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362B1 -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362B1
KR100499362B1 KR10-2002-0059848A KR20020059848A KR100499362B1 KR 100499362 B1 KR100499362 B1 KR 100499362B1 KR 20020059848 A KR20020059848 A KR 20020059848A KR 100499362 B1 KR100499362 B1 KR 10049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ht
block
vocoder
vdsp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547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3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362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지국제어기(BSC)에 수용된 보코더 채널의 평균통화시간(AHT: Average Holding Time) 통계를 일정시간마다 분석하여 일정 점유시간 이하인 경우 보코더를 자동 블록하여 서비스 격리토록 하는 보코더 불량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은, 평균통화시간(AHT)의 통계를 일정 시간마다 수집되는 단계와, 상기 AHT의 통계중 채널당 호(call) 시도수가, 시간당 일정 개수(m개)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m개 이상인 경우, 채널당 AHT가 일정 초(n초)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초 이하인 경우, n초 이하인 채널 건수가 한 VDSP 내에서 일정 건수(p건)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p건 이상에 해당하는 VDSP를 일단 블록으로 간주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0<블록건≤q건) 내에 있나 판단하는 단계를 거쳐 상기 블록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 내에 있으면 그 VDSP을 블록으로 판단한다.

Description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Bad Vocoder Channel Detecting Method by AHT}
본 발명은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지국제어기(BSC)에 수용된 보코더 채널의 평균통화시간(AHT: Average Holding Time) 통계를 일정시간마다 분석하여 일정 점유시간 이하인 경우 보코더를 자동 블록하여 서비스 격리토록 하는 보코더 불량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정보 통신 분야의 기술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추세에 부응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는 아날로그 시스템보다 훨씬 큰 용량을 구비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서비스 이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통화중의 잡음과 묵음 등 통화 품질을 저해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BTS,12)은 무선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처리하고, 기지국제어기(BSC,13)는 기지국(12)과 이동통신교환기(MSC,14)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기지국(BTS)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BSC(13)는 이동단말(MS,11)의 위치등록, 서비스 억섹스, 호 및 세션 제어, 실시간 트래픽 처리, 핸드오프 처리, 망관리 기능 및 MSC 정합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BSC(13) 및 BTS(12)간의 정합과 BSC(13) 내부의 네트워크는 ATM 스위치로 구성된 BAN(Bsc ATM Network)에 의해 모든 데이터가 교환되며, 상기 MSC(14)와 BSC(13) 간의 데이터 전송은 STM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라우터(ROUTER,17)는 ATM셀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고, GAN(Gateway ATM Network,15))은 ATM 스위치로서 상기 라우터(17)와 상기 BTS(12) 사이에 위치하며, PVC(Permanent Virtual Channel), SVC(Switched Virtual Channel) 기능을 제공하고, 서비스품질(QoS), 트래픽 관리, 네트워크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BSM(16)은 상용 워크스테이션 플랫폼(workstation platform) 위에 운용자(operator)의 망관리 작업을 위한 GUI환경을 제공하며, SNMP를 통해 BSC(13)/GAN(15)을 관리한다.
또한, NMC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관리망(TMN) 중계장치(mediation device)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 간에 잡음, 묵음, 일방향 통화 등의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BSC(13) 내에서 음성 부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보코더를 점검한다.
