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879B1 -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879B1
KR100495879B1 KR10-2002-0084995A KR20020084995A KR100495879B1 KR 100495879 B1 KR100495879 B1 KR 100495879B1 KR 20020084995 A KR20020084995 A KR 20020084995A KR 100495879 B1 KR100495879 B1 KR 10049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bus
data
bus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8642A (en
Inventor
문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879B1/en
Publication of KR2004005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8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72Driv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마스터 측에서는 각 슬레이브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각 슬레이브에 제공하며, 각 각의 슬레이브는 해당 타임슬롯구간에서 마스터와 1:1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하고 있어, 마스터의 권한을 갖는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마스터에 종속된 모든 슬레이브의 통신이 불가능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 슬레이브 간의 통신이 불가능하여 통신채널이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the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a mast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each slave and provides it to each slave, and each slave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time. Since the data is exchanged 1: 1 with the master in the slot section, when a device having a master authority fails, communication between all slaves dependent on the master becomes impossible. This is impossible and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limi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마스터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의 장애가 감지될 시에는 슬레이브동작을 수행하던 디바이스가 마스터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터 권한을 갖는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시스템이 정상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디바이스 간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케 함으로써 다양화된 통신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when the failure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master operation is detected,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evice performing the slave operation to perform the master operation, so that the system can operate normally even when the device having the master authority has failed. On the other hand, it provides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at can provide a diversified communication channel by enab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ach device.

Description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Multi-devic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마스터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할 시에도 각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devices constituting the system have a function as a master and a slave, and a device fails to perform a master operatio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devices can be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sible multi-devic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복수의 프로세서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다중 디바이스시스템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기능을 하는 디바이스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마스터디바이스와 슬레이브디바이스 간의 신호송수신을 가능케 한다. In a multi-device system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cessor devices, a device performing a master function applies a control signal to a device serving as a slave function, thereby enabl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도 1은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마스터(1)와 마스터(1)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개의 슬레이브(7)를 포함하며, 마스터(1)로부터의 신호를 슬레이브(7)에 제공하기 위한 제1버스(3)와, 각 슬레이브(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령하기 위한 제2버스(5)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includes a master 1 and a plurality of slaves 7 controlled by the master 1, and outputs a signal from the master 1 to the slave 7. And a second bus 5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each slave 7.

마스터(1)는 각 슬레이브(7)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프레임동기신호(FRS), 클럭신호(CLK), 타임슬롯정보 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와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데이터(TxD)를 제1버스(3)를 통해 각 슬레이브(7)에 제공한다. The master 1 generates a control signal such a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 clock signal CLK, and timeslot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each slave 7, and generat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and the transmission data to be transmitted ( TxD) is provided to each slave 7 via the first bus 3.

마스터(1)에 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7)는 마스터(1)로부터 수신한 타임슬롯정보를 통해 자신의 타임슬롯 위치와, 타임슬롯 갯수를 확인한다. 슬레이브(7)는 마스터(1)에서 송신하는 프레임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타임슬롯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타임슬롯위치의 송신데이터(TxD)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The plurality of slaves 7 connected to the master 1 check their time slot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imeslots through the time slo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ster 1. The slave 7 checks its time slot position based o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1, and receives and processes the transmission data TxD of the corresponding time slot position.

한편, 슬레이브(7) 측에서 마스터(1)로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슬레이브(7)는 해당 타임슬롯구간에 제2버스(5)를 통해 마스터(1) 측에 수신데이터(RxD)를 제공한다. 마스터(1)는 제2버스(5)를 통해 슬레이브(7)로부터 발신된 데이터(RxD)를 각 슬레이브(7)에 할당된 타임슬롯에 맞게 수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lave 7 side to the master 1, the slave 7 provides the received data RxD to the master 1 side through the second bus 5 in the corresponding timeslot section. do. The master 1 receives the data RxD transmitted from the slave 7 via the second bus 5 in accordance with the timeslots assigned to each slave 7.

여기서, 마스터(1)와 슬레이브(7)는 자신들에게 할당된 프로세서 주소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가 처리대상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폐기한다.Here, the master 1 and the slave 7 check whether or not the received data is data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ocessor address assigned to them to process or discard the data.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제어흐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ontrol flow of the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

다중 디바이스시스템의 구동이 시작되면, 마스터(1)는 각 슬레이브(7)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프레임동기신호(FRS), 클럭신호(CLK), 타임슬롯정보 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버스(3)를 통해 복수의 슬레이브(7)에 제공한다(S1).When the driving of the multi-device system starts, the master 1 generates a control signal such a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 clock signal CLK, and timeslot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each slave 7.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slaves 7 through (3) (S1).

마스터(1)로부터 타임슬롯정보를 수신한 각 각의 슬레이브(7)는 수신된 타임슬롯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위치를 확인한다(S3).Each slave 7 that has received the timeslot information from the master 1 checks the timeslot position assigned to itself through the received timeslot information (S3).

마스터(1)는 슬레이브(7)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데이터(TxD)와 함께, 프레임동기신호, 클럭신호를 제1버스(3)로 발신한다(S5).The master 1 transmit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clock signal to the first bus 3 together with the transmission data TxD for transmission to the slave 7 (S5).

