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415B1 -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및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및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415B1
KR100493415B1 KR10-1999-0043587A KR19990043587A KR100493415B1 KR 100493415 B1 KR100493415 B1 KR 100493415B1 KR 19990043587 A KR19990043587 A KR 19990043587A KR 100493415 B1 KR100493415 B1 KR 10049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reactor
engine
internal combustion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953A (ko
Inventor
마틴람버트 쇠렌센
닐스 켐스트럽
Original Assignee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0002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Supercharger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연기관(1)은 배기가스의 NOX 함량의 감소를 위한 반응기(11)를 갖는다. 반응기는 그 하우징에 촉매 재료를 수용한다. 반응기(11)는 그 최대 용량에서, 엔진의 전부하에서의 배기가스 유량의 부분적인 유량만을 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및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REACTOR FOR REDUCTION OF THE NOχ CONTENT IN THE EXHAUST GAS, AND A METHOD}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감소용의, 하우징에 수용된 촉매재료를 포함하는 반응기를 구비한 내연기관, 특히 2행정 크로스헤드 엔진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반응기를 갖는 엔진은 본원 출원인의 WO 94/04804에 소개되어 있으며, 그 반응기는 배기가스 수집기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전체 배기가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응기를 우회하는 관을 설치하여 엔진 부하가 변화될 때 배기가스의 일부 또는 상당부분을 일시적으로 우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경상 바람직하지 못한 질소산화물 성분의 엔진 배기가스내 함량은, 연소과정에 의한 질소산화물(NOX) 성분의 발생을 제한하는 소위 근본적인 방법들에 의해 어느정도 감소될 수 있다. 그러한 근본적인 방법들은 질소산화물 성분들의 방출에 대한 고정된 한계값들을 준수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불필요한 성분들을 감소시키는 반응기를 엔진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모든 공지된 반응기는 엔진의 전부하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량의 처리를 위한 크기로, 즉 용량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반응기를 사용해야 할 때는 근본적인 감소방법의 사용을 하지 않거나 제한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반응기는, 예를들어 GB 2278068 A 또는 EP 0861972 A1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개의 부속 장치들로 구분될 수 있으나, 모든 배기가스는 반응기를 통과하는 사실은 변경될 수 없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반응기"라는 용어는, 촉매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에서의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배기장치 부분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출되는 배기가스내의 최대 질소산화물 함량에 대한 환경적인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내연기관 설계에 대한 대응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은,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가 엔진 전부하(MCR)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flow) 중의 일부의 유량만을 정화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을 갖도록 설계되고, 그 결과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 중의 나머지 부분의 유량(flow)은 상기 NOx 함량의 감소를 위한 반응기를 통과함이 없이 외기(外氣)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는, 방출되는 배기가스 안의 최대 NOx 함량에 관한 환경적 기준 요건들(requirements)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종래 기술의 반응기들 보다 훨씬 쉽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경제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반응기의 체적과 중량은 촉매 재료의 체적과 반응기에 요구되는 최대 용량에 따른다. 반응기 용량의 크기는 반응기가 엔진의 전체 배기가스의 일부분만을 정화시킬 수 있는 정도이므로, 반응기의 크기와 중량이 그것의 사용에 관심을 갖게 할 정도로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에너지면에서의 잇점은, 배기가스의 일부분만이 반응기를 관통하여 유동하게 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 노출되어 과급되는 배기가스의 압력 저하가 방지됨으로써 얻어진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반응기는 또한, 일정기간 사용후 질소산화물의 방출 제한 요구를 받게 되는 선박등의 엔진 설비의 교체 장비로서 사용될 수 있는 특별한 잇점을 제공한다. 