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464B1 -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464B1
KR100493464B1 KR1020040063138A KR20040063138A KR100493464B1 KR 100493464 B1 KR100493464 B1 KR 100493464B1 KR 1020040063138 A KR1020040063138 A KR 1020040063138A KR 20040063138 A KR20040063138 A KR 20040063138A KR 100493464 B1 KR100493464 B1 KR 10049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attery
charger
guide rod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노하우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뱅크(주) filed Critical 노하우뱅크(주)
Priority to KR102004006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터리 팩이 삽입되는 파지공간을 가변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사이즈나 메이커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의하면, 전면이 파지공간을 이루며 전방을 향해 안내로드가 돌출되게 마련된 전방케이싱과, 이 전방케이싱의 전방측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되 파지공간을 가변시키면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파지하도록 배면측에 안내로드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후방케이싱과, 이 후방케이싱의 이동 상태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전,후방케이싱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충전기로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휴대단말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되며, 휴대폰 교체에 따라 불필요하게 충전기를 바꾸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충전기{A cellular phone charger can be used in comm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나 배터리 팩이 삽입되는 충전 슬롯의 크기를 가변시킴으로써 거의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 및 기타 모바일 장비를 크기나 메이커에 구애 받지 않고 충전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휴대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수단이기 때문에, 효율성 및 반복적인 사용을 감안하여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이러한 휴대단말기 중 널리 알려진 휴대폰용 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종래 충전기(101)는; 휴대폰(51) 또는 휴대폰 배터리(53)를 삽입하는 몸체(103)와, 이 몸체(103)에 교류전원을 연결하는 코드(105)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03)에는 배터리(53)를 휴대폰(51)과 조립된 상태로 충전할 때 휴대폰(51)을 끼워 넣도록 되어 있는 본체 슬롯(107)과, 휴대폰(51)에서 떼어낸 상태로 배터리(53)를 충전할 때 삽입하는 배터리 슬롯(109)이 앞뒤쪽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3)의 내부에는 휴대폰 배터리(53)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기판(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 슬롯(107)과 배터리(109)에는 하단 부분에 복수의 충전단자(111)가 돌출 설치되어 배터리(53)의 충전단자(미도시)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3)의 후단에 연결되는 코드(105)는 끝부분에 플러그(113)가 구비되어 콘센트(55)를 통해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폰(51)은 제조회사에 따라 또는 같은 제조회사라도 모델에 따라 각기 크기나 형태가 상이하므로 충전 시 휴대폰(51)이 끼워 맞춤되는 휴대폰 충전기(101)의 크기와 형태도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당연히 하나의 충전기(101)로는 그와 짝을 이루는 휴대폰(51) 하나만을 충전할 수 있게 될 뿐 다른 종류의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휴대폰을 교체하는 경우 한 짝의 휴대폰 충전기도 함께 구입하여야 하고, 종전에 사용하던 충전기는 불가피하게 폐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새 기종의 충전기 구입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사용 가능한 구기종의 충전기를 폐기함에 따라 상당한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크기나 형태가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 및 배터리를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 교체에 따라 새로 충전기를 구입하고 기존 충전기를 폐기하게 되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언제 어디서나 기종에 관계없이 하나의 충전기로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는 충전회로가 배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파지공간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회로와 접속되는 충전전극을 갖춘 휴대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이 상기 파지공간을 이루며 전방을 향해 안내로드가 돌출되게 마련된 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의 전방측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공간을 가변시키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파지하도록 배면측에 상기 안내로드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후방케이싱과, 