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125B1 - 누수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수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125B1
KR100496125B1 KR10-2002-0079893A KR20020079893A KR100496125B1 KR 100496125 B1 KR100496125 B1 KR 100496125B1 KR 20020079893 A KR20020079893 A KR 20020079893A KR 100496125 B1 KR100496125 B1 KR 10049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control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153A (ko
Inventor
신희승
Original Assignee
신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승 filed Critical 신희승
Priority to KR10-2002-007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1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별로 공급되는 공급수를 압력의 저하를 감지하여 누수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누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 누수 감시 시스템은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조절밸브; 각각의 조절밸브의 근처의 공급관에 설치되어 그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압력센서; 각각의 조절밸브 및 압력센서가 연결되고,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압력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며,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보다 설정범위 이상으로 낮거나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누수로 판단하는 제어판; 및 제어판을 원격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연계되고, 제어판으로부터 누수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중앙제어시스템으로 송신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원격 감시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누수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water leakage}
본 발명은 누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세대별 누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하여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누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회사 또는 다른 산업현장에는 식수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물이 공급되고 있다. 예컨대, 수도관을 통해 식수 또는 용수로 사용될 수 있는 물이 공급되며, 지하수관 또는 저장탱크에 연결된 관을 통해 일반적인 용수 또는 산업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의 공급은 각각의 공급관의 적재적소에 설치된 조절밸브와 각각의 공급관의 종단에 설치된 개폐밸브 또는 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수압에 의해 각각의 밸브 또는 콕을 통해 실제 수요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는 수도원으로부터 수돗물 또는 식수를 공급받기 위한 냉수 공급관과, 온수공급원으로부터 사용온수를 공급받기 위한 온수 공급관과, 동절기에 난방을 위해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받기 위한 난방수 공급관이 설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공급관들은 각각의 세대별로 설치되어 해당 공급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각의 세대별로 설치된 각각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수를 제공받는데는 다소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각각의 세대내에 설치된 각각의 공급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실내거주자가 육안으로 발견할 때까지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누수의 감지가 지연되면 이에 대한 후속조치가 지연됨에 따라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급관 내부의 일정하거나 증가되는 수압으로 인해 화장실의 변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구에서 자연적으로 누수가 발생되고, 또한 그 누수의 양이 증가됨은 물론, 누수를 적시에 감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누수의 양이 증가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세대별로 공급되는 다양한 공급수의 누수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누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누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수의 발생 또는 증가 및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누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식수 또는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공급관과,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관과, 난방을 제공하기 위한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난방수 공급관에 연계 설치되는 누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조절밸브; 각각의 조절밸브의 근처의 공급관에 설치되어 그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압력센서; 각각의 조절밸브 및 압력센서가 연결되고,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압력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며,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보다 설정범위 이상으로 낮거나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누수로 판단하는 제어판; 및 제어판을 원격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연계되고, 제어판으로부터 누수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중앙제어시스템으로 송신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원격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급수제어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 및 제어시스템이 적용되는 급수시스템에 의하면, 식수 또는 수돗물과 같이 일반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 공급관(10)과, 예컨대 보일러와 같은 발열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관(20)과, 실내의 온도 조절을 위해 역시 보일러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난방수 공급관(30)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공급관(10;20;30)에는 그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거나 순환되는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가 설치된다. 즉, 냉수 공급관(10)에는 조절밸브(12)가 설치되고, 온수 공급관(20)에는 조절밸브(22)가 설치되며, 난방수 공급관(30)에는 조절밸브(32)가 설치된다. 각각의 조절밸브(12;22;3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자동개폐를 위해 전동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공급관(10;20;30),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공급관에 설치된 조절밸브(12;22;32)의 인접부에는 각각의 공급관(10;20;30)을 통해 송출되며 각각의 조절밸브(12;22;32)를 지난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수압 또는 공급압을 검출하거나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즉, 냉수 공급관(10)의 조절밸브(12)의 인접부에는 압력센서(14)가 설치되고, 온수 공급관(20)의 조절밸브(22)의 인접부에는 압력센서(24)가 설치되며, 난방수 공급관(30)의 조절밸브(32)의 인접부에는 압력센서(34)가 설치된다.
한편, 각각의 공급관(10;20;30)에 설치된 조절밸브(12;22;32) 및 압력센서(14;24;34)는 각각의 세대별로 설치되는 제어판(40)에 연결된다. 제어판(40)은 다양한 변수 및 입력정보에 따라 각각의 조절밸브(12;22;32)의 개폐는 물론 그 개도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판(40)에는 각각의 압력센서(14;24;34)가 연결되어 그들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각각의 압력 값을 분석하여 누수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선택적으로, 제어판(40)에는 각각의 공급관(10;20;30)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상태 및 제어판의 작동상태를 거주자 또는 검침원에게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42)가 구비된다. 또한, 각각의 공급관(10;20;30)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또는 순환수가 누수되는 경우 이를 가시적으로 알리기 위한 경고등(44)이 구비된다. 물론, 제어판(4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제어장치의 부품 또는 장치의 구동 및 동작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46)이 연결된다.
