, 무게 추(360)를 바스켓 형태로 하고 그 내부에 넣는 추의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무게 추(360)의 모멘트를 조정하거나, 메인 프레임(310)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340)에 장착된 이동차(350)에 의해 무게 추(36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무게 추(360)에 의한 모멘트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무게 추(360)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310)의 상단부를 해상 기중기(120)에 보조 로프(410)로 연결하여 무게 추(360)에 의한 모멘트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이동차(350)는 해상 기중기(120)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수평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손쉽게 무게 추(360)에 의한 보상 모멘트값을 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측부에 걸쇠(536)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510)과 이와 대응되는 측부에 걸림홈(576)이 형성된 리프팅 아이(57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510)은 긴 바 형태로서 중앙의 상부에 해상 기중기의 붐(130)과 로프(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로프 연결 고리(520)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메인 프레임(510)과 직각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53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53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530)의 상단부와 메인 프레임(510) 사이에 상부 보조 프레임(532)이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530)의 하단부와 메인 프레임(510) 사이에는 하부 보조 프레임(534)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510)의 타측 단부의 하부에는 레일(54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540)에는 이동차(550)가 장착되며, 이동차(550)의 하부에는 무게 추(56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530)의 외측부에는 리프팅 아이(570)의 걸림 홈(57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종단부가 상향으로 고정되며 직각으로 굴곡된 3 개의 걸쇠(536)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팅 아이(570)는 개방 단부가 좌우로 벌어질 수 있도록 2 개의 반원통이 결합된 형태를 갖고 있고 좌우로 벌어지는 단부에는 판 형태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된 결합부(572)가 있으며 반대 측부에는 지지 프레임(530)의 걸쇠(5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고리형태의 걸림홈(57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프팅 아이(570)의 수량은 메인 프레임의 걸쇠(536)의 수량에 따라 달라지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3 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한 핀 파일 시공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5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5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쇠(536)가 리프팅 아이(570)의 걸림홈(576)에 삽입됨으로써 메인 프레임(510)과 리프팅 아이(570)가 손쉽게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510)을 아랫쪽으로 이동시켜 걸쇠(536)가 리프팅 아이(570)의 걸림홈(576)으로부터 배출되면 메인 프레임(510)은 리프팅 아이(570)로부터 곧 이탈된다.
따라서, 해상 기중기의 붐(130)에 연결된 메인 프레임(510)의 걸쇠(536)를 핀 파일(150)의 중간 위치에 고정된 리프팅 아이(570)의 걸림홈(576)에 삽입하여 핀 파일(150)을 쟈켓 파일(160)의 위로 이송시킨 후, 핀 파일(150)을 쟈켓 파일(160)의 내부공에 삽입할 수 있으며, 핀 파일(150) 삽입 작업의 종료 후에는 보조 작업자의 도움 없이 해상 기중기의 붐(130)을 하향 이동시켜 메인 프레임(510)을 리프팅 아이(570)로부터 손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핀 파일의 수직 균형을 유지하려면 무게 추(560)에 의한 회전 모멘트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무게 추(560)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510)쪽의 상단부에 보조 로프(610)를 연결하여 적당히 당겨주거나 느슨하게 함으로써 핀 파일(150)의 수직 균형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핀 파일의 중간에 설치될 수 있는 리프팅 아이와 핀 파일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가 포함된 핀 파일 리프팅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길이가 매우 긴 핀 파일을 별도의 대형 해상 기중기를 반입하거나 핀 파일의 중간부를 절단하지 않고도 보통 크기의 해상 기중기에 의해 핀 파일을 쟈켓 파일의 내부공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핀 파일의 중간을 절단한 후 재 용접하여 핀 파일 삽입 작업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파일의 강도 저하 및 추가 공정에 의한 시공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핀 파일 시공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핀 파일 시공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이용한 핀 파일 시공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 파일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한 핀 파일 시공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해상 기중기선 120 : 해상 기중기
130 : 붐(Boom) 140 : 로프
150 : 핀 파일 160 : 쟈켓 파일
230 : 스토퍼 310, 510 : 메인 프레임
320, 520 : 로프 연결고리 330 : 연결부
332, 378 : 볼트 홈 334 : 볼트
336 : 너트 340, 540 : 레일
350, 550 : 이동차 360 , 560 : 무게 추
370, 570 : 리프팅 아이(Lifting Eye)
372 , 572 : 결합부 374, 574 : 체결구
376 : 연결부 410 : 보조 로프
532 : 상부 보조 프레임 534 : 하부 보조 프레임
536 : 걸쇠 576 : 걸림홈
610 : 보조 로프

Claims (10)

