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228B1 -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228B1
KR100495228B1 KR10-2003-0061602A KR20030061602A KR100495228B1 KR 100495228 B1 KR100495228 B1 KR 100495228B1 KR 20030061602 A KR20030061602 A KR 20030061602A KR 100495228 B1 KR100495228 B1 KR 10049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water
washing machine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539A (ko
Inventor
이득수
Original Assignee
이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득수 filed Critical 이득수
Priority to KR10-2003-006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2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7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vehicle washing facil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인 세륜기의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세륜기수조내의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슬러지탈수조내의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으로 덮인 유공관을 통과하게 되면 토사 등의 이물질은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 위에 쌓이게 되고 수분은 여과되어 유공관을 통과하면서 침전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분리, 즉 탈수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의 세륜기수조(C1)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C2) 및 배출구(C3)에 의해 슬러지탈수조(B4)의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 위에 배출되면 토사 등의 이물질은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 위에 쌓이고, 수분은 자유낙하에 의해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을 여과하여 유공관(B1)의 공극을 통과하고, 이 과정을 통해 침전 슬러지는 탈수되며, 유공관(B1)의 공극을 통과한 수분은 집수조(B3)에 모인 후 관(A8)을 통과하여 자유낙하에 의해 세륜기수조(C1)로 재순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분리벽체(B2)는 슬러지탈수조(B4)와 집수조(B3)를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해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세륜기수조내의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글러지는 탈수되고, 탈수된 물은 자유낙하에의해 세륜기수조로 재순환하고, 수분이 제거된 토사 등의 이물질은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A sludge dehydrator for tire-washer}
본 발명은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인 세륜기의 세륜기수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및 배출구에 의해 슬러지탈수조내의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 위에 배출되면, 토사 등의 이물질은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 위에 쌓이게 되고 수분은 자유낙하에 의해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을 여과하여 유공관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침전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분리, 즉 탈수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세륜기는 건설현장, 시멘트공장, 골재채취장, 연탄공장 등의 비포장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토사, 흙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세륜과정 중 토사 등의 이물질이 세륜기수조 바닥에 침전되고, 침전되는 과정에 일부 침전제를 첨가하여 토사 등의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있으며, 이와 같이 세륜기수조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는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를 통해 세륜기 밖으로 배출되는데 특별한 장치없이 지표면에 그대로 배출되고 있어,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토양 및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고 있고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주변도 지저분하게 하며,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관계로 배출된 그대로 침전 슬러지를 처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인 세륜기의 세륜과정 중 세륜기수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를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및 배출구를 통해 세륜기 밖으로 배출하는데 특별한 장치없이 지표면에 그대로 배출하고 있어,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토양 및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고 있고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주변도 지저분하게 하며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배출된 그대로 침전 슬러지를 처리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륜기수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를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및 배출구를 통해 세륜기 밖으로 배출하면,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슬러지탈수조내의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으로 덮인 유공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토사 등의 이물질은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 위에 쌓이게 되고 수분은 자유낙하에 의해 여과되어 유공관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침전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분리, 즉 탈수되며 수분이 자유낙하에 의해 세륜기수조로 재순환되는 장치를 제작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와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이동이 쉬우며,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분리형으로 제작된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가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며,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투영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4도는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의 투영도, 제5도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의 투영도, 제6도는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으로 덮인 유공관의 단면도, 제7도는 유공관의 투영도이다.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인 세륜기의 세륜기수조(C1)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C2) 및 배출구(C3)에 의해 슬러지탈수조(B4)의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 위에 배출되면, 토사 등의 이물질은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 위에 쌓이고 수분은 자유낙하에 의해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에 여과되어 침전 슬러지는 탈수되며, 슬러지탈수조(B4)와 집수조(B3)사이에는 분리벽체(B2)가 있어 둘 사이를 분리하는 기능을 하며, 탈수된 수분은 유공관(B1)의 공극을 통과하여 집수조(B3)에 모인 후 관(A8)을 통과하여 자유낙하에 의해 세륜기수조(C1)로 재순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세륜기수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및 배출구를 통해 세륜기 밖으로 배출될 경우,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는 슬러지탈수조내의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으로 덮인 유공관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토사 등의 이물질은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 위에 쌓이게 되고 수분은 자유낙하에 의해 여과되어 유공관을 통과하면서 침전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분리, 즉 탈수되며 수분이 세륜기수조로 자유낙하에 의해 재순환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의 세륜과정 중 세륜기수조 바닥에 침전된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및 배출구를 통해 세륜기 밖으로 특별한 장치없이 지표면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 등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가 탈수과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토사 등의 이물질로 발생되기 때문에 처리하는 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벽체에 의해 슬러지탈수조와 집수조가 분리되어 있으며 집수조에 외부와 열린 공간이 있어 슬러지 탈수장치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와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이동이 쉬우며,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를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 위에 배출하여 자유낙하에 의해 수분을 분리한 후 세륜기수조로 재순환함으로 에너지 절약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투영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4도는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의 투영도
제5도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의 투영도
제6도는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으로 덮인 유공관의 단면도
제7도는 유공관의 투영도
도면의 주요분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8 : 관(pipe) B1 : 유공관 B2 : 분리벽체
B3 : 집수조 B4 : 슬러지탈수조
B5 :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 C1 : 세륜기 수조
C2 :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 C3 : 배출구

