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502B1 - 시트재료를함께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트재료를함께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502B1
KR100494502B1 KR10-1998-0710515A KR19980710515A KR100494502B1 KR 100494502 B1 KR100494502 B1 KR 100494502B1 KR 19980710515 A KR19980710515 A KR 19980710515A KR 100494502 B1 KR100494502 B1 KR 100494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at portion
distal edge
portion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105A (ko
Inventor
마이클 티. 캠프벨
앤드류 알. 스케스톤
Original Assignee
케스케이드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스케이드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스케이드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98-071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5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60R13/083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for fire walls o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8Connections therefor, e.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모터차량의 엔진 컴파트먼트로부터 승객 컴파트먼트를 분리시키는 차폐벽(24)은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 조립체(102)를 가지고 있다. 이 소음차폐물 조립체(102)는 중첩관계로 서로 병치되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104, 106)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매트부분(104, 106)은 바람직하게 성형구조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제1 및 제2 매트부분(104, 106)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130, 122)를 가지고 있다.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130)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함께 방음 밀봉시키도록 제1 매트부분의 표면 중 하나와 맞물린다. 스페이서 리브(124, 132)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104, 106)과 일체적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리브(124, 132)는 그 상응하는 매트부분로부터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으로 뻗어있다. 이 스페이서 리브(124, 132)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122, 130)에 인접되지만 이격되어 서로로부터 매트부분을 이격시킨다.

Description

시트재료를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FASTENING SHEET MATERIALS TOGETHER}
본 발명은 시트재료를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차량 대시매트 구성요소를 함께 고정시켜 방음 밀봉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현재의 차량에 있어서, 강철 방화벽은 엔진 컴파트먼트를 승객 컴파트먼트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다. 엔진 컴파트먼트로부터 방화벽을 통하여 그리고 승객 컴파트먼트 내로의 소음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소음차폐매트(대시매트)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단일편으로 성형된다. 매트의 외부표면이 차량 카페트의 바닥표면과 접촉되어 계기패널 뒤의 방화벽의 상부부분으로 카페트를 넘어 연장되도록 이 대시매트는 방화벽에 장착되어 중첩된다. 풀 사이즈 차량에 설치하는 동안, 큰 가요성 대시매트를 차량 내의 적절한 위치에 솜씨있게 조립하는 것은 종종 어려운 일이다. 조립 작업자는 다음 차량으로 이동해 가기 전의 제한된 시간 내에 대시매트를 차량에 고정시켜야만 하는데, 크고 복잡한 단일편 대시매트로는 그렇게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서, 대시매트 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케이블 가이드, 배선 하네스, 스티어링 칼럼, 악세서리 마운트 등의 통로용의 방화벽 내의 개구와 정렬된다. 대시매트가 엔진 컴파트먼트의 소음으로부터 승객 컴파트먼트를 방음시키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개구의 크기는 그러한 요소의 용이하고 효과적인 설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개구를 통하여 돌출하는 다양한 요소 주위에 꼭 맞게 끼워맞춤되도록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어려운 구역은 대시매트 내의 다른 개구와 비교할 때 전형적으로 꽤 큰, 스티어링 칼럼을 수용하기 위하여 대시매트 내에 형성된 개구이다. 이 개구의 크기로 인하여 이 영역 내의 매트의 소음감소 품질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함께 기계적으로 고정되도록 위치된 제1 및 제2 매트를 가지는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의 일부 상단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의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대시매트의 부분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파스너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멀티-파트 대시매트의 도 1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차량의 방화벽에 부착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의 도 6의 7-7선 단면 조립도이다.
