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311B1 -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 Google Patents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311B1
KR100496311B1 KR10-2001-0073528A KR20010073528A KR100496311B1 KR 100496311 B1 KR100496311 B1 KR 100496311B1 KR 20010073528 A KR20010073528 A KR 20010073528A KR 100496311 B1 KR100496311 B1 KR 10049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ost
safety
harness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772A (ko
Inventor
이기황
Original Assignee
이기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황 filed Critical 이기황
Priority to KR10-2001-007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3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05Children's be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8Cradles ; Bassinets dismou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로 일반침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침대 안전대에 관한 것으로, 침대 사용자인 유ㆍ아동이 취침중이거나 부주의로 인해 침대 위에서 아래로 떨어져서 골절과 외상을 입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더블과 싱글침대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안전대는 상하 움직임이 자유로와 사용자가 침대에 걸터앉거나 또는 오르내릴 경우에도 전혀 불편함이 없고, 싱글과 더블의 측면의 길이 차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유아일 경우 침대 전체를 감싸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The safety rim for the fold-up bed of babies and kids}
본 발명은 조립형 침대 안전대로써 유ㆍ아동이 침대에서 취침중이거나 놀게 했을 때 사용자나 부모들이 부주의로 인해 침대 위에서 낙상하여 목 골절이나 외상 또는 뇌 손상을 입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조립형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로서 사용자에 따라 침대 측면이나 전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고 안전대의 높낮음과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안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안전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유 아동에 국한되어 있으며 울타리식의 안전대가 사방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대체로 고정되어 있고 이것은 길어야 생후 9개월이나 12개월까지밖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동들을 위한 것으로는 일반 아동용 침대에 약간의 턱을 가진 침대가 나와 있으나, 이것은 턱이 낮고 길이가 짧아 한참 활동적이며 성장하는 아이들한테는 취침 중에 그 턱을 넘는 경우가 종종 생겨난다. 그리고 이것들은 침대에 주로 고정된 상태로 되어있어 침대에 걸터앉을 수가 없으며. 또한 올라가고 내려감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같은 아동용으로 접이식 침대 안전대가 있으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고 아동용침대에만 국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아동용 침대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한국에서는 이 접이식 안전대가 맞지 않는다고 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포스트를 지지대 및 연결대로 사용하여 안전대를 장착하여. 일반 침대에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여 침대에 오르내림이 자유롭다. 또 침대 길이에 상관없이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유아침대처럼 연결 포스트(8,8-1)를 이용하여 침대 전체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침대를 처음 사용하는 유아나 아동 또는 일반인이 침대에서 떨어질 줄 모르는 불안감을 해소 할 수 있고 편안한 수면을 할 수 있도록 고안한 조립형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를 설치 조립했을 때의 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침대 안전대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단면도 제 3도는 본발명의 침대 전체에 안전대를 장착했을 때의 측면도 제 4도는 두 개의 안전대를 포스트에 결합한 모양의 단면도 제 5도는 안전대의 구성을 보여주는 입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지지연결봉인 포스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립형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로써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안전대 좌측(2-1)과 우측(2)을 침대 길이에 맞게 조립하고 고정봉(3,3-1)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멍이 겹치게 조정하여 고정봉 상ㆍ하(3,3-1)를 이용하여 각각의 결합부(5)에 돌려서 끼워 넣는다. 참고로 고정봉은 상ㆍ하(3,3-1) 세개씩 준비되어 있고 이 고정봉은 더블과 싱글침대의 길이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제 6도에서 보면 포스트하단(8)은 지지 및 연결확장(8-1)을 하기 위해 설계한 것으로 또 다른 안전대를 연결할 수 있게 하였고, 상단포스트(9) 위쪽에는 천장과 지면의 고정시 포스트(1-1)를 압축 할 수 있는 스프링(15)이 들어가며 미끄럼방지 홀더(13,13-1,14)를 상단 포스트(9) 및 하단 포스트(8)에 돌려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단포스트(9)를 연결구(10)를 이용하여 하단포스트(8)에 결합하고 천장(17) 높이에 맞게 조절한 다음 고정볼트(12)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한 다음 제 5도의 안전대(1)를 제 6도의 포스트(1-1)에 결합하여 침대측면 상단부터 하단으로 설치조립하고 조정 볼트(4)를 안전대(1)의 조정볼트 입구(6)에 결합하여, 이 조정 볼트(4)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정하면 된다. 그리고 침대 전체에 안전대(1)를 설치할 경우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포스트 하단(8) 지지봉과 확장연결봉(8-1)에 각각 결합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유ㆍ아동 침대안전대는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도 1과 같이 측면만 설치할 수 있고 또는 도 3과 같이 침대 전체에 설치할 수 있게 한 침대 안전대이다.
본 발명은 조립형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로써, 일반 침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고안되어있다. 앞으로 침대를 사용하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우리 나라처럼 적은 평수의 집이 많은 경우, 침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아기가 태어나면 좁은 집 구조 때문에 침대를 없애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침대에 안전대를 장착하면 굳이 유아용 침대가 없어도 일반 침대를 유아용 침대로 쓸 수 있다. 또한 유아나 아동이 침대를 사용할 경우, 침대에서 낙상하여 다칠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아이들 안전 문화가 발전했으면 한다. 아이들 안전을 위한 용품들은 모두 수입에 의존하는 것에 반해, 우리는 그런 안전 문화 발전 투자에 조심스러워 하는 것 같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유ㆍ아동 침대 안전대를 설치 조립했을 때의 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침대 안전대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침대 전체에 안전대를 장착했을 때의 측면도
제 4도는 두 개의 안전대를 하단 포스트에 결합한 모양의 단면도
제 5도는 안전대의 구성을 보여 주는 입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지지연결봉인 포스트의 구성을 보여 주는 입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대 1 -1 : 포스트
2 : 안전대 우측 2 -1 : 안전대 좌측
3 : 고정봉 상 3 -1 : 고정봉 하
4 : 조정 볼트 5 : 고정봉 결합부
6 : 조정볼트 결합부 7 : 상세설명
8 : 포스트 하단 8 -1 : 보조 지지연결봉
9 : 포스트 상단 10 : 포스트 연결구
11 : 너트 12 : 고정볼트
13 : 포스트하단 홀더 13-1 : 보조연결봉 홀더
14 : 포스트상단 홀더 15 : 스프링
16 : 침대 17 : 천정