각 슬레이브(7)는 마스터(1)로부터의 프레임동기신호 및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타임슬롯을 확인하고,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구간의 데이터(TxD)를 수령한다(S7).Each slave 7 checks the timeslot based o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clock signal from the master 1, and receives the data TxD of the timeslot section allocated thereto (S7).

또한, 각 슬레이브(7)는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구간에 데이터(RxD)를 송신할 수 있다(S9).In addition, each slave 7 may transmit data RxD in the timeslot section allocated to it (S9).

이와 같이,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마스터(1)측에서는 각 슬레이브(7)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각 슬레이브(7)에 제공하며, 각 슬레이브(7)는 마스터(1) 측에서 제공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각 각의 슬레이브(7)는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 구간에서만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므로, 각 슬레이브(7)는 해당 타임슬롯구간에서 마스터(1)와 1:1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the master 1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each slave 7 and provides it to each slave 7, where each slave 7 is a master 1.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ide. In this case, since each slave 7 transmits or receives data only in a time slot section assigned to itself, each slave 7 can exchange data 1: 1 with the master 1 in the corresponding time slot section. hav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마스터의 권한을 갖는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마스터에 종속된 모든 슬레이브의 통신이 불가능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when a device having a master's authority fails, communication of all slaves dependent on the master becomes impossible.

또한, 모든 슬레이브는 마스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으나 각 슬레이브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므로 통신채널이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ll the slaves can exchange data with the master, but communication between each slave is impossible,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limit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마스터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할 시에도 각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plurality of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devices even when 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constituting the system have a function of a master and a slave to perform a master operation fail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각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버스와;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단속하기 위한 데이터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각 제어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버퍼부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신호송수신을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버퍼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버퍼부 및 데이터송수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출력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data bus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each device;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controlling data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data bus; A buffer unit for controlling each control signal from the data bus; A data processor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data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buffer unit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uffer unit.

여기서, 상기 입출력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제어신호인 클럭신호를 미리 부여된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분주하여, 상기 데이터버스에 클럭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분주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로의 상기 제어신호 공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제어신호인 프레임동기신호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생성된 프레임동기신호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프레임오류검출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로의 상기 제어신호 공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제어신호인 액티브신호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생성된 내부 액티브신호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동작오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divides a clock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and generates a reference clock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a clock signal exists on the data bus. A dispensing part; A frame error detection unit for comparing the sameness betwee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data bu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data bus, an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for comparing an identity of an active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with an internal active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be included. Do.

그리고, 상기 프레임오류검출부는,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되는 프레임동기신호를 소정 프레임단위로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를 통해 지연된 상기 프레임동기신호와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령되는 프레임동기신호의 위상차를 비교하는 신호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ame error detection unit includes a delay unit for delay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in a predetermined frame unit; It is possible to include a signal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delayed through the delay unit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data bus.

또한, 상기 동작오류검출부는, 상기 버퍼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상기 액티브신호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생성된 내부 액티브신호의 위상차를 비교하는 신호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signal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through the buffer unit and an internal active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데이터버스로부터 클럭신호, 프레임동기신호, 액티브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수령하는 단계와; 수령된 상기 제어신호의 장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디바이스의 제어신호발신을 차단하는 단계와;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버스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such as a clock signal,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 active signal from the data bus; Determining whether a failure of the received control signal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occurs in the control signal, block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of the device currently supplying the control signal; It is also achieved by a multi-device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u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ata bus via another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소정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복수개의 디바이스(20)와, 디바이스(20)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한 버스(BUS)(10)로 구성된다.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system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evices 20 which are given a predetermined priority, and a bus 10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devices 20.

버스(10)는 각 디바이스(20)로 입력되는 프레임동기신호(FRS), 클럭신호(CLK) 등의 제어신호와 각 디바이스(20)로부터 송수신되는 송수신데이터(TRxD)를 전송한다. 즉, 본 시스템에서는 단일의 버스(10)를 이용하여 각 디바이스(2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교환하고 있다.The bus 10 transmits control signals such a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nd a clock signal CLK, which are input to each device 20, and transmit / receive data TRxD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each device 20. That is, in this system, signals and data are exchanged between the devices 20 using a single bus 10.

버스(10)에 연결된 각 디바이스(20)에는 소정의 우선순위가 부여되며, 디바이스(20)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디바이스(20)는 버스(10)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20)에 프레임동기신호(FRS), 클럭신호(CLK), 타임슬롯정보 등의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20)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각 디바이스(20)에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나머지 디바이스(20) 중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디바이스(20)가 제어신호를 제공한다.Each device 20 connected to the bus 10 is given a predetermined priority, and the device 20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devices 20 frames the other device 20 via the bus 10. A control signal such as a synchronization signal FRS, a clock signal CLK, and timeslot information is provided. Her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device 20 providing the control signal, the device 20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remaining devices 20 provide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iority given to each device 20.

한편, 각 디바이스(20)는 버스(10)를 통해 제공된 타임슬롯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구간을 판별하고, 해당 타임슬롯구간에서는 버스(1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외의 타임슬롯 구간에서는 버스(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On the other hand, each device 20 determines the time slot section assigned to itself based on the time slot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bus 10, and transmits data to the bus 10 in the corresponding time slot section and other timeslots. In the sec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bus 10.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의 내부구성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20 performing such a tas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20)의 제어블럭도이다. 디바이스(20)는, 버스(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단속하는 버퍼부(28)와, 버스(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단속하는 데이터송수신부(26)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한편 신호송수신을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22)와, 버퍼부(28)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버퍼부(28) 및 데이터송수신부(2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ONT_0, CONT_1, CONT_2) 를 인가하는 입출력제어부(30)를 포함한다.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evice 20 constituting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20 includes a buffer unit 28 that intercepts control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bus 10,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6 that intercept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bus 10, a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data processor 22 generates various control signal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buffer unit 28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6 based on the control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buffer unit 28.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for applying the control signals CONT_0, CONT_1, and CONT_2.

