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809B1 - 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 Google Patents

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809B1
KR100495809B1 KR1020050004863A KR20050004863A KR100495809B1 KR 100495809 B1 KR100495809 B1 KR 100495809B1 KR 1020050004863 A KR1020050004863 A KR 1020050004863A KR 20050004863 A KR20050004863 A KR 20050004863A KR 100495809 B1 KR100495809 B1 KR 10049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writing
window
time
window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05000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8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8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 모드의 자동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조건을 만족 할 경우 윈도우 상에서 직접적인 판서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판서 모드와 윈도우 모드의 불편한 전환없이 모드가 자동 전환되어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칠판의 사용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 모드의 자동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the window mode and the writing mode of the copyboar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irectly write on a window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so that the writing mode and the window mode are inconveni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a window mode and a writing mode of the copyboard to automatically switch modes to increase convenience and increase the use efficiency of the copyboard.

본 발명은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과, 상기 전자칠판에 판서가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부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부에서 현재의 상태가 윈도우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현재의 모드가 윈도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 모드를 실행하는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과, 상기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 진행시 마우스가 전자칠판에 접촉되는 클릭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클릭상태 판단과정과, 상기 클릭상태 판단과정에서 마우스가 클릭된 상태로 판단되면 클릭시점에서 위치변화가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연산하고, 상기의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이면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을 수행하는 시간 연산과정과, 상기 시간 연산과정에서 연산시간이 일정범위 이상일 경우 마우스가 클릭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하일 경우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을 수행하는 거리 연산과정과, 상기 시간 연산과정 및 거리 연산과정에서 연산된 값이 모두 일정범위 이상임이 판단되면 판서 모드를 실행하는 판서 모드 실행과정과, 상기 판서 모드 실행과정에서 마우스가 전자칠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판단되면 판서모드를 종료하고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을 수행하는 언클릭 판단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board capable of writing, and a computer unit with a built-in program for writing on the electronic board. The current mode is a window mode by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a window mode in the computer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for executing the window mode, the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use is in a click state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blackboard when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and the mouse clicks in the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is determined to calculate the time from the click time to the position change occurs, if the tim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time calculation process for performing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and the calculation time is constant in the time operation process If it is over the range, the movement distance is calculated by clicking the mouse. If it is less than a certain range, the distance operation process for performing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calculated in the time operation process and the distance operation process is all over a certain range, the writing mode execution process for executing the writing mode, and the writing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use is separated from the copyboard during the execution process, the writing mode is terminated and an unclick determination process for executing the window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Description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 모드의 자동 전환방법{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 모드의 자동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조건을 만족 할 경우 윈도우 상에서 직접적인 판서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판서 모드와 윈도우 모드의 불편한 전환없이 모드가 자동 전환되어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칠판의 사용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 모드의 자동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the window mode and the writing mode of the copyboar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irectly write on a window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so that the writing mode and the window mode are inconveni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a window mode and a writing mode of the copyboard to automatically switch modes to increase convenience and increase the use efficiency of the copyboard.

최근 각 대학 및 기업에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양질의 디지털 교육환경 구축의 일환으로 도입되고 있는 전자칠판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각각의 멀티미디어 장비들이 서로 연결되어 동작함으로 인하여 강사의 강의준비를 위한 장비의 조작은 더욱 복잡해지며 그 어려움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using the electronic blackboard, which is introduced as a part of the construction of a high-quality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for the training of professionals in each university and company, has been spreading. As a result, manipulating equipment for instructor preparation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and the difficulty is increasing.

