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443B1 -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 Google Patents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443B1
KR100501443B1 KR10-2002-0068637A KR20020068637A KR100501443B1 KR 100501443 B1 KR100501443 B1 KR 100501443B1 KR 20020068637 A KR20020068637 A KR 20020068637A KR 100501443 B1 KR100501443 B1 KR 10050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uffler
tail pipe
movable piece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0506A (en
Inventor
허성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443B1/en
Publication of KR2004004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443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difying or adapting flow area or back-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보이는 테일 배기 파이프의 가시량이 줄어들도록 하고, 차량 운행시에는 배기가스의 배기압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테일 파이프의 유로가 커지도록 하는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not driven, the visible amount of the tail exhaust pipe se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is reduced, a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variable tail of the muffler is made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the tail pipe fluidly according to the exhaust pressure of the exhaust gas. Regarding the pipe structure,

머플러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범퍼의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머플러의 후측으로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에 있어서,In the tail pip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uffler so tha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muffler is 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끝단의 하부구간이 일부분 절개되는 테일 파이프와;A tail pipe through which a lower section of the end is partially cut off;

상기 테일 파이프의 절개부가 씌워지도록 반원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동편과;A movable piece formed of a semicircular pipe to cover the cutout portion of the tail pipe;

일단은 머플러의 도중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테일 파이프의 도중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배압이 상기 테일 파이프의 상부측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 파이프와;A pressurized pip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muffl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tail pipe so that the back pressure of the exhaust gas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테일 파이프의 상측면에 연결되는 가압 파이프의 직선구간에 상부가 수용되며, 하부단은 상기 가동편에 연결되는 가이드와;An upper part is received in a straight section of the pressurized pi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and a lower end of the guide par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iece;

상기 가압 파이프에서 하중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가동편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편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movable piece to move the movable piece upward when no load is transmitted from the pressurized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Description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본 발명은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보이는 테일 배기 파이프의 가시량이 줄어들도록 하고, 차량 운행시에는 배기가스의 배기압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테일 파이프의 유로가 커지도록 하는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tail pipe structure of the muffl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visible amount of the tail exhaust pipe se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not in operation, and according to the exhaust pressure of the exhaust ga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t relates to a variable tail pipe structure of a muffler that fluidly increases the flow path of the tail pipe.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량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되고, 이렇게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계에 마련된 촉매 컨버터와 머플러를 통과하면서 차량의 후방으로 배기된다.In general, the engine of the vehicle emits a large amount of exhaust gas in the process of burning fuel, and the exhaust gas is exhaus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while passing through the catalytic converter and the muffler provided in the exhaust system.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인체 및 환경에 해가 되는 유해성분은 촉매 컨버터를 거치면서 산화되거나 환원되고, 배기가스에 포함된 소음 및 열은 머플러를 거치면서 감쇄되어진다.Hazardous component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and harmful to human body and environment are oxidized or reduced through the catalytic converter, and noise and hea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are attenuated through the muffler.

도 4는 일반적인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배기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소음이 상쇄되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머플러의 후측으로는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테일 파이프가 연결된다.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exhaust system provided in the rear of a general vehicle, the tail pipe for inducing exhaust gas to the rear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uffl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o cancel the noise.

특히, 승용차량 및 승합차량의 경우에 머플러(10)의 후측에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11)는 차량 후방의 안전을 위한 범퍼(12)의 하측까지 위치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차량의 성능 못지않게 차량의 외관이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소비자들은 테일 파이프가 차량의 후방에서 보여지게 되는 것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assenger cars and vans, the tail pipe 11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uffler 10 is loc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12 for safety at the rear of the vehicl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is as important as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consumers are reluctant to see the tail pipe at the rear of the vehicle.

이를 감안하여 최근의 차량에 적용되는 테일 파이프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뿐만 아니라, 범퍼와의 갭이 짧고, 가능한한 직경이 작은 파이프가 사용되도록 설계되고 있다.In view of this, tail pipes applied to recent vehicles are not only designed in various shapes, but also short pipes with bumpers and small diameter pipes are designed to be used.

