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997B1 -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 Google Patents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997B1
KR100499997B1 KR10-2003-0014509A KR20030014509A KR100499997B1 KR 100499997 B1 KR100499997 B1 KR 100499997B1 KR 20030014509 A KR20030014509 A KR 20030014509A KR 100499997 B1 KR100499997 B1 KR 10049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modeling data
control module
module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9575A (ko
Inventor
김상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9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18Manufacturability analysis or optimisation for manufactur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PDMS, 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으로 설계된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에 대해 각 단위 영역(zone)별로 분류하며 간섭이 발생된 단위 영역에 해당하는 모델링 데이터의 3차원 영상 출력 및 도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간섭이 발생된 부분의 설계 수정이 용이하도록 한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Clash managing tool in 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플랜트 설계 관리 시스템(PDMS, 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 이하, PDM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DMS에서 설계된 모델링 데이터에서의 간섭 내역을 체크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에 대해서 승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에 관한 것이다.
PDMS는 다양한 분야의 대단위 플랜트의 설계시 이용되는 것으로서, 3차원 CAD(Computer Aided Design)를 이용한 설계 및 관리 시스템이다. PDMS를 이용한 플랜트 설계 흐름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PDMS의 기본 기능인 3차원 CAD 도면 즉,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생성된 3차원 모델링 데이터는 특정 플랜트의 전체 레이 아웃(lay out)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수많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담수 플랜트의 경우 각 배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러한 모델링 데이터는 실제 시공시에 있어서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즉, 시공과 일치하지 않는 설계상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한 체크 및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델링 데이터의 배관들이 서로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는 등의 간섭(clash) 발생 등을 체크하고 이러한 간섭 항목들을 관리해야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모델링 데이터에서의 상기 간섭 항목들이 모두 제거되어야 함을 물론이다.
종래의 PDMS에서는 이러한 간섭 체크 및 체크된 간섭 항목에 대한 관리 기능이 부족하여 모델링 데이터 내에서의 간섭을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PDMS로 설계된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에 대해 각 단위 영역(zone)별로 분류하며 간섭이 발생된 단위 영역에 해당하는 모델링 데이터의 3차원 영상 출력 및 도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간섭이 발생된 부분의 설계 수정이 용이하도록 한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DMS에서의 간섭 관리 툴은 3차원 CAD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을 저장하고 있는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사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사용자측 조건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모델링 데이터 DB, 설계 도면 DB 및 간섭 항목 DB의 정보를 바탕으로 일련의 간섭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간섭 제어 모듈;과, 상기 간섭 제어 모듈과 소정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간섭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모델링 데이터 DB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들에 대해서 상기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의 단위 영역별로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하는 간섭 체크 모듈;과, 상기 간섭 제어 모듈과 소정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간섭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되어 있는 단위 영역별 간섭 항목들에 대해 실제 간섭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갱신하는 승인 관리 모듈;과, 상기 간섭 제어 모듈과 소정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간섭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되어 있는 갱신된 단위 영역별 간섭 항목들에 대해 각각의 간섭 항목이 해당되는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을 상기 모델링 데이터 DB 및 설계 도면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출력하는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PDMS로 