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242B1 -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42B1
KR101252242B1 KR1020100102422A KR20100102422A KR101252242B1 KR 101252242 B1 KR101252242 B1 KR 101252242B1 KR 1020100102422 A KR1020100102422 A KR 1020100102422A KR 20100102422 A KR20100102422 A KR 20100102422A KR 101252242 B1 KR101252242 B1 KR 10125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box
region
filt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910A (ko
Inventor
이문승
왕만수
허석봉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10010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5Systems or processes based on supernatural or anthroposophic principles, cosmic or terrestrial radiation, geomancy or rhabdomancy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1 영역에 설치되되, 그레이팅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를 하부로 배수함과 동시에 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를 포집하는 포집 박스와, 상기 포집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부직포가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우수를 하부로 배수하는 차단 박스와, 상기 차단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필터층이 구비되어 인입된 우수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제1 영역 내부로 우수를 배수하는 필터 박스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홀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되, 제2 영역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2 영역에 저류되는 우수를 하천으로 이송하는 배수 파이프와, 상기 배수 파이프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수 파이프로 이송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유공관과, 상기 포집박스의 내부와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하부에 다수의 필터층을 설치하고, 필터층의 하부와 지중을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초기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한 후 지중으로 배수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GUTTER FOR TREATING EARLY RAINWATER}
본 발명은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하부에 다수의 필터층을 설치하고, 필터층의 하부와 지중을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초기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한 후 지중으로 배수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 우수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과 상업, 공업, 주택단지 및 도로면의 오물, 먼지,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 흙, 모래 등을 포함한 상태로 하수관을 통해 호소(湖沼)나 하천 등으로 흘러들어가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고,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해 하천 등의 수질이 오염되고 있음이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초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여 정화처리된 우수만을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의 도시지역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블록 등이 지면에 매설되어 있어 우수가 지중으로 용이하게 침투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우수가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에 의해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지하수가 고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하부에 다수의 필터층을 설치하고, 필터층의 하부와 지중을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초기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한 후 지중으로 배수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로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1 영역에 설치되되, 그레이팅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를 하부로 배수함과 동시에 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를 포집하는 포집 박스와, 상기 포집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부직포가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우수를 하부로 배수하는 차단 박스와, 상기 차단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필터층이 구비되어 인입된 우수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제1 영역 내부로 우수를 배수하는 필터 박스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홀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되, 제2 영역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2 영역에 저류되는 우수를 하천으로 이송하는 배수 파이프와, 상기 배수 파이프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수 파이프로 이송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유공관과, 상기 포집박스의 내부와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필터 박스의 다수의 필터층은 모래층, 화산재층, 자갈층 및 쇄석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 박스, 차단 박스 및 필터 박스는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하부에 다수의 필터층을 설치하고, 필터층의 하부와 지중을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초기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한 후 지중으로 배수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210)이 형성되는 포집 박스(200)와, 포집 박스(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수 파이프(220)와, 포집 박스(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 면에 부직포(310)가 형성되는 차단 박스(300)와, 차단 박스(3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다수의 필터층(510)이 구비되는 필터 박스(500)로 구성된다.
먼저, 포집 박스(200)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구조물로, 개구된 상부가 그레이팅(100)의 하부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210)이 천공된다. 이 포집 박스(200)는 그레이팅(100)으로부터 우수가 포집 박스(20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면, 하부 면의 다수의 배수홀(210)에 의해 입자가 큰 쓰레기(비닐, 종이 등)를 거른 후 포집 박스(200)의 하부로 우수를 배수한다.
그리고, 배수 파이프(220)는 일측 단부가 포집 박스(200)의 측면에 설치되며 그 타측 단부가 하천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포집 박스(200) 내부의 우수를 하천으로 이송한다. 이때, 배수 파이프(220)의 일측 단부는 포집 박스(200)의 측면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있어 포집 박스(20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우수가 배수 파이프(220)가 설치된 영역 상부로 저류될 때, 포집 박스(200) 내부의 우수를 하천으로 이송한다. 또한, 배수 파이프(220)의 일 영역에 배수 파이프(220) 설치 시 배수 파이프(2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엘보(221)가 형성된다.
또한, 차단 박스(300)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구조물로, 개구된 상부가 포집 박스(200)의 하부와 맞닿도록 설치되고, 하부 면에 부직포(310)가 형성된다. 이 차단 박스(300)는 포집 박스(200)로부터 우수가 차단 박스(300)의 내부로 인입되면, 하부 면의 부직포(31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차단 박스(300)의 하부로 우수를 배수한다.
