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430B1 - Automatc on/off switch - Google Patents

Automatc on/off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430B1
KR100494430B1 KR1020040075757A KR20040075757A KR100494430B1 KR 100494430 B1 KR100494430 B1 KR 100494430B1 KR 1020040075757 A KR1020040075757 A KR 1020040075757A KR 20040075757 A KR20040075757 A KR 20040075757A KR 100494430 B1 KR100494430 B1 KR 10049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lage
sensor
specific target
target space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to KR102004007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430B1/en
Priority to EP05726307A priority patent/EP1721327A4/en
Priority to JP2006550957A priority patent/JP2007520046A/en
Priority to RU2006131579/09A priority patent/RU2325047C1/en
Priority to CN2005800107972A priority patent/CN1938803B/en
Priority to PCT/KR2005/000293 priority patent/WO2005073993A1/en
Priority to US10/588,245 priority patent/US76792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점 · 소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 또는 베란다 등의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1동체감지센서,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특정대상공간 내측 방향에 배치된 제2동체감지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동체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소등 스위치는 특정대상공간의 출입 시 별도의 스위치조작이 없어도 조명등의 점등과 소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편의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oint-off switch, and in particular, a specific target from a position where the first fuselage sensor and the first fuselage sensor are arranged at an entrance side or adjacent portion of a specific target space such as a toilet or a veranda. A second body detecting sensor dispo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y detecting sensors, the body detecting signal of the second body detecting sensor after the body detecting signal of the first body detecting sensor is received. When the received light automatically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is turned on,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after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plac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It relates to an automatic on and off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automatically extinguishing. The automatic on / 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user's convenience is made by automatically turning on and off the lighting even without a separate switch operation when entering and exiting a specific target space.

Description

자동스위치{Automatc on/off switch}Auto switch {Automatc on / off switch}

본 발명은 자동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대상공간 내에 구비된 조명등의 점ㆍ소등에 있어 사용자의 위치변위패턴에 따라 조명등의 점ㆍ소등이 자동 제어되어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출입에 있어 스위치조작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 자동 점·소등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 in particular, in the point of light of the lights provided in a specific target space, the light of the light of the lights according to the position displacement pattern of the us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switch the entry and exit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 on / off switch which is not required separately and has improved user convenience.

일반적으로, 특정대상공간을 조명하는 조명등의 점등과 소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위치가 요구됨은 주지된 바와 같다.In general, it is well known that a separate switch is required in order to turn on and off a lamp that illuminates a specific target space.

이러한, 통상의 스위치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조명등의 점ㆍ소등을 이룰 수 있었던 바, 그 사용에 있어 매번 스위치 조작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사람의 출입이 없는 경우에도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으면 조명등이 계속적으로 점등되어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었으며, 대개의 경우 상기한 스위치는 화장실 등의 특정대상공간 외부 입구측에 구비되므로 상기한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함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없어 외부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오프(OFF)작용 등에 의해 내부 사용자의 불안감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Since such a normal switch can be turned on or off by a user's manual operation only,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switch must be performed every time. In addition, even when there is no human access,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ON), the lighting is continuously turned on and unnecessary power was wasted, and in most cases the switch is provided on the outside entrance sid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such as the toilet Since the user cannot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problems such as aggravation of anxiety of the internal user are caused by a switch-off (OFF) action by an external user.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인체감지센서는, 타이머회로가 구비되어 동체감지로부터 소정시간후 자동소등 됨에 따라 주로 복도, 계단참, 엘리베이터 승강장 등의 개방형 통로에 한정적으로 채택될 수밖에 없고, 화장실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밀폐된 특정대상공간에 적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with a timer circuit and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fuselage detection, so it is mainly limited to an open passage such as a corridor, landing, elevator platform, and the like independently of a toilet.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a specific specific enclosed space.

이에, 앞서 언급된 종래의 인체감지센서로부터 발생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2004-39441호와 특허출원 제2004-9555호에서 “절전스위치”와“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Thu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human body sensor, the present inventors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4-39441 and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4-9555 No. "power saving switch" and "power saving switch having an automatic mode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have been disclosed.