종래 기술의 이들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은 복수의 매트 또는 패널로 형성되는 멀티-파트 대시매트와, 매트 또는 패널을 함께 기계적으로 고정시켜 방음 밀봉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제공으로 극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은 서로 중첩관계로 병치되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매트부분은 성형된 구조물이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함께 방음 밀봉하도록 제1 매트부분의 외부표면과 맞물린다. 제1 스페이서 리브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 중 어느 하나와 단일부재로서 그 일단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이 리브는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소음차폐물이 차폐벽에 장착될 때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차폐벽으로 뻗어있다. 바람직하게 제1 스페이서 리브는 하나의 매트부분을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또는 하나의 매트부분을 차폐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되지만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은 서로 중첩관계로 장착되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매트부분은 성형된 구조물이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 및 이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채널을 가지고 있다. 이 제2 매트부분의 채널은 매트부분을 함께 장착할 때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서로 정렬시키도록 제1 매트부분의 채널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모터차량 소음차폐물 조립체는 엔진 컴파트먼트로부터 승객 컴파트먼트를 분리시키는 차폐벽 및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을 가지고 있다. 이 소음차폐물은 서로 중첩관계로 병치되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매트부분은 성형된 구조물이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함께 방음 밀봉하도록 제1 매트부분의 외부표면과 맞물린다. 제1 스페이서 리브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 중 어느 하나와 단일부재로서 그 일단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이 리브는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으로 뻗어있거나 또는 소음차폐물이 차폐벽에 장착될 때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차폐벽으로 뻗어있다. 바람직하게 제1 스페이서 리브는 하나의 매트부분을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또는 하나의 매트부분을 차폐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되어 이격되어 있다. 1개 이상의 파스너는 채널의 하부에서 패널들 중 1개의 내에 사전설치될 수 있고, 설치자에 의하여 관찰될 수 있도록 위쪽으로 연장된다. 그 후 다른 하나의 패널은 2개의 패널이 함께 고정될 때까지 파스너 상에서 가압된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10)는 파스너(16)와 함께 연결된 제1 매트(12) 및 제2 매트(14)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제1 및 제2 매트(12, 14)는 예를 들어 일레스토머릭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충전 탄성중합체 성형가능 폴리머로 바람직하게 성형되고, 그리고 엔진 컴파트먼트로부터 방화벽을 통하여 그리고 차량의 승객 컴파트먼트 내로의 소음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소음차폐층으로써 작용한다. 이 제1 매트(12)는 외부표면(17) 및 내부표면(20)을 포함하고 있다.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18)는 제1 매트(12)의 내부표면(20)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이 내부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리브(18)의 내부 가장자리(22)는 제1 매트(12)가 설치위치에 있을 때 방화벽(24)에 접하게 된다. 역 원추형상의 파스너 리셉터클(19)은 제1 매트(12)와 일체이고,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18)의 내부공간(21) 내로 뻗어있다. 개구(23)는 파스너(16)를 수용하기 위하여 리셉터클(19)을 통하여 뻗어있다. 기다란 제1 스페이서 리브(26)는 내부표면(20)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이 내부표면으로부터 뻗어있다. 바람직하게 이 기다란 제1 스페이서 리브(26)는 평행하게 그리고 제1 매트(12)의 말단 가장자리(28) 부근에서 뻗어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기다란 제 1 스페이서 리브(26)(점선으로 도시)는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18)(역시 점선으로 도시)의 대향 측부로부터 뻗어있고,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18) 및 제1 매트(12)에 구조적인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체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 제1 매트(12)의 내부표면(20)은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의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18) 및 인접한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18) 사이에서 뻗어있는 기다란 제1 스페이서 리브(26)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기다란 제 1 스페이서 리브(26)의 내부 가장자리(30)는 제1 매트(12)가 설치위치에 있을 때 방화벽(24)에 접하게 된다.
제2 매트(14)는 외부표면(32) 및 내부표면(34)을 포함하고 있다. 기다란 제 2 스페이서 리브(36)는 제2 매트(14)의 내부표면(34)과 일체로 성형되어 이 내부표면으로부터 뻗어있다. 바람직하게 이 기다란 제 2 스페이서 리브(36)는 평행하게 그리고 제2 매트(14)의 이 말단 가장자리 (38) 부근에서 뻗어있다. 이 기다란 제2 스페이서 리브(36)의 끝면(39)은 제2 매트(14)가 설치위치에 있을 때 방화벽(24)에 접하게 된다. 경사진 부착 플랜지(40)는 말단 가장자리(38)와 기다란 제2 스페이서 리브(36) 사이에서 뻗어있다. 개구(42)는 제2 매트(14)를 통해 뻗어있고, 말단 가장자리(38)와 경사진 부착 플랜지(40) 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된다. 설치위치에서, 제1 매트(12)의 말단 가장자리(28)는 경사진 부착 플랜지(40)의 내부표면과 접촉되고, 개구(42)는 제1 매트(12)의 개구(23)와 정렬된다. 제2 매트(14)의 경사진 부착 플랜지(40)는 개구(23, 42)의 위치, 스페이서 리브(18, 26, 36)의 위치 및 높이, 그리고 매트(12, 14)의 두께에 있어서 넓은 치수허용범위를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인 파스너(16)는 원형 플랜지 헤드(46)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이 헤드에 매달리는 기다란 중심 핀(44)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뻗은 톱니(48)는 중심 핀(44)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48)의 말단 가장자리는 위쪽으로 뾰족하게 되어 있고, 핀(44)이 개구(42, 23)를 통하여 가압될 때 더욱 위쪽으로 휘어진다.