설계된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에 대해 각 단위 영역(zone)별로 분류하며 간섭이 발생된 단위 영역에 해당하는 모델링 데이터의 3차원 영상 출력 및 도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간섭이 발생된 부분의 설계 수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의 블록 구성을 포함한 PDMS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은 간섭 체크 모듈, 승인 관리 모듈,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 관리 모듈 그리고 상기 3개의 모듈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간섭 제어 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은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임의의 정보처리장치(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1)의 운영제체와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 때, 본 발명을 이용하는 임의의 사용자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3)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 작업을 진행하고 상기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2) 및 인터페이스 모듈을 매개로 하여 전달되는 경우, 전술한 간섭 제어 모듈(10)은 해당 사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는 절차',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사용자측 조건에 따라 특정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고 단위 영역별로 체크된 간섭 항목들을 분류 저장하는 절차', '단위 영역별로 분류 저장된 간섭 항목들에 대해 실제 간섭 여부를 판단하는 승인 관리 절차', '간섭이 발생된 해당 모델링 데이터의 특정 부분 및 설계 도면을 추출하여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게시하는 절차' 등의 간섭 관리에 관련된 제반 절차를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단위 영역이라 함은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단위 영역으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 플랫폼 관리모듈(11)은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관리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일련의 플랫폼 생성 루틴(routine)을 활성화시킨 후, 이 플랫폼 생성 루틴을 통해 사용자의 본 발명의 툴을 매개하는 완성된 형태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플랫폼 관리모듈(11)과 교신하는 플랫폼 관리소스 저장모듈(12)은 플랫폼 생성 루틴에 필요한 파라미터 소스, 플랫폼 생성 루틴에 필요한 명령어 집합, 플랫폼 생성 루틴에 필요한 이미지 소스, 플랫폼 생성 루틴에 필요한 폰트 소스, 플랫폼 생성 루틴에 필요한 패턴 소스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여 플랫폼 관리모듈(11)에 의한 일련의 플랫폼 생성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간섭 제어 모듈(10)로 전달된 후, 운영체제(2)를 거쳐 모니터 등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4)에 선택적으로 갱신, 출력되어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플랜트 설계에 있어서의 간섭 관리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과 교신하는 간섭 체크 모듈(14)은 간섭 제어 모듈(10)의 제어 하에 DB 운영 모듈(17)과 긴밀하게 교신하여 모델링 데이터 DB(21)에 기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여 간섭 존재 여부에 대한 체크를 실시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들에 대해 모델링 데이터의 단위 영역별로 분류하여 간섭 항목 DB(23)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간섭 체크 모듈(14)을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의 단위 영역별로 간섭 유무를 체크하는 절차는 도 2과 같은 인터페이스 플랫폼에서 진행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를 선택한 후 해당 모델링 데이터의 특정 단위 영역을 선택한 다음 사용자가 간섭 체크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은 이와 같은 간섭 체크 명령을 상기 간섭 체크 모듈(14)로 전달하고 상기 간섭 체크 모듈(14)은 해당 모델링 데이터의 특정 단위 영역에 대한 간섭 체크를 수행한다. 간섭 체크의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영역별로 분류가 되어 간섭 항목 DB(23)에 저장됨과 동시에 도 3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형태로 게시된다.
또한,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과 교신하는 승인 관리모듈은 간섭 제어 모듈(10)의 제어 하에 상기 DB 운영 모듈(17)과 긴밀하게 교신하여 간섭 항목 DB(23)에 저장되어 단위 영역별로 분류되어 있는 간섭 항목들에 대해 실제 간섭 여부를 판단하여 재차 간섭 항목 DB(23)의 정보들을 갱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승인 관리모듈을 이용하여 단위 영역별로 분류 저장되어 있는 간섭 항목들에 대한 실제 간섭 여부의 판단 절차는 도 3와 같은 인터페이스 플랫폼에서 진행된다. 도 3의 좌측은 특정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간섭 항목들의 리스트이다. 상기 각각의 간섭 항목들에 대해 상기 승인 관리모듈은 사용자의 이벤트에 따라 실제 간섭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실제 간섭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간섭 항목 DB(23)에서 해당 간섭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제거하는 갱신 절차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도 3의 우측의 3차원 그림은 우측의 간섭 항목들이 속하는 해당 단위 영역의 모델링 데이터이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에는 상술한 여러 구성 요소들 이외에도 연계 모듈(18)이 더 배치된다.