상기한 출원발명은 다양한 유형의 동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용 개폐감지센서로 구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자동점등/자동소등을 이루는 자동모드기능, 수동점등/자동소등에 따른 반자동모드, 수동점등/수동소등에 따른 수동모드를 구현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종래의 인체감지센서 등으로부터 대두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구성과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며, 상기 출원발명에는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함을 외부에 인지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 등이 구성되었던 바, 외부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어 앞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사용방법을 동시에 제공함에 따라 다변화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for realiz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ensor for the door using various types of fuselage sensor, and the automatic mode function to achieve the automatic light / auto off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sent from the sensor, manual It has the technical features that implement the semi-automatic mode according to lighting / automatic light off, manual mode according to manual lighting / manual light, solves the problem that has emerged from the conventional human body sensor, etc., and greatly improves user conveni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cator for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a user in a specific target space was configure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problem could be solved by an external user. By providing the methods at the same time, it was possible to meet the needs of diversified users. The invention which is effective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 “절전스위치”와“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은 제어수단을 통해 감지센서를 제어하는 데에 있어 감지시그널이 상기 제어수단에 수신된 후 소정시간동안 감지센서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자동 또는 수동점등 및 자동 또는 수동소등이 이루어져 상기 감지센서가 동체를 처음 감지할 시에 조명등의 자동점등을 실시함과 동시에 감지센서의 감지동작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를 거쳐 동체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반복적으로 감지되지 못하게 설정하고, 상기 소정시간이후에 감지센서가 감지동작이 다시 재개되어 동체를 다시 감지할 시에는 자동소등을 실시함과 동시에 감지센서의 감지동작을 소정시간동안 정지시키는 프로세스를 갖는 것이었던 바, 상기한 첫 번째 감지동작 후 특정대상공간의 내부로 다른 사용자가 진입하였을 시에는 내부 사용자가 상기 특정대상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나간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조명등이 자동 소등되었으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특정대상공간을 동시에 사용할 시에는 불필요한 점등과 소등작용이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밖에 없어 실질적으로 공중화장실 등 공용대상공간에서의 적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invention relating to the "power saving switch" and the "power saving switch having an automatic mode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in controlling the detection sensor through a control means detects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 means. 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and at the same time, the automatic or manual light and the automatic or manual light off are made. When the sensor first detects the body, it automatically turns on the lights and stops the detection of the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he fuselage is set to not be repeatedly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he detection sensor resumes the detection operation again. Had a process of stopping the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nother user enters the interior of the space, the internal user is regarded as exiting from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the lighting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the specific target space at the same time, unnecessary lighting and lighting is turned off. Since it can only be repeated repeatedly,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pply in public target space such as public toilet.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제기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을 공유 사용할 경우에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내부로 다수의 사용자가 진입한다하더라도 조명등의 점등상태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불필요한 점ㆍ소등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지 않으며, 특정대상공간의 입구측과 내부에 각각 동체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서 특정대상공간에 있어 사용자 출입에 따른 점ㆍ소등제어 즉, 진입감지에 따른 조명등의 자동소등, 진입감지/진입완료감지/진출감지 시에 조명등의 자동소등을 이룰 수 있도록 구현되어 사용자의 위치변위패턴에 따른 조명등의 점ㆍ소등이 자동 제어될 수 있도록 설계된 자동스위치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large number of users enter the specific target space when a plurality of users share a specific target space in order to be able to meet the requirements raised by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such as lighting The lighting state can be maintained as it is, and unnecessary dots and lights are not repeatedly generated, and the body sensor is provided at the entrance and insid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respectively, so that the point and the lights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s entrance and exit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It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lights in case of entrance detection, entrance completion / entry completion detection, and entrance detection, so that the lights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displacement pattern of users. Invented the switch.

