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017B1 - 온도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온도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017B1
KR100499017B1 KR10-2003-0081859A KR20030081859A KR100499017B1 KR 100499017 B1 KR100499017 B1 KR 100499017B1 KR 20030081859 A KR20030081859 A KR 20030081859A KR 100499017 B1 KR100499017 B1 KR 100499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temperature control
heat exchanger
valv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145A (ko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밸
Priority to KR10-2003-008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0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와 같은 산업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증기등의 유체를 열교환기기로 공급하는 관로상에 주로 설치되며, 열교환기기에 설치되어 열교환기기 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와 연결되어 열교환기기 내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열교환기기내로 유입되는 증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조절밸브에 수동으로 온도조절밸브를 개폐하는 수동핸들과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도위치표시기를 설치함으로서, 밸브 또는 온도감지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수동조작으로 온도조절밸브를 잠글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와 온도감지기의 이상유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열교환시스템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기(2)에 삽입되어 열교환기기(2)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봉(5)과 감지봉(5)에서 감지된 열기에 의해 내부의 액체가 팽창하는 팽창력이 전달관(6)을 통하여 내부의 누름봉(9)을 밀어주는 작동기(7)로 이루어지는 온도감지기(8)의 작동기(7)가 온도조절밸브(4)의 상부에 연결너트(25)에 조립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밸브(4)의 밸브커버(15) 상부 나사부(26) 하단에 단턱부(27)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26)에는 상부 내주연에 나사부(26)에 체결될 암나사부(28)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공간부를 형성한 수동핸들(29)이 단턱부(27) 하방으로 하강이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동핸들(29)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3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단턱부(27) 하방의 밸브커버(15)에는 양측방으로 관통하는 절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18)은 절개부(31)가 형성된 부분에서 이단봉 형태로 단턱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스템(18)의 단턱부(32)에는 플레이트형의 개도위치표시기(33)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개도위치표시기(33)의 양단은 양측 절개부(31)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개도위치표시기(33) 하측의 스템(18)에는 스프링(34)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조절밸브{Temperatur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열교환기기로 공급하는 관로상에 설치되며, 열교환기기에 설치되어 열교환기기 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와 연결되어 열교환기기 내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열교환기기내로 유입되는 증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조절밸브에 수동으로 온도조절밸브를 개폐하는 수동핸들과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도위치표시기를 설치함으로서, 밸브 또는 온도감지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수동조작으로 온도조절밸브를 잠글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열교환시스템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조절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열교환기기(2)로 공급하는 관로(3)상에 설치되며, 이 온도조절밸브(4)에는 열교환기기(2)에 설치되어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봉(5)과 전달관(6)으로 연결된 작동기(7)가 설치되어서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온도조절밸브(4) 상측의 작동기(7)가 온도조절밸브(4)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열교환기기(2)와 온도조절밸브(4)에 설치되는 온도감지기(8)는 이미 널리 알려져 공지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기(2)에 삽입 설치되어 감지된 열기에 의해 내부의 액체(글리세린)가 팽창하게 되는 감지봉(5)과, 감지봉(5)과 작동기(7)의 사이에 연결되어 감지봉(5)에서 감지된 열기에 따라 팽창된 액체의 팽창력을 작동기(7)로 전달하는 전달관(6)과, 온도조절밸브(4)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달관(6)을 통해 전달된 팽창력으로 작동기(7) 내의 누름봉(9)이 밀려나오면서 온도조절밸브(4) 내의 스템(18)을 눌러서 온도조절밸브(4) 내의 유체통과구멍(13)을 막아주게 하는 작동기(7)로 이루어 진다.
또한, 종래의 온도조절밸브(4)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의 밸브몸체(10)에는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서로 통하게 형성되며, 유입구(11)와 배출구(12)의 사이의 중앙에는 유체통과구멍(13)을 구비한 밸브시트(14)가 설치되고, 이 밸브몸체(10)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직구멍(16)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한 밸브커버(15)가 설치되며, 이 수직구멍(16)에는 말단부는 유체통과구멍(13)을 개폐시킬 밸브플러그(17)를 구비한 스템(18)이 스프링(19)를 개재시킨 상태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온도조절밸브(4)의 동작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일러(1)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관로(3)를 통하여 열교환기기(2)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기기(2)내의 열교환파이프(3a)로 순환되면, 열교환파이프(3a)가 고온의 증기에 의해 뜨거워지면서 그 열기로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를 뜨겁게 데워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뜨거워진 유체는 난방이나 온수 사용을 위하여 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선박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순환관(20)을 통해 외부로 배출 순환되는 유체는 필요에 따른 난방이나 연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이렇게 가열되는 유체의 온도가 열교환기기(2)에 삽입 설치된 감지봉(5)에 감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지되는 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감지봉(5) 내에 충만된 액체(글리세린)이 팽창하게 되며, 이렇게 팽창되는 팽창력이 전달관(6)을 통하여 작동기(7) 내의 누름봉(9)에 작용하여 누름봉(9)을 밀어 내게 된다.
