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239B1 -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239B1
KR100498239B1 KR10-2002-0071549A KR20020071549A KR100498239B1 KR 100498239 B1 KR100498239 B1 KR 100498239B1 KR 20020071549 A KR20020071549 A KR 20020071549A KR 100498239 B1 KR100498239 B1 KR 100498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unit
termina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318A (ko
Inventor
김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내테크
Priority to KR10-2002-007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23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켈카드뮴(NiCd) 또는 니켈수소(NiMH) 배터리의 복수셀을 직렬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된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이콤(1)과, PWM제어부(2) 및, 배터리 충전부(3)와 배터리크기 감지부(4) 및 배터리전압 감지부(5)를 각각 갖춘 다수의 충전부(CB1∼CBn)를 구비하여 구성된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3)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제어신호를 저항(R11)을 통해 인가받는 베이스와,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 및, 저항(R12,R13)을 매개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콜렉터를 갖춘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저항(R12,R13)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항(R12)을 매개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저항(R12)과 병렬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춘 PNP트랜지스터(Q12); 저항(R14)을 매개로 상기 PNP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를 인가받는 드레인 및, 저항(R15)과 병렬로 연결되면서 접점(a2)에 연결된 소스를 갖춘 N형 MOSFET(Q13);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가 애노드단에 인가되는 다이오드(D11); 이 다이오드(D11)의 캐소드단과 점점(a2) 사이에 연결된 배터리 충전단자(P11,P12;P14,P13) 및; 상기 단자(P13)와 접점(a2) 사이에 연결된 단자(P15,P16)을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충전부(CB1∼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직렬로 동시에 충전하다가, 상기 마이콤(1)이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삽입된 배터리의 만충전을 인지하게 되면, 충전제어신호인 하이레벨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되어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PNP트랜지스터(Q12) 및, N형 MOSFET(Q13)를 온시켜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서의 충전을 종료시킴과 더불어 상기 PWM 제어부(2)로부터 인가되고 있던 충전전류(BATT+)가 상기 N형 MOSFET(Q13)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됨으로써, 각 단위 셀에 대한 충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A APPARATUS FOR RAPIDLY CHARGING THE NiCd/NiMH BATTERYS SERIALLY AND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를 동시에 급속충전할 수 있도록 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니켈카드뮴(NiCd) 또는 니켈수소(NiMH) 배터리의 복수셀을 직렬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NiCD 및 NiMH 배터리를 복수개(예컨대, 2개 이상의 셀) 급속충전할 수 있도록 된 급속충전기의 충전방식은 병렬동시 충전방식과, 병렬순차 충전방식, 그리고 직렬 동시 충전방식의 3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병렬동시 충전방식은 충전시간이 짧고, 단위 셀에 대한 충전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만충전까지의 시간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할 경우 직렬방식 보다 n배(여기서, n은 배터리 셀의 수)의 충전전류를 흘려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다음에, 병렬순차 충전방식은 단위 셀을 순차적으로 충전하기 때문에 충전전류가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충전시간이 n배(여기서, n은 배터리 셀의 수)로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직렬동시 충전방식은 충전시간이 짧고, 충전전류가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전체를 통합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각각의 배터리 셀의 충전 불균형 현상으로 인하여 충전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즉, 현재의 직렬동시 충전방식의 경우, 충전되어지는 2개 이상의 배터리 전체를 하나로 통괄 제어함으로써 각 배터리간의 충전 불균형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예컨대, 2개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경우, 하나의 배터리가 만충전 보다 더 충전이 되면, 나머지 하나의 배터리는 만충전이 되기 전에 전체 배터리가 만충전 되는 조건에 만족하는 상황이 되므로 충전이 종료되는 것으로 된다. 결과적으로, 나머지 하나의 배터리가 만충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완료가 되는 충전 불균형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복수의 니켈카드뮴(NiCd) 또는 니켈수소(NiMH) 배터리를 동시에 직렬로 충전하면서 각 셀의 만충전에 대한 감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는, 충전중인 배터리가 만충전조건에 도달하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 충전의 종료를 제어함과 더불어 배터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배터리크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BATT+)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크기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신호를 출력하는 PWM제어부(2) 및;
충전되어질 배터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SW-n)를 통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 및 충전 종료시키는 배터리 충전부(3)와, 이 배터리 충전부(3)에 삽입된 배터리의 크기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단자(AAA_IN-1∼AAA_IN-n)를 통해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크기 감지부(4) 및,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서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을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전압 감지부(5)를 각각 갖춘 다수의 충전부(CB1∼CBn)를 구비하여 구성된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3)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제어신호를 저항(R11)을 통해 인가받는 베이스와,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 및, 저항(R12,R13)을 매개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콜렉터를 갖춘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저항(R12,R13)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항(R12)을 매개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저항(R12)과 병렬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춘 PNP트랜지스터(Q12);