따라서 강의실내에 설치된 각종 멀티미디어 장비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동작 가능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강의준비가 가능하게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fear of the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that enables various multimedia equipment installed in the classroom to be operated by a single switch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and to enable efficient lecture preparation.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의실 또는 회의실 등에 설치되며 전자칠판을 사용하는 통상의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Such a general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30 installed in a lecture room or conference room, which is generally used, and using an electronic blackboard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즉, 하나의 케이스(20) 내부에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구동할 수 있는 카세트데크부(2)와, DVD, VTR 등의 영상장치를 구동하는 영상데크부(3)와, 마이크(8)를 통한 교수자의 음성 및 카세트데크부(2), 영상데크부(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0)를 통해 송출하는 앰프부(1)와, 키보드(5), 마우스(6) 또는 펜 마우스(6a)(이하 '마우스(6)(6a)'라 총칭함),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마우스(6)(6a)로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9)을 포함하고 각종 정보 및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컴퓨터부(4)와, 강의자의 보조키패드(7) 조작에 의해 상기의 모든 장치(카세트데크부(2), 영상데크부(3), 앰프부(1), 컴퓨터부(4))의 출력 모드 전환, 온.오프제어 등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부(13)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a cassette deck unit 2 capable of driving a cassette tape recorder inside one case 20, an image deck unit 3 driving a video device such as a DVD or a VTR, and a microphone 8 are provided. Amplifier unit 1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instructor's voice and cassette deck unit 2, video deck unit 3 and output through speaker 10, keyboard 5, mouse 6 or Pen mouse 6a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ouse 6' and '6a'), and an electronic blackboard 9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writing with the mouse 6 and 6a, and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cassette deck section 2, video deck section 3, amplifier section 1, computer section 4) by operating the built-in computer section 4 and the lecturer's auxiliary keypad 7. The control unit 13 is provided to collectively control the system, such as switching the output mode and on / off control.

또한, 상기 케이스(20) 상면에는 영상데크부(3) 및 컴퓨터부(4)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영상 및 문자정보를 표시하고 마우스(6)(6a)로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9)과, 카세트데크부(2), 영상데크부(3), 앰프부(1), 컴퓨터부(4)의 출력 모드 전환, 온.오프제어 판서/윈도우모드로 전환시키는 콘트롤부(13)를 강의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보조키패드(7)와, 교수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앰프부(1)로 전송하는 마이크(8)가 외부로 노출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 the electronic blackboard (9)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images and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mage deck unit (3) and the computer unit (4) and writing with a mouse (6) 6a; The lecturer easily controls the output mode of the cassette deck unit 2, the image deck unit 3, the amplifier unit 1, and the computer unit 4, and the control unit 13 for switching the on / off control writing / window mode. Auxiliary keypad 7 which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controlled, and a microphone 8 which converts the instructo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mplifier unit 1 ar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영상데크부(3) 및 컴퓨터부(4)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영상데이터를 대형 스크린(11)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젝터(12)로 구성된다.And a projector 12 for displaying various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eck unit 3 and the computer unit 4 on the large screen 11.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30)의 일반적인 동작과 판서모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of the writing mode as follows.

먼저, 전자칠판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30)의 일반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모든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한편, 컴퓨터부(4)에서는 부팅이 이루어져 윈도우 모드의 초기상태로 있게 되며, 이러한 윈도우 모드의 초기화면을 전자칠판(9)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프로젝터(12)를 통해 스크린(11)에 표시하게 된다.First,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30 using the electronic blackboard is made as follows.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all the devices, the system is in a state capable of operating, while the computer unit 4 is booted to be in the initial state of the window mode, and the initial screen of the window mode is copied on the copyboard 9 The display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 through the projector 12 at the same time.

이러한 상태에서 교수자가 강의를 위해 컴퓨터부(4)에 저장된 강의 데이터를 불러들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강의 영상 및 문자데이터를 전자칠판(9)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프로젝터(12)를 통해 스크린(11)에 표시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instructor loads the lecture data stored in the computer unit 4 for the lecture, as described above, the lecture image and text data ar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blackboard 9 and the screen 11 is displayed through the projector 12. ) Will be displayed.

이때, 강의자의 의도에 의해 DVD, VTR에 기록된 영상자료를 이용해 강의하고자 할 경우 보조키패드(7)의 특정 키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게 되면 콘트롤부(13)에서 이를 인지하여 영상데크부(3)의 DVD 또는 VTR의 출력 매체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DVD/VTR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는 프로젝터(12)를 통해 스크린(11)에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전자칠판(9)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lecturer wants to lecture using the image data recorded on the DVD and VTR, if the specific key of the auxiliary keypad 7 is selectively operated, the control unit 13 recognizes this and the image deck unit 3 The output medium of the DVD or VTR is controlled, and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DVD / VTR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 through the projector 12, and at the same time,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copyboard 9.

