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645B1 - Partition having flowerpots - Google Patents

Partition having flowerpo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645B1
KR100503645B1 KR1020050029049A KR20050029049A KR100503645B1 KR 100503645 B1 KR100503645 B1 KR 100503645B1 KR 1020050029049 A KR1020050029049 A KR 1020050029049A KR 20050029049 A KR20050029049 A KR 20050029049A KR 100503645 B1 KR100503645 B1 KR 10050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panel
hole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설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2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6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6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 실내공간을 필요에 따라 구획하는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획된 공간의 환경을 개선하고자 각종 화초를 식재하고 이를 가꿀 수 있도록 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양측면에 각각 서로 상응하는 돌부와 홈부가 형성된 평판형상으로, 전선이 통과하여 배선되는 배선지지체와, 상기 배선지지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공간적ㆍ시각적으로 실내를 격실하는 본체로 구성된 패널을 포함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소정면적으로 절개ㆍ형성되며 그 바닥면을 따라 절개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배수구를 갖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선지지체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한데 모아 담는 용기형상의 물받이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물받이가 외부로 착탈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물받이끼움구가 형성되며;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인 식재공간을 갖는 판형상으로, 상기 공간부에서 전후방으로 여닫히도록 회전축 및 회전홈 매개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식재공간의 개구된 하면인 바닥면은 망구조체인 배수망으로 폐구된 식재함; 및, 내측에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함 상면에 조적되는 박스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저수공간을 개구시키는 주입구와, 저면에는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는 통수구와, 상기 통수구에서 통수구를 폐구하는 방향으로 탄발되는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방으로 회동되며 소정직경의 구멍을 구비하는 배수도어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저수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통수구로 기울어진 사면으로 된 저수통이 더 포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terial that partitions the interior space as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building material that can be planted and planted various flower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partitioned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late having a protrusion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thereof, comprising a wiring support in which wires are passed through, and a main body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iring support and spaced visually and visually.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for space part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having a drain hole which is cu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nd is cut along the bottom surface and opened downwar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A communication port in communication with is formed; The wiring support further includes a container-shaped drip tray that collect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and a drip fitting hole is formed to be inserted to be detachable to the outside; A plate shape having a hollow planting space having an upper and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means of a rotating shaft and a rotating groov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spac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planting space, is a network structure Vegetation closed with nets; And, 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box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box, the injection hole for opening the water storage space on the upper surface, the wate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ort on the bottom surface, the water outlet to close the water drain port While having a drain door having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rotated up and down via a hinge axis that is shot in the direc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space further includes a reservoir having an inclined slope to the water passage.

Description

건축물 내부에 인공적인 식재공간을 형성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Partition having flowerpots}Building materials for space division to form artificial planting spaces inside buildings {Partition having flowerpots}

본 발명은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 실내공간을 필요에 따라 구획하는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획된 공간의 환경을 개선하고자 각종 화초를 식재하고 이를 가꿀 수 있도록 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terial that partitions the interior space as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building material that can be planted and planted various flower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partitioned space It is about.

사무실 등 다수인이 모여 작업을 하는 곳에는 개개인의 작업공간을 독립적으로 구획하기 위한 건축자재인 일명 파티선(또는 칸막이)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패널(100)이 일렬 및 수직으로 연결ㆍ배치되어서 격자형태로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Where many people work together, such as offices, so-called party ships (or partitions), which are building materials for independently partitioning individual workspaces, are installed. In this building material,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panels 100 are connected and arranged in a row and vertically to partition a space in a grid.

즉, 상기 건축자재(10)는 다른 곳과는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 시 받게되는 외부간섭을 최소화하고, 폐쇄된 공간을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다수인이 공유하는 공간 내에 개인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building material 10 secures a space independent from other places to minimize external interference received during work, and provides a closed space to workers so as to provide a personal space in a space shared by many people. It is.