제1 및 제2 매트(12, 14)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서, 파스너(16)는 우선 플랜지 헤드(46)에 가장 가까운 톱니(48)가 내부표면(20)에 접하게 이 파스너를 제2 매트(14)에 고정시킬 때까지 개구(42) 내로 핀(44)을 완전하게 삽입시킴으로써 제2 매트(14)에 설치된다. 이 단계는 모든 파스너가 제2 매트(14) 내의 상응하는 개구에 설치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 단계는 매트 성형공장과 같이 차량 조립현장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매트(12)는 그 후 종래의 고정기술을 이용하여 방화벽(24)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된다. 제 2 매트(14)는 가장자리(38)가 제1 매트(12)의 일부와 중첩되어 각각의 파스너(16)의 핀(44)이 제1 매트(12)의 개구(23)와 정렬되도록 방화벽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각각의 파스너의 핀은 그 후 매트를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응하는 각각의 개구(23) 내로 가압된다. 가장자리(38)와 경사진 부착 플랜지(40) 사이의 제 2 매트(14)의 부분은 파스너(16)에 대항하는 외향 가압력을 가지도록 약간 안쪽으로 굴곡된다. 이러한 특징은 제1 매트(12)에 파스너를 더욱 고정시키도록 작용한다.
설치위치에서, 제1 및 제2 매트(12, 14)의 내부표면(20, 34)은 각각 차량 방화벽(24)과 대면하는 한편, 외부표면(17, 32)은 차량 카페트(도시생략)의 아래면과 대면하고, 계기패널의 뒤에서 카페트를 지나 뻗어있다. 공간(49)은 스페이서 리브(18, 26, 36)에 의하여 형성되며 공지의 폼 흡수재 층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나머지 스페이서 리브(도시생략)는 내부공간(49)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매트(12, 14) 상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말단 가장자리(28, 38)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내부 공간(49)을 밀봉하도록 작용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매트(12,14)의 말단 가장자리(28,38) 사이에는 포위된 방음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대시매트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매트(12, 14) 사이의 이음매에서는 양호한 방음 밀봉이 이루어진다.
도 5에는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5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며, 여기에서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이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50)는 파스너(16)와 함께 연결되는 제1 매트(52) 및 제2 매트(54)를 포함하고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매트(52, 54)는 예를 들어 일레스토머릭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충전 탄성중합체 성형가능 폴리머로 바람직하게 성형된다.
제1 매트(52)는 외부표면(56) 및 내부표면(58)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내부표면은 설치시 방화벽(24)과 대면하게 된다. 채널(64)은 베이스 부분(70)의 대향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뻗은 한 쌍의 비스듬한 스페이서 리브(66, 68)에 의하여 제1 매트(52) 내에 형성된다. 이 채널(64)은 바람직하게 제1 매트(52)의 말단 가장자리(72)에 평행하게 이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되어 뻗어있다. 역 절두원추형상(inversely frusto-conical shape)을 가지는 중공보스(74)는 바닥부분(70)과 함께 성형되어 이 바닥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뻗어있다. 상기 중공보스(74)의 내부표면은 파스너(16)의 원형 플랜지(46)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개구(76)는 상기 보스의 중심에 위치하고 파스너의 핀(44)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제2 매트(54)는 외부표면(78) 및 내부표면(8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내부표면은 설치시 방화벽(24)과 대면하게 된다. 채널(82)은 역 원추형 베이스부분(88)의 대향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비스듬한 스페이서 리브(84, 86)에 의하여 제2 매트(54)에 형성된다. 이 채널(82)은 바람직하게 제2 매트(54)의 말단 가장자리(90)에 평행하게 이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되어 뻗어있다. 원통형 서포트 리브(92)는 베이스부분(88) 아래로, 제2 매트(54)의 내부표면(80)으로부터 뻗어있다. 이 서포트 리브(92)는 설치위치에서 보스(74)의 외부표면에 접촉된다. 개구(94)는 원형 베이스부분(88)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리고 파스너(16)의 핀(44)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제1 매트(52)는 바람직하게 채널(64)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중공보스(74)를 가지고 성형되며, 제2 매트(54)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파스너(16)를 수용하기 위하여 채널(82)을 따라서 상응하는 개수의 베이스부분(88)을 가지고 성형된다.