따라서 본 발명은 동체감지에 따른 조명등의 자동 점ㆍ소등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으로의 위치변위패턴에 근거하여 조명등의 자동 점ㆍ소등을 이룰 수 있는 자동스위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대상공간에 다수의 사용자가 시간을 달리하여 진입한다 하더라도 조명등의 자동점등은 물론, 점등유지를 계속적으로 이룰 수 있는 자동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witch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 off a lighting lamp based on a position displacement pattern to a specific target space in the automatic lighting / lighting control method for a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uselage detec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witch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lighting as well as automatic lighting of a lighting lamp even when a plurality of users enter a specific target space at different tim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대상공간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 사용할 시에도 자동 점ㆍ소등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witch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repeated automatic turning on / off even when a plurality of users share a specific target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대상공간의 입구측과 내부에 각각 동체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진입감지 시에 자동점등을 이루고, 진입감지/진입완료감지/진출감지 후 조명등의 자동소등을 이룰 수 있는 자동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selage detecting sensor is provided at the entrance and insid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respectively, to achieve automatic lighting at the time of user's entrance detection, and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lights after the entrance detection / entry completion detection / entrance detection.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switch that can be achiev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1동체감지센서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특정대상공간 내측 방향에 배치된 제2동체감지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동체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light on and 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irst body detection sensor disposed at the entrance or adjacent portion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from the position in which the first body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The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 and the first and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It automatically turns on the lights plac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lights plac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fter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after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될 때마다 +1로 연산처리하며,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될때마다 -1로 연산처리하고, 상기 연산 처리 결과가 0이 될 때마다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이 자동소등되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서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의 제어부가 출입하는 사용자의 센서 노출수를 연산함으로서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사용자가 없을 때 즉, 연산 처리 결과가 0이 될 때 자동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공중화장실 등의 특정대상공간에 함께 무작위 순서에 의하여 출입이 이루어져도 특정대상공간 내에 사용자가 없을 때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auto on and off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nd receives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calculated to +1,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sensor is received, it is processed as -1 every time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is received, and is plac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whenever the calculation processing result is 0.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lights, the automatic lighting and the light-off switch control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sensor exposures of the user entering and exits. This allows a plurality of users to enter and exit a specific target space such as public toilets in a random order. Turned off when there is no user.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에 의하여 자동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진 후 소정시간의 센서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연속적인 동체감지센서가 구동됨에 따라 각 동체감지센서에 인접한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오작동이 있을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는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킨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킨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sensor is not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automatic lighting or lighting is turned off by the automatic light-on / light-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tinuous body motion sensor is driven, du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n a position adjacent to each body motion sensor Since there may be a malfunction in which unwanted lighting or lighting is turned off, the automatic lighting and lighting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specific object when the body detecting signal of the second body detecting sensor is received after the body detecting signal of the first body detecting sensor is received. After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s placed in the space, the first fuselage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fuselage sensor,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is received, it automatically turns off the lights plac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fterwards,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등의 수동 점ㆍ소등 시키는 수동스위치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점·소등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상기 수동스위치에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등의 점등과 소등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조명등의 점등여부를 인지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to be provided with a manual switch for manually turning on and off the light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whether the user wants to select the desired point, the off method. Inn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o the manual switch, an indicator for recognizing whether the lighting is turned on by out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lighting lamp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는,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문틀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는, 상기 조명등과 인접된 부위면 상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 제2동체감지센서 또는, 상기 수동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박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fuselage detecting sensor is mounted on the door fram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the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part surface adjacent to the lamp, the control means, the first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the second fuselage sensor, or the switch box provided with the manual switch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는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1동체감지센서,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특정대상공간 내측 방향에 배치된 제2동체감지센서, 상기 제1 및 제2동체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또 다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는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신호가 수신되거나,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앞서 언급한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의 부가적 기술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on / 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uselage sensor and a second fuselage disposed in a specific target space in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first fuselage sensor is disposed at an entrance to or adjacent to a specific target space. The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s, and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utomatically illuminates an illumination lamp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automatically extinguishing the lights plac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the other automatic lighting and light out The switch receives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or detects the fuselage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As mentioned above, a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fter the signal is received. Additional technical configurations of auto on and off switches may be included.

상기한 구성적 특징을 갖는 자동스위치에 따른 조명등의 자동점ㆍ소등 제어방법으로서는, As an automatic point / light off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lamp according to an automatic switch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features,

i)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특정대상공간 내측 방향에 배치된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키는 단계와 ii)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i) 단계의 동체감지센서의 감지 순서에 따른 감지시그널이 수신될 때마다 +1로 연산처리하고 상기 ii) 단계의 동체감지센서의 감지 순서에 따른 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1로 연산처리하며, 상기 연산처리된 결과가 0이 될 때마다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i) 단계에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킨 후와 ii) 단계의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킨 후 각각의 단계에서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 A second fuselage sensor disposed inwardly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fuselage sensor is placed after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disposed at the entrance or adjacent portion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uto-illuminating the lights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ii)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automatically extinguishing the illumination lamp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sequence of the fuselage sensor in step i) in order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lighting and lights ou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is received, arithmetic processing is performed at +1. Whenever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becomes 0,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lamp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after the lamp is automatically turned on in step i) and the lamp of step ii)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extinguishing,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in each step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특정대상공간이란, 통상의 화장실, 안방, 베란다 등과 같이 독립적인 내부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출입구를 통해 다른 공간과 연결된 상태의 것으로 그 내부에 조명등이 구비된 공간부를 지칭하는 의미로써 사용되며,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공중 화장실 등 공공의 시설을 포함한다.The specific target spa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pace portion having an independent interior space such as a restroom, a room, a veranda, and the like, connected to other spaces through an entrance, and having an illumination lamp therein. It is used as a public toilet, and especially includes public facilities such as a public toilet used by multiple users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동체감지센서의 위치는 어느 위치이건 가능하나 제1동체감지센서는 출입구 문틀의 상측 왼쪽 또는 오른쪽 모서리로부터 20cm 내지 50cm, 또는 측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 60cm 내지 90cm 정도에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제2동체감지센서는 특정대상공간의 내측방향으로 제1동체감지센서와 일정거리를 두어 제1동체감지센서와의 중복감지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can be any position, but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most preferably installed in about 20cm to 50cm from the upper left or right corner of the doorway frame, or 60cm to 90cm above the lower side of the door, The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uselage detecting sensor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so as not to generate an overlapping detection area with the first fuselage detecting sensor.