그러한 엔진 설비는, 통상저으로 이용가능한 공간이 매우 협소한 기관실에 장착된다. 더욱이, 선박 엔진의 경우, 최초의 기관실에 이웃하여 여분의 기관실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 엔진들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새로운 한계값들내에서 작동하도록 전적으로 사용하던 근본적인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반응기 하우징의 인입관은, 엔진의 터보과급장치들로의 배출관들과 독립하여 엔진의 배기가스 수집기에 접속되고 송풍기와 같은 펌프부재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 수집기에 반응기 하우징의 별개로 연결하는 것은 터보과급장치로 하여금 최대한 일정한 작동조건으로 작동하게 하는 한편, 반응기로의 배기가스 유동을 비교적 균일하게 하고 보다 독립되게 터보 과급장치로 배기가스가 유동하게 한다. 송풍기는 반응기를 통해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강하되는 것과 적어도 같은 크기로 압력을 증가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입관은 펌프부재의 상류측에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여 환원제를 배기가스로 공급하도록 한다. 펌프부재의 통로에서, 환원제가 첨가된 배기가스가 교반됨에 따라 배기가스내의 환원제가 보다 균일하게 혼합되게 함으로써 촉매작용을 더욱 촉진시킨다. 펌프부재는 다른 별도의 처리없이 요구되는 배기가스와 환원제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지만, 펌프부재가 아닌 혼합장치가 반응기의 상류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배기가스의 정화된 부분적인 유량을 터보과급장치의 하류측에서 정화되지 않은 배기가스에 혼합되게 귀환시킬 수 있지만, 그러나 전체 배기가스가 터빈에서 팽창하도록 터보과급장치의 상류측에서 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응기 하우징의 인입과 및 배출관들이 배기가스 수집기의 양측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화된 부분적인 배기가스 유량이, 배기가스가 터보과급장치로 유동하기 전에 정화되지 않은 배기가스 부분속으로 유동하여 혼합됨으로써 배기가스가 양호하게 혼합되며 외기로 방출되는 배기가스내의 매우 균일한 질소산화물 함량을 제공하게 되어 혼합물배기가스의 부분적인 유량이 반응기를 통과하였음이 방출되는 배기가스에서 탐지될 수 없다. 배기가스 수집기의 양측 단부들에 인입관과 배출관을 연결하는 것은 반응기의 부분적인 배기가스 유량의 분기와 귀환 사이에 비교적 넓게 분리되어 있어서 배출관으로 부터의 정화된 배기가스가 인입관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간단한 실시예에서, 반응기 하우징은 배기가스 수집기 속에 배치되며, 따라서 반응기 하우징의 내외측의 압력이 동일하게 됨으로써 반응기 하우징을 배기가스의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압력용기로서 제조하는 대신에 단순한 하우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어도 배출관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은 배기가스 수집기의 일측 단부 플레이트 부근의 내측에 위치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파이프부분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며, 또는 반응기가 수집기의 단부 플레이트 부근에 배치되고 배출관이 반응기 하우징의 배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인입관은 수집기 내측에 자유 단부를 갖는 파이프부분으로 될 수 있으며, 그 인입관의 일부분을 수집기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여기에 펌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펌프부재의 보수유지를 위해 보다 직접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구동모터가 배기가스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부식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저온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배기가스의 일부 유량을 반응기를 통해 송급하기 위해 능동형 펌프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반응기 하우징의 인입관과 배출관들은 고정된 오리피스의 양측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터보 과급장치의 상류측에 있는 배기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고정된 오리피스는 반응기를 통과하지 않는 배기가스의 일부유량의 압력 강하를 발생시키게 되어서 반응기의 인입관과 배출관들 사이의 압력차가 생겨 반응기를 지나는 배기가스의 유동저항을 극복하도록 한다. 이로써 반응기의 회로부분에서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흔히, 유해 물질과 관련하여 최대의 정화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는 배기가스의 일부 유량에 대하여 수행되는 사실과 달리, 그럼에도불구하고 엔진 전부하(MCR)에서 반응기는 그 인입구에서의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 함량의 60 - 85 % 를 그 배출구에서 제거하도록 반응기의 효율성을 한정하는 장점이 있다. 