저항(R14)을 매개로 상기 PNP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를 인가받는 드레인 및, 저항(R15)과 병렬로 연결되면서 접점(a2)에 연결된 소스를 갖춘 N형 MOSFET(Q13);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가 애노드단에 인가되는 다이오드(D11);
이 다이오드(D11)의 캐소드단과 점점(a2) 사이에 연결된 배터리 충전단자(P11,P12;P14,P13) 및;
상기 단자(P13)와 접점(a2) 사이에 연결된 단자(P15,P16)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충전부(CB1∼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직렬로 동시에 충전하다가, 상기 마이콤(1)이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삽입된 배터리의 만충전을 인지하게 되면, 충전제어신호인 하이레벨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되어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PNP트랜지스터(Q12) 및, N형 MOSFET(Q13)를 온시켜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서의 충전을 종료시킴과 더불어 상기 PWM 제어부(2)로부터 인가되고 있던 충전전류(BATT+)가 상기 N형 MOSFET(Q13)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됨으로써, 각 단위 셀에 대한 충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는, 충전중인 배터리가 만충전조건에 도달하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 충전의 종료를 제어함과 더불어 배터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배터리크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BATT+)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크기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신호를 출력하는 PWM제어부(2) 및;
충전되어질 배터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SW-n)를 통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 및 충전 종료시키는 배터리 충전부(3-1)와, 이 배터리 충전부(3-1)에 삽입된 배터리의 크기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단자(AAA_IN-1∼AAA_IN-n)를 통해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크기 감지부(4) 및, 상기 배터리 충전부(3-1)에서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을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전압 감지부(5)를 각각 갖춘 다수의 충전부(CB1∼CBn)를 구비하여 구성된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3-1)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제어신호를 저항(R11)을 통해 인가받는 베이스와,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 및, 다이오드(D12)를 매개로 12V의 전원전압에 연결된 콜렉터를 갖춘 NPN트랜지스터(Q11)와;
이 NPN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2);
12V의 전원전압과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에 릴레이코일(RC)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접속되고, 접점(c1)이 다이오드(D11)의 애노드단에 접속되며, 접점(c2)이 접점(a2)에 연결된 릴레이(R11);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가 애노드단에 인가되는 다이오드(D11);
이 다이오드(D11)의 캐소드단과 점점(a2) 사이에 연결된 배터리 충전단자(P11,P12;P14,P13) 및;
상기 단자(P13)와 접점(a2) 사이에 연결된 단자(P15,P16)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충전부(CB1∼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직렬로 동시에 충전하다가, 상기 마이콤(1)이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삽입된 배터리의 만충전을 인지하게 되면, 충전제어신호인 하이레벨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되어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릴레이(RL11)를 온시켜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서의 충전을 종료시킴과 더불어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고 있던 충전전류(BATT+)가 상기 릴레이(RL11)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됨으로써, 각 단위 셀에 대한 충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의 전체 블록도로서, 먼저 제1충전부(CB1)에서 원통형 AA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 이 AA 배터리는 배터리 충전부(3)의 배터리 삽입단자 사이에 삽입되게 되고, 이와 같이 AA 배터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부(2)로부터의 충전전류(BATT+)가 제1충전부(CB1)의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되며, 그에 따라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로 충전전류(BATT+)가 흘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전류는 충전되는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제2충전부(CB2)로 인가된다.
상기 제1충전부(CB1)를 거쳐 제2충전부(CB2)로 인가된 충전전류(BATT+)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충전부(CB2)의 제2배터리 충전부(도시되지 않았음)에 인가되어 배터리 삽입단자에 삽입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충전되는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n충전부(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따라, PWM제어부(2)로부터의 충전전류(BATT+)가 각각의 충전부를 거쳐 제n충전부(CBn)에 인가됨으로써 배터리 삽입단자 사이에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리고, 충전되고 있는 배터리의 -단자로부터의 충전전류(BATT-)가 PWM제어부(2)로 인가되어 전체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한 전류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충전부(CB1)의 배터리 충전부(3)의 충전단자에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가 삽입되고 충전이 시작되면, 배터리전압 감지부(5)는 배터리 충전부(3)의 충전전위를 감지하여 충전되고 있는 배터리의 전압을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한다.