상기 후방케이싱의 이동 상태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케이싱의 전면 하방에는 상기 파지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받침판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판 상부의 상기 전방케이싱 전면에는 상기 충전전극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케이싱의 배면에는 휴대단말기를 상기 파지공간의 중심부위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곡면의 센터링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안내로드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래칫 이와, 상기 후방케이싱의 측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래칫 이에 이물림되는 래칫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케이싱 내부에는 상기 안내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기를 널리 알려진 휴대폰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1)는 휴대 단말기(51;이하에서는 휴대폰이라 함) 또는 단말기 배터리(53)가 삽입되는 본체(3)와, 이 본체(3) 내부의 충전회로(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우선 전원공급수단(5)으로는 단말기 배터리(53)를 충전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충전기처럼 코드(6)와 플러그(13)를 통해 교류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체(3) 일측에 건전지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충전기(1)를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코드(6) 등 전원공급수단(5)은 충전회로(7;PCB)의 위치에 따라 본체(3)의 전방 또는 후방 어느 쪽으로도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시된 것처럼 충전회로(7)가 본체(3)의 전방에 위치할 때는 전방케이싱(11)에, 반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3)의 후방에 위치할 때는 후방케이싱(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충전기(1)는 충전을 위해 휴대폰(51)이나 배터리(53)를 삽입하는 본체(3)가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케이싱(11,12)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2개의 케이싱(11,12)은 한 쪽(11)이 안내로드(23)를 통해 다른 한 쪽(12)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중간에 형성된 파지공간(9)에 삽입되는 휴대폰(51)이나 휴대폰 배터리(53)를 밀착 파지하여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먼저 도면 상 앞쪽인 본체 케이싱(11) 즉, 전방케이싱(11)은 도면 상 뒤쪽인 본체 케이싱(12) 즉, 후방케이싱(12)을 향한 후면의 하단에 받침판(15)이 부착되어 있다. 이 받침판(15)은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전방케이싱(11)의 후면과 후방케이싱(12)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공간(9)의 바닥을 이루도록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결과적으로 파지공간(9)에 삽입되는 휴대폰(51)이나 배터리(53)를 지지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케이싱(12)에 대해 전방케이싱(11)을 최대한 빼낸 상태에서도 파지공간(9)의 바닥에 빈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폭과 길이를 가진다. 받침판(15)은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방 한 쌍의 케이싱(11,12)이 휴대폰(51)이나 배터리(53)를 파지하기 위해 밀착될 때 후방케이싱(12)의 저면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한다. 이 때 외팔보 형태의 받침판(15)을 후방케이싱(12)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33)로 삽입되도록 하여 후방케이싱(13) 바닥면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파지공간(9)에 삽입된 휴대폰(51)이나 배터리(53)의 하중을 후방 케이싱(12)과 분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케이싱(11)에는 후면의 받침판(15) 바로 위쪽으로 한 쌍의 충전단자(17)가 좌우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있고, 후면 중상단에는 고탄력의 지지대(帶)(3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충전단자(17)는 도 7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휴대폰의 종류에 따라 위치나 크기에 편차가 있는 대부분의 휴대폰 배터리(53) 전극단자(55)에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도 좌우로 충분히 길고, 폭도 위아래로 충분히 넓게 되어 있으며, 경사면에 배치된 전극단자(55)에도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인 통모양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다. 충전단자(17)는 더욱이 밋밋한 표면을 도 7과 같이 다수 개의 접촉판(19)을 갖는 톱날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전극단자(55)와의 접촉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35)는 충전 시 전,후방케이싱(11,12)에 의해 파지공간(9)에서 가압되는 휴대폰(51)이나 배터리(53)를 충전단자(17)와 호응하여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고무 등과 같은 고탄력의 지지 수단으로서, 뒤쪽으로 돌출된 충전단자(17)에 의해 가압되는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의 상단 부분을 뒤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의 윗부분이 앞쪽으로 기우는 것을 막아 준다.
