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196B1 -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196B1
KR100502196B1 KR1020050009902A KR20050009902A KR100502196B1 KR 100502196 B1 KR100502196 B1 KR 100502196B1 KR 1020050009902 A KR1020050009902 A KR 1020050009902A KR 20050009902 A KR20050009902 A KR 20050009902A KR 100502196 B1 KR100502196 B1 KR 10050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errule
ferrule holder
jacket
buff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숭현
Original Assignee
오리온광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광통신(주) filed Critical 오리온광통신(주)
Priority to KR102005000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다른 기기에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광섬유 커넥터에 광섬유의 종단부를 광손실이나 접속불량을 최소화하고,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 공정이 간편하도록 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과, 프레임과, 페룰이 장착되는 페룰홀더와, 상기 페룰에 일정한 탄성을 주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톱링과, 상기 스톱링을 커버하는 고무튜브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있어서, 상기 페룰홀더(320)는 페룰(31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일측에는 페룰안착부(3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광섬유의 자켓(336)이 삽입되는 자켓삽입부(326)와, 상기 자켓(336)의 내부에 위치한 버퍼튜브(332)가 삽입되는 버퍼튜브삽입부(324)가 서로 다른 내경으로 상기 페룰안착부(322)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자켓삽입부(326)와 버퍼튜부삽입부(324) 사이에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져서 케블라(334)가 상기 버퍼튜부삽입부(324)에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블라차단벽(3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FERRULE HOLDER OF OPTICAL FIBER CONNECTOR}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다른 기기에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광섬유 커넥터에 광섬유의 종단부를 광손실이나 접속불량을 최소화하고,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 공정이 간편하도록 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커넥터는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형태로 접속하는 것으로, 광섬유끼리의 접속 또는 광기기 등과 광섬유와의 접속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섬유 커넥터의 기본적인 접속방식은 서로 맞대는 접속으로 코어를 축과 맞대는 구조와, 그 축과 맞댄 상태를 보호 유지하는 기구가 기본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광섬유의 코어 직경은 10∼500㎛정도로 작기 때문에, 커넥터(connector)접속에 있어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부품수가 적고 비교적 접속손실이 적은 페룰(ferrule)형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페룰형의 커넥터는 페룰의 중심에 광섬유 외경보다 약간 큰 미소한 직경을 가지며, 광섬유를 그 구멍 속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정확한 위치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전송기기와의 접속용으로 고정밀도로 가공한 스테인리스 페룰(stainless ferrule)을 쓴 FC커넥터를 시작으로 지르코니아 페룰을 가지고 원터치(one touch)로 탈착이 가능한 SC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 실장에 적합한 D커넥터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페룰을 이용하는 광섬유 커넥터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광섬유는 파이버클래드(330)와, 파이버클래드(330)를 보호하고 완충작용을 하는 버퍼튜브(332)와, 케블라(Kevlar: E.I.Dupont denemours & Co의 상표; 334) 및 외부의 자켓(33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광섬유의 종단부는 버퍼튜브(332), 케블라(334) 및 자켓(336)이 벗겨진 상태에서 페룰(310)과 페룰홀더(340)에 접착되고, 이러한 페룰(310)과 페룰홀더(340)를 여러가지 부품들이 고정하고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광섬유 커넥터를 구성한다.