그런데, 종래 건축자재(10)는 단순히 평판형상으로 되어 외관미가 무미건조하고 삭막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실내공기의 효율적인 순환을 방해하게 되므로, 건축자재(10)를 이용함에 있어 얻는 것보다는 잃는 것이 많았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building materials (10) is simply flat plate shape to create a tasteless dry and deteriorating working environment while preventing the efficient circulation of indoor air, it was more than lose in using the building materials (10). .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공간을 구획하더라도 폐쇄된 공간이 심미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삭막하지 않고, 실내공기의 순환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한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건축물 내부에 인공적인 식재공간을 형성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even if partitioned indoor space, the closed space is not aesthetically and psychologically depressed, and the circulation effect of the indoor air can be improved, and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easy. The purpose is to provide building materials for space partitions that form artificial planting spaces inside building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양측면에 각각 서로 상응하는 돌부와 홈부가 형성된 평판형상으로, 전선이 통과하여 배선되는 배선지지체와, 상기 배선지지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공간적ㆍ시각적으로 실내를 격실하는 본체로 구성된 패널을 포함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에 있어서,A space compartment including a panel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rotrusion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thereof, the wiring support being wired through the wires, and a main body located on the wiring support and spaced in a space visually and visually. In building materials for

상기 본체는,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소정면적으로 절개ㆍ형성되며 그 바닥면을 따라 절개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배수구를 갖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며;The main body includes a space portion having a drainage opening which is cu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is cut along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is opened downwar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배선지지체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한데 모아 담는 용기형상의 물받이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물받이가 외부로 착탈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물받이끼움구가 형성되며;The wiring support further includes a container-shaped drip tray that collect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and a drip fitting hole is formed to be inserted to be detachable to the outside;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인 식재공간을 갖는 판형상으로, 상기 공간부에서 전후방으로 여닫히도록 회전축 및 회전홈 매개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식재공간의 개구된 하면인 바닥면은 망구조체인 배수망으로 폐구된 식재함; 및,A plate shape having a hollow planting space having an upper and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means of a rotating shaft and a rotating groov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spac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planting space, is a network structure Vegetation closed with nets; And,

내측에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함 상면에 조적되는 박스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저수공간을 개구시키는 주입구와, 저면에는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는 통수구와, 상기 통수구에서 통수구를 폐구하는 방향으로 탄발되는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방으로 회동되며 소정직경의 구멍을 구비하는 배수도어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저수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통수구로 기울어진 사면으로 된 저수통;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box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box, the injection hole for opening the water storage space on the upper surface, the water outlet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direction to close the water supply port in the water outlet A reservoir having a drainage door pivoted upward and downward with a hinge shaft being provided and having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being inclined to the water passage;

이 더 포함된 공간구획용 건축자재이다.It is a building material for space division that this is included mor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축자재에 있어서,In the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수구 및 연통구를 통한 낙수를 받아 하방에 위치된 상기 식재함으로 공급하도록 되되,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고정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배수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의 아래쪽 상면 둘레부에는 소정높이로 돌출된 저수대와, 상기 배수구멍의 아래쪽 저면 둘레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흘러내림차단돌기가 구비된 분수대가 더 포함된 것이다.I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falling water through the water port and the communication port to supply to the planter located below, fix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hole is larger diameter The lower top circumference of the drainage hole further includes a reservoir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lower bottom circumference of the drainage hole further includes a fountain having a downward b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축자재에 있어서, In the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패널이 이웃하는 패널과 상호 수직으로 교차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이웃하는 다른 패널과 연결되게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개구방향과 수직하는 일면에서 상기 패널의 돌부 또는 홈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홈부 또는 돌부를 포함하는 연결구가 더 포함되고;One side of the panel is inserted to be connected to another neighboring panel so that the panel can be connected to be perpendicularly intersected with the neighboring panel, and an insertion hole of the panel at on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or A connector including a groove portion or a protrusion formed to engage with the groove portion is further included;