특히, 제어판(40)에는 각각의 압력센서로부터 검출된 측정 압력값과의 비교를 위한 기준압력값이 입력되거나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기준 압력값보다 측정 압력값이 작은 경우 그 허용범위가 입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공급관내의 수압이 점진적으로 또는 현저히 낮아져 그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판(40)은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판(40)에는 그 제어판(40)과 통신하는 원격 감시 장치(50)가 연결된다. 원격 감시 장치(50)는 제어판(40)의 모든 상황, 즉, 각각의 공급관(10;20;30)을 통한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상태, 누수상태, 경고상태 등을 원격신호로 수신하여 이를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원격 감시 장치(50)는 중앙제어시스템(C)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 중앙제어시스템(C)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중앙제어시스템에서 원격적으로 통제되거나 감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판(40)에는 사용자가 냉수의 공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스위치(60)가 연결된다. 즉, 스위치(60)는 예컨대, 심야시간대에 냉수 공급관(10)의 조절밸브(12)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냉수를 공급받고자 하는 경우 조절밸브(12)를 온(on)시키는 반면, 역으로 사용 후 온상태의 조절밸브(12)를 오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스위치(60)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실내의 적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스위치(60)만이 냉수의 공급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다른 2개의 공급관(20;30)에 설치된 조절밸브(22;32)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누수 감시 시스템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정상적인 급수상태, 즉, 세대의 거주자가 모두 취침하는 심야시간을 제외한 시간에는 각각의 공급관(10;20;30)에 설치된 조절밸브(12;22;32)는 모두 온상태를 유지하고, 냉수가 공급되고, 온수가 공급되며, 선택적으로 난방수가 공급 또는 순환된다. 물론, 하절기 또는 난방이 요구되지 않는 시기에는 중앙제어실에서 난방수 공급관(30)을 차단하는 바, 이 경우에는 조절밸브(32)의 개폐에 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조절밸브(12;22;3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공급관 내에는 일정한 수압 또는 공급압이 적용되어 최종적으로 콕 또는 다른 개폐밸브의 조작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거나,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난방열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공급관(10;20;30)에 설치된 압력센서(14;24;34)는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또는 난방수의 수압을 검출하며, 이와 같이 검출된 수압은 제어판(40)으로 송신되어 저장되고 또한 분석된다.
한편, 심야시간대 또는 거주자들이 활동을 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각각의 공급관(10;20;30)에 설치된 각각의 조절밸브(12;22;32)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오프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물론, 동절기에는 난방수 공급관(30)에 설치된 조절밸브(32)는 별도로 온상태를 유지하여 취침 중에도 난방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밸브(12;22 또는 32)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각각의 압력센서(14;24 또는 34)에 의해 각각의 공급관(10;20;30)내의 수압이 측정되어 제어판(43)으로 송신된다. 제어판(40)은 수신된 각각의 공급관의 측정수압을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그 기준압력과의 차이가 허용 오차범위내에 유지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는 원격 감시 장치(50) 또는 그 감시장치가 설치된 중앙제어시스템(C)으로 송신되어 체크된다.
그러나, 각각의 공급관(10;20;30)에서 측정된 측정수압이 기준압력보다 낮거나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제어판(40)은 공급관(10;20;30)중 해당 공급관에서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판(40)에 연결된 감시장치(50)는 누수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중앙제어시스템(C)으로 전달하거나 중앙관리자에게 전달하여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또한, 감시장치(50)는 제어판(40)에 설치된 경고등(44)중 해당 경고등을 점멸 또는 점등시켜 누수사실을 사용자 또는 검침원에게 경고한다. 물론, 이후에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해당 공급관의 누수발생위치를 찾아내어 이를 밀봉하거나 또는 교체하여 정상상태로 수리한다.
