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170B1 -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170B1
KR100501170B1 KR10-2003-0050236A KR20030050236A KR100501170B1 KR 100501170 B1 KR100501170 B1 KR 100501170B1 KR 20030050236 A KR20030050236 A KR 20030050236A KR 100501170 B1 KR100501170 B1 KR 10050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network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229A (ko
Inventor
김형섭
이상연
김용이
이황수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1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IP 망 및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IMS)을 포함하는 IMT-2000망 및 IMT-2000망에 접속되어 음성,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IMT-2000망은 무선 단말기가 상기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으로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정보 및 과금 정보를 저장하며, 무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면,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며, 무선 단말기는 IMT-2000망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호 설정을 시도한다.
이에 의하면 최적의 전송 특성을 갖고 비용이 최소화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electing an Access Network for Wireless Data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을 통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망이 진화함에 따라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IMT-2000)은 인터넷 서비스를 필수적으로 제공하며,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부터 할당받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IMT-2000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모바일 IP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망에서 IP 기반의 인터넷 프로토콜 수용은 점차적인 추세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은 이동통신망 일부 요소기술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IMT-2000의 표준을 진행하는 유럽 주도의 3GPP(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와 북미 주도의 3GPP2는 여기에 머물지 않고 한발 더 나아가 이동통신망의 모든 인프라를 IP로 대체하는 일명 'ALL IP NETWORK'개념을 도입하였다.
ALL IP망은 IMT-2000망의 범주에 포함되지만 하부 인프라가 전혀 다른 차세대 이동통신망이라고 할 수 있다. ALL IP망이 실현되면 무선구간에서 인터넷 프레임이 직접 전송되고, 기존 전화망에 적용되던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의 전용망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측면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VoIP/S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Session Initiated Protocol) 기반에서 실시간/비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인터넷망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서비스 품질로 제공받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ALL IP망은 하나의 단말기로 위성망, 무선 랜(Wireless LAN; WLAN), 인터넷망 등을 모두 사용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망의 구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3GPP Release5(R5)의 가장 큰 특징은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최초의 3GPP망이라는 것이다. 이 특징은 구체적으로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추가된 노드들에서 구현되며, 이 새로운 노드들을 총칭해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 또는 IP Multimedia CN Subsystem)이라고 한다. 즉, IMS는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 도입된 노드들의 집합이며, 구체적으로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HSS(Home Subscribe Server),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RF(Media Resource Function) 등이 IMS를 구성하는 노드들이다. IMS에서는 SIP가 호 제어를 수행하며 모바일 IP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이 FA(Foreign Agent)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SIP 서버의 역할은 CSCF가 담당한다. 이와 같은 3GPP R5망(IMT-2000망)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IMS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3GPP R5)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3GPP R5망은 3세대 무선 단말기(20)와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B(100), 노드B(100)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RNC, 102), 무선망 제어기(102)와 인터넷(108) 사이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2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104), SGSN(104) 및 인터넷(108)간에 연결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 MGW, 110)를 통해 PLMN(Public Land Mobil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12)과의 연동을 지원하는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106), 3세대 망에서 2세대 무선 단말기를 지원하기 위한 MSC 서버(114),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를 담당하는 HSS(Home Subscribe Server, 116), GGSN(106)과 접속되어 미디어 관리와 멀티플랙싱을 담당하는 MRF(Media Resource Function, 118), HSS(116) 및 MRF(118)과 접속되어 비동기 3G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SIP기반의 호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게이트키퍼 역할을 수행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120), CSCF(120) 및 MGW(110)와 접속되어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122)를 포함한다.
또한, HSS(116)에는 지능망 제어기(Service Control Point; SCP, 124)가 접속되어 지능망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고 서비스 로직과 서비스 데이터를 관리하며, 2세대 이동통신망의 교환기(MSC, 126)와 접속되어 MSC(126)가 요청하는 정보를 정보를 제공한다. MSC(126)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BTS/BSC, 128)와 접속되어 2세대 무선 단말기(10)가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3GPP R5망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SGSN(104) 및 GGSN(106)을 멀티미디어 IP망(A)이라 하고, HSS(116), MRF(118) 및 CSCF(120)를 IMS(B)라 한다.