또한, 강의자의 의도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음성자료를 이용해 강의하고자 할 경우 보조키패드(7)의 특정 키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게 되면 콘트롤부(13)에서 이를 인지하여 카세트데크부(2)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lecturer intends to lecture using voice data recorded on a cassette tape by a lecturer's intention, if a specific key of the auxiliary keypad 7 is selectively operated, the controller 13 recognizes this and then the cassette deck unit 2 Will control the output.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강의자의 의도에 의해 보조키패드(7)를 조작하여 카세트데크부(2), 영상데크부(3), 컴퓨터부(4)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지정하여 자료를 출력하고자 하는 매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매체에 기록된 음성신호는 앰프부(1)를 통하여 증폭되어 스피커(10)를 통해 송출된다.And, as described above, by manipulating the auxiliary keypad 7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intention, the cassette deck unit 2, the image deck unit 3, and the computer unit 4 simultaneously designate any one or two and output the data. When a medium to be selected is selected, the audio signal recorded on the selected medium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unit 1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0.

이상은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30)의 개략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였으며, 그 외에도 수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사항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하여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없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bove has described the outline of the operation of the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30, and includes a number of other functions, but as a general matter can not be a major factor for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은 본 발명의 요지와 관계되는 것으로서 전자칠판(9)을 사용함에 있어 종래 판서 모드와 윈도우 모드의 전환과정을 도 2의 순서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process of switching between the conventional writing mode and the window mode in using the copyboard 9 as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먼저 사용자가 펜마우스로 전자칠판에 판서를 하기 위해 판서 프로그램을 실행(단계 101)하게 되면 컴퓨터부에서 이를 인지하여 판서 프로그램을 실행(단계 101)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executes a writing program to write on the electronic blackboard with a pen mouse (step 101), the computer recognizes this and executes the writing program (step 101).

상기 판서 프로그램의 실행되면 판서모드로 전환(단계 102)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판서모드로 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판서하고자 하는 화면을 캡쳐(단계 103)한 후, 비로써 판서가 가능한 상태가 되며, 필요에 따라서 판서 색상을 선택(단계 104)하면서 판서모드가 실행(단계 105)되어 사용자는 대상화면에 계속적인 판서를 하게 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른 화면에 판서를 하고자 한다면 화면전환(단계 106)을 하여야 하고 화면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모드로 전환(단계 107)을 하여야 하고 대상 화면 이동(단계 108)을 한 후 다시 판서 대상 화면 캡쳐(단계 103)를 하는 것으로 다른 대상화면에 판서가 가능한 것이다.When the writing program is execu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switch to writing mode (step 102). In order to switch to writing mode, after capturing a screen to be written (step 103), the writing is possible. If necessary, the writing mode is executed (step 105) while the writing color is selected (step 104), and the user continues writing on the target screen. If you want to write on another screen by the user's selection, you have to switch screen (step 106) and to switch to window mode (step 107), move the target screen (step 108) and write again. Screen capture (step 103) allows writing on another target screen.

이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전자칠판에 있어 판서모드는 판서 대상 화면을 캡쳐(단계 103)받아 판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대상1의 화면에 판서를 하고 나서 다른 대상2의 화면에 판서를 하려고 하면 대상 화면의 이동이 생길 때마다 반복적인 판서 대상 화면 캡쳐(단계 103)를 해야 하는 반복적인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운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강의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용자의 사용하려고 하는 욕구를 감소시키는 현상을 초래 해왔다.In the conventional copyboard, which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writing mode has a problem of capturing and writing the writing target screen (step 103). Therefore, when writing on the screen of the target 1 and then trying to write on the screen of another target 2 Whenever the screen moves, a repetitive phenomenon that requires repeated capturing of the screen (step 103) occurs, and the user must go through a confusing process, thereby degrading the quality of the lecture and reducing the user's desire to use the screen. It has caused the phenomenon.