그러나 차량의 후방에서 범퍼의 하측으로 상기한 테일 파이프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파이프의 직경을 줄일 경우에는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동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diameter of the pipe is reduced so that the tail pipe is not visibl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the exhaust gas is not smoothly discharged, and the noise is generated during the exhaust gas discharge. There was thi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보이는 테일 배기 파이프의 가시량이 줄어들도록 하고, 차량 운행시에는 배기가스의 배기압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테일 파이프의 유로가 커지도록 하는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vehicle is not in operation, the visible amount of the tail exhaust pipe se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is reduced, an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t is flexible according to the exhaust pressure of the exhaust ga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tail pipe structure of a muffler that allows a flow path of a tail pipe to be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머플러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범퍼의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머플러의 후측으로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에 있어서,In the tail pip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uffler so tha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muffler is 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끝단의 하부구간이 일부분 절개되는 테일 파이프와;A tail pipe through which a lower section of the end is partially cut off;

상기 테일 파이프의 절개부가 씌워지도록 반원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동편과;A movable piece formed of a semicircular pipe to cover the cutout portion of the tail pipe;

일단은 머플러의 도중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테일 파이프의 도중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배압이 상기 테일 파이프의 상부측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 파이프와;A pressurized pip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muffl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tail pipe so that the back pressure of the exhaust gas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테일 파이프의 상측면에 연결되는 가압 파이프의 직선구간에 상부가 수용되며, 하부단은 상기 가동편에 연결되는 가이드와;An upper part is received in a straight section of the pressurized pi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and a lower end of the guide par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iece;

상기 가압 파이프에서 하중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가동편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편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movable piece to move the movable piece upward when no load is transmitted from the pressurized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의 구조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tai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 단면의 크기변화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ai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ai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ize chan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i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한 머플러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를 지시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20 shown in the drawing indicates a muff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 30 indicates a tai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머플러(20)의 후방에는 배기가스의 배출방향을 차량의 후방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테일 파이프(30)가 연결된다. 상기 테일 파이프(30)는 하부가 개방된 반원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도중은 배기가스의 유도방향이 범퍼(40)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절곡된다. 테일 파이프(30)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측이 개방된 반원형상의 파이프인 가동편(32)으로 씌워진다. 상기 가동편(32)의 도중은 상기 테일 파이프(30)의 절곡형상을 따라 절곡된다.The tail pipe 3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uffler 20 to guid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exhaust gas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The tail pipe 30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a semi-circle with an open bottom, during which the induction direction of the exhaust gas is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40. The open lower part of the tail pipe 30 is covered with a movable piece 32 which is a semicircular pipe whose upper side is open. The middle of the movable piece 32 is bent along the bending shape of the tail pipe 30.

그리고 머플러(2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배압이 상기한 테일 파이프(30)의 상부측면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 파이프(24)의 일단이 머플러(2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테일 파이프(30)의 상부측면 도중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pressurized pipe 24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uffler 20 so that the back pressure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muffler 2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30. It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ide of the pipe 30.

특히, 머플러(20) 측에 연결되는 가압파이프(24)의 일단은 머플러(20) 내부에 마련되는 챔버(21,22) 간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23)의 도중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one end of the pressure pipe 24 connected to the muffler 20 side is preferably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pipe 23 for connecting the chambers 21 and 22 provided inside the muffler 20.

한편, 상기 테일 파이프(30) 측에 연결되는 가압 파이프(24)의 구간은 직선으로 형성된다. 가압 파이프(24)의 직선 구간에는 상기 가동편(32)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34)의 상부가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34)의 하부단은 상기 가동편(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한 가압파이프(24)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배압이 상기 가이드(34)의 상부 끝단을 밀게 되므로서 상기 가이드(34)가 하향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tion of the pressurized pipe 24 connected to the tail pipe 30 sid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34 for guiding the shanghai movement of the movable piece 32 is accommodated in the straight section of the pressure pipe 24,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34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iece 32. . Therefore, the back pressur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pressure pipe 24 pushes the upper end of the guide 34 so that the guide 34 moves downward.