데이터처리부(22)는 송신대상 데이터를 버스(10)로 출력가능한 형태의 송신데이터(TD)로 변환하며, 버스(10)로부터 수령된 수신데이터(RD)를 처리한다. 여기서, 데이터처리부(22)는 시분할 다중방식 처리를 위한 통신용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송수신데이터를 시분할 다중방식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processing unit 22 converts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ransmission data TD in a form that can be output to the bus 10 and processes the received data RD received from the bus 1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processor 22 process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in a time division multiple manner by using a communication processor for time division multiplex processing.

버퍼부(28)는 입출력제어부(30)로 입출력되는 각각의 제어신호의 신호라인에 개재되어 각 제어신호를 단속하는 복수개의 버퍼유니트를 포함한다. 버퍼유니트는 프래임동기신호(FRS)라인, 클럭(CLK)라인, 액티브신호(ACT)라인에 각기 개재되며 입출력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신호(CONT_0, CONT_2)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활성되어 각 신호의 출입을 단속할 수 있다. 프레임동기신호(FRS)라인에 개제된 버퍼유니트(28a)와, 클럭라인에 개제된 버퍼유니트(28b)는 CONT_0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액티브신호라인에 개제된 버퍼유니트(28c)는 CONT_2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여기서 버퍼유니트는 제어신호(CONT_0, CONT_2)가 하이(High)상태일 경우 송신버퍼가 활성화되고, 로우(Low)상태일 경우 수신버퍼가 활성화된다.The buffer unit 28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units interposed on signal lines of respective control signals inputted and outputted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to control each control signal. The buffer unit is interposed i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line, the clock (CLK) line, and the active signal (ACT) line, respectively, and is activ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CONT_0 and CONT_2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You can control the entry and exit of signals. The buffer unit 28a placed o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line and the buffer unit 28b placed on the clock line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_0 signal, and the buffer unit 28c placed on the active signal line is connected to the CONT_2 signal. Are controlled accordingly. Here, the buffer unit has a transmit buffer activated when the control signals CONT_0 and CONT_2 are high and the receive buffer is activated when the low signal.

데이터송수신부(26)의 내부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0)로 입출력되는 송수신데이터의 단속을 위한 버퍼유니트(27)와, 버퍼유니트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제어부(29)를 포함한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6 is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a buffer unit 27 for intermittent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to and from the bus 10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29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buffer unit are included.

데이터송수신부(26)에 내재 된 버퍼유니트(27)는 입출력제어부(30)로부터 인가되는 CONT_1신호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활성화된다. 데이터송수신제어부(29)는 입출력제어부(30)로부터 인가되는 CONT_1신호에 따라, 데이터처리부(22)로부터 제공된 송신데이터(TD)를 버퍼유니트(27)를 통해 버스(10)로 발신하고 버스(10)로부터 송수신데이터(TRxD)를 수령하여 수신데이터(RD)를 데이터처리부(22)로 전달한다. 여기서, CONT_1신호가 'High'상태일 경우, 버퍼유니트(27)는 발신버퍼가 활성화되고 데이터송수신제어부(29)는 TD데이터를 발신하며, CONT_1신호가 로우상태일 경우, 버퍼유니트(27)는 수신버퍼가 활성화되고 데이터송수신제어부(29)는 버스(10)로부터 수신된 송수신데이터(TRxD)의 수신데이터(RD)를 데이터처리부(22)에 제공한다.The buffer unit 27 inherent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6 is activ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_1 signal applied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29 transmits the transmission data TD provided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22 to the bus 10 through the buffer unit 27 in accordance with the CONT_1 signal applied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and the bus 10. ) Receiv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xD and transmits the reception data R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2. Here, when the CONT_1 signal is in the 'High' state, the buffer unit 27 transmits the TD data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29 transmits the TD data. When the CONT_1 signal is low, the buffer unit 27 The reception buffer is activated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29 provides the data processing unit 22 with the reception data RD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xD received from the bus 10.

입출력제어부(30)는 버스(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송수신부(26) 및 버퍼부(28)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어신호를 다른 디바이스(20)들에 제공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6 and the buffer unit 28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bus 10 to transmit / receive data or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another device 20. Can provide them.