상기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되는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만충전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마이콤(1)은 충전제어신호인 하이레벨 신호를 제1충전부(CB1)의 단자(SW-1)로 출력하여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함으로써 배터리 충전부(3)의 충전상태를 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 충전부(3)는 충전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원통형 AA 배터리와는 달리, 원통형 AAA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 배터리크기 감지부(4)는 이를 감지하여 단자(AAA_IN-1)를 통해 마이콤(1)에 로우레벨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마이콤(1)은 AAA 크기의 배터리가 삽입된 것을 인지하게 되고, 이 경우 마이콤(1)은 PWM제어부(2)로 배터리크기 제어신호로서 AA 밧데리의 충전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듀티비의 신호를 내보내어 충전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에 의한 배터리 충전동작을 도 2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중 제1충전부(CB1)의 상세 회로도로서, 먼저 제1충전부(CB1)에 삽입된 원통형 AA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부(3)에 대한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바, 상기 배터리 충전부(3)는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제어신호를 저항(R11)을 통해 인가받는 베이스와,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 및, 저항(R12,R13)을 매개로 12V의 전원전압에 연결된 콜렉터를 갖춘 NPN트랜지스터(Q11)를 갖춘다.
또한, 상기 저항(R12,R13)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항(R12)을 매개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저항(R12)과 병렬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춘 PNP트랜지스터(Q12)를 갖춘다.
또한, 저항(R14)을 매개로 상기 PNP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를 인가받는 드레인 및, 저항(R15)과 병렬로 연결되면서 접점(a2)에 연결된 소스를 갖춘 N형 MOSFET(Q13)를 갖춘다.
또한,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가 애노드단에 인가되는 다이오드(D11)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11)의 캐소드단과 점점(a2) 사이에는 배터리의 +충전단자(P11,P12)와 -충전단자(P14,P13)가 연결되고, 단자(P13)와 접점(a2) 사이에는 단자(P15,P16)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춘 배터리 충전부(3)에 있어서, AA 배터리(도시되지 않았음)가 제1충전부(CB1) 중 배터리 충전부(3)의 배터리 삽입단자(P11,P12) 사이에 삽입되게 되면, PWM제어부(2)로부터의 충전전류(BATT+)가 배터리 충전부(3)의 다이오드(D11)를 거쳐 배터리의 +충전단자인 단자(P11)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P11)에 인가된 충전전류(BATT+)는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로 흘러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배터리의 -충전단자인 단자(P12)를 거쳐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는 마이콤(1)으로부터 로우레벨 신호가 단자(SW-1)를 통해 제1충전부(CB1)의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단자(SW-1)를 통해 배터리 충전부(CB1)에 인가된 로우레벨 신호는 저항(R11)을 거쳐 NPN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NPN트랜지스터(Q11)가 오프되고, 이에 따라 PNP트랜지스터(Q12)가 오프되면서 N형 MOSFET(Q13)가 오프된다. 이와 같이 N형 MOSFET(Q13)가 오프되면, 충전전류(BATT+)가 다이오드(D11)를 거쳐 충전중인 배터리로 흐르게 되어 단자(P11,P12) 사이에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충전전류(BATT+)는 -충전단자인 단자(P12)를 통해 제2충전부(CB2)에 인가된다.
이어 다음의 충전부, 예컨대 제2충전부(CB2)에 인가된 충전전류는 제1충전부(CB1)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충전중인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n충전부(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따라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충전전류(BATT-)가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PWM제어부(2)로 인가되어 전체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한 전류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단자(P11,P12)에 배터리가 삽입되고 충전이 시작되면, 배터리전압 감지부(5)는 비교기(U11)에 의해 배터리 충전부(3)의 접점(a1)과 접점(a2) 사이의 전위를 감지하여 비교하고, 그에 따라 충전되고 있는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을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한다.