Claims (3)

  1. h형 구조를 갖는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포스트 하단(8,8-1)의 상단 부분에 포스트 연결구(10)를 결합하고, 작은 내경을 가진 포스트 상단(9)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높이 조절과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적어도 한쌍의 포스트;
    안전대에 있어서 안전대 좌측(2-1)을 우측(2)에 결합하고, 고정봉 하(3-1)를 고정봉 상(3)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좌,우가 결합된 안전대의 고정봉 결합부(5)에 각각 고정 조립하고, 상기 포스트하단부(8-1)에, 안전대 좌측(2-1)과 우측(2)을, 각기 다른 포스트(1-1)를 결합하고, 일반 침대 측면 좌,우에, 포스트(1-1)를 고정 설치 하며, 안전대(1)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정 볼트(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포스트 하단(8,8-1)에 있어서, 도면4와 같이 하나의 안전대(1)와 또 다른 안전대(1)를 연결할 수 있는, h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3. 제 1항에 있어서
    안전대 좌측(2-1)과 우측(2)을 삽입 연결한 후 암나사 형식을 띤 고정봉 결합부(5)에, 수나사 형식을 띤 고정봉 상(3),하(3-1)에 의해 조립 고정되어, 포스트(1-1)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KR10-2001-0073528A 2001-11-23 2001-11-23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KR10049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28A KR100496311B1 (ko) 2001-11-23 2001-11-23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28A KR100496311B1 (ko) 2001-11-23 2001-11-23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72A KR20030042772A (ko) 2003-06-02
KR100496311B1 true KR100496311B1 (ko) 2005-06-20

Family

ID=2957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528A KR100496311B1 (ko) 2001-11-23 2001-11-23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993B1 (ko) * 2013-09-12 2015-05-11 신봉관 다기능 범퍼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2381B (zh) * 2011-07-16 2016-06-22 孔庆莹 一种具有底盘装置的智能幼儿床车
KR101510552B1 (ko) * 2013-11-08 2015-04-08 오호은 침대 낙하방지 및 안전 차단이 가능한 안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570U (ko) * 1979-07-27 1981-02-23
JPS5891964U (ja) * 1981-12-16 1983-06-22 京和装備株式会社 側柵つきベツド
JPS6298556U (ko) * 1985-12-12 1987-06-23
KR20000008587U (ko) * 1998-10-23 2000-05-15 길준경 침대용 난간 높이조절장치
JP2001190366A (ja) * 2000-01-17 2001-07-17 Combi Corp 折り畳み式ベビーベット
JP2001231664A (ja) * 2000-02-25 2001-08-28 Combi Corp ベビーベッ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570U (ko) * 1979-07-27 1981-02-23
JPS5891964U (ja) * 1981-12-16 1983-06-22 京和装備株式会社 側柵つきベツド
JPS6298556U (ko) * 1985-12-12 1987-06-23
KR20000008587U (ko) * 1998-10-23 2000-05-15 길준경 침대용 난간 높이조절장치
JP2001190366A (ja) * 2000-01-17 2001-07-17 Combi Corp 折り畳み式ベビーベット
JP2001231664A (ja) * 2000-02-25 2001-08-28 Combi Corp ベビーベ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993B1 (ko) * 2013-09-12 2015-05-11 신봉관 다기능 범퍼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72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50B1 (en) Crib having movable and stationary sides, multiple bases, and a base connector
US20090106894A1 (en) Foam bed for toddlers
US6202228B1 (en) Bed attachable crib
WO1997002773A1 (en) Transition crib for infants and toddlers
US5819340A (en) Infant sleeper
US6983496B1 (en) Ramp and rail system for a child's crib or bed
US20110179569A1 (en) Bedrail for convertible crib
US6754921B2 (en) Safety pillow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off a bed
KR100496311B1 (ko) 조립형 유·아동 침대 안전대
US20050155155A1 (en) Sofa bed
EP2237705A1 (en) Infant sleep sling
US20040216228A1 (en) Convertible crib and bed arrangement
US8484775B2 (en) Incline infant crib
US20200367665A1 (en) Convertible crib
EP1824360B1 (en) A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person or animal
US20140259393A1 (en) Infant crib with tensioned netting for sidewalls
KR200467544Y1 (ko) 유아용 그네 겸용 침대
JP6188696B2 (ja) 小児の胃食道逆流防止装置
CN220045405U (zh) 一种护栏连接机构、围栏和婴儿床
CN219047900U (zh) 一种组合式床护栏
US20220296005A1 (en) Convertible crib
GB2266453A (en) Child's bed
CN220631632U (zh) 一种母婴椅
CN217548418U (zh) 一种可折叠的防坠床栏
US11589683B2 (en) High chair secured to picnic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