물론, 상기 조명등은 상기 수동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박스와 별개로 구성하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lamp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witch box provided with the manual switch, it is preferably ma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s mentioned above.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는,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여 소정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 장치 즉, 보안시스템, 냉온방시스템, 공조시스템 및, 가전제품의 작동제어시스템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질적인 적용분야인 조명등용 자동스위치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security system, a heating and cooling system,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n operation control system of a home appliance, which detects a person's entrance and controls a predetermined operation. It may be, but will be described below by limiting the automatic switch for the lamp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는 특정대상공간의 점등과 소등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 점등 및 소등의 의미는 각종의 특정대상공간 내에 사용자가 진출입함에 따라 제어되어야 하는 전기장치들의 전원의 on/off를 이루는 것을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조명등의 의미 역시 상기의 전기장치의 개념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조명등의 자동 점등 및 소등의 제어방법 역시 특정대상공간 내의 전기장치의 제어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However, the automatic on and 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utomatically turning on and off the specific object space, and therefore, in interpre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the on and off light means various specific object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that the on / off of the power of the electric devices to be controlled as the user enters and leaves the space, and also the meaning of the lamp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concept of the above-mentioned electric device, Of course, the control method should also be interpreted as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device in a specific target spa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xamples presented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시스템블록도이다.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는,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20)로 이루어지는 동체감지센서유닛(200)과, 수동스위치(300) 및, 이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1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 구성된 조명등(400)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automatic on and 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unit 200 and the manual switch 300 and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220, And control means 100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rol means 100, and the control means 10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amp 400 arranged in a specific target space.

여기에서, 상기 동체감지센서유닛(2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10)는, 적외선센서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나, 인체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 근접센서, 송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광센서로부터 선택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송광부와 수광부가 함께 구비된 광센서의 경우 저항값의 조절에 의하여 감지 거리와 감도를 조절할 수 있고, 송광 -> 반사 -> 수광의 순서로 감지되는 결과에 따라 +1로 연산처리하거나 -1로 연산처리를 정확히 할 수 있어 화장실 내부의 사용자 인식의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광의 직진성으로 인하여 각 센서들 사이의 간섭 또는 중첩인식으로 인한 오작동이 최소화되어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10)를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ere,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210 constituting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unit 200, preferably implemented by an infrared sensor, can detect the entry and exit of the human body It may be implemented selected from the conventional optical sensor having an ultrasonic sensor, a proximity sensor,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optical sensor equipped with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he sensing distance and sensitivit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and calculated as +1 depending on the result detected in the order of transmission-> reflection-> recep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process the operation to 1, which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error of user recognition in the bathroom. The linearity of the light minimizes the malfunction due to the interference or overlapping recognition between the sensors. 210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210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installed adjacent.