상기 패널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삽입구로 일측단이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패널간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구의 하단에 돌출된 바닥체와 맞물리는 조립홈이 형성된 것이다.At both lower ends of the panel, one side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o as to match the height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anel, an assembly groove is formed to engage the bottom body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hol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조립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anel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anel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획용 건축자재는 실내공간을 격실하기 위해, 양측면에 각각 서로 상응하는 돌부(131)와 홈부(132)가 형성된 평판형상으로, 전선이 통과하여 배선되는 배선지지체(120)와, 상기 배선지지체(120)의 상부에 위치되어 공간적ㆍ시각적으로 실내를 격실하는 본체(110)로 구성된 패널(100)을 포함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소정면적으로 절개ㆍ형성되며 그 바닥면을 따라 절개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배수구(141)를 갖는 공간부(140)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140)와 연통되는 연통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배선지지체(120)는, 상기 배수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한데 모아 담는 용기형상의 물받이(17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물받이(170)가 외부로 착탈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물받이끼움구(122)가 형성되며;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인 식재공간(161)을 갖는 판형상으로, 상기 공간부(140)에서 전후방으로 여닫히도록 회전축(142) 및 회전홈(162)을 매개로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고, 상기 식재공간(161)의 개구된 하면인 바닥면(163)은 망구조체인 배수망(164)으로 폐구된 식재함(160); 및, 내측에 저수공간(156 ; 도 5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함(160) 상면에 조적되는 박스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저수공간(156)을 개구시키는 주입구(151)와, 저면에는 상기 연통구(111)와 연통되는 통수구(155 ; 도 5 참조)와, 상기 통수구(155)에서 통수구(155)를 폐구하는 방향으로 탄발되는 힌지축(154 ; 도 5 참조)을 매개로 상하방으로 회동되며 소정직경의 구멍(153a ; 도 5 참조)을 구비하는 배수도어(153 ; 도 5 참조)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저수공간(156)의 바닥면은 상기 통수구(155)로 기울어진 사면(152 ; 도 5 참조)으로 된 저수통(150)이 포함된 것이다.The spac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plate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s 131 and the grooves 13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in order to compartment the indoor space, and the wiring support 120 to which wires are passed through. In the building material for space partition comprising a panel 100 composed of a main body 110 located above the wiring support 120, and spatially and visually compartments, the main body 110, the front and It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140 which is cu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penetrate the rear surface and has a drain hole 141 which is cut along the bottom surface and opened downwar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d with the space portion 140 on the upper surface. 111 is formed; The wire supporter 120 further includes a container-shaped drip tray 170 that collect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 141 together, and the drip tray is inserted to be detachable to the outside. A sphere 122 is formed; A plate shape having a hollow planting space 161,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110 via the rotating shaft 142 and the rotating groove 162 to open and close in the front and rear in the space 140. The bottom surface 163, which is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planting space 161, is a planting box 160 closed by a drainage network 164 that is a network structure; And, a water storage space (156 (see Fig. 5)) is formed inside the box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box 160, the injection hole 151 for opening the water storage space 156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Through the water port (155; Fig. 5)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port 111, and the hinge shaft (154 (see Fig. 5))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water outlet 155 in the water outlet 155 through the medium And a drainage door 153 (see FIG. 5)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of the hole 153a (see FIG. 5), while being rotated up and dow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156 is connected to the water passage 155. A reservoir 150 having an inclined slope 152 (see FIG. 5) is included.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10)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패널(100)을 포함하며, 이 패널(100)에는 화초를 식재할 수 있는 식재함(160)이 포함된다. 상기 식재함(160)은 상기 패널(100)의 전체형상에 상응할 수 있는 판 형상을 지니며, 내측에는 소정체적의 식재공간(1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161)으로 식재를 위한 토사를 충진하거나 화초를 직접 식재할 수 있도록, 식재함(160)의 상면은 개구되고 이와 더불어 바닥면(163)도 물빠짐을 위해 개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uilding materi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100 capable of partitioning a space, and the panel 100 includes a planting box 160 capable of planting flowers. The planting box 160 has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panel 100, and a planting space 161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s formed inside. In addition, in order to fill the soil for planting or planting flowers directly into the planting space 161,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box 160 is opened and the bottom surface 163 is also opened for draining.

따라서, 상기 식재공간(161)은 상하로 개구된 공간이 될 것이다.Therefore, the planting space 161 will be a space opened up and down.

한편, 상기 바닥면(163)은 토사의 흘러내림을 막으면서 물빠짐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망구조의 배수망(164)이 배치되어 바닥면(163)의 개구부를 폐구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163 is a drainage net 164 of the network structure is disposed so that the drainage is smooth while preventing the flow of the soil is closed to close the opening of the bottom surface 163.

상기 식재함(160)은 안쪽의 식재공간(161)으로 화초가 식재되는 만큼, 화초가 외부로 가시될 수 있도록 그 재질을 투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식재함(16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화초의 호흡 및 광합성 작용이 원활이 진행되도록 환기되는 통기구(165)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기구(165)는 상기 식재공간(161) 내측이 밀폐되는 것을 막아 식재된 화초의 원활한 발육을 가능하게 한다.The planting box 160 may be transparent to the material so that the flowers can be visible to the outside as the flowers are planted in the inner planting space 161. In addition, the one or both sides of the planting box 16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vent 165 that is ventilated to facilitate the respiration and photosynthesis of the flower. The vent 165 prevents the inside of the planting space 161 from being sealed to enable the smooth growth of the planted plants.