전방케이싱(11)의 후면에는 전방케이싱(11)과 후방케이싱(12)을 연결하는 안내로드(23)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안내로드(23)는 전방케이싱(11)을 후방케이싱(12)으로 미끄럼 안내할 수 있으면 어떤 위치나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단면 직사각형의 기둥으로 전방케이싱(11) 후면의 중단 부분 좌우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로드(23)의 후단에는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것처럼 내측면에 걸림돌기(37)가 돌출되어 안내로드(23)가 후방 케이싱(12)의 안내공(25)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전방케이싱(11)과 함께 본체(3)를 형성하도록 전방케이싱(11)과 마주보고 있는 다른 쪽 케이싱 즉, 후방케이싱(12)은 전방케이싱(11)의 안내로드(23)와 대응하도록 좌우변의 중앙에 한 쌍의 안내공(25)이 관통되어 안내로드(23)와 함께 전방케이싱(11)을 앞뒤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방케이싱(12)은 전방케이싱(11)을 향한 전방면에 원호 형태로 만곡된 센터링 홈(2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센터링 홈(21)은 파지공간(9)에 삽입된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가 전방케이싱(11)에 의해 뒤쪽으로 밀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 후방케이싱(11,12) 사이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전방케이싱(11)의 이동에 따라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를 점차 파지공간(9)의 중심선 즉, 전후방 케이싱(11,12)의 중심선 상에 위치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이 센터링 홈(21)의 외면에는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이나 손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완충패드(39)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내로드(23) 및 안내공(25)에 의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본체(3)의 전후방 케이싱(11,12)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폰(51)이나 배터리(53)를 가압 파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잠금수단을 필요로 하는 바, 이러한 잠금수단으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래칫타입 잠금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칫타입 잠금수단은 안내공(25)에 삽입된 안내로드(23)를 소정의 위치에 걸어 고정하기 위해 안내로드(23)의 외측면에 가공된 복수의 래칫 이(27)와, 안내공(25)의 인접 측면 외벽(31)에 장착된 래칫 폴(29)로 이루어져 있으며, 래칫 폴(29)이 래칫 이(27)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래칫 폴(29)이 장착된 외벽(31)에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래칫 이(27)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두께의 휴대폰(51)에서 최소 두께의 배터리(53)까지 거의 모든 두께의 휴대폰(51)과 배터리(53)를 망라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안내로드(23)의 왕복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충분한 갯수로 가공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1)의 관통공(41) 인접면에 장착된 래칫 폴(29)은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앞쪽 끝에 래칫 이(27)와 물리는 걸림훅(44)이 뾰족하게 꺾여 있고, 반대쪽 끝에 깔주기면(45)이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래칫 폴(29)을 래칫 이(27) 쪽으로 가압하도록 힌지축(43) 중심에 비틀림 스프링(46)이 장착되어 있다. 아울러, 안내공(25) 안으로 삽입된 안내로드(23)를 항상 안내공(25) 바깥쪽으로 즉, 앞쪽으로 가압하도록 안내로드(23)의 단부에는 복수의 스프링부재(30)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상하 2 개의 스프링공(47)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 즉, 스프링부재(30)가 접촉되는 후방케이싱(12) 내벽면 상에는 스프링부재(30)를 일정 위치로 구속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48)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충전기(1)로 휴대폰(51) 또는 휴대폰에서 따로 분리시킨 배터리(53)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의 전방케이싱(11)을 후방케이싱(12)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벌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 때, 안내로드(23)는 도 5의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래칫 이(27)에 래칫 폴(29)의 걸림훅(44)이 걸리지 않도록 래칫 폴(29)의 깔주기면(45)을 가압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전 후방케이싱(11,12)이 충분히 이격되어 사이에 충분한 크기의 파지공간(9)이 형성되면 이 공간(9)에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를 도 2 및 3과 같이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후방케이싱(12)을 고정시킨 채로 전방케이싱(11)을 가압하면 안내로드(23)와 받침판(15)은 안내공(25)과 개구부(33)를 통해 점차 후방케이싱(12) 안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전방케이싱(11)은 점차 후진하여 파지공간(9)의 길이를 점차 줄이다가 후면 일측이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안내로드(23)는 도 5의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래칫 이(27)와 래칫 폴(29) 간에는 걸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전방케이싱(11)에 일부분이 접하게 된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는 전방케이싱(11)을 따라 함께 밀려가다가 결국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케이싱(11,12) 사이에 가압 파지되는데, 이 과정에서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는 센터링 홈(21)에 의해 자동적으로 후방케이싱(12)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배터리(53)의 전극단자(55)가 전방케이싱(11)의 충전단자(17)에 밀착되게 되면 비로소 충전이 개시된다. 