한편, 심야시간대에 사용자가 예컨대, 냉수를 공급받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판(40)에 연결된 스위치(60)를 눌러 냉수공급관(10)에 설치된 제어밸브(12)를 온시켜 개방한 후 소정의 콕 또는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냉수를 공급받아 음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사용 후 다시 스위치(60)를 누르면 제어밸브(12)가 오프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심야시간 또는 냉수, 온수 또는 난방수의 비사용시 이들의 누수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제어밸브로부터 실제로 냉수 또는 온수가 사용되는 변기 등과 같은 기구까지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어 자연적인 누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각각의 세대별로 공급되는 공급수를 압력의 저하를 감지하여 누수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 및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급수의 누수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를 신속하게 경고하고, 후속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밸브의 오프에 의해 비사용 시간대의 공급관내의 수압의 증가가 방지되어 각각의 용수 사용기구를 통한 자연적인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냉수 공급관 12,22,32: 제어밸브
14,24,34: 압력센서 20: 온수 공급관
40: 제어판 42: 디스플레이
44: 경고등 50: 원격 감시 장치
60: 스위치 C: 중앙제어시스템

Claims (4)

  1. 식수 또는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 공급관과,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관과, 난방을 제공하기 위한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난방수 공급관에서의 누수를 검출하여 경고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공급관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누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을 조절하며 자동으로 개폐되는 전동밸브로 구성되는 복수의 조절밸브;
    상기 각각의 조절밸브의 근처의 공급관에 설치되어 그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압력센서;
    상기 각각의 조절밸브 및 압력센서가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압력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며,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보다 설정범위 이상으로 낮거나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누수로 판단하며, 상기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상태 및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각각의 공급관에서 누수가 발생될 때 이를 경고하기 위한 복수의 경고등을 포함하는 제어판;
    상기 각각의 제어밸브의 개폐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어판에 연결되는 스위치; 및
    상기 제어판을 원격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연계되고, 상기 제어판으로부터 누수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중앙제어시스템으로 송신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원격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79893A 2002-12-13 2002-12-13 누수 감시 시스템 KR10049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893A KR100496125B1 (ko) 2002-12-13 2002-12-13 누수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893A KR100496125B1 (ko) 2002-12-13 2002-12-13 누수 감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512U Division KR200308988Y1 (ko) 2002-12-16 2002-12-16 누수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153A KR20040052153A (ko) 2004-06-19
KR100496125B1 true KR100496125B1 (ko) 2005-06-16

Family

ID=3734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893A KR100496125B1 (ko) 2002-12-13 2002-12-13 누수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1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35B1 (ko) * 2010-11-08 2011-11-16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누수 탐지가 가능한 제수 밸브
KR101173637B1 (ko) * 2011-12-29 2012-08-13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밀폐 배관에서의 누유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467038B1 (ko) * 2012-08-13 2014-12-10 지종필 누수감지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4B1 (ko) * 2007-03-21 2008-09-26 주식회사 피아이피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60759B1 (ko) * 2013-12-30 2014-11-13 주식회사 신영정보기술 누수감지 및 에너지 절감 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어 통합시스템
CN114857510A (zh) * 2022-04-28 2022-08-05 孙东明 一种智能打压遥控测漏辅助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75A (ko) * 1992-07-20 1994-03-21 산티아고 플라넬라 보리 3- 아미노에틸 인돌로부터 유도되는 아미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88856A (ko) * 2001-05-22 2002-11-2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수(水)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75A (ko) * 1992-07-20 1994-03-21 산티아고 플라넬라 보리 3- 아미노에틸 인돌로부터 유도되는 아미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88856A (ko) * 2001-05-22 2002-11-2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수(水) 운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35B1 (ko) * 2010-11-08 2011-11-16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누수 탐지가 가능한 제수 밸브
KR101173637B1 (ko) * 2011-12-29 2012-08-13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밀폐 배관에서의 누유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467038B1 (ko) * 2012-08-13 2014-12-10 지종필 누수감지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153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479B2 (en) Water monitoring system
CA2598266C (en) Thermal dispersion flow meter with chronometric monitor for fluid leak detection
US8561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age control and/or testing of piping and discharge points for non-compressible fluids
US20040163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utility systems
US20080295895A1 (en) Water leakage and fault sensing system
US8402984B1 (en) Flood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0496125B1 (ko) 누수 감시 시스템
KR20150030120A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1467038B1 (ko) 누수감지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 제어 방법
US20210299501A1 (en) Crack detection function for a fire sprinkler with frangible bulb
KR200308988Y1 (ko) 누수 감시 시스템
GB2360365A (en) Controlling a water supply to minimise leakages
KR102526401B1 (ko) 수질환경 보호 기능을 갖는 집합 계량기
US11609145B2 (en) Smart pressure relief valve
CN112696525B (zh) 一种阀门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9360871B1 (en) Integrated fluid flow management apparatus
KR20070031681A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175681B2 (en) Smart pressure relief valve
JPH11344412A (ja) 配管の漏水検査方法並びに給湯システム
KR200185681Y1 (ko) 누수 감지 차단 시스템
KR101877620B1 (ko) 자체 제어가 가능한 밸브구동장치
JP4222212B2 (ja) ガス制御装置
KR100255971B1 (ko) 가스 연속 공급 및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0317063B1 (ko) 가스보일러내의센서를이용한배관관로저항증가검출방법
US20070126591A1 (en) Washing Machine Water Leak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