Claims (1)

  1. 현재 시중에서 사용중인 세륜기의 세륜기수조(C1)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를 침전슬러지 자동배출장치(C2) 및 배출구(C3)에 의해 배출하면, 배출된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를 쌓이게 하는 기능이 있는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이 있는 슬러지탈수조(B4)와,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함유된 침전 슬러지를 토사 등의 이물질은 쌓이게 하고 수분은 자유낙하에 의해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과, 여과된 수분이 통과하는 토목용 부직포 또는 매트로 형성된 막(B5)으로 덮인 공극이 있는 유공관(B1)과, 슬러지탈수조(B4)와 집수조(B3)를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분리벽체(B2)와, 침전 슬러지가 탈수되면서 유공관(B1)의 공극을 통과한 수분이 모이는 집수조(B3)와, 집수조(B3)에 모인 수분이 관(A8)을 통과하여 세륜기수조(C1)로 자유낙하에 의해 재순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03-0061602A 2003-09-03 2003-09-03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049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602A KR100495228B1 (ko) 2003-09-03 2003-09-03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602A KR100495228B1 (ko) 2003-09-03 2003-09-03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101U Division KR200302466Y1 (ko) 2002-08-12 2002-08-12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539A KR20030076539A (ko) 2003-09-26
KR100495228B1 true KR100495228B1 (ko) 2005-06-16

Family

ID=3222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602A KR100495228B1 (ko) 2003-09-03 2003-09-03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2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01B1 (ko) 2005-08-12 2007-01-19 이득수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0845997B1 (ko) 2006-03-07 2008-07-14 이득수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1336554B1 (ko) 2008-02-21 2013-12-03 이득수 세륜기용 청정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863B1 (ko) * 2018-11-12 2020-01-16 한국광해관리공단 마대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슬러지 탈수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01B1 (ko) 2005-08-12 2007-01-19 이득수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0845997B1 (ko) 2006-03-07 2008-07-14 이득수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1393827B1 (ko) 2006-03-07 2014-05-12 이득수 슬러지 탈수장치와 청정수 공급장치를 사용하는 세륜기
KR101336554B1 (ko) 2008-02-21 2013-12-03 이득수 세륜기용 청정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539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663B1 (en) Storm drain filter system
KR100734578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524151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CN203461894U (zh) 餐饮废水净化装置
KR100959945B1 (ko)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787625B1 (ko) 오염수정화장치
KR101252242B1 (ko)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KR200403135Y1 (ko)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0495228B1 (ko)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20170063725A (ko) 빗물 여과 장치
KR101253329B1 (ko) 초기우수처리구조
KR200302466Y1 (ko)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CN207228285U (zh) 一种雨水井净化装置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670101B1 (ko)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100568125B1 (ko) 수중 오염물의 분리 제거장치
CN108691346A (zh) 一种雨水井净化装置
KR101366605B1 (ko) 슬러지 배출장치
KR20100114734A (ko) 로드 트랩 장치
KR100828162B1 (ko)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