이 때 전방케이싱(11)은 안내로드(23)가 래칫 이(27)와 래칫 폴(29) 간의 결합으로 인해 전진이 불가하므로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의 파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후의 충전과정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충전기의 충전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충전이 종료되면 도 6의 상태에서 후방케이싱(12) 양측면의 래칫 폴(29)을 눌러 래칫 이(27)와의 물림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전 후방케이싱(11,12) 사이에 파지되어 있던 휴대폰(51) 또는 배터리(53)를 빼낼 수 있게 되며, 이 때 안내로드(23)는 스프링공(47)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부재(30)의 반발력으로 인해 신속히 도 2의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충전단자(17)에 휴대폰의 배터리(53)측 전극단자(5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충전회로(7)에서는 배터리(53) 전극단자(55)의 극성 및 용량을 감지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기종이 다른 배터리(53)이 다른 것이라 하더라도 충전회로(7)에서 이를 감지하여 적절히 충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본 출원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02916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의하면, 충전기의 본체를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전후방 2개의 케이싱으로 형성함으로써 충전 시 휴대폰이나 휴대폰 배터리가 삽입되는 파지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휴대폰 배터리를 휴대폰이나 배터리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폰 또는 배터리의 제조사나 모델에 상관하지 않고 하나의 충전기로 대부분의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되어 휴대폰 교체에 따라 충전기를 추가로 구입하거나 기존 충전기를 폐기하여야 하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휴대폰 충전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물론, 휴대폰 이외에 충전이 필요한 모든 모바일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최대 개방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 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 3, 4에 도시된 충전전극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충전기 3 : 충전기 본체
5 : 전원공급수단 6 : 코드
7 : 충전회로 9 : 파지공간
11, 12 : 전방 및 후방 케이싱 13 : 플러그
15 : 받침판 17 : 충전전극
21 : 센터링 홈 23 : 안내로드
25 : 안내공 27 : 래칫 이
29 : 래칫 폴 35 : 지지대
37 : 걸림돌기 39 : 완충패드
41 : 관통공 51 : 휴대폰
53 : 배터리 55 : 전극단자

Claims (5)

  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는 충전회로가 배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파지공간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회로와 접속되는 충전전극을 갖춘 휴대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이 상기 파지공간을 이루며 전방을 향해 안내로드가 돌출되게 마련된 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의 전방측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공간을 가변시키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파지하도록 배면측에 상기 안내로드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후방케이싱과,
    상기 후방케이싱의 이동 상태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케이싱의 전면 하방에는 상기 파지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받침판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판 상부의 상기 전방케이싱 전면에는 상기 충전전극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싱의 배면에는 휴대단말기를 상기 파지공간의 중심부위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곡면의 센터링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안내로드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래칫 이와,
    상기 후방케이싱의 측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래칫 이에 이물림되는 래칫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싱 내부에는 상기 안내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1020040063138A 2004-08-11 2004-08-11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10049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138A KR100493464B1 (ko) 2004-08-11 2004-08-11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138A KR100493464B1 (ko) 2004-08-11 2004-08-11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464B1 true KR100493464B1 (ko) 2005-06-07

Family

ID=3730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138A KR100493464B1 (ko) 2004-08-11 2004-08-11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75237A1 (en) * 2018-05-17 2021-03-11 Bronine Co., Ltd. Battery charg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75237A1 (en) * 2018-05-17 2021-03-11 Bronine Co., Ltd. Battery charg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32642Y (zh) 电动工具电池的适配器
JP5143743B2 (ja) 無線機器用バッテリーパックのロック構造
JP2511734B2 (ja) バッテリ案内および支持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充電器
JP6581824B2 (ja) 電池パック
TWI718295B (zh) 充電裝置
CN1138281A (zh) 便携电子装置及其耦合电源的方法
JP2001351592A (ja) 充電式電動工具
KR100493464B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CN213097691U (zh) 自充电手持推杆吸尘器组件
KR200165245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KR100513193B1 (ko) 배터리 교환 기기, 배터리 교환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474284B1 (ko) 휴대폰의 배터리 결합구조 및 그 방법
JP4346169B2 (ja) 携帯用のゲーム機器の充電スタンド
CN113749559A (zh) 自充电手持推杆吸尘器组件及其自充电方法
KR200190767Y1 (ko)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19990040864U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CN219779154U (zh) 电池串联连接装置
CN214396613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CN216215937U (zh) 充电宝
CN210053229U (zh) 一种便于固定手机的无线式移动电源
EP4293805A1 (en) Battery pack, external device, and electrical combination
CN218242307U (zh) 导电端子
CN214045088U (zh) 一种电源的充电装置
CN212540449U (zh) 一种手持便携式电阻测试仪锂电池的安装结构
CN209770233U (zh) 一种具有电池便捷插装结构的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