즉, 종래의 판서용 어플리케이션은 윈도우 상에서 직접적인 판서는 불가능했으며 이미지 객체(예:Bitmap) 위에서 판서가 이루어져야 하는 관계로 윈도우와 판서용 응용프로그램을 각각 독립적으로 호출하여 사용을 해 왔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writing application cannot directly write on the window, and since writing has to be performed on an image object (for example, a bitmap), the window and the writing application have been independently called.

이는, 윈도우 스스로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표현방식이 윈도우 다이렉터 컨텍스트(Direct Context를 이용한 그리기(Drawing)임에 따라, 윈도우 상에서 직접적인 판서하게 될 경우 윈도우 다이렉터 컨텍스트의 제어권을 외부 응용프로그램이 선점하게 됨으로써 윈도우와 해당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컴퓨터 칠판 등에서 판서할 경우 특정한 화면, 예를 들어 이미지화 되어있거나 특정한 화면의 객체위에서 만 판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판서가 어려웠다.This is because, because the window itself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 drawing method using the window context, the external application preempts the control of the window director context when writing directly on the window. A conflict occurred between Windows an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For this reason, writing on a computer blackboard was difficult because writing on a specific screen, for example, an image or an object on a specific screen, was difficult. .

즉, 윈도우 시스템의 특성상 윈도우 시스템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자신의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고유의 DC를 부여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은 자신의 다이렉터 컨텍스트 상에서 만 그리기가 가능하게 되며, 종래의 판서용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지 못해 판서작업 이전에 반드시 화면 캡쳐를 통해서 화면의 디스플레이 정보들을 자신의 고유 다이렉터 컨텍스트로 복사한 후에 판서가 가능했다. In other words, due to the nature of the window system, the window system gives each application its own DC to express its own program, and each program can be drawn only in its own director context. Before writing, it was possible to write after copying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screen into the context of its own director through screen capture.

예를 들어 웹(World Wide Web) 화면 위에서 판서할 경우 웹 화면을 띄우고 화면을 이미지로 캡쳐한 후 판서를 하고, 다시 스크롤하려고 하면 윈도우 모드로 들어간 다음, 화면 스크롤을 한 후 화면 캡쳐를 하고 다시 판서를 하는 방법으로 사용함으로 윈도우 모드와 판서 모드간의 반복적인 이동이 잦아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윈도우와 판서용 응용프로그램을 혼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윈도우를 이용한 직접적인 컴퓨터칠판 강의의 문제점으로 인해 강의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writing on the World Wide Web screen, you can bring up the web screen, capture the screen as an image, then write it, and if you want to scroll again, enter window mode, then scroll the screen to capture the screen and write it again.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eatedly move between the window mode and the writing mode, it is impossible to mix the window and the writing application program. Therefor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lecture are lowered due to the problem of direct computer blackboard lectures using Window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윈도우 시스템은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이렉터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것 외에 스크린 다이렉터 컨텍스트라는 것을 관리하는데 이러한 스크린 다이렉터 컨텍스트를 직접적으로 엑세스하면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다이렉터 컨텍스트에 원하는 판서가 가능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indow system manages a screen director context in addition to managing a director context of an application that is running. When the screen director context is directly accessed, a director of another application is used. It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desired writing can be made in the context.

즉, 본 발명은 전자칠판을 구동하기 위한 솔루션을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부에서 현재 판단된 모드가 윈도우 모드일 경우 마우스의 클릭 유무상태와, 그리고 클릭된 상태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여 마우스의 클릭 유지시간 및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상이면 판서 모드를 자동 실행하는 한편, 마우스의 클릭 유지시간 및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하일 경우 단순히 클릭상태로 인지하여 일반 윈도우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상에서 직접적인 판서가 가능하고, 윈도우 모드를 이용한 직접적인 강의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 판서 모드와 윈도우 모드의 불편한 전환없이 모드가 자동 전환되어 강의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칠판을 이용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mouse click state and the moving distance in the click state of the mouse when the currently determined mode is the window mode in the computer unit including a solution for driving the electronic blackboard And if the moving distance is over a certain range, the writing mode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if the mouse's click holding time and the moving distance are less than a certain range, the writing mode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s a click state and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normal window mode, allowing direct writing on the window. As the direct lecture using the window mode is possible, the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the writing mode and the window mod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lecturer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using the copyboard. It is a technical problem.