위와 같이 밀려 나오는 누름봉(9)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커버(15)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템(18)을 아래로 눌러주게 되어, 이 스템(18)이 하측으로 밀려 내려가면서 그 말단부의 밸브플러그(17)가 밸브몸체(10) 내의 유체통과구멍(13)을 막아주어 유체(증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교환시스템을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온도감지기(8)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온도감지기(8)가 고장나게 되면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온도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커다란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장의 발견은 순환관(20)을 통해 나온 유체의 온도가 비정상임을 사용자에 의해 발견되거나, 또는 열교환기기(2)에 설치된 온도계(21)를 보고 온도감지기(8)의 고장을 발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온도감지기(8)의 고장이 발견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온도조절밸브(4)의 전후방에 설치된 각각의 밸브(22)를 잠그고, 온도조절밸브(4)가 설치된 관로(3)를 우회하는 바이패스관(24)의 바이패스밸브(23)를 열어서 보일러(1)의 증기가 바이패스관(24)을 통하여 열교환기기(2)로 유입되게 한다. 이때, 온도계(21)의 온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바이패스밸브(23)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온도를 수동으로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도조절밸브(4)에는 온도조절밸브(4)의 개폐량을 알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온도조절밸브(4)의 전후방에 설치된 밸브(22)를 잠그고, 바이패스관(24)으로 증기가 우회되도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도조절밸브에 수동으로 온도조절밸브를 개폐하는 수동핸들과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도위치표시기를 설치함으로서, 개도위치표시기의 위치만 보면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한눈에 쉽게 알아 볼 수 있어서 온도감지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온도조절밸브가 닫혀져 있는 상태이면 바이패스밸브만 열어서 바이패스관으로 증기가 우회되도록 하고, 온도조절밸브가 열려져 있다면 온도조절밸브에 설치된 수동핸들을 잠근 뒤에 바이패스밸브만 열어서 바이패스관으로 증기가 우회되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열교환시스템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종래에 있었던 온도조절밸브 전후방의 밸브가 필요치 않아 관로가 간단해지고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기에 삽입되어 열교환기기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봉과, 감지봉에서 감지된 열기에 의해 내부의 액체가 팽창하는 팽창력이 전달관을 통하여 내부의 누름봉을 밀어주는 작동기로 이루어지는 온도감지기의 작동기가 온도조절밸브의 상부에 연결너트에 조립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밸브의 밸브커버 상부 나사부 하단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에는 상부 내주연에 나사부에 체결될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공간부를 형성한 수동핸들이 단턱부 하방으로 하강이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동핸들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단턱부 하방의 밸브커버에는 양측방으로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은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이단봉 형태로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템의 단턱부에는 플레이트형의 개도위치표시기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개도위치표시기의 양단은 양측 절개부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개도위치표시기 하측의 스템에는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밸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2 및 도 4,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온도조절밸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서로 통하게 형성되며 유입구(11)와 배출구(12)의 사이의 중앙에는 유체통과구멍(13)을 구비한 밸브시트(14)가 설치된 밸브몸체(10)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직구멍(16)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한 밸브커버(15)가 설치되며, 이 수직구멍(16)에는 말단부에 유체통과구멍(13)을 개폐시킬 밸브플러그(17)를 구비한 스템(18)이 스프링(19)를 개재시킨 상태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온도조절밸브(4)의 상부에는 열교환기기(2)에 삽입되어 열교환기기(2)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봉(5)과 감지봉(5)에서 감지된 열기에 의해 내부의 액체가 팽창하는 팽창력이 전달관(6)을 통하여 내부의 누름봉(9)을 밀어주는 작동기(7)로 이루어지는 온도감지기(8)의 작동기(7)가 연결너트(25)에 조립 설치된다.