제1 및 제2 매트(52, 54)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서, 파스너(16)는 우선 플랜지(46)에 가장 가까운 톱니(48)가 외부표면(56)에 접하여 이 파스너(16)를 제1 매트(52)에 고정시킬 때까지 개구(76) 내로 핀(44)을 완전하게 삽입시킴으로써 제1 매트(52)에 설치된다. 이 단계는 모든 파스너(16)가 제1 매트(52) 내의 상응하는 개구에 설치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 단계는 매트 성형공장과 같이 차량 조립현장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매트(52)는 그 후 종래의 고정기술을 이용하여 방화벽(24)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된다. 제2 매트(54)는 채널(82)이 제1 매트(52) 내의 채널(64)과 서로 정렬되어 맞물리도록 방화벽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각각의 파스너(16)의 핀은 제2 매트(54)의 개구(94)와 동시에 정렬된다. 채널(64, 82)의 상호 맞물림은 매트(52, 54)를 서로 정렬하고 그리고 설치하는 것을 매우 촉진한다. 제2 매트(54)는 그 후 각각의 파스너의 핀이 제2 매트(54) 내의 각각의 개구(94)를 통해 뻗어 매트를 함께 고정시킬 때까지 내측으로 가압된다.
설치위치에서, 제1 및 제2 매트(52, 54)의 내부표면(58, 80)은 각각 차량 방화벽(24)과 대면하는 한편, 외부표면(56, 78)은 차량 카페트(도시생략)의 아래면과 대면하고 그리고 계기패널의 뒤에서 카페트를 지나 뻗어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페이서 리브(66, 68)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96)은 공지의 폼 흡수재 매트로써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스페이서 리브(도시생략)는 내부공간(96)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매트 상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매트(54)의 내부표면(80)의 일부분은, 부재번호 98, 10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분리된 위치에서 제1 매트(52)의 외부표면(56)의 일부분과 접촉된다. 이들 접촉부분은 2개의 매트 사이의 이음매에서 매트(52, 54)를 방음 밀봉하도록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스너(16)의 방향은 조립 작업자에게 조립공정시에 파스너(16)를 명확히 볼 수 있게 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102)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며, 여기에서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이 멀티-파트 대시매트 조립체(102)는 제1 대시매트 부분(104) 및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은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 영역에서 제1 대시매트 부분(104)에 밀봉 장착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대시매트 부분(104, 106)은 일레스토머릭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충전 탄성중합체 성형가능 폴리머로 바람직하게 성형되고, 엔진 컴파트먼트로부터 방화벽(24)을 통하여 차량의 승객 컴파트먼트 내로의 소음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소음차폐층으로써 작용한다.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은 방화벽 내의 개구(110)에 상응하는 개구(108)를 포함하고 있다. 양 개구(108, 110)는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도시생략)를 설치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큰 통로를 형성한다.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은 스티어링 칼럼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12)와, 방화벽(24)에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을 설치하기 위한 다중 장착개구(114)를 포함하고 있다. 일체적으로 성형된 부트(116)는 또한 전선의 통로, 슬리브 등을 위한 개구(117)를 제2 대시매트 부분(106)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은 모듈 판(modular plate) 형상이고 그리고 개구(108, 110)보다 약간 큰 형상을 가져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을 덮는다.
특히 도 7에서,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은 외부표면(118), 내부표면(120), 및 테이퍼진 말단 가장자리(122)를 포함하고 있다. 안쪽으로 향한 가장자리(134)를 갖춘 기다란 스페이서 리브(124)는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의 내부표면(12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 내부표면으로부터 뻗어있다. 이 기다란 리브(124)는 바람직하게 말단 가장자리(122)에 평행하게 이 말단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뻗어있다. 말단 가장자리(122)와 스페이서 리브(124) 사이의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의 부분(138)은 약간 아래쪽으로 굴곡된다.