다시말해 일정 길이로 광섬유 파이버클래드(330)가 노출되도록 피복을 제거한 후에 페룰(310)과 접착되어 있는 페룰홀더(340)에 접착제를 주입한 후 상기 피복이 제거된 파이버클래드(330)를 삽입시킨다. 이 때 상기 페룰(310)은 중심부에 파이버클래드(330)만이 삽입될 수 있는 파이버클래드삽입부(3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페룰홀더(340)는 일측에 상기 페률(310)이 삽입되어 접착되며, 타측에는 광섬유의 파이버클래드(330)와 버퍼튜브(332)가 삽입되도록 광섬유의 규격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페룰홀더(340)의 내경이 상이하게 제작된다. 따라서 파이버클래드(330)는 페룰(310)의 파이버클래드삽입부(312)를 통해 삽입되고, 버퍼튜브(332)가 있는 상태의 광섬유는 페룰홀더(340)에 삽입되어 접착된다. 그 후 광섬유측에서 스프링(40)과, 스톱링(50)이 삽입되고, 상기 스톱링(50)의 종단부에 케블라(334)를 얻힌 후에 코킹(60)으로 스톱링(50)을 압착하여 상기 케블라(334)를 고정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코킹(60)의 종단부에 자켓(336)을 얻힌 후에 링(70)으로 압착하여 자켓(336)을 고정하게 된다. 그 후 마지막으로 고무부츠(80)와 상기 페룰(310)을 보호하고 일정한 탄성을 주기 위한 프레임(20)과 커넥터 하우징(10)을 결합하여 광섬유 커넥터를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섬유 커넥터에서는 광섬유의 자켓(336)과, 케블라(334)를 별도로 고정하기 때문에 광섬유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는 있지만,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이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증가되어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페룰홀더(340)에는 버퍼튜브(332)와 파이버클래드(330)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동시에 삽입되고, 에폭시등의 접착제로 접착되기 때문에 불완전정합과 단선등이 발생되어 삽입손실이 증가되고, 불량률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광섬유 커넥터는 삽입손실이 작고, 반사손실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해야 된다는 기본적인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광섬유 커넥터의 기본적인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완전정합과 단선등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절감시키고, 조립공정을 간편하고 단순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과, 프레임과, 페룰이 장착되는 페룰홀더와, 상기 페룰에 일정한 탄성을 주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톱링과, 상기 스톱링을 커버하는 고무튜브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있어서, 상기 페룰홀더(320)는 페룰(31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일측에는 페룰안착부(3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광섬유의 자켓(336)이 삽입되는 자켓삽입부(326)와, 상기 자켓(336)의 내부에 위치한 버퍼튜브(332)가 삽입되는 버퍼튜브삽입부(324)가 서로 다른 내경으로 상기 페룰안착부(322)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자켓삽입부(326)와 버퍼튜부삽입부(324) 사이에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져서 케블라(334)가 상기 버퍼튜부삽입부(324)에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블라차단벽(3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페룰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a는 페룰과 페룰홀더를 분해한 상태의 횡단면도이며, 도2b는 도1에서 페룰을 제거한 페룰홀더의 좌측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광섬유가 삽입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품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는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커넥터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측에 페룰(310)이 장착되고, 타측에 광섬유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페룰홀더(320)는 페룰(31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일측에는 페룰안착부(3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광섬유의 자켓(336)이 삽입되는 자켓삽입부(326)와, 상기 자켓(336)의 내부에 위치한 버퍼튜브(332)가 삽입되는 버퍼튜브삽입부(324)가 상기 페룰안착부(32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자켓삽입부(326)와 버퍼튜부삽입부(324) 사이에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져서 케블라(334)가 상기 버퍼튜부삽입부(324)에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블라차단벽(325)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케블라차단벽(325)은 직선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여러개의 단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페룰(310)이 장착되는 페룰홀더(320)의 외측에는 페룰홀더(320)의 자체회전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스프링(40)에 의해 일정한 탄성을 받도록 다각형의 정지턱(328)이 형성되지만, 이러한 정지턱의 형상은 이미 주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페룰홀더(320)의 작용 효과와, 페룰홀더(320)에 광섬유를 접착시켜 광섬유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을 상기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규격화된 광섬유의 종단부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자켓(336)을 탈피시킨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파이버클래드(330)에서 버퍼튜브(332)를 제거한다. 이 때 상기 미리 설정되어 탈피시키는 자켓(336)의 길이는 적어도 페룰(310)과 버퍼튜브삽입부(324)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튜브의 제거길이는 상기 페룰(310)의 길이보다 적어도 길면 적절하다.
그 후 페룰(310)이 장착된 페룰홀더(320)에 에폭시등의 접착제를 주입한 후에 상기 탈피된 광섬유를 삽입한다. 이 때 종래와는 달리 자켓을 일체로 삽입시키기 때문에 삽입이 매우 편리하게 수행된다. 또한 삽입되는 케블라(334)와 자켓(336)은 자켓삽입부(326)와 케블라차단벽(325)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되며, 단지 파이버클래드(330)와 버퍼튜브(332)만이 페룰(310)과 버퍼튜브삽입부(324)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이 때 버퍼튜브(332)는 자연스럽게 페룰(310)의 파이버클래드삽입부(312) 입구에 진입이 차단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버퍼튜브(332)에 의해 파이버클래드(330)가 손상되거나 뒤틀림이 전혀 없이 자연스럽게 파이버클래드(330)가 파이버클래드삽입부(312)에 삽입되게 되므로 삽입손실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불완전정합에 의해 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자켓(326)을 일체로 페룰홀더(320)에 삽입시켜 접착시키므로 접착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어, 불완전정합에 따른 불량률을 절감시키게 된다.