그리고 상기한 가압 파이프(24)를 통해서 테일 파이프(30)로 하중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가동편(32)이 상향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6)이 상기 머플러(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프링 장착공(25)에 설치된다. 상기한 스프링(36)은 소정의 탄력을 지니고, 스프링(36)의 끝단과 상기 가동편(32) 간에는 링크(38)로써 연결된다.특히, 상기한 테일 파이프(30)와 가동편(32)의 결합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머플러(20) 후방에 위치되는 테일 파이프(30)의 특성상 가동편(32)과의 기밀유지를 위한 장치는 없더라도 무방한 것이다.And when the load is not transmitted to the tail pipe 30 through the pressure pipe 24 is provided with a spring 36 for one side of the muffler 20 to move the movable piece 32 upward. It is installed in the spring mounting hole 25. The spring 36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is connected by a link 38 between the end of the spring 36 and the movable piece 32. In particular, the tail pipe 30 and the movable piece 32 are describe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n be sealed if necessary for airtight sealing.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il pipe 30 located behind the muffler 20, there is no device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with the movable piece 32.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테일 파이프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ail pip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엔진의 시동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 파이프를 따라서 차량의 후방으로 유도된다. 이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소음은 상기한 머플러(20)에서 어느 정도 감쇄된 후 테일 파이프(30)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Exhaust gases emitted by the start of the engine are l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along the exhaust pipe. In this process, the nois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s attenuated to some extent in the muffler 20 and then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ail pipe 30.

이때 배기가스는 유동압력을 동반하는데, 엔진이 고속으로 운전될수록 더욱 큰 유동압력을 수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xhaust gas is accompanied by a flow pressure, the more the engine is operated at a high speed is accompanied by a larger flow pressure.

따라서 엔진의 운전환경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배기가스의 유동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한 머플러(20)의 연결파이프(23)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가압 파이프(24)로 전달되어진다.Therefore, when the flow pressure of the exhaust gas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ngine, the pressure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ipe 23 of the muffler 20 is transmitted to the pressurized pipe 24.

가압 파이프(24)로 전달되는 배압은 테일 파이프(30) 상부측의 직선구간에 수용된 가이드(34)의 상부 끝단을 밀게 되고, 배압의 크기에 순응하여 가동편(32)은 하강하게 된다. 즉, 가동편(32)이 하강되는만큼 테일 파이프(30)와 가동편(32)이 합하여 이루는 단면적의 크기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되므로서, 테일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력이 저감되고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The back pressure delivered to the pressure pipe 24 pushes the upper end of the guide 34 accommodated in the straight s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30, and the movable piece 32 is lowered in compliance with the size of the back pressure. That is,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formed by the tail pipe 30 and the movable piece 32 is increased as the movable piece 32 is lowere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flow pressure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tail pipe is increased. This reduces and exhausts the exhaust gas smoothly.

반대로 엔진의 운전이 정지된 경우에는 머플러(20)에서 가압 파이프(24) 측으로 전달되는 유동압력이 소멸되므로서 직선구간에 수용된 가이드는 상기한 스프링(36)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상향이동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on of the engine is stopped, the flow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muffler 20 to the pressurized pipe 24 is dissipated and the guide accommodated in the straight section is rais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36. Is moved.

따라서 차량 후방에서 테일 파이프(30)의 모습은 최대한 가려지게 되므로서 차량의 후방 미관이 보다 유리하게 된다.Therefore, the tail pipe 30 is hidd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as much as possible, the rear aesthetics of the vehicle is more advantageous.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엔진의 운전정지시에는 테일 파이프가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으므로서 차량의 후방 미관에 유리하고, 엔진이 운전중이어서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에는 테일 파이프가 확관되므로서 배기가스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의 유동소음이 저감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the rear aesthetics of the vehicle when the tail pipe is not se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when the engine is stopped, and the tail pipe is expanded when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while the engine is running. Not only is the gas flowing smoothly, but there is a great advantage that the flow noise of the exhaust gas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ai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의 작동상태도.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tai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일 파이프 단면의 크기변화를 보인 도면.도 4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tail pipe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ventional technolog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20 : 머플러 21,22 : 챔버20: muffler 21,22: chamber

23 : 연결 파이프 24 : 가압 파이프23 connection pipe 24 pressurized pipe

25 : 스프링 장착공 30 : 테일 파이프25: spring mounting hole 30: tail pipe

32 : 가동편 34 : 가이드32: movable piece 34: guide

36 : 스프링 40 : 댐퍼36: spring 40: damper

Claims (3)