상기 밸브커버(15)의 상부 나사부(26) 하단에 단턱부(27)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26)에는 상부 내주연에 나사부(26)에 체결될 암나사부(28)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공간부를 형성한 수동핸들(29)이 단턱부(27) 하방으로 하강이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동핸들(29)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3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27) 하방의 밸브커버(15)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방으로 관통하는 절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18)은 절개부(31)가 형성된 부분에서 이단봉 형태로 단턱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스템(18)의 단턱부(32)에는 플레이트형의 개도위치표시기(33)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개도위치표시기(33)의 양단은 양측 절개부(31)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개도위치표시기(33) 하측의 스템(18)에는 스프링(34)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2 및 도 4,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일러(1)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관로(3)를 통하여 열교환기기(2)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기기(2)내의 열교환파이프(3a)로 순환되면, 열교환파이프(3a)가 고온의 증기에 의해 뜨거워지면서 그 열기로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를 뜨겁게 데워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뜨거워진 유체는 난방이나 온수 사용을 위하여 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선박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순환관(20)을 통해 외부로 배출 순환되는 유체는 필요에 따른 난방이나 연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이렇게 가열되는 유체의 온도가 열교환기기(2)에 삽입 설치된 감지봉(5)에 감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지되는 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감지봉(5) 내에 충만된 액체(글리세린)이 팽창하게 되며, 이렇게 팽창되는 팽창력이 전달관(6)을 통하여 작동기(7) 내의 누름봉(9)에 작용하여 누름봉(9)을 밀어 내게 된다.
위와 같이 밀려 나오는 누름봉(9)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커버(15)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템(18)을 아래로 눌러주게 되어, 이 스템(18)이 하측으로 밀려 내려가면서 그 말단부의 밸브플러그(17)가 밸브몸체(10) 내의 유체통과구멍(13)을 막아주어 유체(증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밸브플러그(17)가 유체통과구멍(13)을 막아주어 증기가 열교환기기(2)측으로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지 못하게 되면, 순환관(20)을 통하여 순환되어 회수되는 유체의 낮은 온도에 의해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위와 같이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의 온도가 낮아지면 이를 감지봉(5)이 감지하여 감지봉(5) 내의 액체(글리세린)가 수축하게 되고, 이렇게 감지봉(5) 내의 액체가 수축함에 따라 작동기(7)와 연결되어 있는 전달관(6)의 내부에는 압력이 낮아지면서 팽창력이 약해지게 되어 작동기(7)의 내부에 설치된 누름봉(9)은 상기 액체의 수축력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또는 액체의 수축량이 적은 경우에는 누름봉(9)이 스템(18)을 눌러주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이렇게 스템(18)을 아래로 눌러주는 힘이 약해짐에 따라 스템(18)의 개도위치표시기(33) 하측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34)의 탄력에 의해 스템(18)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누름봉(9)을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템(18)이 상측으로 올라감에 따라 스템(18) 말단의 밸브플러그(17)가 유체통과구멍(13)을 열어 다시 고온의 증기가 유체통과구멍(13)을 통하여 열교환기기(2)측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열교환기기(2) 내측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스템(18)이 자동적으로 승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승하강하는 스템(18)의 승하강 정도가 절개부(31) 내의 스템(18)에 설치된 개도위치표시기(33)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된다.
이와같이 개도위치표시기(33)가 올라가 있거나 내려가 있는 위치를 사용자가 눈으로 보고 온도조절밸브(4)의 개폐여부와 개폐정도를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온도감지기(8)가 설치된 온도조절밸브(4)가 정상적으로 작용을 하다가 온도감지기(8)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열교환기기(2)로 증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는 열교환기기(2)에 설치된 온도계(21)의 온도를 눈으로 확인하여 온도감지기(8)의 이상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고 온도조절밸브(4)를 잠그어 고온의 증기가 온도조절밸브(4)를 통하여 열교환기기(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이때 관리자는 개도위치표시기(33)의 위치를 보고 개도위치표시기(33)가 가장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으면 스템(18)이 아래쪽으로 내려와 유체통과구멍(13)이 닫힌 상태이므로 유체통과구멍(13)을 닫게하기 위하여 스템(18)을 하강시킬 필요가 없고, 개도위치표시기(33)의 위치가 아래쪽으로 다 내려와 있지 않다면 유체통과구멍(13)가 열린 상태이므로 이때는 스템(18)을 하강시켜 유체통과구멍(13)을 닫아야 한다.