그리고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는, 특정대상공간의 입구측 또는 상기 입구와 인접된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내부에 배치 구성되며,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220)는 특정대상공간의 내측방향으로 제1동체감지센서와 일정거리를 두어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인접부위, 내부 천장면, 벽면 등의 어느 위치이건 배치 구성 가능하나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동체유효감지범위와 상호 겹치지 않는 위치가 즉, 상기 조명등(400)과 인접된 부위 등에 배치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송광부와 수광부가 함께 구비된 광센서의 경우 센서간의 간섭효과가 적으므로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10)를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입구의 측면 부위에 각 센서들을 병렬로 위치하도록 간편하게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djacent to the inlet side or the entranc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220 is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uselage sensor in the direction can be arranged in any position, such as the adjacent part, the interior ceiling, the wall surfac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but mutually effective with the fuselage validity detection range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overlapping positions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lamp 400, but the optical sensor provided with the transmitt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has littl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sensors, so that the first body detecting sensor 210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 21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 this case, each sensor may be conveniently provided at the side portion of the doorway in parallel.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상기 송광부와 수광부가 함께 구비된 광센서 이외에도 통상의 감지 센서이면 모두 가능하며, 이 경우 센서의 감지폭이 넓어서 센서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위하여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20)를 상기한 위치에 배치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감지지향각이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입구측을 출입하는 동체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문틀로부터 5° 전후로써 설정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220)는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감지지향각이 상호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 구성하되, 그 감지지향각은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면적과 구조를 고려하여 제조자가 조절 생산 가능하나, 대개의 경우 90° 전후의 각으로 설정되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의 대부분을 감지유효거리로 하되,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감지지향각과 중복됨이 없도록 설정하여 동체감지에 따른 에러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감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 normal detection sensor in addition to the optical sensor provided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and in this case, the detection width of the sensor is wide so as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sensors. In arranging the sensor 210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 220 in the above-described position, the detection orientation angle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ng sensor 210 detects only the fuselage entering and leaving the entranc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It is configured to be set to 5 ° back and forth from the door frame, so that the second fuselage sensor 220 is the specific target space within the range that the detection orientation angle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does not overlap each other. It is arranged inside, but the sensing orientation can be adjusted and produced by the manufacturer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and structur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but is usually set at an angle of about 90 ° Most of the inside of the target space as a detection effective distance, but by setting so that the detection orientation angle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does not overlap to minimize the error occurrence rate according to the fuselage detection can maximize the detection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그러나 당업자라면 특정대상공간의 특성 또는 구비되는 동체감지센서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센서의 위치 등을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각 센서의 특징에 따른 센서의 위치의 구체적 구현예의 기술은 생략한다.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select and install the position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selage detecting sensor provided,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osition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nsor is omitted.

한편,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수동스위치(300)가 구비된 스위치박스(미도시)의 내부 또는, 제1동체감지센서(210) 또는 제2동체감지센서(220)와 일체화 구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에 회로 설계된 마이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수단(100)을 위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ans 100, the internal circuit of the switch box (not shown) provided with the manual switch 300, or a circuit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or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220. A concept including a substrate, a microcomputer designed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like, hereinaft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Do it.

도 1을 참조하여 도 2를 살펴보면, 앞서 기재된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상기 입구와 인접된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 구성된 제1동체감지센서와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한 제2동체감지센서는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으로 진입함에 따라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가 순차적으로 동체감지(S10, S20)를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어수단(100)에 상기 감지단계(S10, S20)에 의해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와 제2동체감지센서(220)로부터 감지시그널이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 구성된 조명등(400)을 자동 점등시키는 자동점등단계(S30)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로 진입하였음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등(400)의 자동점등이 실시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referring to FIG. 2, a first body sensor and a second body locat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ensor and the first body sensor are arranged in the specific object space described above or adjacent to the entrance. In the fuselage detecting sensor, as the user enters a specific target space,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sequentially perform the fuselage detection (S10, S20), an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e detection step ( When the detection signals are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first body detection sensor 210 and the second body detection sensor 220 by S10 and S20, the control means 100 is disposed within the specific target space. ) To control the automatic lighting step (S30) to automatically turn on. That is, the automatic lighting of the lamp 400 is performed by detecting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specific target space.

이후, 상기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을 빠져나갈 때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 구성된 제2동체감지센서(220)를 통한 감지단계(S40)가 진행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제1동체감지센서(210)에 의한 동체감지가 진행되며, 상기 감지센서들(210, 220)의 감지시그널이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수단(100)에 수신될 시에 상기 제어수단(100)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대상공간 외부로 진출하였음으로 인지하여 상기 조명등(400)을 자동소등 시키는 자동소등단계(S50)가 진행됨과 동시에, 초기단계인 상기한 단계(S10)로 피드백시켜 동체감지에 따른 자동점등과 자동소등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exits the specific target space, the sensing step S40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fuselage sensor 220 arrang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then sequentially to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When the fuselage detection is performed and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detection sensors 210 and 220 are sequentially received by the control means 100, the control means 100 moves out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Recognizing that the automatic light off step (S50)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lamp 400, and at the same time, feedback to the step (S10) that is the initial stage so that the auto-on and auto-off according to the fuselage detection can proceed continuously. To control.