상기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되는 배터리의 충전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이 만충전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즉 비교기(U11)의 비교에 의해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고, 이 하이레벨 신호가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되면, 마이콤(1)은 미리 설정된 만충전 조건에 일치하는 하이레벨 신호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콤(1)이 만충전 조건에 일치되는 하이레벨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경우, 마이콤(1)은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제1충전부(CB1)의 단자(SW-1)에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충전부(CB1)의 단자(SW-1)에 인가되는 하이레벨 신호는 배터리 충전부(3)의 저항(R11)을 거쳐 NPN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11)를 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PNP트랜지스터(Q12)가 온되어 12V의 전압이 저항(R14,15)을 통해 흐르면서 N형 MOSFET(Q13)를 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N형 MOSFET(Q13)가 온되면, 다이오드(D11)를 거쳐 충전중인 배터리로 흐르던 전류가 N형 MOSFET(Q13)로 흐르게 되면서 제1충전부(CB1)의 배터리 충전부(3)에서 충전되고 있던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게 된다.
여기서, 저항(R11,R13)은 NPN트랜지스터(Q11)를 구동시키기 위한 바이어스저항이고, 저항(R12,R13)은 PNP트랜지스터(Q12)를 구동시키기 위한 바이어스저항이며, 저항(R14,R15)은 N형 MOSFET(Q13)를 구동시키기 위한 바이어스저항이다.
그리고, 다이오드(D11)는 충전되는 배터리의 전압을 마이콤(1)이 인식할 때, 배터리 이외의 회로와 차단하기 위한 블록킹 다이오드로서, 마이콤(1)이 배터리의 전압을 읽어 들이는 순간에 충전전류가 잠시 중단이 되기 때문에 순수한 배터리의 전압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터리 충전부(3)의 단자(P11)와 단자(P12) 사이, 또는 단자(P14)와 단자(P13) 사이에 배터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12V의 전위가 배터리전압 감지부(5)의 저항(R16,R23,R24)에 의해 분할되고, 이와 같이 분할된 전위가 비교기(U1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됨으로써 비교기(U11)에서는 하이레벨 전압을 출력하게 되며, 이 하이레벨 신호는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마이콤(1)은 단자(SW-1)를 통해 다시 하이레벨 신호를 제1충전부(CB1)에 인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N형 MOSFET(Q13)를 온시키게 됨으로써 충전전류(BATT+)는 단자(P11과 P12, 또는 P14와 P15)를 거치지 않고서 N형 MOSFET(Q13)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 즉 제2충전부(CB2)로 인가되게 된다. 이는 제1충전부(CB1)외의 다른 충전부(CB2∼CBn)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전부에 배터리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작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원통형 AA 배터리와 달리, 원통형 AAA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 이 AAA 배터리는 단자(P14)와 단자(P13) 사이에 삽입되게 되는데, AAA 배터리가 삽입될 때 기계적 구조에 의해 접점(P15)과 접점(P16)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접점(P15)과 접점(P16)이 연결되면, 배터리크기 감지부(4)의 NPN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에 로우레벨 전위가 인가되어 NPN트랜지스터(Q14)가 오프되고, 그에 따라 PNP트랜지스터(Q15)가 오프되어 단자(AAA_IN-1)를 통해 마이콤(1)에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마이콤(1)은 AAA 크기의 배터리가 삽입된 것을 인지하게 되고, 이 경우 마이콤(1)은 PWM제어부(2)로 배터리크기 제어신호로서 AA 배터리의 충전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AAA 배터리에 대응하는 듀티비(온시간과 오프 시간의 비)의 신호를 내보내고, 결과적으로 충전전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는 AAA 배터리는 AA 배터리 보다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기 때문에, 충전전류를 감소시키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부(3)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로서, 도 3에 따른 배터리 충전부(3-1)는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제어신호를 저항(R11)을 통해 인가받는 베이스와,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 및, 다이오드(D12)를 매개로 12V의 전원전압에 연결된 콜렉터를 갖춘 NPN트랜지스터(Q11)를 갖춘다.
또한, 12V의 전원전압과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에 릴레이코일(RC)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접속되고, 접점(c1)이 다이오드(D11)의 애노드단에 접속되며, 접점(c2)이 접점(a2)에 연결된 릴레이(R11)를 갖춘다.