계속해서, 상기 식재함(160)은 본체(110)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140)에 탑재되어 패널(100)과 일체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식재함(160)은 일측단에 회전홈(162)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140)의 일측단에는 상기 회전홈(162)에 상응하는 회전축(142)이 형성되어서 이를 매개로 식재함(160)이 전후방으로 여닫힐 수 있다. 이는 상기 식재함(160)에 식재된 화초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식재함(160)이 전후방으로 여닫히면서 상기 식재공간(161)의 상면 개구부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이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142)은 공간부(140)에, 상기 회전홈(162)은 식재함(160)에 각각 구비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일 뿐이므로, 회전축(142)과 회전홈(162)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142)과 회전홈(162)의 맞물림으로 상기 식재함(160)이 여닫히는 구조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lanting box 160 is mounted on the space 140 formed in the main body 110 to be integrated with the panel 100. At this time, the planting box 160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tary groove 162 on one side end, the rotary shaft 142 corresponding to the rotary groove 162 on one side end of the space portion 140. ) Is formed so that the planting box 160 can be opened and closed back and forth. This is to manage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box 160, while the planting box 160 is opened and closed in front and rear,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planting space 161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nable this. On the other hand, the rotary shaft 142 is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140, the rotary groove 162 is provided in the planting box 160,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shaft 142 and the rotation The position of the groove 162 may be changed. In addition, if the planting box 160 is opened and closed by engaging the rotary shaft 142 and the rotary groove 162, i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상기 식재함(160)이 탑재되는 공간부(140)는 본체(110)의 소정위치에 전후면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패널(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식재함(160)을 가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공간부(140)의 바닥면에는 배수구(141)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41)는 식재함(160)의 개구된 바닥면(163)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는 배수범위를 넓힘으로서 식재공간(161)에 공급된 수분에 대한 물빠짐을 원활히 하여 잔류하고 있는 수분이 뿌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pace 140 on which the planting box 160 is mounted is form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penetr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planting box 160 can be visibl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panel 100. do. On the other hand, the drain 14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40. The drain 141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ed bottom surface 163 of the planting box 160. This is to widen the drainage range so as to smoothly drain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space 161 so that the remaining water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roots.

상기 배선지지체(120)는 구획된 각 공간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배선 또는 전화선 등을 배선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0)에서는 상기 배수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아 별도로 처리할 수 있는 물받이(170)가 구비된다. 상기 물받이(170)는 물을 담아 모을 수 있는 용기형상을 이루며, 외부에서 그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물받이(170)가 끼워지는 물받이끼움구(122)를 포함한다.The wiring support 120 is provided for wiring an electric wiring or a telephone line used in each partitioned space. In th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 141 is separately processed. The drip tray 170 is provided. The drip tray 170 forms a container shape for collecting water, and includes a drip tray fitting 122 to which the drip tray 170 is fitt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상기 물받이(170)는 패널(10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식재함(160)으로 공급된 물이 중력으로 하방이동되면서 바닥면(16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경우, 이를 한데 모을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공급된 물에 비해 배출되는 물은 적을 것이므로 상기 물받이(170)의 체적은 크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170)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패널(100)의 일 지점에 배치될 것인 바, 본체(110)의 전면을 차지하고 있는 식재함(160)에서 넓은 범위로 배출되는 물을 상기 물받이(170)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0)에는 유수가이드(1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수가이드(114)는 경사면으로 되어서 그 경사면을 따라 물이 이동하면 최종적으로 물받이(170)에 도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drip tray 17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anel 100 and provided to the planting box 160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box 160 moves downward through the bottom surface 163 while being moved downward by gravity, As the water discharged will be less than the water supplied, the volume of the drip tray 170 does not have to be large. Thus, the drip tray 170 is made of a relatively small size to be disposed at a point of the panel 100, the water discharged to a wide range from the planting box 160 occupy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In order to guide toward the drip tray 170, th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w guide 114. The flow guide 114 becomes a slope and is installed to finally reach the drip tray 170 when water moves along the slop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10)는 패널(100)과 더불어 이 패널들이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면서도 그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200)가 더 포함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building materi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anel 100 and a connector 200 to maintain the fixing force while the panels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한편, 상기 패널(100)은 이웃하는 다른 패널(100')과의 연결을 위해 돌부(131)와 홈부(132)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들 간의 연결은 돌부(131)와 이 돌부(1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부(132)의 맞물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Meanwhile, the panel 100 has protrusions 131 and grooves 132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respectively, for connection with neighboring panels 100 '.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nels is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131 and the groove 132 into which the protrusion 131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홈부(132)는 내측면에 요홈(132a)이 형성되며, 상기 돌부(131)는 상기 요홈(132a)에 상응하는 돌기(13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부(131)와 홈부(132)의 맞물림으로 패널(100, 100')이 일방향으로 탈부착된다.The groove 132 has a groove 132a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the protrusion 131 has a protrusion 131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32a. Therefore, the panels 100 and 100 ′ are detached in one direction by engaging the protrusion 131 and the groove 132.