마찬가지로,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은 내부표면(126), 외부표면(128), 및 테이퍼진 말단 가장자리(130)를 포함하고 있다. 바깥으로 향한 가장자리(136)를 갖춘 기다란 스페이서 리브(132)는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의 외부표면(128)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 외부표면으로부터 뻗어있다. 이 기다란 리브(132)는 바람직하게 말단 가장자리(130)에 평행하게 이 말단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뻗어있다. 말단 가장자리(130)와 스페이서 리브(132) 사이의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의 부분(140)은 약간 위쪽으로 굴곡된다.
설치위치에서,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의 말단 가장자리(122) 및 스페이서 리브(124)의 내부가장자리(134)는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의 외부표면(128)과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의 말단 가장자리(130) 및 스페이서 리브(132)의 외부가장자리(136)는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의 내부표면(120)과 접촉한다. 내부 방음 또는 데드 에어(dead air) 공간(142)은 2개의 대시매트 부분(106, 104) 사이에 형성된다. 설치시 제2 대시매트 부분(106)이 제1 대시매트 부분(106)에 대하여 가압될 때 제1과 제2 대시매트 부분 사이의 일체적인 밀봉은 접촉표면에서의 마찰과 내부공간(142)으로부터의 공기의 변위에 의하여 야기되는 공기압력차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의 내부표면(126)은 방화벽(24)과 대면하고, 그리고 폼(foam) 흡수재 층(142)은 이 내부표면과 방화벽 사이에 배치된다. 나아가서, 추가 스페이서 리브(도시생략)는 제1 대시매트 부분(104)의 내부표면(126)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이 내부표면으로부터 뻗어서 방화벽(24)에 접하게 된다. 또한, 이전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스너가 제1 및 제2 대시매트 부분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파스너는 스페이서 리브(132, 124)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이 차량 대시매트에서의 특정 용도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2개의 인접한 패널 또는 재료의 층이 서포트 표면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또 다른 차량 또는 차량이 아닌 장치에 있어서의 용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명세서 및 도면의 사상 내에서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에 있어서,
    내부표면이 차폐벽으로 향하고 외부표면이 차폐벽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상태로, 서로 중첩관계로 나란히 배치된 제1 및 제2 매트부분과;
    제1 및 제2 매트부분 중 어느 하나와 단일부재로서 일체로 성형된 일단부를 구비하며,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까지 또는 소음차폐물이 차폐벽에 장착될 때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상기 차폐벽까지 뻗어있으며, 하나의 매트부분을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또는 하나의 매트부분을 차폐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되지만 이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제1 스페이서 리브; 및
    제1 및 제2 매트부분 중 다른 하나와 단일부재로서 일체로 성형되는 일단부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매트부분 중 다른 하나로부터 하나의 매트부분까지 뻗어있는 제2 스페이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성형된 구조물이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함께 방음 밀봉하기 위해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제1 매트부분의 내부 및 외부 표면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스페이서 리브는 하나의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의 외형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제2 매트부분의 내부표면과 맞물리고, 제1 및 제2 스페이서 리브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들 사이에는 포위된 방음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제2 매트부분은 내부표면과 외부표면 사이에서 뻗어있는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이 개구를 둘러싸는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가 더 포함되며, 이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는 제2 매트부분과 단일부재로서 일체로 성형된 일단부를 구비하며, 이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는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되며, 이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의 자유단은 소음차폐물이 차폐벽에 장착될 때 차폐벽에 대향하는 내부가장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는 제1 매트부분의 제1 말단 가장자리와 제2 매트부분의 제2 말단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 매트부분은 제2 매트부분의 개구와 정렬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함께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뻗어있는 파스너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매트부분의 원통형 스페이서 리브와 개구 사이에는 제1 매트부분에 형성된 역원추형상의 파스너 리셉터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8.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에 있어서,
    내부표면이 차폐벽을 향하고 외부표면이 차폐벽으로부터 먼 쪽으로 향하는 상태로, 서로 중첩관계로 장착되며, 각각 성형된 구조물이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과;
    제1 매트부분에서 채널의 바닥부분에 형성되며, 이 제1 매트부분의 내부와 외부표면 사이에서 뻗어있는 개구를 구비한 중공보스; 및
    스터드와 그 일단에 형성된 헤드를 구비하는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중공보스 내에 위치되고, 제1 매트부분의 내부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스터드는 개구를 관통하여 제1 매트부분의 채널 내로 뻗어있고,