한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에 의하여 자동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진 후 소정시간의 센서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연속적인 동체감지센서가 구동됨에 따라 각 동체감지센서에 인접한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오작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의 제어부(100)는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220)의 동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S30)시킨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S31)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220)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S60)시킨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S61)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nsor is not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auto turn on or off by auto switch on or off, the continuous fuse sensor is driven, so the user's movement in the position adjacent to each fuse sensor is not desired. Since there may be a malfunction that is turned on or off, the control unit 100 of the automatic on and 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 fuselage sensor 220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is received. When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auto-lit (S30) the lights plac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S31), and 2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uselage sensor 220,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210 is received, it is placed in a specific target space. It is preferable to go through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automatic lighting (S60).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동체감지센서(210, 220)는 계속적인 동체감지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에 상기 제어수단(100)은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 -> 점등,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제1동체감지의 동체감지 -> 소등의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상기 조명등(400)의 자동소등을 이루도록 제어하는 바, 이는 상기 제어수단(100)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대상공간으로의 진입/진입완료/진출의 위치변위패턴으로 인식하여 자동 점ㆍ소등을 보다 안전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s 210 and 220 are in a state of continuously performing fuselage detection, and thus the control means 100 is a fuselage detecting / second fuselage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ng sensor. The fuselage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lighting, the fuselage detection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 fuselage detection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turn off the lights only when the step of turning off the light 40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is means that the control means 100 recognizes the positional displacement pattern of the entry / entry completion / entry into the specific target space so that the automatic turning on / off can be achieved more safely.

한편, 앞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는 특정대상공간이 좁은 공간일 경우, 즉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머무르는 사람이 한 사람일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진출입하는 공중화장실 등과 같이 특정내부공간에 진입해 있는 사람들의 수가 많은 경우 한 사람 만이라도 진출 시 소등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한 사람도 없을때 만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에 의한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의 구현을 도 3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on and off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ffective when the specific target space is a narrow space, that is, when the person staying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is a public toilet, etc. As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a specific interior space, such as the problem that the lights out when only one person enters the problem occurs, only when there is no one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should be added a technical configur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matic on and off switch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즉, 본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는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동시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수를 동체감지센서의 감지 수로서 검출함으로서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조명등이 소등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서, 특정대상공간내 존재하는 사용자 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제어수단(100)은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에 진입할 때, 즉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제2동체감지센서의 순서로 감지시그널이 검출될 때마다 +1을 연산 처리하고,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으로부터 진출할 때 즉,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제1동체감지센서의 순서로 감지시그널이 검출될 때마다 -1을 연산 처리하여, 상기 연산 처리 결과가 1 이상인 경우(특정대상공간 내부에 1인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점등을 지속하며, 0이 되는 경우(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사용자가 한사람도 없는 경우)에만 조명등을 소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상기 연산처리 결과가 0보다 작은 경우는 검출오류이므로 제어수단은 스위치의 연산 처리 결과를 0보다 작은 수인 0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automatic on and off switch detects the number of users simultaneously present in a specific target space as the number of detected body motion sensors, and automatically passes the step of turning off the lights when no user is present. As a method for detecting the number of users existing in a specific target space, the control means 100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the user enters the specific target space, i.e., the sequence of the first body sensor / second body sensor. +1 is calculated every time a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and -1 whenever a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body detection sensor / first body detection sensor when the user enters a specific target space. If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process is 1 or more (if more than one user exists in a specific target space), lighting is continued and 0 becomes ( The lighting is turned off only when there is no user inside the target space, and if the calculation result is less than zero, the detection means is a detection error. It is desirable to make it aware.

상기의 센서 노출수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소등 제어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중화장실 등의 특정대상공간에 함께 무작위 순서에 의하여 출입이 이루어져도 특정대상공간 내에 사용자가 없을 때만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automatic lighting and extinguish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or exposures has the advantage that the extinguishing is performed only when there are no users in a specific target space even when a plurality of users enter and exit in a random order together in a specific target space such as a public toilet. have.