상기 연결구(200)는 패널(100)이 직교되도록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패널(100)의 일측단이 삽입되면서 이웃하는 다른 패널(100')과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구(22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220)가 형성된 면과 수직한 면으로는 패널(100)에 형성된 돌부(131) 또는 홈부(132)에 상응하는 홈부(210) 또는 돌부(미도시됨)가 형성된다. 따라서, 임의의 패널이 상기 삽입구(22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패널과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홈부(210) 또는 돌부와는 삽입구(220)로 인입된 패널과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패널이 고정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10)를 격자형태로 배치하면서도 그 고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축자재(10) 간의 고정성이 우수하여 공간구획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다.The connector 200 connects the panel 100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includes an insertion hole 220 formed to be engaged with another neighboring panel 100 'while one end of the panel 100 is inserted. A groove 210 or a protrus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31 or the groove 132 formed on the panel 100 is formed as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nsertion hole 220 is formed. Therefore, any panel is connected in series with other panels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220, and the panel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pane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0 is fixed to the groove portion 210 or the protrusion. 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in a grid form while maintaining its fixability. In addition, it is excellent in the fixing between the building materials 10 can be achieved firmly the space compart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 및 저수대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내 식재함에 급수되는 과정을 순차도시한 부분 단면도인바, 상기 도 5와 더불어 설명한다.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untain and a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water supply to a planting material in a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패널(100)의 상면에는 저수통(150)이 포함된다. 상기 저수통(150)은 식재함(160) 내에 물을 공급하여 식재된 화초가 원활히 발육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비교적 좁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식재공간(161)으로의 물공급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An upper surface of the panel 100 includes a reservoir 150. The reservoir 150 is for supplying water in the planting box 160 so that the planted flowers can be smoothly developed, and through this, water supply to the planting space 161 having a relatively narrow open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

이러한 저수통(150)은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156)이 형성된 함형상으로, 상기 저수공간(156)을 개구하는 주입구(151)가 상면에 형성되어서 관리자가 상기 저수공간(156)으로 쉽게 물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상기 연통구(111)에 연통되는 통수구(1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151)를 통해 충진된 물은 저수공간(156)에 채워진 후 상기 통수구(155) 및 연통구(111)를 거쳐 그 하방에 위치된 식재함(160)의 식재공간(161)으로 공급된다.The reservoir 150 has a shape in which a reservoir space 156 capable of storing water is formed, and an inlet 151 for opening the reservoir space 156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a manager may store the reservoir space 156. It is easy to fill with water. On the other hand, the water passage 155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cation port 111 is formed. Therefore, the water filled through the inlet 151 is filled in the reservoir space 156 and then the planting space 161 of the planting box 160 located below the through the water outlet 155 and the communication port 111 Is supplied.

이때, 상기 투수구(155)에는 투수구(155)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배수도어(153)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배수도어(153)는 투수구(155)를 폐구하는 쪽으로 탄발되는 힌지축(154)을 매개로 상하방으로 여닫히도록 투수구(155)에 연결되어서, 상기 저수통(150) 내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질 경우 그 하중에 의해 상기 배수도어(153)가 열리면서 물을 공급하게 되고, 채워진 물의 하중이 힌지축(154)의 탄발력에 저항할 만큼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배수도어(153)가 힌지축(154)의 탄발력에 의해 닫히면서 투수구(155)를 폐구하도록 된다.In this case, the pitcher 155 includes a drain door 153 that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itcher 155. In addition, the drainage door 153 is connected to the pitcher 155 to open and close up and down via a hinge shaft 154 that is shot toward the closing hole of the pitcher 155, so that within the reservoir 15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water is filled, the drain door 153 is opened by the load to supply water, and when the load of the filled water is not sufficient to resist the elasticity of the hinge shaft 154, the drain door 153 ) I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inge shaft 154 to close the pitcher 155.

상기 배수도어(153)에는 구멍(153a)이 형성된다. 이 구멍(153a)은 배수도어(153)에 의해 상기 투수구(155)가 폐구되더라도 저수공간(156)에 충진된 물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 hole 153a is formed in the drain door 153. The hole 153a is to allow all the water filled in the reservoir space 156 to be discharged even when the water outlet 155 is closed by the drain door 153.