    상기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 및 이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뻗어있는 일체로 성형된 채널을 구비하며, 제2 매트부분의 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 매트 부분을 함께 장착할 때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서로 정렬시키도록 제1 매트부분의 채널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제1 매트부분의 외부표면은 제2 매트부분의 채널에 인접한 내부표면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핀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절두원추형 유지 톱니를 더 포함하고, 유지 톱니 중 1개는 제1 매트부분의 외부표면과 접촉함으로써 파스너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2 매트부분의 채널의 베이스부분은 파스너 핀을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지 톱니 중 다른 1개는 제2 매트부분의 외부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함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12.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에 있어서,
    내부표면이 차폐벽을 향하고 외부표면이 차폐벽으로부터 먼 쪽으로 향하는 상태로, 서로 중첩관계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성형된 구조물이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과;
    제1 및 제2 매트부분 중 하나와 단일부재로서 일체로 성형된 일단부를 구비하며,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까지 또는 소음차폐물이 차폐벽에 장착될 때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차폐벽까지 연장되며, 하나의 매트부분을 다른 하나의 매트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또는 하나의 매트부분을 차폐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되지만 이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제1 스페이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제1 매트부분의 내부 및 외부 표면 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함께 방음 밀봉하고;
    상기 제2 매트부분은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가 개구의 주변에 뻗어 있으며, 상기 제1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가 그 외주에 뻗어 있으며;
    상기 제2 매트부분은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개구의 주변에 뻗어 있으며, 상기 제1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그 외주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13. 차폐벽에 장착되는 소음차폐물에 있어서,
    내부표면이 차폐벽을 향하고 외부표면이 차폐벽으로부터 먼 쪽으로 향하는 상태로, 서로 중첩관계로 장착되며, 각각 성형된 구조물이고 그리고 소음감쇠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매트부분은 각각 말단 가장자리 및 이 말단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뻗어있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채널을 구비하며, 제2 매트부분의 채널은 매트 부분을 함께 장착할 때 제1 및 제2 매트부분을 서로 정렬시키도록 제1 매트부분의 채널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매트부분은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개구의 주변에 뻗어 있으며,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제2 매트부분의 외주에 뻗어 있고; 및
    상기 제1 매트부분은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개구의 주변에 뻗어 있고, 더욱이 제2 매트부분의 말단 가장자리는 제2 매트부분의 외주에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폐물.
KR10-1998-0710515A 1996-07-26 1997-07-25 시트재료를함께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KR10049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515A KR100494502B1 (ko) 1996-07-26 1997-07-25 시트재료를함께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022,695 1996-07-26
KR10-1998-0710515A KR100494502B1 (ko) 1996-07-26 1997-07-25 시트재료를함께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105A KR20000022105A (ko) 2000-04-25
KR100494502B1 true KR100494502B1 (ko) 2005-09-28

Family

ID=4367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515A KR100494502B1 (ko) 1996-07-26 1997-07-25 시트재료를함께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805B1 (ko) * 2002-09-17 2005-04-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흡음 패드 취부용 패스너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105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2369B1 (en) System for fastening sheet materials together
KR100454327B1 (ko) 일체형 그로밋을 갖춘 방음층
EP0951407B1 (en) Mat with integral wire harness fastener and channel
CA2256475C (en) Sound insulating layer with integral boot
US5831225A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insulating layers to a support structure
EP0952935B1 (en) Mat with integrally molded door
KR100494502B1 (ko) 시트재료를함께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US6494526B2 (en) Console box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MXPA99000929A (es) Sistema para sujetar materiales de lamina entre si
KR100471550B1 (ko) 서포트구조물에방음층을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KR100472942B1 (ko) 일체형부트를갖춘소음방음층
CN112443559A (zh) 换挡拉索过孔密封组件、车辆及方法
MXPA99000931A (en) Insulating layer with integral grommets
MXPA99006635A (en) Mat with integrally molded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