현재의 3GPP R5망에서는 GPRS를 통해서만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표준화가 진행중인 R6 시스템에서는 3GPP GPRS이외에 3GPP2의 CDMA-2000 기반 패킷 데이터 부시스템 및 무선랜(WLAN) 등 IP 접속을 제공하는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 즉, IP-CAN(Connectivity Access Network)을 통해서도 I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IMS를 표준화하는 중이다. 이러한 다양한 IP-CAN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IP-CAN 사이의 무선 커버리지가 중첩되게 되고, IMS 가입자는 현재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IP-CAN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와 IP-CAN의 네트워크 상태 및 특정 IP-CAN을 통해서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부과되는 요금 특성에 따라 최적의 IP-CAN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3GPP R5망에서의 무선 단말기(20)는 IP-CAN의 네트워크 상태정보 및 과금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이에 따라 IMS 가입자는 현재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IP-CAN의 종류에만 기초하여 여러 IP-CAN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IMS 서비스를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 정보로는 사용자가 실제로 요구하는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IP-CAN을 선택해 줄 수 없고, 다양한 IP-CAN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IP-CAN 이용 효율과 가입자 요금, 호 설정시간, 호 설정 성공 확률이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IMS 가입자가 무선 커버리지 중첩에 의하여 다양한 IP-CAN을 통하여 IMS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입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및 IP-CAN의 네트워크 상태, 과금 정보에 따라 최적의 IP-CAN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IP 망 및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IMS)을 포함하는 IMT-2000망 및 IMT-2000망에 접속되어 음성,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IMT-2000망은 무선 단말기가 상기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으로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정보 및 과금 정보를 저장하며, 무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면,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며, 무선 단말기는 IMT-2000망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호 설정을 시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네트워크 액세스 선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적 네트워크 액세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3GPP R5망에 HSS(116)에 접속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 및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134)를 더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다수의 무선 단말기(UE, 30)가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WLAN(13)을 통해 인터넷(108)에 접속하여 3GPP R5망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상호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는 IMS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접속 가능한 액세스 네트워크 즉, IP-CAN의 상태정보(지연값, 데이터 전송률) 및 과금 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단말기(20, 30)로 IP-CAN의 상태정보 및 과금 정보를 전달하며,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134)는 IP-CAN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 결과를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단말기(20, 30)는 제어부(200), I/O 인터페이스(202), RF 통신 모듈(204),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206),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208), 외부장치(210), 메모리(212), 디스플레이부(214) 및 음성 출력부(216)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30)의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야 한다.