또한,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입구 외부측에 배치 구성되는 수동스위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될 수도 있는 바,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조명등의 수동 점ㆍ소등을 이루는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ans 100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nual switch 30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entranc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such as lighting, as the user intended It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manual point and light out.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는 선행기술1 및 2에 개시된 인디케이터의 구성을 본 발명에 따른 수동스위치(300)의 스위치박스에 구성함으로써 특정대상공간의 내부에 사용자가 있음을 외부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형태로써 구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에 있다 할 것이다.The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That is, by config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dicator disclosed in the prior art 1 and 2 disclos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witch box of the manual switch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rnal user that there is a user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It may be embodied in a perceptible form, which will also b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을 공유 사용할 경우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내부로 다수의 사용자가 진입한다하더라도 조명등의 점등상태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불필요한 점ㆍ소등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출입에 따른 점ㆍ소등제어 즉, 진입감지/진입완료감지/진출감지 후, 조명등의 자동소등을 이룰 수 있도록 구현되어 사용자의 위치변위패턴에 따른 조명등의 자동 점ㆍ소등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종래에 개시된 바 없는 새로운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의 제공 가능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share a specific target space, even if a plurality of users enter into the specific target space, the lighting state of the lamp can be maintained as it is. The lights are not repeatedly generated, and the user's position displacement pattern is realized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turn off the lights after turning on / off control according to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that is, entry detection / entry completion detection / entry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control method for turning on and off a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다양한 형태의 동체감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어 제조자와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보다 넓힐 수 있으며, 감지효율이 매우 우수하여 에러발생율을 최소화 가능함은 물론, 별도의 수동스위치를 상기 특정대상공간 입구 측에 별도 구성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조명등의 수동점ㆍ소등을 이룰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였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types of fuselage detection sensor to widen the choice of manufacturers and consumers, and the detection efficiency is very excellent, which minimizes the error occurrence rate, and a separate manual switch is used to enter the specific target space. Since it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side, it is possible to achieve manual point / light off of th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hich greatly improves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시스템블록도.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제어흐름도.2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n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다른 제어흐름도.3 is another control flow diagram of an automatic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jor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어수단 200 : 동체감지센서유닛100: control means 200: fuselage detection sensor unit

210 : 제1동체감지센서 220 : 제2동체감지센서210: first fuselage sensor 220: second fuselage sensor

300 : 수동스위치 400 : 조명등300: manual switch 400: lighting

Claims (11)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1동체감지센서;A first fuselage sensor disposed at an entrance side or an adjacent portion of a specific target space;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특정대상공간 내측 방향에 배치된 제2동체감지센서;A second fuselage sensor disposed in a specific object space in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first fuselage sensor is disposed; 상기 제1 및 제2동체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키는 제어수단;The lam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s, and when the fuselage detecting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 is received after the fuselage detecting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ng sensor is received, the lamp is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Control means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s and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lights disposed in a specific target space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Auto on and off the switch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될 때마다 +1로 연산처리하며,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될때마다 -1로 연산처리하고, 상기 연산 처리 결과가 0이 될 때마다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이 자동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1 every time a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nd receives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After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the calculation process is -1, and whenever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process is 0, the lights plac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re automatically turned off. Auto on and off switch.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킨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킨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The control means automatically turns on the lighting lamp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after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nd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are stopped, and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the lights placed inside the specific target space are automatically turned on. And turning off the first body sensor and the second body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ight is turned off.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는 송광부와 수광부가 함께 구비된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an automatic light on and off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sensor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특정 대상공간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등의 수동 점등과 소등 시키는 수동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And a manual switch disposed at an entrance side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configured to manually turn on and off the lamp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스위치에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nual switch,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등의 점등과 소등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And an indic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he indicato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o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lamp.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1동체감지센서;A first fuselage sensor disposed at an entrance side or an adjacent portion of a specific target space;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특정대상공간 내측 방향에 배치된 제2동체감지센서;A second fuselage sensor disposed in a specific object space in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first fuselage sensor is disposed; 상기 제1 및 제2동체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키고,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키는 제어수단;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uselage detecting sensors,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utomatically lights the lights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and detects the fuselage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Control means for automatically extinguishing a lamp disposed in a specific target space when a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fter receiving a signa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Auto on and off the switch comprising a.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수단은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신호가 수신되거나,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소등 스위치.The control means receives a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or a fuselage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automatic on and off switch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ody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ody detection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i)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특정대상공간 내측 방향에 배치된 제2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키는 단계;i) A second fuselage sensor disposed inwardly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fuselage sensor is placed after receiving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disposed at the entrance or adjacent portion of the specific target space. Automatically illuminating a lamp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when a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ii)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키는 단계;ii) automatically extinguishing the lights placed inside a specific target space when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uselage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after the fuselag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fuselage detection sens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의 자동 점등 및 소등 제어방법.Automatic lighting and extinguishing control method of the lam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i) 단계의 동체감지센서의 감지 순서에 따른 감지시그널이 수신될 때마다 +1로 연산처리하고 상기 ii) 단계의 동체감지센서의 감지 순서에 따른 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1로 연산처리하며, 상기 연산처리된 결과가 0이 될 때마다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된 조명등을 자동소등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의 자동 점등 및 소등 제어방법.Whenever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order of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of step i) is received by +1 and if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order of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of step ii) is calculated by -1 And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lamp disposed in the specific target space whenever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becomes zero.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i) 단계에서 조명등을 자동점등시킨 후와 ii) 단계의 조명등을 자동소등시킨 후 각각의 단계에서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의 자동 점등 및 소등 제어방법.After the step of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amp in step i) and the lamp in step ii) automatically turns off the operation of the first fuselage sensor and the second fuselage sensor in each step for a predetermined time. Automatic lighting and extinguishing control method of lighting.
KR1020040075757A 2004-02-02 2004-09-22 Automatc on/off switch KR1004944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757A KR100494430B1 (en) 2004-09-22 2004-09-22 Automatc on/off switch
EP05726307A EP1721327A4 (en) 2004-02-02 2005-02-01 Power saving switch
JP2006550957A JP2007520046A (en) 2004-02-02 2005-02-01 Automatic power saving switch
RU2006131579/09A RU2325047C1 (en) 2004-02-02 2005-02-01 Low-power switch
CN2005800107972A CN1938803B (en) 2004-02-02 2005-02-01 Power saving switch
PCT/KR2005/000293 WO2005073993A1 (en) 2004-02-02 2005-02-01 Power saving switch
US10/588,245 US7679221B2 (en) 2004-02-02 2005-02-01 Power saving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757A KR100494430B1 (en) 2004-09-22 2004-09-22 Automatc on/off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430B1 true KR100494430B1 (en) 2005-06-10