한편, 필터 박스(500)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구조물로, 개구된 상부가 차단 박스(300)의 하부와 맞닿도록 설치되고,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520)이 천공되며,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필터층(510)이 형성된다. 이 다수의 필터층(510)은 필터 박스(5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되도록 형성되는데, 이 필터 박스(500)는 차단 박스(300)로부터 우수가 필터 박스(500)의 내부로 인입되면, 다수의 필터층(510)에 의해 우수의 미세한 이물질이 여과된 후 필터 박스(500)의 하부로 배수되어 지중에 우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각 필터층(510)은 화산재층(511), 자갈층(512), 쇄석층(513) 및 모래층(514)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필터층(510)이 화산재층(511), 자갈층(512), 쇄석층(513) 및 모래층(51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우수의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층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필터 박스(500) 내부에는 화산재층(511)만을 인입시키고, 필터 박스(500)의 하부 지중에 자갈층(512), 쇄석층(513) 및 모래층(514)을 적층시킬 수도 있다.
한편, 필터 박스(500)의 하부 면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여과된 우수를 지중으로 유입시키는 유공관(530)이 더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사용 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비가 내린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의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를 도시한 것이다.
비가 내리게 되면, 그레이팅(100)으로부터 우수가 포집 박스(200)의 내부로 인입되고, 포집 박스(200)의 배수홀(210))에 의해 인입된 우수에 포함된 입자가 큰 쓰레기가 걸러진 후 우수가 차단 박스(300)의 내부로 인입된다.(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우수가 인입)
차단 박스(300)의 내부로 인입된 우수는 차단 박스(300)의 하부 면에 형성된 부직포(310)와 필터 박스(500)의 다수의 필터층(510)에 의해 여과됨에 따라 쉽게 배수되지 못하고 차단 박스(300)의 내부에 저류된다.
차단 박스(300)에 저류된 초기 우수는 차단 박스(300)의 부직포(310)와 필터 박스(500)의 다수의 필터층(510)에 의해 여과되어 지중으로 공급된다.
그 후, 도 4와 같이 비가 계속 내려 차단 박스(300)의 내부에 저류된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포집 박스(200)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후기 우수는 포집 박스(200)의 내부 공간에 차츰 차 올라 배수 파이프(220)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는 초기 우수를 여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초기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게 된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도면부호를 원용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형성된 격벽(610)에 의해 제1 영역(620) 및 제2 영역(630)으로 구획되는 케이스(600)와, 케이스(600)의 제1 영역(620)에 설치되되, 그레이팅(100)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210)이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를 하부로 배수함과 동시에 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를 포집하는 포집 박스(200)와, 포집 박스(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부직포(310)가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우수를 하부로 배수하는 차단 박스(300)와, 차단 박스(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520)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필터층(510)이 구비되어 인입된 우수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제1 영역(620) 내부로 우수를 배수하는 필터 박스(500)와, 격벽(6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영역(620)과 제2 영역(630)을 연통시키는 연통홀(611)과, 케이스(60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되, 제2 영역(63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2 영역(630)에 저류되는 우수를 하천으로 이송하는 배수 파이프(700)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6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구조물로, 내부 공간을 제1 영역(620) 및 제2 영역(630)으로 구획하는 격벽(610)이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이때, 제2 영역(630)의 상부는 개구되지 않고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케이스(600)의 제1 영역(620)에 포집 박스(200), 차단 박스(300) 및 필터 박스(5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격벽(610)의 하부에는 제1 영역(620)과 제2 영역(630)을 연통시키는 연통홀(611)이 형성된다.
이 연통홀(611)은 필터 박스(500)에서 여과되어 제1 영역(62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우수를 제2 영역(630)과 공유하기 위해 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수 파이프(700)는 케이스(600)의 측면에 설치되되, 제2 영역(63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2 영역(630)에 저류된 우수를 하천으로 이송한다.
이때, 배수 파이프(700)의 측면에는 다수의 유공관(710)이 설치되어 배송 파이프(700)로 이송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유입시킨다.
또한, 포집 박스(200)와 제2 영역(630)을 연통시키는 연통 파이프(640)가 설치되어, 포집 박스(200)의 내부에 저류되는 우수를 제2 영역(63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의 사용 상태를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비가 내린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의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를 도시한 것이다.
비가 내리게 되면, 그레이팅(100)으로부터 우수가 포집 박스(200)의 내부로 인입되고, 포집 박스(200)의 배수홀(210)에 의해 인입된 우수에 포함된 입자가 큰 쓰레기가 걸러진 후 우수가 차단 박스(300)의 내부로 인입된다.(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우수가 인입)
차단 박스(300)의 내부로 인입된 우수는 차단 박스(300)의 하부 면에 형성된 부직포(310)와 필터 박스(500)의 다수의 필터층(510)에 의해 여과됨에 따라 쉽게 배수되지 못하고 차단 박스(300)의 내부에 저류된다.