본 발명은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과, 상기 전자칠판에 판서가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부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부에서 현재의 상태가 윈도우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현재의 모드가 윈도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 모드를 실행하는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과, 상기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 진행시 마우스가 전자칠판에 접촉되는 클릭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클릭상태 판단과정과, 상기 클릭상태 판단과정에서 마우스가 클릭된 상태로 판단되면 클릭시점에서 위치변화가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연산하고, 상기의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이면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을 수행하는 시간 연산과정과, 상기 시간 연산과정에서 연산시간이 일정범위 이상일 경우 마우스가 클릭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하일 경우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을 수행하는 거리 연산과정과, 상기 시간 연산과정 및 거리 연산과정에서 연산된 값이 모두 일정범위 이상임이 판단되면 판서 모드를 실행하는 판서 모드 실행과정과, 상기 판서 모드 실행과정에서 마우스가 전자칠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판단되면 판서모드를 종료하고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을 수행하는 언클릭 판단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board capable of writing, and a computer unit with a built-in program for writing on the electronic board. The current mode is a window mode by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a window mode in the computer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for executing the window mode, the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use is in a click state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blackboard when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and the mouse clicks in the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is determined to calculate the time from the click time to the position change occurs, if the tim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time calculation process for performing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and the calculation time is constant in the time operation process If it is over the range, the movement distance is calculated by clicking the mouse. If it is less than a certain range, the distance operation process for performing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calculated in the time operation process and the distance operation process is all over a certain range, the writing mode execution process for executing the writing mode, and the writing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use is separated from the copyboard during the execution process, the writing mode is terminated and an unclick determination process for executing the window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모드의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첨부된 도 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the window mode and the writing mode of the cop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컴퓨터부에서는 현재의 상태가 윈도우 모드인지를 판단(단계 201)하고, 현재의 모드가 윈도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 모드를 실행(단계 202)하는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L1)을 수행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computer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the window mode (step 201),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ode is the window mode, executes the window mode (step 202). Will be performed.

그 다음 상기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L1)을 수행하다가 사용자에 의해 펜마우스가 전자칠판에 접촉되는 클릭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클릭상태 판단과정(L2)을 실행하게 되며, 상기 클릭상태 판단과정(L2)에서 클릭상태임이 판단되면 클릭상태에서 위치변화가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즉, 클릭상태에서 이동시까지의 시간을 연산(단계 204)하고, 상기의 연산된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로 판단(단계 205)되면 단순히 클릭상태임을 인지하여 윈도우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 연산과정(L3)을 실행하게 된다.Then, while performing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L1), the user performs a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L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en mouse is in a click state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blackboard, and the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L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is in the click state, the time from the click state until the position change occurs, that is, the time from the click state to the movement is calculated (step 204), and the calculated time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step 205). If it is simply recognized as a click state to execute the time operation process (L3) to maintain the window mode.

상기 시간 연산과정(L3)이 후, 컴퓨터부에서는 상기 단계 205에서 클릭상태에서 위치변화가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임이 판단될 경우 이동거리를 연산(단계 206)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펜마우스의 이동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로 판단(단계 207)될 경우 단순히 클릭상태임을 인지하여 일반 윈도우 모드를 유지(단계 202)하는 거리 연산과정(L4)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시간 연산과정(L3)의 단계 207에서 펜마우스가 이동된 거리 값이 일정범위 이상임이 판단되면 최종적으로 판서 모드임을 인지하여 판서 모드로 전환되는 판서 모드 실행과정(L5)을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time calculation process L3, the computer unit calculates the movement distance (step 206)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05 that the time from the click state to the time when the position change occurs is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pen mous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tep 207), it simply recognizes that it is in a click state and performs a distance calculation process (L4) for maintaining a normal window mode (step 20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7 of L3) that the distance value of the pen mouse is moved to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it recognizes that the writing mode is finally performed and executes the writing mode execution process L5 that switches to the writing mode.