입출력제어부(30)는 초기 구동시 버스(10)로부터 수령된 프레임동기신호(FRS) 및 클럭신호(CLK)에 기초하여 타임슬롯을 확인한다. 입출력제어부(30)는 할당된 타임슬롯구간에 한해, 데이터송수신부(26)의 버퍼유니트(27) 및 데이터송수신제어부(29)에 CONT_1=High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버퍼유니트(27)는 발신버퍼로 활성화되고, 데이터송수신제어부(29)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사용이 허여되어 있지 아니한 타임슬롯구간인 경우, 입출력제어부(30)는 데이터송수신부(26)에 CONT_1=Low신호를 발신하여 버퍼유니트(27)를 수신버퍼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서, 버퍼유니트(27)를 통해 수신된 송수신데이터(TRxD)의 수신데이터(RD)가 수신되도록 한다. 즉, 데이터를 송신하지 아니할 시에는 항상 데이터 수신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다른 디바이스(20)가 송수신데이터(TRxD)를 발신하는 경우 이를 수령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checks the timeslot based o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nd the clock signal CLK received from the bus 10 during initial driving.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applies CONT_1 = High signal to the buffer unit 27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29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6 only for the allocated time slot period. As a result, the buffer unit 27 is activated as an outgoing buffer,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29 transmits data. On the other hand, in a time slot section in which no use is allowed,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sends the CONT_1 = Low signal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6 to maintain the buffer unit 27 in the reception buffer state, thereby providing a buffer unit ( The reception data RD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xD received through the operation 27 is received. That is, when not transmitting data, the data reception state is always maintained, and when the other device 20 transmit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xD, it can be received.

그리고, 입출력제어부(30)는 버스(10)로부터 수령된 클럭신호(CLK)를 분주하는 분주부(35)와, 동작 중 버스(10)를 통해 제공되는 액티브신호에 기초하여, 마스터로 동작하는 디바이스(2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오류검출부(32)와, 버스(10)를 통해 제공되는 프레임동기신호(FRS)에 기초하여 마스터로 동작하는 디바이스(2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프레임오류검출부(34)를 더 포함한다.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operates as a master based on the division unit 35 for dividing the clock signal CLK received from the bus 10 and the activ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bus 10 during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frame error signal (FRS) provided through the bus 10 and 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32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device 20 has failed, whether the device 20 operating as a master has failed. It further comprises a frame error detection unit 34 for detecting.

입출력제어부(30)는 초기 구동 시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를 수령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 내에서 생성되는 클럭신호(CLK) 및 프레임동기신호(FRS)를 외부버스(10)로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입출력제어부(30)는 초기 수령된 클럭신호(CLK)를 분주부(35)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분주하여, 초기 입력된 클럭신호(CLK)보다 더 긴 주기를 갖는 기준클럭신호(CLK_R)를 생성한다. 입출력제어부(30)는 기준클럭신호(CLK_R)의 한주기 동안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가 수령되지 아니하는 경우, 클럭신호(CLK)를 버스(10)로 발신하여 다른 디바이스(20)에 클럭신호(CLK)를 제공한다.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receives the clock signal CLK from the bus 10 during initial driving, and based on this,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receives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generated in the device 20 based on the external bus. 1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provide. Here,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divides the initially received clock signal CLK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through the divider 35, and has a reference clock signal having a longer period than the initially input clock signal CLK. CLK_R). When the clock signal CLK is not received from the bus 10 for one period of the reference clock signal CLK_R,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transmits the clock signal CLK to the bus 10 to send another device 20. ) Provides a clock signal CLK.

여기서, 입출력제어부(30)는 각 디바이스(20)에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분주부(35)를 통해 각기 다른 비율로 클럭신호(CLK)를 분주하므로, 각 디바이스(20)는 상호 상이한 기준클럭신호(CLK_R)를 갖게된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디바이스(20)의 경우 클럭을 1/2하여 기준클럭을 생성하고, 우선순위 2위인 디바이스(20)는 클럭을 1/22하여 기준클럭을 생성하며, 우선순위가 N위인 디바이스(20)는 클럭을 1/2N하여 기준클럭을 생성한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디바이스(20)일수록 다른 디바이스(20)에 비해 짧은주기의 기준클럭을 갖게 되므로,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디바이스(20)가 이를 가장 먼저 감지하여 외부로 클럭신호(CLK) 및 프레임동기신호(FRS)를 출력함으로써 버스(10)에 대해 점유권을 갖게된다.Here, since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divides the clock signal CLK at different ratios through the divider 35 according to the priority given to each device 20, each device 20 has a different reference clock. It has a signal CLK_R. For example, first, if the highest ranked device 20 and to one-half the clock generates a reference clock, and the second priority ranking device 20 is a second half clock generates a reference clock, first The device 20 having the rank N ranks the clock 1/2 N to generate a reference clock. Therefore, since the higher priority device 20 has a reference clock with a shorter period than other devices 20, when the clock signal CLK is not detected from the bus 10, the highest priority device ( 20 first detects this and outputs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o the outside so as to have the possession of the bus 10.

도 6은 입출력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오류검출부(32)의 동작을 위한 신호상태도이다. 동작오류검출부(32)는 액티브신호(ACT)의 송수신을 단속하는 버퍼유니트(28c)를 통해 수령되어 지연기(31)를 통해 지연된 액티브신호(ACT_O)와, 입출력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를 비교하여 디바이스(20)가 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6 is a signal state dia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32 controlled by the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30. The operation error detector 32 receives the active signal ACT_O received through the buffer unit 28c which intercept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active signal ACT and is delayed through the delay unit 31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The generated active signal ACT_I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20 is in a normal state.