상기와 같이 열린 유체통과구멍(13)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밸브커버(15)의 상부 나사부(26)에 나사식으로 설치된 수동핸들(29)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돌리면, 이 암나사부(28)가 나사부(26)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수동핸들(29)이 하강하면서 수동핸들(29)의 하단부가 절개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템(18)에 설치된 개도위치표시기(33)를 아래로 밀어내리게 된다.
이렇게 나사식으로 하강하는 수동핸들(29)의 하단부가 개도위치표시기(33)를 아래로 밀어 내림에 따라 개도위치표시기(33)이 장착된 스템(18)이 하강하면서 스템(18)의 하단부에 설치된 밸브플러그(17)가 유체통과구멍(13)을 막아 증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도위치표시기(33)는 이단봉형태로 형성된 스템(18)의 단턱부(27)에 걸리도록 설치되어서 상기와 같이 수동핸들(29)에 의해 개도위치표시기(33)가 하측으로 눌릴 때 개도위치표시기(33)의 하단부가 스템(18)의 단턱부(27)를 내려누르기 때문에 스템(18)은 개도위치표시기(33)가 눌리는대로 눌리면서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도위치표시기(33) 상부의 스템(18)에는 고정스냅링(35)이 설치되어서 개도위치표시기(33)가 스템(18)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유체통과구멍(13)을 밸브플러그(17)로서 막게되면 온도조절밸브(4)가 설치된 관로(3)로의 증기의 흐름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며, 그 뒤에 바이패스관(24)에 설치된 바이패스밸브(23)를 열어서 증기가 바이패스관(24)을 통해서 열교환기기(2)로 유입되게 한다. 이 때 바이패스밸브(23)의 개폐량은 열교환기기(2)에 설치된 온도계(21)를 보고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온도를 보면서 개폐량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관(24)으로 증기가 통과하도록 한 뒤에는 온도조절밸브(4)의 상부에 연결너트(25)로서 결합된 온도감지기(8)의 작동기(7)를 분해하여 새로운 온도감지기(8)로 교체하고, 교체 및 점검이 완료된 뒤에 바이패스밸브(23)를 잠그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온도감지기(8)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교환기기(2) 내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온도조절밸브(4)를 열어서 열교환시스템이 동작되도록 한다.
위에서 개도위치표시기(33)가 설치된 절개부(31)에 개도위치표시기(33)의 승하강높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하면, 그눈금에 따라 유체통과구멍(13)의 열리거나 닫힌 정도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조절밸브(4)를 채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온도조절밸브(4)에 유체통과구멍(13)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핸들(29)이 설치되어서 종래와 같이 온도조절밸브(4)의 전후방에 설치해야 하는 밸브(22)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동핸들(29)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된 스프링(30)은 하측의 단턱부(27)와 수동핸들(29)의 내측 저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수동핸들(29)의 암나사부(28)와 밸브커버(15) 상측의 나사부(26)가 유동없이 체결되면서, 수동핸들(29)을 풀을 때 스프링(30)의 탄력이 상측으로 작용하여 수동핸들(29)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상측으로 올라가게 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조절밸브는, 온도조절밸브에 수동으로 온도조절밸브를 개폐하는 수동핸들과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도위치표시기를 설치함으로서, 개도위치표시기의 위치만 보면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한눈에 쉽게 알아 볼 수 있어서 온도감지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온도조절밸브가 닫혀져 있는 상태이면 바이패스밸브만 열어서 바이패스관으로 증기가 우회되도록 하고, 온도조절밸브가 열려져 있다면 온도조절밸브에 설치된 수동핸들을 잠근 뒤에 바이패스밸브만 열어서 바이패스관으로 증기가 우회되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 온도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열교환시스템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종래에 있었던 온도조절밸브 전후방의 밸브가 필요치 않아 관로가 간단해지고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온도조절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열교환시스템의 배관도.