상기 거리 연산과정(L4) 실행시 컴퓨터부에서 펜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en by the computer unit when the distance calculation process L4 is executed is as follows.

통상적으로 전자펜을 판서 모니터에 접촉했을 때 윈도우는 마우스 다운(Mouse Down) 메시지를 발생하며, 이때 인자 값으로 현재 펜의 위치 값을 받는다. Typically, when the electronic pen touches the writing monitor, the window generates a Mouse Down message, which receives the current pen position as a parameter value.

그리고 전자펜을 움직일 때 윈도우는 다수의 마우스 이동(Mouse Move) 메시지를 발생시키는데 이때도 현재 펜의 위치 값을 인자로 받는다. When the electronic pen is moved, the window generates a number of mouse move messages, which also take the current pen position as a parameter.

그러므로 마우스 다운 메시지가 발생 후 인자 값으로 넘어오는 위치 값을 메모리부에 저장을 하고, 다음으로 처음 들어오는 마우스 이동 메시지가 발생하면 함께 인자 값으로 넘어오는 위치 값을 이전에 마우스 다운 메시지가 발생했을 때 저장해 둔 위치 값과 비교하여 펜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mouse down message occurs, the position value that is transferred to the argument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part. When the next incoming mouse movement message occurs, the position value that is transferred to the argument value together when the mouse down message has occurred before The distance of the pen is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the saved position value.

상기 판서 모드 실행과정(L5)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펜마우스가 전자칠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언클릭(unclick)임이 인지(단계 209)되면 컴퓨터부에서는 판서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판서모드를 종료(단계 210)하고 원래의 윈도우 모드로 전환하는 언클릭 판단과정(L6)을 진행하게 됨으로써 윈도우/판서 모드를 자동 전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If it is recognized that the pen mouse is an unclick to be separated from the copyboard in the state where the writing mode execution process L5 is in progress (step 209), the computer unit determines that the writing is finished and ends the writing mode (step 210). By performing an unclick determination process (L6) of switching to the original window mode, a series of processes o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window / writing mode are completed.

상기 시간 연산과정(L3)의 단계 204에서 일차적으로 펜마우스가 클릭상태에서 이동시까지의 시간을 연산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의도가 단순히 클릭에 있다면 펜마우스가 클릭된 상태에서 이동변위는 없을 것이나, 사용자의 의도가 판서에 목적이 있다면 반드시 클릭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순히 클릭을 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판서를 위한 의도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시간의 범위는 통상적으로 극히 짧은 시간으로 볼 수 있다.In step 204 of the time calculation process (L3), the reason for calculating the time from the click state to the movement of the mouse first is that if the user's intention is simply a click, there will be no displacement in the state where the pen mouse is clicked. If the user's intention is in the writing, it must move in the click state to determine if the user is simply clicking or writing. This range of time is typically considered to be very short. have.

또한, 상기 거리 연산과정(L4)의 단계 206에서 이차적으로 펜마우스가 클릭상태에서 이동거리를 연산하는 이유는 상기 단계 204의 과정에서 사용자 의도는 단순히 클릭상태인데 반하여 실수로 인해 클릭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할 경우 즉시 판서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mouse moves secondly in the click state in step 206 of the distance calculation process L4 is that the user's intention is simply a click state in the process of step 204, whereas the click state is fix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e to a mistake. This is to prevent an error that may occur immediately if you keep it in writing mode.

즉, 사용자의 의도가 판서라면 반드시 클릭상태에서 문자, 선, 도형 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이동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가 클릭인지 판서인지를 정확히 알아내기 위해서는 클릭상태에서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상인지를 이차적으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user's intention is writing, it must be moved in order to display characters, lines, and shapes in the click state, and thus the moving distance is constant in the click stat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intention is click or writing. Secondary determination is whether it is above the range.