입출력제어부(30)는 버스(10) 상에서 클럭신호(CLK)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동작오류검출부(32)를 통해 디바이스(20)의 상태를 확인한다. 클럭신호(CLK)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입출력제어부(30)는 동작오류검출부(32)로 액티브신호(ACT_I)를 제공한다. 동작오류검출부(32)는 버스(10)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ACT_O)를 지연기(31)를 통해 한 프레임 동기주기만큼 래치시켜 내부에서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를 비교하도록 한다. If the clock signal CLK is not detected on the bus 10,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checks the state of the device 20 through the operation error detector 32. If the clock signal CLK is not detected,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provides the active signal ACT_I to the operation error detector 32. 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32 latches the active signal ACT_O received from the bus 10 by one frame sync period through the delay unit 31 to compare the generated active signal ACT_I.

동작오류검출부(32)는 버스(10)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ACT_O)와 디바이스(20) 내에서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 버스(10)의 점유권을 가진 디바이스(20)가 자기 자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동작오류검출부(32)는 액티브신호(ACT_O)와 디바이스(20) 내에서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를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연산함으로써, 양자 간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신호의 배타적 논리합연산 결과, '0'이 출력되면 ACT_O와 ACT_I는 동일한 것이며, '1'이 출력되면 양자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32 determines whether the active signal ACT_O received from the bus 10 and the active signal ACT_I generated in the device 20 are the same, and has the right to occupy the current bus 10. Check whether the device 20 is itself. 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32 may verify the identity between the active signal ACT_O and the active signal ACT_I generated in the device 20 by an exclusive OR operation. As a result of the exclusive OR operation of the two signals, if '0' is outputted, ACT_O and ACT_I are the same, and if '1' is output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y are different.

동작오류검출부(32)의 확인결과, 현재 버스(10)의 점유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출력제어부(30)는 제어신호(CONT_0, CONT_1, CONT_2) 를 모두 로우(low)로 인가하여, 버스(10)로 제공하던 프레임동기신호(FRS), 클럭신호(CLK), 액티브신호(ACT)의 발신을 차단시킨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32 has the current possession of the bus 10,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30 applies the control signals CONT_0, CONT_1, and CONT_2 all low, The transmission of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active signal ACT provided to the bus 10 is blocked.

한편, 버스(10)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ACT_O)와 디바이스(20) 내에서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가 상이할 경우, 버스(10)의 점유권을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20) 측에 이상이 생겨 클럭신호(CLK)가 발생되지 아니하는 장애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입출력제어부(30)는 기준클럭신호(CLK_R)의 한주기 동안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가 수령되지 아니하는 경우, 클럭신호(CLK)를 버스(10)로 발신하여 다른 디바이스(20)에 클럭신호(CLK)를 제공하여 버스(10)를 점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ctive signal ACT_O received from the bus 10 and the active signal ACT_I generated in the device 20 are different, an abnormality occurs on the side of the device 20 having the occupancy right of the bus 10. This is a fault condition where no clock signal CLK is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clock signal CLK is not received from the bus 10 for one period of the reference clock signal CLK_R,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transmits the clock signal CLK to the bus 10 so that the other device can receive the signal. The clock signal CLK is provided to 20 to occupy the bus 10.

도 7은 프레임오류검출부(34)의 제어블럭도이다. 프레임오류검출부(34)는 버스(10)로부터 수령되는 프레임동기신호(FRS)를 입력받아 한 프레임 주기만큼 지연시키는 지연부(38)와, 지연된 프레임동기신호(FRS)와 버스(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령된 프레임동기신호(FRS)의 위상차를 비교하는 비교부(36)를 포함한다.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rame error detection unit 34. The frame error detection unit 34 receive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received from the bus 10 and delays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by one frame period, and the delayed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nd the bus 10 in real time. Comparing unit 36 for comparing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프레임오류검출부(34)는 버퍼유니트(28a)를 통해 입력되는 프레임동기신호(FRS)를 지연부(38)를 통해 한 주기만큼 지연시키고, 지연된 프레임동기신호(FRS)와 버스(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령된 프레임신호의 위상차를 비교부(36)를 통해 비교한다. 여기서 비교부(36)는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연산을 수행하여 양자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프레임오류검출부(34)를 통한 프레임동기신호(FRS) 분석결과, 한 프레임주기 지연된 프레임동기신호와 실시간 입력되는 프레임동기신호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버스(10)에 공급되는 프레임동기신호(FRS)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frame error detection unit 34 delays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input through the buffer unit 28a by one period through the delay unit 38 and performs a real time from the delayed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nd the bus 10. The phase difference of the received frame signal is compared through the comparison unit 36. Here, the comparison unit 36 performs an exclusive OR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are identica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hrough the frame error detection unit 3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delayed by one frame period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in real time are different,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supplied to the bus 10 is provided. It is judg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프레임동기신호(FRS)에 이상이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우선순위를 갖는 다른 디바이스(20)가 클럭신호(CLK) 및 프레임동기신호(FRS)를 출력하여 버스(10)를 점유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is abnormal, another device 20 having a priority outputs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o occupy the bus 10.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20)가 하나의 버스(10)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신호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A signal diagram of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xchange data through one bus 10 is shown in FIG. 8.

복수의 디바이스(20) 중 최고 우선순위를 갖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20)는 버스(10)를 통해 프레임동기신호(FRS) 및 클럭신호(CLK), 액티브신호(ACT)를 공급하고, 각 디바이스(20)에 타임슬롯을 할당한다.The device 20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plurality of devices 20 supplies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active signal ACT through the bus 10, and each device Time slot is assigned to (20).