그런데 보코더에서 이러한 통화 품질 불량의 원인을 찾거나 불량을 검출하여 조치를 취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시간 조치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 보코더를 AHT통계와의 상관도를 근거로 검출하여 서비스 격리토록 함으로써 잡음/묵음/일방향 통화 등의 음질불량 현상을 개선하고 불량에 대해 실시간으로 조치할 수 있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제어기(BSC) 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음성 부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보코더를 점검하는 방법에 있어서;
평균통화시간(AHT)의 통계를 일정 시간마다 수집되는 단계와, 상기 AHT의 통계중 채널당 호(call) 시도수가, 시간당 일정 개수(m개)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m개 이상인 경우, 채널당 AHT가 일정 초(n초)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초 이하인 경우, n초 이하인 채널 건수가 한 VDSP 내에서 일정 건수(p건) 이상인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p건 이상에 해당하는 VDSP를 일단 블록으로 간주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 내에 있나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 내에 있으면 그 VDSP을 블록으로 판단하여 일정시간마다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시간마다 출력한 것을 일일 VDSP 블록으로 누적하여 리포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보코더에서 보코딩 기능은 VDSP(Voice Digital Signal Processor)라는 전용 DSP가 담당을 하고 각 VDSP에는 8개의 채널이 구비된다.
VDSP의 불량을 검출하는 프로그램(vdsptool)에 tar 파일을 적용하여(S310) 옵션에 따라 파일을 하나로 묶거나 묶인 파일을 풀게 한다.
아래는 그 명령어의 일예를 보여준다.
sybsm115:/home1/cdmaone> tar xvf vdsptool.tar
다음 반복적으로 AHT의 통계를 수집하도록 명령어(cron)를 실행한다(S312).
상기 명령어 실행 단계(S312)는,
현재 cron 파일을 생성하고(sybsm115:/home1/cdmaone> crontab -l > cron),
cron에 에디터인 vi 편집을 추가한(sybsm115:/home1/cdmaone> vi cron) 후,
수정 cron 파일을 실행하여(sybsm115:/home2/cdmaone> crontab -r; crontab cron),
이루어진다.
상기 명령에 의해 AHT의 통계가 일정시간마다 수집되어(S314) 이후 VSDP의 블록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상기 ATH의 통계중에서 블록의 조건에 해당되면 서비스에 격리시킨다.
블록 판단의 제1조건은 AHT의 통계중 채널당 호(call) 시도수가, 시간당 일정 개수(m개, 예를 들어 15개)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S316).
이는 호 시도수가 작으면 AHT로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블록 판단의 제2조건은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한 AHT에서 AHT가 일정 초(n초, 본 발명에서는 20-30초)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S318).
이는 평균통화시간(AHT)이 짧은 경우는 통화음질이 좋지 않아 일찍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블록 판단의 제3조건은 VDSP내에 제2조건을 만족한 채널 건수가 일정 건수(p건, 본 발명에서는 4-8건)이상인 가를 판단하는 것이다(S320).
VDSP내 8개의 채널중 AHT 저조(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는) 채널 건수가 작으면 VDSP 전체를 블록으로 판단하기에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면 일단 VDSP을 블록으로 간주한다(S322).
블록 판단의 제4조건은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여 블록 대상으로 간주하는 VDSP 건이 일정범위(0<블록건≤q건) 내에 있는 가를 판단하는 것이다(S324).
상기 블록 대상으로 간주된 건수가 일정범위 내에 있으면 그 VDSP을 블록 대상으로 판단하여 일정시간마다 출력하고(S326), 일정범위 이내에 있지 않으면 장애 상황으로 판단하여(S332) 후속 조치한다. 즉, 상기 블록 대상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를 넘으면 해당 보코더 불량이 아닌 다른 장애상황으로 추정하여 블록 대상의 경우에서 제외함으로써 불량 판단의 신뢰성을 제고하게 된다.
일정시간마다 출력한 것을 일일 VDSP 블록으로 누적하여 리포트하고(S328), 블록된 VDSP에 대해서는 음질시험을 하여 조치를 취한다.
상기 제1/2/3/4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그 VDSP는 블록으로 간주되지 않아 AHT 통계를 수집하는 단계(S314)로 되돌아 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불량 보코더를 AHT통계와의 상관도를 근거로 검출하여 서비스 격리토록 함으로써 잡음/묵음/일방향 통화 등의 음질불량 현상을 개선하고 불량에 대해 실시간으로 조치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단말 12 : 기지국
13 : 기지국제어기 14 : 이동전화교환기
15 : GAN 16 : BSM
17 : 라우터

Claims (7)