한편, 상기 저수공간(156)의 바닥면은 상기 투수구(155) 쪽으로 물이 흘러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152)을 이룬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156 forms a slope 152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water flows toward the pitcher 155.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물(w)을 채운 물통을 들어 주입구(151)로 물(w)을 주입하면 한번에 주입되는 물(w)의 양에 관계없이 상기 주입구(151)를 통해 넘쳐나지 않으면서 상기 저수통(150)이 이를 수용한다.(a도면)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when the manager injects the water filled w into the inlet 151, the manager injects the water w into the inlet 151 regardless of the amount of water w injected at one time. The reservoir 150 accommodates it without overflowing through (a drawing).

이때, 주입된 물(w)은 상기 저수공간(156)에 저수되면서 상기 힌지축(154)의 탄발력을 이길 수 있는 하중을 갔게 되어 배수도어(153)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열린 통수구(155) 및 연통구(111)를 통해 저수공간(156)에 충진된 물(w)이 배출된다.(b도면)At this time, the injected water (w)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56 is subjected to a load that can overcome the elasticity of the hinge shaft 154, the drain door 153 is opened. Water (w) filled in the reservoir space 156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 water outlet 155 and the communication port 111. (b diagram)

한편, 일정량의 물(w)이 배출되면 저수공간(156) 내 물(w)은 그 양이 준다. 따라서 그 하중도 줄면서 배수도어(153)가 힌지축(154)의 탄발력으로 닫히게 된다. 하지만 이때도 역시 상기 배수도어(153)의 구멍(153a)을 통해 배수량은 줄지만 그래도 그 배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c도면)On the other hand,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w) is discharged, the amount of water (w) in the reservoir space 156 is given by the amount. Therefore, the load is also reduced, the drain door 153 i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inge shaft 154. However, at this time, the drainage is reduced through the hole 153a of the drainage door 153, but still maintains the drainage state.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1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수구(155) 및 연통구(111)를 통한 낙수를 받아 하방에 위치된 상기 식재함(160)으로 공급하도록 되되,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고정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배수구멍(11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112a)의 아래쪽 상면 둘레부에는 소정높이로 돌출된 저수대(113)와, 상기 배수구멍(112a)의 아래쪽 저면 둘레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흘러내림차단돌기(112b)가 구비된 분수대(112)가 더 포함된다.The building materi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receives the falling water through the water passage 155 and the communication port 111 and supplies the planting box 160 located below. Although it is fix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112a is incr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servoir 113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 hole (112a) ) And a fountain 112 having a downward blocking protrusion 112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circumference of the drain hole 112a.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저수통(150)으로 일단 물을 채운 후 식재공간(161)으로 물을 공급할 경우, 상기 투수구(155) 및 연통구(111)를 경유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투수구(155) 및 연통구(111)는 특정 지점에 형성되어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삭재공간(161)의 한 지점에 집중될 수 밖에 없다. 이는 식재공간(161) 전체에 걸쳐 식재되어 있는 화초에 물공급을 균일하게 할 수 없게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ing space 161 after filling the reservoir 150 with water, it must pass through the pitcher 155 and the communication port 111. By the way, the pitcher 155 and the communication port 111 is formed at a specific point and can only be concentrated at one point of the cutting space 161 discharged through it. This makes it impossible to uniformly supply water to the plants planted throughout the planting space 161.

따라서, 상기 투수구(155) 및 연통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식재공간(161) 전체에 골고루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수대(112)가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0)에 더 포함된다.Therefore, a fountain 112 for supply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pitcher 155 and the communication port 111 evenly to the entire planting space 161 is further included in th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분수대(112)에 형성된 배수구멍(112a)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높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투수구(155) 및 연통구(111)를 통해 특정지점, 즉 상기 분수대(112)가 최고점에 물이 공급되면 기울어진 분수대(112)를 따라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그 도중에 형성된 배수구멍(112a)으로 배수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멍(112a)은 하방으로 갈 수록 그 직경이 넓어진다. 즉, 최고점에 가장 인접한 배수구멍(112a)은 그 직경이 최소인 반면, 최하점에 가장 인접한 배수구멍은 그 직경이 최대가 되는 것이다.One or more drainage holes 112a formed in the fountain 112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specific point, that is, the fountain 112, is formed through the pitcher 155 and the communication hole 111.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highest point, the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clined fountain 112 and is drained to the drain hole 112a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112a becomes wider as it goes downward. That is, the drain hole 112a closest to the highest point has the smallest diameter, while the drain hole closest to the lowest point has the largest diameter.