도 2는 일반적인 온도감지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온도조절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 2 : 열교환기기 3 : 관로
4 : 온도조절밸브 5 : 감지봉 6 : 전달관
7 : 작동기 8 : 온도감지기 9 : 누름봉
10 : 밸브몸체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유체통과구멍 14 : 밸브시트 15 : 밸브커버
16 : 수직구멍 17 : 밸브플러그 18 : 스템
19 : 스프링 20 : 순환관 21 : 온도계
22 : 밸브 23 : 바이패스밸브 24 : 바이패스관
25 : 연결너트 26 : 나사부 27 : 단턱부
28 : 암나사부 29 : 수동핸들 30 : 스프링
31 : 절개부 32 : 단턱부 33 : 개도위치표시기
34 : 스프링

Claims (1)

  1.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서로 통하게 형성되며 유입구(11)와 배출구(12)의 사이의 중앙에는 유체통과구멍(13)을 구비한 밸브시트(14)가 설치된 밸브몸체(10)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직구멍(16)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한 밸브커버(15)가 설치되며, 이 수직구멍(16)에는 말단부에 유체통과구멍(13)을 개폐시킬 밸브플러그(17)를 구비한 스템(18)이 스프링(19)을 개재시킨 상태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온도조절밸브(4)의 상부에는 열교환기기(2)에 삽입되어 열교환기기(2)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봉(5)과 감지봉(5)에서 감지된 열기에 의해 내부의 액체가 팽창하는 팽창력이 전달관(6)을 통하여 내부의 누름봉(9)을 밀어주는 작동기(7)로 이루어지는 온도감지기(8)의 작동기(7)가 연결너트(25)에 조립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커버(15)의 상부 나사부(26) 하단에 단턱부(27)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26)에는 상부 내주연에 나사부(26)에 체결될 암나사부(28)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공간부를 형성한 수동핸들(29)이 단턱부(27) 하방으로 하강이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동핸들(29)의 내부 공간부에는 스프링(3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단턱부(27) 하방의 밸브커버(15)에는 양측방으로 관통하는 절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18)은 절개부(31)가 형성된 부분에서 이단봉 형태로 단턱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스템(18)의 단턱부(32)에는 플레이트형의 개도위치표시기(33)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개도위치표시기(33)의 양단은 양측 절개부(31)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개도위치표시기(33) 하측의 스템(18)에는 스프링(34)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밸브.
KR10-2003-0081859A 2003-11-18 2003-11-18 온도조절밸브 KR10049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59A KR100499017B1 (ko) 2003-11-18 2003-11-18 온도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59A KR100499017B1 (ko) 2003-11-18 2003-11-18 온도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145A KR20030096145A (ko) 2003-12-24
KR100499017B1 true KR100499017B1 (ko) 2005-07-01

Family

ID=3238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859A KR100499017B1 (ko) 2003-11-18 2003-11-18 온도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30B1 (ko) * 2020-05-06 2021-11-09 주식회사 유니세트 반도체 메모리 모듈 고온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145A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8173C (en) Fluid supply shut off valve system and fluid monitoring device for use with same
US6543474B2 (en) Pressure equalizing check valve
KR100890116B1 (ko) 상향식 보일러
KR950002489B1 (ko) 온수 히터용 자동제어장치
KR100499017B1 (ko) 온도조절밸브
EP3472533B1 (en) A freeze prevention valve
KR100644378B1 (ko) 압력제어기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과 이중포핏을 이용한자동온도 유량조절장치
KR101551422B1 (ko) 물 역류 차단 가스 중간밸브
US5109881A (en) Temperature sensitive control valve
US11306837B1 (en) Safety valve for hot water heater
KR100629440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스팀트랩
US20050145809A1 (en) Multifunctional valve device
US2047654A (en) Relief valve
AU2013273691B2 (en) Excess Pressure Safety Relief Valve
KR100278106B1 (ko)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수온감지 밸브의 비례제어식 자동 온도유량조절장치
NO820747L (no) Sikkerhetsventil.
US3381933A (en) Automatic safety cut-off valve
JP4022945B2 (ja) 減圧式逆流防止型ドレンバルブ
US2229926A (en) Automatic fuel control for water heaters
US3040765A (en) Relief valve
AU2007203037A1 (en) Relief valve
KR200452273Y1 (ko) 고압밸브의 안전장치
KR20040082374A (ko) 온도 감지식 안전 밸브 조립체
JP3968336B2 (ja) 逆流防止装置及び一缶多水路型給湯器
EP3693671B1 (en) Filling system with thermal actu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