  1. 기지국제어기(BSC) 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음성 부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보코더를 점검하는 방법에 있어서,
    평균통화시간(AHT)의 통계를 일정 시간마다 수집되는 단계와,
    상기 AHT의 통계중 채널당 호(call) 시도수가, 시간당 일정 개수(m개)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m개 이상인 경우, 채널당 AHT가 일정 초(n초)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초 이하인 경우, n초 이하인 채널 건수가 보코더에서 보코딩을 행하는 전용 DSP인 VDSP(Voice Digital Signal Processor) 내에서 일정 건수(p건) 이상인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p건 이상에 해당하는 VDSP를 일단 블록 대상으로 간주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대상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0<블록건≤q건) 내에 있나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대상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 내에 있으면 그 VDSP을 블록하여 통화 서비스에서 제외토록 하는 단계와,
    상기 m 시도수의 n 초 동안 AHT가 저조한 채널 리스트를 매시간 리포트하고, 블록된 VDSP를 일일 리포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당 AHT가 일정 초(n초)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n초는 20-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n초 이하인 채널 건수가 한 VDSP 내에서 일정 건수(p건) 이상인 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p건은 4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대상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0<블록건≤q건) 내에 있나 판단하는 단계에서 q건은 5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대상으로 간주된 VDSP 건수가 일정범위를 넘으면 해당 보코더 불량이 아닌 다른 장애상황으로 추정하여 블록 대상의 경우에서 제외함으로써 불량 판단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대상으로 판단된 VDSP의 보코더에 대해서는 통화 서비스에서 제외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KR10-2002-0059848A 2002-10-01 2002-10-01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KR100499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48A KR100499362B1 (ko) 2002-10-01 2002-10-01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48A KR100499362B1 (ko) 2002-10-01 2002-10-01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547A KR20040029547A (ko) 2004-04-08
KR100499362B1 true KR100499362B1 (ko) 2005-07-04

Family

ID=3733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848A KR100499362B1 (ko) 2002-10-01 2002-10-01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3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592A (ja) * 1996-12-24 1998-07-2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監視システム
KR19990003115A (ko) * 1997-06-24 1999-01-15 김영환 시디엠에이(cdma)시스템의 불량 보코더(vocoder) 자동 검출방법
KR100221812B1 (ko) * 1997-07-03 1999-09-15 윤종용 기지국 제어기내 보코더의 초기 진단 방법
JPH11261471A (ja) * 1998-03-11 1999-09-24 Fujitsu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障害監視装置
KR100314216B1 (ko) * 1999-09-02 2001-11-22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통화채널 및 제어국의 보코더
KR100344119B1 (ko) * 2000-03-30 2002-07-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시디엠에이 이동통신 교환국시스템의 음성 트래픽 채널시험 방법
KR100369806B1 (ko) * 1999-10-18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592A (ja) * 1996-12-24 1998-07-2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監視システム
KR19990003115A (ko) * 1997-06-24 1999-01-15 김영환 시디엠에이(cdma)시스템의 불량 보코더(vocoder) 자동 검출방법
KR100221812B1 (ko) * 1997-07-03 1999-09-15 윤종용 기지국 제어기내 보코더의 초기 진단 방법
JPH11261471A (ja) * 1998-03-11 1999-09-24 Fujitsu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障害監視装置
KR100314216B1 (ko) * 1999-09-02 2001-11-22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통화채널 및 제어국의 보코더
KR100369806B1 (ko) * 1999-10-18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
KR100344119B1 (ko) * 2000-03-30 2002-07-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시디엠에이 이동통신 교환국시스템의 음성 트래픽 채널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547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19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neighbor list for handover management
US7224968B2 (en) Network testing and monitoring systems
US7349692B2 (en) Network testing systems
US7822414B2 (en) Connection failure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099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MTS cell traffic
CN102075988B (zh) 一种移动通信网络端到端语音质量故障定位系统及方法
CN102438266A (zh) 移动通信网语音质量的优化方法和装置
Kreher UMTS performance measurement: a practical guide to KPIs for the UTRAN environment
CN100531254C (zh) 掉话故障信息的上报方法、装置及掉话故障原因定位系统
US20110143747A1 (en) Method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test method and network device
US200502879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2123410B (zh) 一种基于a接口信令的单通定位方法
KR100499362B1 (ko) Aht를 활용한 불량 보코더채널 검출방법
CN1336088A (zh) 通过控制新呼叫接入维护语音质量的蜂窝通信网和方法
KR20040034006A (ko) Vdsp 알람을 활용한 불량 보코더 검출방법
KR20000013077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호 장애 관리 방법
KR101386158B1 (ko)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이버 리스트 누락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040026285A (ko) 이동단말의 착신시 양방향 묵음현상 방지방법
KR101005387B1 (ko) 이동통신 망의 기지국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67182B1 (ko) 재발신 통화패턴을 이용한 통화불량 판별 시스템 및 그방법
EP097627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surement of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quality
KR20090114604A (ko) 보이스 액티비티를 활용한 음질불량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17163340A (ja) 試験方法
KR20020043519A (ko) 기지국 관리 시스템의 cdma시스템 프로세서 부하분석방법
KR2004000518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불량단말기 검출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