버스(10)에 연결된 디바이스(20)들은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주기에 한해 데이터송신신호인 CONT_1신호를 "High"로 설정하여, 해당 타임슬롯주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The devices 20 connected to the bus 10 set the CONT_1 signal, which is the data transmission signal, to “High” only for the timeslot period assigned to the bus 10 to transmit data in the corresponding timeslot period.

타임슬롯이 할당되지 아니하는 구간에서 각 디바이스(20)는 버스(10)의 송수신데이터(TRxD)를 수신하는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period where the timeslot is not allocated, each device 20 maintains a state of receiving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xD of the bus 10.

예를 들어, n-1번째 우선순위를 갖는 디바이스(20)는, n-1번째 타임슬롯에서 CONT_1신호를 'High'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For example, the device 20 having the n-1th priority transmits data by setting the CONT_1 signal to 'High' in the n-1th time slot, and maintains the data receiving state in the remaining sections. .

도 9는 본 발명의 다중 디바이스(20) 제어방법에 따른, 초기 구동시 디바이스(20)의 버스(10)점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ccupying the bus 10 of the device 20 during initial driving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multiple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중 디바이스(20)시스템이 부팅되어 최초구동이 시작되면(S10), 디바이스(20) 들의 CONT_0신호는 기본적으로 'Low'로 설정되어 프레임동기신호(FRS) 및 클럭신호(CLK)가 출력되지 아니하는 상태이나,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2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20)가 초기 클럭신호(CLK) 및 프레임동기신호(FRS)를 버스(10)로 제공한다(S12).When the system is booted and the first drive is started (S10), the CONT_0 signals of the devices 20 are basically set to 'Low' so that the frame sync signal FRS and the clock signal CLK are not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20, the device 20 provides the initial clock signal CLK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o the bus 10 (S12).

각 디바이스(20)들은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를 수령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분주하여 초기 입력된 클럭신호(CLK)보다 더 긴 주기를 갖는 기준클럭신호(CLK_R)를 생성한다(S14). 여기서, 각 디바이스(20)의 클럭분주 비율은 각 디바이스(20)에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모두 상이하여 각 각의 디바이스는 상호 상이한 기준클럭신호(CLK_R)를 갖게된다.Each device 20 receives a clock signal CLK from the bus 10 and divides the clock signal CLK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to generate a reference clock signal CLK_R having a longer period than the initially input clock signal CLK. (S14). Here, the clock division ratios of the devices 20 are all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iority given to the devices 20, and each device has a different reference clock signal CLK_R.

각 디바이스(20) 들은 기준클럭신호(CLK_R)의 한 주기 내에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Each device 20 determines whether the clock signal CLK is detected from the bus 10 within one period of the reference clock signal CLK_R (S16).

버스(10)에 클럭신호(CLK)가 공급되지 아니하는 것을 감지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20)가 CONT_0신호를 'High'로 설정하여, 자신의 클럭신호(CLK) 및 프레임동기신호(FRS)를 버스(10)로 출력함으로써 버스(10)를 점유한다(S18).Any one of the devices 20 which detects that the clock signal CLK is not supplied to the bus 10 sets the CONT_0 signal to 'High' so that its clock signal CLK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Outputs the bus 10 to occupy the bus 10 (S18).

이러한 과정에 따라, 마스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가 결정되면, 각 디바이스(20) 들은 정상동작을 시작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20)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According to this process, when the device 20 performing the function as the master is determined, each device 20 starts a normal operation.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2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각 디바이스(20)들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타임슬롯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사용 가능한 영역으로 할당된 타임슬롯을 확인한다(S20).Each device 20 checks the time slots allocated to the area available to the user, based on the time slo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evice 20 performing the master function (S20).

각 디바이스(20)들은 현재 타임슬롯이 자신이 사용 가능한 영역으로 할당된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Each device 2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imeslot belongs to a section allocated to the area in which it is available (S22).

현재 타임슬롯 구간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신호 CONT_1을 'High'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한다(S24). 여기서, 실재 발신된는 데이터는 TD데이터이며, TD데이터는 버스(10)의 송수신데이터(TRxD)에 추가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slot interval is available, the control signal CONT_1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set to 'High' to transmit data (S24). Here, the data actually transmitted is TD data, and the TD data is add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xD of the bus 10.

한편, 현재의 타임슬롯구간이 사용이 허여되어 있지 아니하는 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신호 CONT_1를 'Low'로 설정함으로써, 송수신데이터(TRxD)의 수신데이터(RD)가 수신되도록 한다(S26).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time slot section corresponds to a section in which no use is allowed, the control signal CONT_1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set to 'Low' so that the reception data RD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xD is received. (S26).

데이터를 수신한 디바이스(20)는 수신된 디바이스(20)의 처리주소를 확인하여(S28), 유효한 데이터는 처리하고(S30), 처리 대상 데이터가 아닌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신데이터를 폐기한다(S32). The device 20 receiving the data checks the processing address of the received device 20 (S28), processes valid data (S30), and discards the received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is not the processing target data (S32). ).

이과 같이, 정상동작하는 다중 디바이스(20)시스템의 마스터 자격의 디바이스(2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상태를 감지하고 버스(10)에 대한 점유권이 이양되는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As such,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device 20 of the master qualification of the system in which the multi-operational device 20 operates normally, a method of detecting a failure state and transferring the occupancy rights to the bus 10 is illustrated in FIG. 11. .