또한,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가 애노드단에 인가되는 다이오드(D11)를 갖춘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D11)의 캐소드단과 점점(a2) 사이에는 배터리의 +충전단자(P11,P12)와 -충전단자(P14,P13)가 연결되고, 단자(P13)와 접점(a2) 사이에는 단자(P15,P16)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는 캐패시터(C12)가 연결되고, 릴레이코일(RC)의 양단에는 캐소드단이 전원전압측에 연결되면서 애노드단이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접속된 다이오드(D12)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캐패시터(C12)와 다이오드(D12)는 릴레이코일(RC)이 스위칭될 때 발생되는 역기전력으로부터 상기 NPN트랜지스터(Q11)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 외의 회로구성은 도 2의 회로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에서는 도 2의 배터리 충전부(3)와는 다른 구성을 갖추고 있는 배터리 충전부(3-1)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부(3-1)에 있어서, AA 배터리(도시되지 않았음)가 제1충전부(CB1) 중 배터리 충전부(3-1)의 배터리 삽입단자(P11,P12) 사이에 삽입되게 되면, PWM제어부(2)로부터의 충전전류(BATT+)가 배터리 충전부(3)의 다이오드(D11)를 거쳐 배터리의 +충전단자인 단자(P11)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P11)에 인가된 충전전류(BATT+)는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로 흘러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배터리의 -충전단자인 단자(P12)를 거쳐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는 마이콤(1)으로부터 로우레벨 신호가 단자(SW-1)를 통해 제1충전부(CB1)의 배터리 충전부(3-1)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단자(SW-1)를 통해 배터리 충전부(CB1)에 인가된 로우레벨 신호는 저항(R11)을 거쳐 NPN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NPN트랜지스터(Q11)가 오프됨으로써 릴레이코일(RC)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릴레이(R11)가 오프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R11)가 오프되면, 충전전류(BATT+)가 다이오드(D11)를 거쳐 충전중인 배터리로 흐르게 되어 단자(P11,P12) 사이에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충전전류(BATT+)는 -충전단자인 단자(P12)를 통해 제2충전부(CB2)에 인가된다.
이어 다음의 충전부, 예컨대 제2충전부(CB2)에 인가된 충전전류는 제1충전부(CB1)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충전중인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n충전부(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따라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충전전류(BATT-)가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PWM제어부(2)로 인가되어 전체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한 전류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단자(P11,P12)에 배터리가 삽입되고 충전이 시작되면, 배터리전압 감지부(5)는 비교기(U11)에 의해 배터리 충전부(3)의 접점(a1)과 접점(a2) 사이의 전위를 감지하여 비교하고, 그에 따라 충전되고 있는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을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한다.
상기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되는 배터리의 충전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이 만충전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즉 비교기(U11)의 비교에 의해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고, 이 하이레벨 신호가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되면, 마이콤(1)은 미리 설정된 만충전 조건에 일치하는 하이레벨 신호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콤(1)이 만충전 조건에 일치되는 하이레벨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경우, 마이콤(1)은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제1충전부(CB1)의 단자(SW-1)에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충전부(CB1)의 단자(SW-1)에 인가되는 하이레벨 신호는 배터리 충전부(3)의 저항(R11)을 거쳐 NPN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11)를 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코일(RC)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릴레이(R11)가 온상태로 되어 릴레이(R11)의 접점(c1)과 접점(c3)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R11)가 온상태로 되어 릴레이(R11)의 접점(c1)과 접점(c3)이 접속되면, 다이오드(D11)를 거쳐 충전중인 배터리로 흐르던 전류가 릴레이(R11)의 접점(c1)과 접점(c3)을 통해 흐르게 되면서 제1충전부(CB1)의 배터리 충전부(3)에서 충전되고 있던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게 된다.
한편, 배터리 충전부(3)의 단자(P11)와 단자(P12) 사이, 또는 단자(P14)와 단자(P13) 사이에 배터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12V의 전위가 배터리전압 감지부(5)의 저항(R16,R23,R24)에 의해 분할되고, 이와 같이 분할된 전위가 비교기(U1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됨으로써 비교기(U11)에서는 하이레벨 전압을 출력하게 되며, 이 하이레벨 신호는 단자(VBAT-1)를 통해 마이콤(1)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마이콤(1)은 단자(SW-1)를 통해 다시 하이레벨 신호를 제1충전부(CB1)에 인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릴레이(R11)를 온시키게 됨으로써 충전전류(BATT+)는 단자(P11과 P12, 또는 P14와 P15)를 거치지 않고서 릴레이(R11)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 즉 제2충전부(CB2)로 인가되게 된다. 이는 제1충전부(CB1)외의 다른 충전부(CB2∼CBn)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전부에 배터리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작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의 설명에 있어서 제1충전부(CB1)의 동작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외의 충전부(CB2∼CBn)도 상기 제1충전부(CB1)와 동일한 회로구성에 의해 동일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그에 대해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하나의 배터리가 만충전 되면, 이 만충전된 배터리는 충전상태에서 제외되고, 나머지 배터리에 대하여는 급속충전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마지막 하나의 배터리가 만충전될 때까지 이러한 충전동작을 계속하게 됨으로써, 각 단위 셀에 대한 충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충전되는 각각의 배터리가 균일하게 만충전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중 제1충전부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이다.