머플러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범퍼의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머플러의 후측으로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에 있어서,In the tail pip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uffler so tha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muffler is 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끝단의 하부구간이 일부분 절개되는 테일 파이프(30)와;A tail pipe 30 in which a lower section of the end is partially cut off; 상기 테일 파이프(30)의 절개부가 씌워지도록 반원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가동편(32)과;A movable piece (32) formed of a semicircular pipe to cover the cutout portion of the tail pipe (30); 일단은 머플러(20)의 도중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테일 파이프(30)의 도중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배압이 상기 테일 파이프(30)의 상부측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 파이프(24)와;A pressurized pipe 2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muffler 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tail pipe 30 so that the back pressure of the exhaust gas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30; 테일 파이프(30)의 상측면에 연결되는 가압 파이프(24)의 직선구간에 상부가 수용되며, 하부단은 상기 가동편(32)에 연결되는 가이드(34)와;An upper part is accommodated in a straight section of the pressurized pipe 24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 pipe 30, and a lower end thereof includes a guide 34 connected to the movable piece 32; 상기 가압 파이프(24)에서 하중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가동편(32)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편(32)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A spring 36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movable piece 32 so that the movable piece 32 moves upward when no load is transmitted from the pressurized pipe 24; Variable tail pipe structure of the muffler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머플러(20)에 연결되는 가압 파이프(24)의 일단은 머플러(20)의 챔버(21,22) 간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23)의 도중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One end of the pressurized pipe 24 connected to the muffler 20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pipe 23 connecting the chambers 21 and 22 of the muffler 20, the variable tail pipe of the muffler rescu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가동편(32)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6)은 머플러(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프링 장착공(25)에 개재되고, 상기 가동편(32)의 일측과 스프링(36)의 상부측 간에는 링크(38)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가변 테일 파이프 구조.The spring 36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movable piece 32 is interposed in a spring mounting hole 2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uffler 20, and one side of the movable piece 3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pring 36. Variable tail pipe structure of the muff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38) is connected between the sides.
KR10-2002-0068637A 2002-11-07 2002-11-07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KR100501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37A KR100501443B1 (en) 2002-11-07 2002-11-07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37A KR100501443B1 (en) 2002-11-07 2002-11-07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06A KR20040040506A (en) 2004-05-13
KR100501443B1 true KR100501443B1 (en) 2005-07-18

Family

ID=3733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637A KR100501443B1 (en) 2002-11-07 2002-11-07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44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042A (en) * 1995-09-30 1997-04-28 전성원 Car exhaust pipe
JPH10280939A (en) * 1997-04-07 1998-10-20 Saade:Kk Muff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52916Y1 (en) * 1997-05-15 1999-08-02 정몽규 Exhaust apparatus of a car
KR20040031944A (en) * 2002-10-08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042A (en) * 1995-09-30 1997-04-28 전성원 Car exhaust pipe
JPH10280939A (en) * 1997-04-07 1998-10-20 Saade:Kk Muff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52916Y1 (en) * 1997-05-15 1999-08-02 정몽규 Exhaust apparatus of a car
KR20040031944A (en) * 2002-10-08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06A (en)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82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gine exhaust sound for vehicles
ATE530426T1 (en) STRIDE SEAT VEHICLE
DE602005027509D1 (en) Emission control device for a motor
US20170356324A1 (en) Exhaust device
ES2061790T3 (en) MOTOR OF AUTOMOBILE VEHICLE.
SE9804608D0 (en) Device at silencer unit
ES2070773B1 (en) CONTROL DEVICE FOR THE EXHAUST GAS EMISSION FOR MOTORCYCLES.
US5921081A (en) Motor vehicle muffler
KR100501443B1 (en)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of muffler
WO1997005365A3 (en) Silencer for a gas flow
KR100463056B1 (en) Variable tail pipe apparatus
KR100521513B1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on a exhaust pipe
KR20040035347A (en) Exhaust pipe
KR20070064520A (en) A tail pipe for muffer
KR100259635B1 (en) Exhaust pipe structure
KR100340104B1 (en) Muffler apparatus for decreasing low frequency booming noise air engine idle driving
FR2901523B1 (en) "GAS GENERATOR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AND DEVICE THEREOF"
KR200222754Y1 (en) Muffler structure of car
KR970011308A (en) Automotive Exhaust Muffler
KR200149119Y1 (en) Main muffler for automotive exhaust device with a multi-intake pipe of a difference diameter
JPH10184340A (en) Exhaust noise damping device for automobile
KR200444128Y1 (en) Engine auxiliary muffler
KR200145336Y1 (en) Vibration and noise absorber structure of a vehicle door
KR19990019687U (en) Automotive Silencer Structure
KR20150072773A (en) Exhaust device for reducing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