이는 최초로 물이 공급되는 최고점 인접 배수구멍(112a)을 통해 대다수의 물이 배수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수구(155) 및 연통구(111)를 통해 일정하게 공급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공급되는 물이 식재공간(161)에 골고루 분배될 수 있게 된다.This is to prevent the majority of the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water drain hole 112a adjacent to the highest point for the first water supply, and effectively distributes the water uniformly supplied through the pitcher 155 and the communication port 111, The water supplied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planting space 161.

계속해서, 상기 저수대(113)는 흘러내려오는 물을 해당 배수구멍(112a) 상에 일시적으로 정체시켜 물이 해당 배수구멍(11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는 경사진 상기 분수대(112)를 따라 물이 빠르게 이동함으로서 배수구멍(112a)을 통해 충분한 양의 물이 배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Subsequently, the reservoir 113 temporarily stagnates the flowing water on the drain hole 112a to assist the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12a.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cannot be drained through the drain hole 112a by moving the water rapidly along the inclined fountain 112.

또한, 상기 분수대(112)의 저면에는 흘러내림차단돌기(112b)가 더 형성된다. 상기 흘러내림차단돌기(112b)는 배수구멍(112a)을 통해 배출된 물이 표면장력에 의해 분수대(112)의 저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물의 배분효과를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각 배수구멍(112a)의 하단부에 돌출되어서 분수대(112)의 저면을 타고 내려오는 물을 막아 하방으로 낙하시킨다.In addition, a lowering blocking protrusion 112b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ountain 112. The falling blocking protrusion 112b is to solve the problem of inhibiting the water distribution effect while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12a moves downwar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ountain 112 by the surface tension. Protruding to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12a) to prevent the water coming down on the bottom of the fountain 112 to fall down.

이를 위해, 상기 흘러내림차단돌기(112b)의 종단은 끝이 뾰족하게 되어 물이 갖는 표면장력을 최소화킨다.To this end, the end of the falling block (112b) has a sharp tip to minimize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재공간으로 활용하기에는 그 폭이 좁고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어 삭막한 평판형상으로 밖에는 제작될 수 밖에 없던 공간구획용 건축자재에, 식재공간에 식재된 화초로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포함되는 저수통 및 분수대 등이 포함되고, 식재된 화초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식재함이 더 포함되어, 공간구획에 대한 기존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조로운 실내환경을 개선하고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그 관리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plant to be used as a planting space and difficult to manage, so as to be produced only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spac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s,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water uniformly It includes a reservoir and a fountain included to supply water, and includes a planting box configured to facilitate management of planted flowers, improving the monotonous indoor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functions of the space compartment and maintaining indoor air. It is easy to manage but easy to manage.

도 1은 공간구획용 건축자재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building materials for space partition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조립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nel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 및 저수대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ntain and a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내 식재함에 급수되는 과정을 순차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planting material in th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Explanation of terms for main parts of attached drawings-

10 ; 건축자재 100 ; 패널10; Building materials 100; panel

110 ; 본체 111 ; 연통구110; Main body 111; Communication

112 ; 분수대 113 ; 저수대112; Fountain 113; Reservoir

120 ; 배선지지체 121 ; 조립홈120; Wiring support 121; Assembly Home

122 ; 물받이끼움구 131 ; 돌부122; Drip tray 131; Stone

132 ; 홈부 140 ; 공간부132; Groove 140; Space

141 ; 배수구 142 ; 회전축141; Drain 142; Axis of rotation

150 ; 저수통 151 ; 주입구150; Reservoir 151; Inlet

152 ; 사면 153 ; 배수도어152; Slope 153; Drainage door

154 ; 힌지축 155 ; 투수구154; Hinge axis 155; Pitching

156 ; 저수공간 160 ; 식재함156; Reservoir 160; Planting

161 ; 식재공간 162 ; 회전홈161; Planting space 162; Rotating Groove

163 ; 바닥면 164 ; 배수망163; Floor 164; Drainage network

165 ; 통기구 170 ; 물받이165; Vent 170; Drip

Claims (3)