1 --- 마이콤
2 --- PWM제어부
3 --- 배터리 충전부
4 --- 배터리크기 감지부
5 --- 배터리전압 감지부
CB1∼CBn --- 제1∼제n충전부
P11,P12,P13,P14 --- 충전단자
RL11 --- 릴레이

Claims (2)

  1. 충전중인 배터리가 만충전조건에 도달하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 충전의 종료를 제어함과 더불어 배터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배터리크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BATT+)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크기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신호를 출력하는 PWM제어부(2) 및;
    충전되어질 배터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SW-n)를 통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 및 충전 종료시키는 배터리 충전부(3)와, 이 배터리 충전부(3)에 삽입된 배터리의 크기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단자(AAA_IN-1∼AAA_IN-n)를 통해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크기 감지부(4) 및,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서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을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전압 감지부(5)를 각각 갖춘 다수의 충전부(CB1∼CBn)를 구비하여 구성된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3)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제어신호를 저항(R11)을 통해 인가받는 베이스와,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 및, 저항(R12,R13)을 매개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콜렉터를 갖춘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저항(R12,R13)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저항(R12)을 매개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저항(R12)과 병렬로 전원전압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춘 PNP트랜지스터(Q12);
    저항(R14)을 매개로 상기 PNP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를 인가받는 드레인 및, 저항(R15)과 병렬로 연결되면서 접점(a2)에 연결된 소스를 갖춘 N형 MOSFET(Q13);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가 애노드단에 인가되는 다이오드(D11);
    이 다이오드(D11)의 캐소드단과 점점(a2) 사이에 연결된 배터리 충전단자(P11,P12;P14,P13) 및;
    상기 단자(P13)와 접점(a2) 사이에 연결된 단자(P15,P16)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충전부(CB1∼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직렬로 동시에 충전하다가, 상기 마이콤(1)이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삽입된 배터리의 만충전을 인지하게 되면, 충전제어신호인 하이레벨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되어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PNP트랜지스터(Q12) 및, N형 MOSFET(Q13)를 온시켜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서의 충전을 종료시킴과 더불어 상기 PWM 제어부(2)로부터 인가되고 있던 충전전류(BATT+)가 상기 N형 MOSFET(Q13)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됨으로써, 각 단위 셀에 대한 충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2. 충전중인 배터리가 만충전조건에 도달하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 충전의 종료를 제어함과 더불어 배터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의 배터리크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류(BATT+)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크기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신호를 출력하는 PWM제어부(2) 및;
    충전되어질 배터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SW-n)를 통해 소정의 충전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삽입된 배터리를 충전 및 충전 종료시키는 배터리 충전부(3-1)와, 이 배터리 충전부(3-1)에 삽입된 배터리의 크기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단자(AAA_IN-1∼AAA_IN-n)를 통해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크기 감지부(4) 및, 상기 배터리 충전부(3-1)에서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의 전압에 대응하는 비교출력전압을 상기 마이콤(1)에 인가하는 배터리전압 감지부(5)를 각각 갖춘 다수의 충전부(CB1∼CBn)를 구비하여 구성된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3-1)가,
    상기 마이콤(1)으로부터 단자(SW-1)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제어신호를 저항(R11)을 통해 인가받는 베이스와, 접지단에 연결된 에미터 및, 다이오드(D12)의 애노드단 및 캐소드단을 매개로 12V의 전원전압에 연결된 콜렉터를 갖춘 NPN트랜지스터(Q11)와;
    이 NPN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2);
    12V의 전원전압과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에 릴레이코일(RC)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접속되고, 접점(c1)이 다이오드(D11)의 애노드단에 접속되며, 접점(c2)이 접점(a2)에 연결된 릴레이(R11);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BATT+)가 애노드단에 인가되는 다이오드(D11);
    이 다이오드(D11)의 캐소드단과 점점(a2) 사이에 연결된 배터리 충전단자(P11,P12;P14,P13) 및;