그러므로 상기 단계 204 및 206의 조건, 즉 클릭상태에서 이동시까지의 시간과, 클릭상태에서 이동거리가 일정조건에 부합되어야 사용자의 의도가 판서임을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정밀성을 높인 것이다.Therefore, the precision of the user's intention is improved by recognizing that the conditions of the steps 204 and 206, that is, the time from the click state to the movement and the moving distance in the click state must satisfy certain condi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의 조작상태에 따라 윈도우와 판서용 응용프로그램간의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고, 판서용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윈도우 모드에서의 일반적인 윈도우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동작과 판서용 응용프로그램의 판서 기능이 혼용되어 동작함으로써 판서용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스크린 다이렉터 컨텍스트를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하면서 윈도우 상에서 직접적인 판서가 가능하고, 통상적인 마우스 이벤트의 발생시 스크린 다이렉터 컨텍스트 상에서의 판서기능을 즉각 해제함으로서 윈도우 기능도 동시에 활용 할 수가 있어 윈도우와 판서용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충돌을 해결함은 물론, 윈도우 모드를 이용한 직접적인 판서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witches between the window and the writing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use, and the process operation of the general Windows operating system and the writing application of the writing application program in the window mode while the writing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The combined functionality allows writing directly on the window while sharing the screen director context with other applications while the writing application is running, and by immediately disabling writing on the screen director context when a typical mouse event occurs. By using the window function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window and the writing application, and to write directly using the window mod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최소한의 명령 실행으로 전자칠판을 작동시키고 별도의 버튼을 클릭하는 등과 같이 추가 작업 없이 마우스의 클릭시간과 클릭된상태에서의 이동거리 분석에 의해서 윈도우 모드에서 판서 모드로 또는 판서 모드에서 윈도우 모드로 자동 전환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응용 폭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in window mode or in writing mode by analyzing the click time of the mouse and the moving distance in the clicked state without additional work such as the user operating the copyboard with the minimum command execution and clicking a separate button. By automatically switching from mode to window mode, user convenience and application width can be expanded.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은 물론, 화이트 보드의 전자칠판이나, 타블렛 모니터, 유비쿼터스환경의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적용범위는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as well as an electronic blackboard of a white board, a tablet monitor, a lecture room or a conference room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thereof is not limited.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자칠판을 구동하는 컴퓨터부에서 현재 판단된 모드가 윈도우 모드일 경우 마우스의 클릭 유무상태와, 그리고 클릭된 상태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여 마우스의 클릭 유지시간 및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상이면 판서 모드를 자동 실행하는 한편, 마우스의 클릭 유지시간 및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하일 경우 단순히 클릭상태로 인지하여 일반 윈도우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상에서 직접적인 판서가 가능하고, 윈도우 모드를 이용한 직접적인 강의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 판서 모드와 윈도우 모드의 불편한 전환없이 모드가 자동 전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칠판의 사용 효율을 상승시키고, 응용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ly determined mode in the computer unit for driving the electronic board is the window mode, the mouse click and hold time and the movement distance are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mouse is clicked and the moving distance in the clicked state. If the distance is over a certain range, the writing mode is automatically executed.If the mouse's click holding time and the moving distance are less than a certain range, the writing mode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s a click state and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normal window mode. As the direct lecture using the mode is possible, the user can automatically switch the mode without inconvenient switching between writing mode and window mod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creasing the use efficiency of the copyboard, and widening the application range. It is effective.

도 1은 전자칠판을 적용하는 통상의 멀티미디어 통합 교탁시스템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multimedia integrated teaching system applying an electronic blackboard.