양측면에 각각 서로 상응하는 돌부와 홈부가 형성된 평판형상으로, 전선이 통과하여 배선되는 배선지지체와, 상기 배선지지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공간적ㆍ시각적으로 실내를 격실하는 본체로 구성된 패널을 포함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에 있어서,A space compartment including a panel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rotrusion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thereof, the wiring support being wired through the wires, and a main body located on the wiring support and spaced in a space visually and visually. In building materials for 상기 본체는,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소정면적으로 절개ㆍ형성되며 그 바닥면을 따라 절개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배수구를 갖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며;The main body includes a space portion having a drainage opening which is cu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is cut along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is opened downwar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배선지지체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한데 모아 담는 용기형상의 물받이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물받이가 외부로 착탈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물받이끼움구가 형성되며;The wiring support further includes a container-shaped drip tray that collect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and a drip fitting hole is formed to be inserted to be detachable to the outside;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인 식재공간을 갖는 판형상으로, 상기 공간부에서 전후방으로 여닫히도록 회전축 및 회전홈 매개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식재공간의 개구된 하면인 바닥면은 망구조체인 배수망으로 폐구된 식재함; 및,A plate shape having a hollow planting space having an upper and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means of a rotating shaft and a rotating groov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spac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planting space, is a network structure Vegetation closed with nets; And, 내측에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함 상면에 조적되는 박스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저수공간을 개구시키는 주입구와, 저면에는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는 통수구와, 상기 통수구에서 통수구를 폐구하는 방향으로 탄발되는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방으로 회동되며 소정직경의 구멍을 구비하는 배수도어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저수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통수구로 기울어진 사면으로 된 저수통;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box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box, the injection hole for opening the water storage space on the upper surface, the water outlet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direction to close the water supply port in the water outlet A reservoir having a drainage door pivoted upward and downward with a hinge shaft being provided and having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being inclined to the water passage;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Spac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clu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수구 및 연통구를 통한 낙수를 받아 하방에 위치된 상기 식재함으로 공급하도록 되되,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고정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배수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의 아래쪽 상면 둘레부에는 소정높이로 돌출된 저수대와, 상기 배수구멍의 아래쪽 저면 둘레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흘러내림차단돌기가 구비된 분수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I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falling water through the water port and the communication port to supply to the planter located below, fix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hole is larger diameter The lower top peripheral portion of the drain hole, the reservoir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lower bottom peripheral portion of the drai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further comprises a fountain with a downward b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downwardly Compartment Building Material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패널이 이웃하는 패널과 상호 수직으로 교차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이웃하는 다른 패널과 연결되게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개구방향과 수직하는 일면에서 상기 패널의 돌부 또는 홈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홈부 또는 돌부를 포함하는 연결구가 더 포함되고;One side of the panel is inserted to be connected to another neighboring panel so that the panel can be connected to be perpendicularly intersected with the neighboring panel, and an insertion hole of the panel at on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or A connector including a groove portion or a protrusion formed to engage with the groove portion is further included; 상기 패널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삽입구로 일측단이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패널간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구의 하단에 돌출된 바닥체와 맞물리는 조립홈이 형성된 것;At both lower ends of the panel, one side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o that an assembly groove is formed to engage the bottom body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hole to match the height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anel; 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획용 건축자재.Building materials for space partitions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50029049A 2005-04-07 2005-04-07 Partition having flowerpots KR100503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49A KR100503645B1 (en) 2005-04-07 2005-04-07 Partition having flowerpo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49A KR100503645B1 (en) 2005-04-07 2005-04-07 Partition having flowerpo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645B1 true KR100503645B1 (en) 2005-07-22

Family

ID=3730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049A KR100503645B1 (en) 2005-04-07 2005-04-07 Partition having flowerpo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645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812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JP2004337054A (en) Wall greening unit
KR20030094963A (en) flowerpot for supply water automatically
KR101358497B1 (en)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EP2894965B1 (en) A plant wall and a method for recycling nutrients in the plant wall
KR101187406B1 (en) Moss panel and method for greening artificia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JP2006129846A (en) Tray for receiving plantation block in wall-greening installation
KR100419903B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KR100503645B1 (en) Partition having flowerpots
WO2014000062A1 (en) Flower box
JP2010017161A (en) Wall surface greening panel
JPH1156108A (en) Planter
JP6998696B2 (en) Wall greening device
KR102038769B1 (en) Plant-grown pots with a watering pot
JP2009165400A (en) Planting unit, greening planting unit using the planting unit, and system for the greening planting unit
CN103931440B (en) A kind of indoor carbonized cork vertical-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US20220079369A1 (en)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KR200370417Y1 (en) Home plant cultivation
JPH04229115A (en) Planter
JP4657683B2 (en) Wall greening equipment
JP3157945U (en) Greening panel
CN204206832U (en) A kind of indoor carbonized cork vertical-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0475146Y1 (en) Pot apparatus for wall greening
KR20010044752A (en) Dripping Type Flower Pot for Street Beau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