상기 연계 모듈(18)은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의 제어 하에, 정보처리장치(1)에 기 설치된 PDMS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PDMS로 전달하거나 PDMS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간섭 제어 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기능이외에 상기 연계 모듈(1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및 PDMS를 하나의 정보처리장치(1) 내에서 원활하게 연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을 이용한 간섭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임의의 사용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1)의 데이터 영역에 간섭 관리 툴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전산 환경을 구축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3)를 구동시켜 일련의 전산 작업을 진행하고 이 전산 이벤트가 운영체제(2)를 매개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은 플랫폼 관리 모듈을 제어하여 일련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상기 플랫폼 관리모듈(11)은 상기 간섭 제어 모듈(10)의 제어 하에, 플랫폼 관리소스 저장모듈(12)과 긴밀한 교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플랫폼 생성 루틴을 활성화시킨 후, 이 플랫폼 생성 루틴을 통해 사용자와 본 발명의 툴을 매개하는 완성된 형태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생성, 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절차가 모두 완료되어 소정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생성되면 간섭 제어 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운영제체로 전달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4)에는 소정의 메뉴들이 갖추어진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간섭 관리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은 모델링 데이터 DB(21)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모델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플랫폼이다. 도 2과 같은 인터페이스 생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체크하고자 하는 해당 모델링 데이터의 특정의 단위 영역에 대해서 간섭 체크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간섭 체크 이벤트가 발생되면 간섭 제어 모듈(10)은 간섭 체크 모듈(14)과의 연동 하에 상기 모델링 데이터 DB(21)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의 해당 단위 영역에 대한 간섭 유무의 체크를 실시하게 된다. 체크된 간섭 항목들은 도 3와 같은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형태로 정보처리장치(1)의 출력 디바이스(4)로 출력된다.
도 3의 좌측 부분은 상기 간섭 체크 과정을 통해 추출된 해당 단위 영역의 간섭 항목들의 리스트이며 도 3의 우측 부분은 해당 단위 영역의 모델링 데이터이다. 도 3와 같은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생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추출된 간섭 항목들에 대해 승인 관리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승인 관리과정은 추출된 각각의 간섭 항목들에 대해서 실제 간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이다. 즉, 간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간섭으로 체크된 항목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판단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간섭 체크 과정을 통해 추출된 간섭 항목들은 각각의 간섭 항목들에 대한 세부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사용자는 그러한 세부 내용들을 점검하여 해당 간섭 항목이 실제 간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판단을 통해 상기 도 3의 인터페이스 플랫폼에서 간섭 항목 중 실제 간섭이 아닌 항목들에 대해서 승인(approve)라는 표기를 하여 이후의 간섭 체크 과정에서 승인된 간섭 항목들이 재차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승인 관리된 간섭 항목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위 영역별로 분류 저장되어 있는 간섭 항목 DB(23)의 정보들을 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간섭 체크 및 승인 관리 과정을 통해 모델링 데이터의 단위 영역별 간섭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시간적 소요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승인 관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남아 있는 간섭 항목들에 대해 해당 관련 부분의 도면을 수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해당 간섭 항목에 상응하는 모델링 데이터의 단위 영역을 도 3의 우측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수 있으며 또한, 해당 간섭 항목에 상응하는 설계 도면을 상기 설계 도면 DB(22)로부터 추출하여 도 4와 같이 출력함으로써 직접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PDMS로 설계된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에 대해 각 단위 영역(zone)별로 분류하며 간섭이 발생된 단위 영역에 해당하는 모델링 데이터의 3차원 영상 출력 및 도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간섭이 발생된 부분의 설계 수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섭 관리 툴을 이용한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정보처리장치 100 : 간섭 관리 툴
10 : 간섭 제어 모듈 11 : 플랫폼 관리모듈
12 : 플랫폼 관리소스 저장모듈 13 : 인터페이스 모듈
14 : 간섭 체크 모듈 15 : 승인 관리 모듈
16 :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 관리 모듈
17 : DB 운영 모듈 18 : 연계 모듈
21 : 모델링 데이터 DB 22 : 설계 도면 DB
23 : 간섭 항목 DB

Claims (1)