입출력 제어를 위한 I/O 인터페이스(202),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 통신모듈(204), 무선 단말기의 기종이나 모델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그에 의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타 장치(21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2), 무선 단말기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4),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216)는 무선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20, 30)는 이에 더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206) 및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208)를 더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206)는 적당한 IP-CAN을 선택하도록 기준이 되는 기초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로부터 얻고, 이로부터 각 IP-CAN의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분석하며,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208)는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206)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IP-CAN을 선택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단말기(20, 30)는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를 이용하여 호 설정을 한다. SIP는 VoIP 등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멀티미디어 세션이나 호를 설정, 변경, 해제시킬 수 있는 응용계층 레벨의 제어 프로토콜이다. SIP 계층의 통신은 요청과 응답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어관련 정보를 지니는 헤더와 세션에 대한 정보를 지니는 바디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디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로 구성되며, 더욱 상세한 정보 교환과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바디 아래로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더 포함한다. SDP에는 설정하고자 하는 호의 특성(오디오/비디오/응용 프로그램/데이터/제어 등)과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3GPP R5망의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134)는 각 액세스 네트워크 즉, IP-CAN의 지연값과 데이터 전송률 등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로 전송한다. 무선 단말기(20, 30)의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206)는 무선 단말기(20, 30)가 IP-CAN에 위치등록 과정을 수행할 때, 일정한 주기마다 또는 SIP 호 설정 메시지(INVITE)가 호출되었을 때 IP-CAN 정보 요청 메시지를 IMS(A)로 전달하며, IMS(A)는 이를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로 전송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는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134)로부터 기 전송받아 저장되어 있는 해당 IP-CAN의 상태정보와 과금정보를 IP-CAN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IMS(A)로 전달하며, IMS(A)는 이 정보를 IP-CAN 상태 전송 메시지를 통해 무선 단말기(20, 3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무선 단말기(20, 30)는 IP-CAN의 상태정보와 과금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후에 무선 단말기(20, 30)가 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즉, SIP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어떤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호를 설정할지에 대한 기초 정보로 활용하며,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208)는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IP-CAN의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에 따라서 최적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SDP 정보,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로부터 최적의 IP-CAN을 선택하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DP의 호 특성과 관련된 정보(오디오/비디오/어플리케이션/데이터/제어 등)로부터, 지연조건을 오디오/비디오호인 경우 150ms로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데이터 제어호인 경우에는 무한대 이하로 설정한다. 그리고 SDP의 데이터 전송률 정보로부터 데이터 전송률 조건을 해당값으로 설정한다. 이후,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208)는 지연조건 및 데이터 전송률 조건을 만족하는(즉, 오디오/비디오호인 경우에는 지연값이 150ms 이하이고 그 외의 경우에는 지연값이 무한대 이하이며, 데이터 전송률이 요구되는 값 이상일 것) 액세스 네트워크 목록을 검색하고, 사용자의 요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저장된 과금 정보 중에서 최소 비용을 가지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따라서 선택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IMS와 호 연결을 시도하면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최소 비용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네트워크 액세스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 단말기(UE; 20, 30)는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베어러를 설정하고(S100), 이와 같이 설정된 베어러를 통해서 IMS(A)에 위치등록을 수행한다(S101).
3GPP R5망의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134)는 현재 무선 단말기(UE)가 접속 가능한 IP-CAN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S102), 이를 통해 현재 IP-CAN이 제공할 수 있는 지연값과 데이터 전송률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후,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134)는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로 모니터링을 통해 얻어진 지연값과 데이터 전송률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달한다(S103). 액세스 네트워크 정부 수집부(132)는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134)로부터 전송받은 IP-CAN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IMS(A)로부터 IP-CAN 정보 요청이 있으면 이를 전달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무선 단말기(UE)에서 위치 등록을 마친 후 또는 일정한 주기마다 또는 SIP 호 설정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를 얻기 위해 무선 단말기(UE)가 IMS(A)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4). 이를 수신한 IMS(A)는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로 IP-CAN의 정보를 요청하고(S105),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32)는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IP-CAN 정보를 IMS(A)로 전송한다(S106).