도 2는 전자칠판을 사용함에 있어 종래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모드의 전환과정을 나타낸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between the conventional window mode and the writing mode in using the copyboar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모드의 전환과정을 나타낸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between the window mode and the writing mode of the cop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9 : 전자칠판9: electronic blackboard

Claims (1)

판서가 가능한 전자칠판과, 상기 전자칠판에 판서가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부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In the electronic blackboard that can be written, and the computer unit is embedded with a program to enable writing on the electronic blackboard, 상기 컴퓨터부에서 현재의 상태가 윈도우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현재의 모드가 윈도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 모드를 실행하는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L1)과,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the window mode by the computer unit, and if the current mode is the window mode, executing the window mode (L1); 상기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L1) 진행시 마우스가 전자칠판에 접촉되는 클릭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클릭상태 판단과정(L2)과,A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L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use is in a click state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blackboard during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L1); 상기 클릭상태 판단과정(L2)에서 마우스가 클릭된 상태로 판단되면 클릭시점에서 위치변화가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연산하고, 상기의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이면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L1)을 수행하는 시간 연산과정(L3)과,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use is clicked in the click state determination process (L2), the time is calculated from the time of the click to the time when the position change occurs. If the tim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L1) is performed. Time calculation process (L3), 상기 시간 연산과정(L3)에서 연산시간이 일정범위 이상일 경우 펜마우스가 클릭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이동거리가 일정범위 이하일 경우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L1)을 수행하는 거리 연산과정(L4)과,In the time calculation process L3, if the calculation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range, the distance calculation process L4 is performed to calculate the movement distance in the state where the pen mouse is clicked. )and, 상기 시간 연산과정(L3) 및 거리 연산과정(L4)에서 연산된 값이 모두 일정범위 이상임이 판단되면 판서 모드를 실행하는 판서 모드 실행과정(L5)과,Writing mode execution process (L5) for executing the writing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s calculated in the time operation process (L3) and the distance operation process (L4) are al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판서 모드 실행과정(L5)에서 마우스가 전자칠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판단되면 판서모드를 종료하고 윈도우 모드 실행과정(L1)을 수행하는 언클릭 판단과정(L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윈도우 모드와 판서 모드의 자동 전환방법If it is determined in the writing mode execution process (L5) that the mouse is separated from the copyboard, the electronic blackboard of the electronic blackboard comprising an unclick determination process (L6) of ending the writing mode and performing the window mode execution process (L1). How to switch between window mode and writing mode automatically
KR1020050004863A 2005-01-19 2005-01-19 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KR1004958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863A KR100495809B1 (en) 2005-01-19 2005-01-19 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863A KR100495809B1 (en) 2005-01-19 2005-01-19 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809B1 true KR100495809B1 (en) 2005-06-20

Family

ID=3730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863A KR100495809B1 (en) 2005-01-19 2005-01-19 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8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9876A (en) * 2013-07-04 2013-11-13 深圳市创凯电子有限公司 Function switching method based on touch display equipment and touch display equipment
KR101399660B1 (en) 2012-06-28 2014-05-27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Wallpaper click execution system of electronic board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60B1 (en) 2012-06-28 2014-05-27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Wallpaper click execution system of electronic board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CN103389876A (en) * 2013-07-04 2013-11-13 深圳市创凯电子有限公司 Function switching method based on touch display equipment and touch display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3752B2 (en) Presentation system, a display device, and a program
WO2017211072A1 (en) Slide playbac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100231556A1 (en) Devic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n interactive whiteboard system
WO2020211368A1 (en) Presentation file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8293361A (en) Screen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08096541A (en) Speech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1258917A1 (en) Intelligent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090315807A1 (en) Multi-display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4127048A (en) Information processor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097479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gram, and foc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CN109388321B (en) Electronic whiteboard operation method and device
JP2007104630A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150042633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0495809B1 (en) Automatic transition method between window-mode and writing- mode for electric blackboard
JP4802037B2 (en) Computer program
TW201322103A (en) Method for multiple touch control virtual objects and system thereof
CN103645937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9053393A (en) Image display device, projector, and image display method
CN10338362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portable terminal
WO2022135259A1 (en) Speech input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2217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60069909A (en) Electronic board device and recording media for thereof
CN110032317B (en) Wireless demonstration equipment and mark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WO2016185944A1 (e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