Family

ID=3730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757A KR100494430B1 (en) 2004-02-02 2004-09-22 Automatc on/off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43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29B1 (en) 2005-02-18 2007-04-03 김효구 Automatic on/off switch for saving electric power
KR100760546B1 (en) 2005-06-02 2007-09-20 김효구 Sensing system for recognition of direction of moving body
KR101205693B1 (en) * 2010-08-24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ight Glass
KR101353544B1 (en) * 2011-04-26 2014-01-22 주식회사 스타크 Moving direction deci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60087439A (en) * 2015-01-13 2016-07-22 주식회사 보탬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CN106444462A (en) * 2016-12-02 2017-02-22 机械科学研究总院青岛分院 Water purifying equipment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120701A (en) * 2017-05-04 2017-09-01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A kind of range hood with human body intelligent identification function and gesture opera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29B1 (en) 2005-02-18 2007-04-03 김효구 Automatic on/off switch for saving electric power
KR100760546B1 (en) 2005-06-02 2007-09-20 김효구 Sensing system for recognition of direction of moving body
KR101205693B1 (en) * 2010-08-24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ight Glass
KR101353544B1 (en) * 2011-04-26 2014-01-22 주식회사 스타크 Moving direction deci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60087439A (en) * 2015-01-13 2016-07-22 주식회사 보탬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KR101701126B1 (en) * 2015-01-13 2017-02-03 주식회사 보탬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CN106444462A (en) * 2016-12-02 2017-02-22 机械科学研究总院青岛分院 Water purifying equipment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120701A (en) * 2017-05-04 2017-09-01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A kind of range hood with human body intelligent identification function and gesture op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546B1 (en) Sensing system for recognition of direction of moving body
WO2005073993A1 (en) Power saving switch
KR100494430B1 (en) Automatc on/off switch
CN1938803B (en) Power saving switch
KR100702829B1 (en) Automatic on/off switch for saving electric power
US20150022025A1 (en) Smart energy-saving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46837A (en) Smart switch system
JP2001185369A (en) Lighting control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US20190174611A1 (en) Light switch as touchless controller
KR200408566Y1 (en) Human Body Sensing Lamp with Wireless Distributed Control
KR20050102617A (en) Human body sensing lamp with wireless distributed control
KR1017011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JP2007026973A (en) Lighting system
KR100638523B1 (en) controller for automatic sliding door and its working method
KR100202925B1 (en) Automatic control apparatus for lighting device
KR200383690Y1 (en) Intelligent Sensor for Monitoring Direction of Movement of Living Creature
KR200391718Y1 (en) Switch structure for putting out the household lights in a lump
JPH08298187A (en) Facility equipment control device in house
KR20140100233A (en) Sensor lamp having and emergency lamp function
KR102667224B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Human Body Using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and Microwave Sensor
WO2013171695A1 (en) Device for interactive control
KR200400104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amp in bidet
KR200233491Y1 (en) Operating device for human bady-deteating sensor for lighting
KR200324757Y1 (en) Intensity of illumination linked type pyroelectric sensor bulb
KR101158471B1 (en) A multi-head apparatus for sensing occupants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multi-hea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