  1. 해상 기중기에 이용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는 해상 기중기의 붐(Boom)에 로프에 의해 연결되기 위한 연결 고리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리프팅 아이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바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모멘트의 원리에 의해 핀 파일의 하중을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
    상기 메인 프레임과 리프팅 아이를 연결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결부와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연결부가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 파일에 결합되고 해체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리프팅 아이(Lifting Ey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아이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으로는 볼트 및 너트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3. 해상 기중기에 이용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는 해상 기중기의 붐(Boom)에 로프에 의해 연결되기 위한 연결 고리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리프팅 아이와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걸쇠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 바 형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모멘트의 원리에 의해 핀 파일의 하중을 보상해 줄 수 있는 무게 추; 및
    상기 걸쇠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 고리 형상의 걸림홈이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 파일에 결합되고 해체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리프팅 아이(Lifting Ey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일측 단부에는 상기 핀 파일의 수직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단부와 수직으로 연결된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부에 다수개의 걸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핀 파일의 수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 보조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아이는 원기둥 형태의 상기 핀 파일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핀 파일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갖는 2 개의 반원통 형태를 갖고 좌우로 벌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아이의 개방된 단부에는 판 형태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체결구가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는 하중을 가감할 수 있도록 박스 형태의 바스켓 내부에 다수개의 추를 넣을 수 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는 무게 추가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및 이동차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차에는 해상 기중기 운전자의 원격 제어에 의해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파일 리프팅 장치.
KR10-2002-0078786A 2002-12-11 2002-12-11 핀 파일 리프팅 장치 KR100504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786A KR100504380B1 (ko) 2002-12-11 2002-12-11 핀 파일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786A KR100504380B1 (ko) 2002-12-11 2002-12-11 핀 파일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975A KR20040050975A (ko) 2004-06-18
KR100504380B1 true KR100504380B1 (ko) 2005-07-28

Family

ID=3734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786A KR100504380B1 (ko) 2002-12-11 2002-12-11 핀 파일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419B1 (ko) * 2012-09-14 2014-07-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레그 결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1166A (en) * 1974-07-26 1978-12-26 Van Kooten B.V. Pile driving device
JPS59228536A (ja) * 1983-06-09 1984-12-21 Haneda Fume Can Kk マンホ−ル用躯体ブロツク等に流入管用の穴を削孔する方法
JPS6259717A (ja) * 1985-09-10 1987-03-16 Nippon Kokan Kk <Nkk> クレ−ン船による杭又は杭打機の案内方法
US5304015A (en) * 1993-02-17 1994-04-19 Sonomura Roy N Pile grabber apparatus
KR200258887Y1 (ko) * 2001-09-18 2001-12-28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수중 구조물의 기초 파일용 수직조정 장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1166A (en) * 1974-07-26 1978-12-26 Van Kooten B.V. Pile driving device
JPS59228536A (ja) * 1983-06-09 1984-12-21 Haneda Fume Can Kk マンホ−ル用躯体ブロツク等に流入管用の穴を削孔する方法
JPS6259717A (ja) * 1985-09-10 1987-03-16 Nippon Kokan Kk <Nkk> クレ−ン船による杭又は杭打機の案内方法
US5304015A (en) * 1993-02-17 1994-04-19 Sonomura Roy N Pile grabber apparatus
KR200258887Y1 (ko) * 2001-09-18 2001-12-28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수중 구조물의 기초 파일용 수직조정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975A (ko)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6752B2 (ja) クレーンのためのカウンタウェイトブロック及びアセンブリ
JP6022170B2 (ja) 風力タービンを洋上サイトに輸送するための船舶およびそれを設置する方法
US4432664A (en) Boat hoist
JP5522812B1 (ja) バケット装着具
CA2800886A1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US8844085B2 (en) Bridge cap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US8540461B2 (en) Circular pile head for underpinning a slab
CN210655774U (zh) 一种灌注桩的钢筋笼吊放装置
CN214114729U (zh) 一种用于动臂塔吊的内爬升装置
KR100504380B1 (ko) 핀 파일 리프팅 장치
CA2980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stallation of caissons
CN219689087U (zh) 一种核电蒸汽发生器用具有自平衡调节功能的起吊装置
CN210482356U (zh) 独立塔式起重机基座
CN209493242U (zh) 一种双臂平行起重机
CN113928976A (zh) 一种可补偿地震运动的港口机械防风锚定装置
KR101358216B1 (ko) 핀타입 리프팅프레임 및 핀타입 리프팅프레임을 이용한 데릭 설치 공법
EP3775391B1 (en) Offshore platform deck removal system and method
WO2012153137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and a method thereof
KR20220137687A (ko)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CN211712447U (zh) 一种桩柱组合式吊具
CN216739291U (zh) 一种墩身调整装置
CN214658614U (zh) 一种可移动可顶升的大承载施工平台
JP7113577B1 (ja) 水底均し装置
US34980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rge anchoring and stabilizing
US20230294964A1 (en) Mobile crane having a counterweigh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