  1. 3차원 CAD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을 저장하고 있는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체제를 탑재한 임의의 정보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운영체제를 매개로 전달되는 사용자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게시 및 갱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통한 사용자측 조건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모델링 데이터 DB, 설계 도면 DB 및 간섭 항목 DB의 정보를 바탕으로 일련의 간섭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간섭 제어 모듈;
    상기 간섭 제어 모듈과 소정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간섭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모델링 데이터 DB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 간섭 체크를 수행하고 체크된 간섭 항목들에 대해서 상기 특정의 모델링 데이터의 단위 영역별로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하는 간섭 체크 모듈;
    상기 간섭 제어 모듈과 소정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간섭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되어 있는 단위 영역별 간섭 항목들에 대해 실제 간섭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갱신하는 승인 관리 모듈;
    상기 간섭 제어 모듈과 소정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간섭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간섭 항목 DB에 저장되어 있는 갱신된 단위 영역별 간섭 항목들에 대해 각각의 간섭 항목이 해당되는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을 상기 모델링 데이터 DB 및 설계 도면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출력하는 모델링 데이터 및 설계 도면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KR10-2003-0014509A 2003-03-07 2003-03-07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KR100499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509A KR100499997B1 (ko) 2003-03-07 2003-03-07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509A KR100499997B1 (ko) 2003-03-07 2003-03-07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575A KR20040079575A (ko) 2004-09-16
KR100499997B1 true KR100499997B1 (ko) 2005-07-12

Family

ID=3736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509A KR100499997B1 (ko) 2003-03-07 2003-03-07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499B1 (ko) 2013-03-14 2014-09-30 (주)소프트힐스 디자인 리뷰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1826A1 (en) * 2009-06-05 2010-12-15 Dassault Systèmes Process of updating a status of relation between objects in a system of computer-aided design of objects
KR102134018B1 (ko) * 2018-10-11 2020-07-16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케이블 배선설계 결함 검출 지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499B1 (ko) 2013-03-14 2014-09-30 (주)소프트힐스 디자인 리뷰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575A (ko)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9121B2 (en) Virtual design environment
JP2022051942A (ja) グラフィック要素構成システム、グラフィック要素構成方法、グラフィック要素使用方法、グラフィック要素支持システム
US7139686B1 (en) Report generator for a mathematical computing environment
KR100314262B1 (ko) 그래픽언어기술프로세스내다수도구사용대화식컴퓨터프로그램개발방법및그장치
US83472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graphically editable parameterized cells
CN107341294B (zh) 基于Modelica语言的航天器信息系统建模仿真方法
JP2007242000A (ja) プロセスプラントの管理方法、プロセスプラント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セスコントロールネットワーク
KR101328224B1 (ko) 철강공정용 가상설비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JP5073971B2 (ja) ブロックベースのモデル形成方法および装置
Urbas et al. Towards context adaptive HMIs in process industries
Peng et al.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VR-based CAPP system
CN106294937A (zh) 一种基于数字样机模型的卫星布局方法
KR20150001923A (ko) 원전 플랜트 업무프로세스 모델링 및 절차서 관리 방법
RU2676405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и эксплуатации прикладного программ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499997B1 (ko) 플랜트 설계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간섭 관리 툴
Bignon et al. An integrated design flow for the joint generation of control and interfaces from a business model
Ezzedine et al. Agent-oriented design of human–computer interface: application to supervision of an urban transport network
KR102355787B1 (ko) 화면 요구사항 수집 및 절차 관리 방법
US114549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and design of industrial system
Galara Roadmap to master the complexity of process operation to help operators improve safety, productivity and reduce environmental impact
WO20141304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 with a synchronized documents interface
JP7462841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Randell et al. Incremental system development of large discrete-event simulation models
Jeschke et al. Virtual production intelligence (VPI)
KR20050008886A (ko) 오토캐드 파일에 대한 피 디 엠 에스로의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