버스(10)를 점유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20)로부터 제어신호가 버스(10)로 공급되는 정상동작 상태에서(S40), 각 디바이스(20)들은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가 입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2). In a normal operation state in which a control signal is supplied from the one device 20 occupying the bus 10 to the bus 10 (S40), each device 20 receives a clock signal CLK from the bus 10. Check whether it is being input (S42).

버스(10) 상에서 클럭신호(CLK)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디바이스(20) 내부에서 액티브신호(ACT_I)를 발생시키고(S44), 버스(10)로부터 액티브신호(ACT_O)를 수령한다(S46).When the clock signal CLK is not detected on the bus 10, the active signal ACT_I is generated inside the device 20 (S44), and the active signal ACT_O is received from the bus 10 (S46). ).

버스(10)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ACT_O)와 디바이스(20) 내에서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tive signal ACT_O received from the bus 10 and the active signal ACT_I generated in the device 20 are the same (S48).

판단결과, 버스(10)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ACT_O)와 디바이스(20) 내에서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가 상이할 경우, 버스(10)의 점유권을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20) 측에 이상이 생겨 클럭신호(CLK)가 발생되지 아니하는 장애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입출력제어부(30)는 기준클럭신호(CLK_R)의 한주기 동안 버스(10)로부터 클럭신호(CLK)가 수령되지 아니하는 경우, 클럭신호(CLK)를 버스(10)로 발신하여 다른 디바이스(20)에 클럭신호(CLK)를 제공하여 버스(10)를 점유한다(S5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active signal ACT_O received from the bus 10 and the active signal ACT_I generated in the device 20 are different, the device 20 has an occupancy right on the bus 10 side. This is a fault condition in which the clock signal CLK is not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clock signal CLK is not received from the bus 10 for one period of the reference clock signal CLK_R,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transmits the clock signal CLK to the bus 10 so that the other device can receive the signal. The clock signal CLK is provided to the 20 to occupy the bus 10 (S50).

그리고, 버스(10)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ACT_O)와 디바이스(20) 내에서 생성된 액티브신호(ACT_I)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디바이스(20)가 현재 버스(10)의 점유권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입출력제어부(30)는 제어신호(CONT_0, CONT_1, CONT_2) 를 모두 로우(low)로 인가하여, 버스(10)로 제공하던 프레임동기신호(FRS), 클럭신호(CLK), 액티브신호(ACT)의 발신을 차단시킨다(S52).When the active signal ACT_O received from the bus 10 and the active signal ACT_I generated in the device 20 are determined to be the same, the device 20 has the right to occupy the current bus 10. Since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30 applies the control signals CONT_0, CONT_1, and CONT_2 all low,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active signal provided to the bus 10 are provided. Block the transmission of the (ACT) (S52).

이에 따라, 클럭을 공급하는 디바이스의 장애가 감지된 경우, 버스의 점유권이 다른 디바이스로 이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버스를 점유하여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이상발생 시,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던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버스를 점유함으로써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a failure of the device supplying the clock is detected, the occupancy of the bus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device. That is, when an error occurs in a device that performs a master function by occupying a bus, any one of the devices operating as a slave occupies the bus to perform a master function so that the entire system can operate normal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버스로 공급되는 클럭신호, 프레임동기신호 등의 오류여부를 확인하여 버스를 점유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장애여부를 감지하고, 버스를 점유한 디바이스의 장애가 감지될 시에는 다른 디바이스가 버스를 점유하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devic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error of the clock signal,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like supplied to the bus to detect the failure of the device occupying the bus, When a failure of a device occupying the bus is detected, another device occupies the bus.

이에 따라, 마스터 권한을 갖는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할 시에도 시스템이 정상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디바이스 간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케 함으로써 다양화된 통신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ystem can operate normally even when a device having a master authority fails, and a variety of communication channels can be provided by enab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ach device.

도 1은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도 2는 종래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제어흐름도,2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conventional multi-device control system,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디바이스의 내부제어블럭도, 4 is an internal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device of FIG.

도 5은 도 3의 데이터송수신부의 제어블럭도,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tter and receiver of FIG. 3;

도 6은 도 3의 동작오류검출부의 신호상태도,6 is a signal state diagram of an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of FIG. 3;

도 7은 도 3의 프레임오류검출부의 제어블럭도,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rame error detector of FIG. 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신호도, 8 is a signal diagram of a multi-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중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따른, 초기 구동시 디바이스의 버스점유 방법의 흐름도,9 is a flowchart of a bus occupancy method of a device during initial driving according to a multi-devic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 제어방법의 흐름도,10 is a flowchart of a multi-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디바이스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of a multi-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버스 20 : 디바이스10 bus 20 device

22 : 데이터처리부 26 : 데이터송수신부22: data processing unit 26: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8 : 버퍼부 30 : 입출력제어부28: buffer unit 30: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32 : 동작오류검출부 34 : 프레임오류검출부32: motion error detection unit 34: frame error detection unit

Claims (10)