차단 박스(300)에 저류된 초기 우수는 차단 박스(300)의 부직포(310)와 필터 박스(500)의 다수의 필터층(510)에 의해 여과되어 케이스(600)의 제1 영역(620)에 저류되고, 저류된 우수는 연통홀(611)에 의해 제2 영역(630)과 공유되어 제2 영역(630) 상에도 우수가 저류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영역(630)에 저류된 우수는 배수 파이프(700)에 의해 하천으로 이송되고, 하천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우수가 유공관(710)에 의해 지중으로 유입된다.
그 후, 도 8과 같이 비가 계속 내려 차단 박스(300)의 내부에 저류된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포집 박스(200)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후기 우수는 포집 박스(200)의 내부 공간에 차츰 차 올라 연통 파이프(640)를 통해 제2 영역(630)으로 인입되고, 인입된 우수는 배수 파이프(700)에 의해 하천으로 이송되고 그 과정에서 일부의 우수가 유공관(710)에 의해 지중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는 초기 우수를 여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초기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그레이팅 200 : 포집 박스
210 : 배수홀 220 : 배수 파이프
221 : 높이 조절 엘보 300 : 차단 박스
310 : 부직포 500 : 필터 박스
510 : 필터층 511 : 화산재층
512 : 자갈층 513 : 쇄석층
514 : 모래층 520 : 배수홀
530 :유공관 600 : 케이스
610 : 격벽 611 : 연통홀
620 : 제1 영역 630 : 제2 영역
640 : 연통 파이프 700 : 배수 파이프
710 : 유공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도로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1 영역에 설치되되, 그레이팅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를 하부로 배수함과 동시에 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를 포집하는 포집 박스와;
    상기 포집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으로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부직포가 형성되어 인입된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우수를 하부로 배수하는 차단 박스와;
    상기 차단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우수가 인입되며, 하부 면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필터층이 구비되어 인입된 우수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제1 영역 내부로 우수를 배수하는 필터 박스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홀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되, 제2 영역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2 영역에 저류되는 우수를 하천으로 이송하는 배수 파이프와;
    상기 배수 파이프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수 파이프로 이송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유공관과;
    상기 포집박스의 내부와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박스의 다수의 필터층은 모래층, 화산재층, 자갈층 및 쇄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박스, 차단 박스 및 필터 박스는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KR1020100102422A 2010-10-20 2010-10-20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KR10125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422A KR101252242B1 (ko) 2010-10-20 2010-10-20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422A KR101252242B1 (ko) 2010-10-20 2010-10-20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910A KR20120040910A (ko) 2012-04-30
KR101252242B1 true KR101252242B1 (ko) 2013-04-05

Family

ID=4614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422A KR101252242B1 (ko) 2010-10-20 2010-10-20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578A (zh) * 2019-06-24 2019-09-27 东莞市永庆市政服务有限公司 一种园林用雨水收集及利用装置
KR102095538B1 (ko) 2019-03-13 2020-04-0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침투형 빗물받이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7486B (zh) * 2013-03-28 2014-05-28 四川大学 一种改进高层建筑下水道灌注地下水的装置
KR101649873B1 (ko) * 2015-11-03 2016-08-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뭄과 홍수재해 대비를 위한 수재생 저류장치
CN105569161A (zh) * 2015-12-29 2016-05-11 蒋清校 一种新型多功能城市雨水收集装置
CN105863019A (zh) * 2016-04-07 2016-08-17 翟艳云 一种截污式环保雨水口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005Y1 (ko) * 2004-02-05 2004-04-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필터재 우수맨홀을 이용한 빗물 중수도 시설물
KR100597203B1 (ko) * 2004-02-05 2006-07-07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100805334B1 (ko) * 2007-09-06 2008-02-20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도로의 배수 정화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005Y1 (ko) * 2004-02-05 2004-04-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필터재 우수맨홀을 이용한 빗물 중수도 시설물
KR100597203B1 (ko) * 2004-02-05 2006-07-07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100805334B1 (ko) * 2007-09-06 2008-02-20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도로의 배수 정화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538B1 (ko) 2019-03-13 2020-04-0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침투형 빗물받이 구조
CN110284578A (zh) * 2019-06-24 2019-09-27 东莞市永庆市政服务有限公司 一种园林用雨水收集及利用装置
CN110284578B (zh) * 2019-06-24 2021-04-06 东莞市永庆市政服务有限公司 一种园林用雨水收集及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910A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252242B1 (ko)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KR100966038B1 (ko) 우수 침투 시스템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US8501016B2 (en) Storm water pretreatment chamber
KR101319073B1 (ko)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KR101051778B1 (ko)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US20090101591A1 (en) Storm drain inlet protection device
KR10059720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100941693B1 (ko) 집수정
KR101152978B1 (ko)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KR100922895B1 (ko)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수 유입구에 적용가능한 우수여과장치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097788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CN210002533U (zh) 一种市政支路雨水收集排放系统
KR101380776B1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US20130292315A1 (en) Device for Settlement of Particles from a Liquid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100824268B1 (ko) 배수처리장치
KR10105565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