이후, IMS(A)는 IP-CAN의 정보를 무선 단말기(UE)로 전송하고, 무선 단말기는 이를 수신하였음을 통보한다(S107, S108). 무선 단말기(UE)의 액세스 네트워크 분석부(206)는 IMS(A)로부터 수신한 IP-CAN의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분석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208)는 IP-CAN의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기초로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IP-CAN을 선택한다(S109). 즉,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의 지연값 및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가능한 IP-CAN을 검색하고, 검색된 IP-CAN 중 최소 비용을 가지는 IP-CAN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단계 S109에서 선택한 IP-CAN을 통해 IMA(A)로 호 설정 메시지(SIP INVITE)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IMS)과 무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IP-CAN)를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전송 특성을 갖고 비용이 최소화된 IP-CAN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IMS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3GPP R5)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네트워크 액세스 선택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네트워크 액세스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20, 30 : 무선 단말기 100 : 노드B
102 : RNC 104 : SGSN
106 : GGSN 108 : 인터넷
110 : MGW 112 : PLMN/PSTN
114 : MSC 서버 116 : HSS
118 : MRF 120 : CSCF
122 : MGCF 124 : SCP
126 : MSC 128 : BTS/BSC
130 : WLAN 132 :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
134 :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 200 : 제어부
202 : I/O 인터페이스 204 : RF 통신모듈
206 :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 208 :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
210 : 외부 장치 212 : 메모리
214 : 디스플레이부 216 : 음성 출력부

Claims (9)

  1. 멀티미디어 IP 망 및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IMS)을 포함하는 IMT-2000망 및 상기 IMT-2000망에 접속되어 음성,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IMT-2000망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으로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정보 및 과금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IMT-2000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참조하여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호 설정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MT-2000망은 IMS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접속 가능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감시부로부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각각의 과금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입출력 제어를 위한 I/O 인터페이스;
    상기 IMT-2000망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 통신모듈;
    데이터 및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단말기의 현재 상태,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상기 IMT-2000망으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 분석부의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부;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는 지연값 및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5. 멀티미디어 IP 망 및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IMS)을 포함하여 무선 단말기로 음성,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망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IP 멀티미디어 코어망 부시스템으로 접속하기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방법으로서,
    상기 IMT-2000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을 결과인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정보 및 과금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액세스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IMT-2000망으로 호 설정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는 지연값 및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IMT-2000망에 위치등록을 마친 경우, 일정한 주기가 된 경우, 호 설정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MT-2000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액세스 네트워크와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IMT-2000망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채널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액세스 채널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액세스 채널 목록에서 비용이 최소인 액세스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방법.
KR10-2003-0050236A 2003-07-22 2003-07-22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시스템 및 방법 KR10050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36A KR100501170B1 (ko) 2003-07-22 2003-07-22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36A KR100501170B1 (ko) 2003-07-22 2003-07-22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29A KR20050011229A (ko) 2005-01-29
KR100501170B1 true KR100501170B1 (ko) 2005-07-18

Family

ID=3722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236A KR100501170B1 (ko) 2003-07-22 2003-07-22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676B1 (ko) 2005-09-13 2007-04-25 엘지노텔 주식회사 아이엠에스 과금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302667B1 (ko) * 2011-08-26 2013-09-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CN102958136B (zh) 2011-08-12 2018-03-16 Sk电信有限公司 基于多网络的同时数据传输方法和应用于该方法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29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6353B2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lement for authorizing a data transmission
US8165070B2 (en) Heterogeneous network system, network node and mobile host
EP1804546B1 (en) Method of providing seamless session mobility
CN100454912C (zh) 移动网络中的动态媒体授权
EP1708526A1 (en) Network selection
EP1685682A2 (en) Controlling network resources after determination of a flow termination
JP2003530767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技術分野で呼設定を行うための手法
US8374605B2 (en) Method for selecting an S-CSCF unit within an IMS-based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WO2006089949A2 (en) Method for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policy decision function module
US7286475B2 (en) GPRS system and in-zone node apparatus, and bearer setting method used therefor
KR100501170B1 (ko)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855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컨텐츠별 과금 데이터 생성 방법
CN103391564A (zh) 策略规则设备的选择方法及装置
EP18090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traffic category for a real time stream transmission
JP446040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433581B1 (ko) 세션 정보 변경에 따른 종단간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호 제어방법
KR101003688B1 (ko) Ims 망에서의 전송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4059308A1 (en) Multipath configuration and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1832042B1 (en) Method for providing a bearer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878013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서비스 과금 시스템 및 방법
WO2006131071A1 (fr) Procede de controle d&#39;acheminement de service
Lehmann Combined Mobility between H. 323 Multimedia Systems and GPRS/IMT2000 Networks: Architecture & QoS Aspects
Kim et al. Framework for Acess Network Selection in 3GPP IMS
KR20070121463A (ko) 멀티미디어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XPA06009902A (en) Heterogeneous network system, network node and mobile h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