그 후 종래와 동일하게 스프링(40)을 광섬유측에서부터 삽입시키고, 이어서 스톱링(90) 및 고무부츠(80)를 삽입시킨 후 프레임(20)과 커넥터 하우징(10)을 상기 스톱링(90)과 결합시켜 광섬유 커넥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켓을 포함한 광섬유 전체를 페룰홀더에 삽입하여 접착시켜 광섬유 커넥터를 조립하는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완전정합과 단선등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절감시키게 된다.
또한 삽입손실이 작고, 반사손실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해야 된다는 광섬유 커넥터의 기본적인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조립공정을 간편하고 단순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페룰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2a는 페룰과 페룰홀더를 분해한 상태의 횡단면도,
도2b는 도1에서 페룰을 제거한 페룰홀더의 좌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광섬유가 삽입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품분해도,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광섬유의 구조도,
도6은 종래의 일반적인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품분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 하우징 20: 프레임
40: 스프링 50: 스톱링
60: 코킹 70: 링
80: 고무부츠 310: 페룰(Ferrule)
312: 파이버 클래드삽입부 320, 340: 페룰홀더
322: 페룰안착부 324: 버퍼튜브삽입부
325: 케블라 차단벽 326: 자켓삽입부
328: 정지턱 330: 파이버클래드(Fiber clad)
332: 버퍼튜브(Buffer tube) 336: 자켓(Jacket)
334: 케블라(Kevlar: E.I.Dupont denemours & Co의 상표)

Claims (1)

  1. 커넥터 하우징과, 프레임과, 페룰이 장착되는 페룰홀더와, 상기 페룰에 일정한 탄성을 주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톱링과, 상기 스톱링을 커버하는 고무튜브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에 있어서,
    상기 페룰홀더(320)는 페룰(31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일측에는 페룰안착부(3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광섬유의 자켓(336)이 삽입되는 자켓삽입부(326)와, 상기 자켓(336)의 내부에 위치한 버퍼튜브(332)가 삽입되는 버퍼튜브삽입부(324)가 서로 다른 내경으로 상기 페룰안착부(322)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자켓삽입부(326)와 버퍼튜부삽입부(324) 사이에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져서 케블라(334)가 상기 버퍼튜부삽입부(324)에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케블라차단벽(3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KR1020050009902A 2005-02-03 2005-02-03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KR10050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902A KR100502196B1 (ko) 2005-02-03 2005-02-03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902A KR100502196B1 (ko) 2005-02-03 2005-02-03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196B1 true KR100502196B1 (ko) 2005-07-21

Family

ID=3730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902A KR100502196B1 (ko) 2005-02-03 2005-02-03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1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81B1 (ko) 2012-05-29 2014-06-25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섬유 커넥터
CN114217396A (zh) * 2021-12-13 2022-03-22 武汉市汉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施工光纤保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81B1 (ko) 2012-05-29 2014-06-25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섬유 커넥터
CN114217396A (zh) * 2021-12-13 2022-03-22 武汉市汉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施工光纤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4856B2 (en) Dual inner diameter ferrule device and method
US7270487B2 (en)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JP5167413B2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EP2340452B1 (en) Retention bodies for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US20110008003A1 (en) Optical connector
US20090214165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Lens
US7192194B2 (en) Universal adapter for fiber optic connectors
KR100724076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US6676299B1 (en) Device having multiple optical fibers
US5727102A (en) Multifiber optical connector for optical ribbon cable
CN114072714A (zh) 可现场安装的光纤连接器
CN109283628B (zh) 一种具有故障可视功能的预埋式光纤快速连接器及故障检测方法
KR100502196B1 (ko)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US6565264B1 (en) Pin and socket fiber optic termini
US8002478B2 (en) Optical sub-assembly with glass member physically contact with external fiber
US20050047717A1 (en) Low-profile back plane interconnection device
JP6018841B2 (ja) 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
US8246257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JPH04130304A (ja) 光コネクタ
JP2005121988A (ja) 光ファイバ接続器、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コネクタ変換器
US20190196115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20040247250A1 (en) Integrated sleeve pluggable package
JP2005157092A (ja) 光ファイバアレイ
JP4875254B2 (ja) 光コネクタ
CN113167979A (zh) 防止光纤弯曲的现场组装式光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