    상기 단자(P13)와 접점(a2) 사이에 연결된 단자(P15,P16)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충전부(CB1∼CBn)에 삽입된 배터리를 직렬로 동시에 충전하다가, 상기 마이콤(1)이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삽입된 배터리의 만충전을 인지하게 되면, 충전제어신호인 하이레벨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 인가되어 상기 NPN트랜지스터(Q11)와, 상기 릴레이(RL11)를 온시켜 상기 배터리 충전부(3)에서의 충전을 종료시킴과 더불어 상기 PWM제어부(2)로부터 인가되고 있던 충전전류(BATT+)가 상기 릴레이(RL11)를 통해 다음의 충전부로 인가됨으로써, 각 단위 셀에 대한 충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KR10-2002-0071549A 2002-11-18 2002-11-18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KR100498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49A KR100498239B1 (ko) 2002-11-18 2002-11-18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49A KR100498239B1 (ko) 2002-11-18 2002-11-18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18A KR20040043318A (ko) 2004-05-24
KR100498239B1 true KR100498239B1 (ko) 2005-07-01

Family

ID=3733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549A KR100498239B1 (ko) 2002-11-18 2002-11-18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19B1 (ko) * 2008-05-16 2009-05-07 오창훈 고속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377394B1 (ko) 2015-05-14 2022-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9462269B (zh) * 2018-12-18 2023-12-08 镇江中煤电子有限公司 矿用镍氢电池脉冲充电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739U (ko) * 1987-08-31 1989-04-21 주식회사 금성사 밧데리의 급속 충전 제어회로
JPH02168820A (ja) * 1988-12-20 1990-06-28 Sanyo Electric Co Ltd 蓄電池の充放電切換装置
KR910010789A (ko) * 1989-11-13 1991-06-29 경상현 충전 밧데리용 2단 충전 장치
KR940017032A (ko) * 1992-12-02 1994-07-25 김주용 무선전화기의 급속 충전(quick charger) 전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0322929A (ja) * 1997-05-12 1998-12-04 Sony Corp 充電装置
KR100191168B1 (ko) * 1996-05-31 1999-06-15 윤종용 밧데리의 충전회로
KR100285727B1 (ko) * 1992-11-24 2001-04-02 윤종용 배터리 충전 회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739U (ko) * 1987-08-31 1989-04-21 주식회사 금성사 밧데리의 급속 충전 제어회로
JPH02168820A (ja) * 1988-12-20 1990-06-28 Sanyo Electric Co Ltd 蓄電池の充放電切換装置
KR910010789A (ko) * 1989-11-13 1991-06-29 경상현 충전 밧데리용 2단 충전 장치
KR100285727B1 (ko) * 1992-11-24 2001-04-02 윤종용 배터리 충전 회로
KR940017032A (ko) * 1992-12-02 1994-07-25 김주용 무선전화기의 급속 충전(quick charger) 전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1168B1 (ko) * 1996-05-31 1999-06-15 윤종용 밧데리의 충전회로
JPH10322929A (ja) * 1997-05-12 1998-12-04 Sony Corp 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18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5232B2 (ja) 電池の充電方法
US78256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ell equalization with charging sources and shunt regulators
US7218076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US7196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ies in a system of batteries
US7049791B2 (en) Battery energy balance circuit and battery charging bypass circuit
CN101765958B (zh) 用于平衡电池组单元电池的电荷容量的设备和方法
JP3767767B2 (ja) 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装置
JP3279071B2 (ja) 組電池の充電装置
US5017856A (en) Battery charging system
KR100393436B1 (ko) 전지의 급속충전 방법
US7714544B2 (en) Switching device for bi-directionally equalizing charge between energy accumulator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200903095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ell equalization with switched charging sources
JP3935922B2 (ja) 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回路
KR20060078967A (ko) 직렬 연결된 2차 조합전지의 밸런스 충전 제어 방법
CA2556727A1 (en) Deep discharge protection for battery packs with cell groups
KR100451637B1 (ko) 충전용 배터리 관리기
JPH10257683A (ja) 組電池の充放電回路
GB2293059A (en) Equalization of charge on series connected cells or batteries
JPH08265985A (ja) パック電池の充電方法
JPH06133465A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KR100498239B1 (ko) 니켈카드뮴/니켈수소 배터리 직렬 동시 급속충전장치
JP3419115B2 (ja) 組電池の充放電保護装置
JP3096535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JPH07264780A (ja) 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JP3696101B2 (ja) 充電方法と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