각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버스와;A data bus for transmitting signals for each device;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단속하기 위한 데이터송수신부와;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controlling data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data bus;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각 제어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버퍼부와;A buffer unit for controlling each control signal from the data bus;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신호송수신을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와;A data processor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data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제어신호인 클럭신호를 미리 부여된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분주하여 상기 데이터버스에 클럭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분주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로의 상기 제어신호 공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제어신호인 프레임동기신호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생성된 프레임동기신호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프레임오류검출부와, 상기 데이터버스로의 상기 제어신호 공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제어신호인 액티브신호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생성된 내부 액티브신호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동작오류검출부를 통한 상기 제어신호의 오류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상기 버스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생성 된 제어신호를 상기 버퍼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버스로 출력하는 입출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A divider for dividing a clock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to generate a reference clock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a clock signal exists on the data bus; A frame error detection unit for comparing the sameness betwee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data bu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control signal is supplied, an error of the control signal is checked through an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that compares the identity of an active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nd an internal active signal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or, and confirms. As a resul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bus. If the multi-device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o the data bus through the buffer to the control signals generated in the data process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오류검출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error detection unit,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되는 프레임동기신호를 소정 프레임단위로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와;A delay unit for delaying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in a predetermined frame unit; 상기 지연부를 통해 지연된 상기 프레임동기신호와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령되는 프레임동기신호의 위상차를 비교하는 신호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And a signal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delayed through the delay unit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data b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오류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error detection unit, 상기 버퍼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상기 액티브신호와 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생성된 내부 액티브신호의 위상차를 비교하는 신호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And a signal comparator for compar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through the buffer unit and an internal active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data processor. 데이터버스로부터 클럭신호, 프레임동기신호, 액티브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수령하는 단계와;Receiving a control signal such as a clock signal,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 active signal from the data bus;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상기 클럭신호를, 미리 부여된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분주하여 기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a reference clock signal by dividing the clock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order; 상기 기준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버스에 클럭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clock signal is present on the data bus based on the reference clock signal; 상기 데이터버스에 상기 클럭신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버스에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lock signal does not exist on the data bus, supplying a clock signal to the data bus.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데이터버스에 클럭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clock signal is present on the data bus; 상기 데이터버스 상에서 상기 클럭신호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내부적으로 액티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an active signal internally when the clock signal is not detected on the data bus; 생성된 상기 액티브신호와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generated active signal is identical to th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상기 생성된 액티브신호와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가 상이한 경우, 상기 데이터버스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And su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ata bus when the generated active signal and th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re differen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생성된 액티브신호와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액티브신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버스로 공급되는 제어신호의 발신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enerated active signal and the active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are the same, blocking transmission of a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data bu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되는 프레임동기신호를 소정 프레임단위로 지연시키는 단계와;Delaying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in a predetermined frame unit; 지연된 상기 프레임동기신호와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령되는 프레임동기신호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delayed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data bus are identical; 판단결과 양자가 상이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프레임동기신호의 오류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And determining that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is in an error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 수령된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할당된 타임슬롯구간을 판별하는 단계와;Determining an allocated timeslot se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ata bus; 현재 타임슬롯구간이 사용권한이 할당된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slot section is a section to which a usage right is assigned; 현재 타임슬롯구간이 할당된 타임슬롯구간이 아닌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버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slot section is not the allocated time slot section, receiving the data from the data bus.
KR10-2002-0084995A 2002-12-27 2002-12-27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495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95A KR100495879B1 (en) 2002-12-27 2002-12-27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95A KR100495879B1 (en) 2002-12-27 2002-12-27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642A KR20040058642A (en) 2004-07-05
KR100495879B1 true KR100495879B1 (en) 2005-06-16

Family

ID=3735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995A KR100495879B1 (en) 2002-12-27 2002-12-27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8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084B1 (en) 2014-04-15 2015-10-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cpu mod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084B1 (en) 2014-04-15 2015-10-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cpu mod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642A (en)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5137B1 (en) Hybrid network protocol with programmable assigned time slots and contention
US4799052A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on a communication network by token passing
US7623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ndancy control of duplex switch board
JP4393768B2 (en) Real-time channel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CA1266536A (en) High speed bit interleaved time division multiplexer for multinode communication systems
US5339307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a local network interface
KR20090067152A (en) Cluster coupler unit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clusters in a time-triggered network
EP0121410B1 (en) Bus-configured local area network with data exchange capability
CN101690020A (en)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CN101512987A (en) Cluster coupler in a time triggered network
US20060224394A1 (en) Timeslot sharing over different cycles in tdma bus
CN101512985A (en) Cluster coupler in a time triggered network
KR100495879B1 (en) Multi device controll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3966248B2 (en) Data transfer system, readjustment control method used therefor, and program thereof
US5453983A (en) Port controller
KR100212050B1 (en) The way and circuit for watching and choosing synchronous source of digital exchange
JP5604799B2 (en) Fault tolerant computer
KR100490877B1 (en) Switch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respectively connected by plural channel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11243405A (en) A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system
JP2829602B2 (en) Transmission data phase matching method and instantaneous interruption switching device
US20030200476A1 (en) Method for improving a timing margin in an intergrated circuit by setting a relative phase of receive/transmit and distributed clock singls
JPH1069448A (en) Deterministic network protocol
US8180053B1 (en) Secure communications system with assured synchronization for data exchanged among system ports
KR20190080626A (en) Duplicated board setting method and the board thereof
KR100428660B1 (en) A method of alternating handler for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