배기가스 수집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유량(flow)중의 일부의 유량에 대해서만 NOx의 함량을 저감하는 정화(purification)가 수행되며, 이러한 새로운 구상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가 보다 작은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성능상 및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이것은 반응기 크기의 제한을 허용하는 한편, 반응기 재료와 첨가되는 환원제가 효율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반응기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하여 그리고 반응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반응기 하우징의 인입구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부분적인 흐름은 엔진의 전부하에서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60 %를 최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엔진의 전부하 운전시에 소정의 백분율(A %) 만큼 질소산화물에 대한 상한값을 초과하는 NOX 함량을 갖는 배기가스를 발생하는 내연기관에서,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가 엔진 전부하(MCR)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flow)중의 일부의 유량만을, 즉,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소정 백분율(A %)의 1 - 5배 범위의, 그러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60%를 넘지 않는 최대의 부분적인 유량만을 정화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을 갖도록 설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 중의 나머지 부분의 유량(flow)은 상기 NOx 함량의 감소를 위한 반응기를 통과함이 없이 외기(外氣)로 배출되도록 되도록 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 감소용 반응기는 엔진 전부하(MCR)에서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소정 백분율(A %)의 1 - 5배 범위의, 그러나 전체 배기가스의 60%를 넘지 않는 최대의 부분적인 유량을 정화시키는 정도의 최대용량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으로, 비정화된 질소산화물 함량은 5 - 10 % 만큼 상한값을 초과하며, 이것은, 상기 부분적인 유량이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A %의 2 - 5 배로 이루어지는 경우 현재의 상한값까지는 상당한 여유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반응기 용량, 즉 크기가 선행기술의 반응기 크기의 절반 미만으로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반응기는 엔진 전부하에서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소정 백분율(A %)의 1.2 - 3 배 범위의 부분적인 유량을 최대로 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최대 용량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배기가스에 대한 상기 부분적인 유량 범위에서 A %의 1.2 배의 하한값은, 배기가스의 일부 유량에 포함된 전체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제거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제한될 정화된 배기가스와 함께 환원제의 방출을 허용한다. A %의 3배의 상한값은 반응기가 선행기술의 것들보다 상당히 작게, 예를들어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1/3 보다 작은 크기로 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반응기 크기의 한계를 감안하여, 반응기는 엔진의 전부하에서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최대 25 %의 부분적인 유량을 정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최대 용량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원제 첨가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이러한 제어는 반응기의 하류측에서 배기가스의 잔류 질소산화물 함량의 계속적인 측정에 기초한 피드백(feedback) 신호에 의해 조정되었다. 배기가스의 일부 유량만이 정화되며 반응기가 전체적으로 이용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반응기에서 정화될 부분적인 배기가스 유량에의 환원제 첨가량은 엔진 부하에 기초하여 피드-포워드 제어(feed-forward control)에 의해 조정되는 점에서 단순화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힌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 1로 대체적으로 표시된 내연기관은 발전소의 제너레이터용 구동모터로서 또는 선박의 주기관으로서 사용되는 2행정 크로스헤드 엔진이다. 그러한 엔진은 전형적으로 연료로서 중유를 사용한다. 그러한 엔진은 또한 3,000 - 70,000 kW와 같이 큰 공칭 출력을 가지며, 250 rpm 이하, 전형적으로는 150 rpm 이하의 저속의 엔진이다. 그 엔진은 복수개의 실린더(2)를 포함하며, 각각의 실린더는 파이프(4)를 통해 배기가스 수집기(5) 내측으로 개방된 출구에서 종결되는 배기 통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3)를 가지며 (제 4도 참조), 상기 배기가스 수집기(5)는 복수개의 실린더들로 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수용하고 각각의 과급장치(7)에 이어지는 중간 파이프(6)들로 배기가스를 전달한다. 상기 과급장치의 터빈(8)에서, 배기가스는 팽창하여 엔진의 흡기 공기의 과급 압력 형성을 위한 압축기(9)를 구동한다.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연결 배기관(10)을 거쳐 외기로 배기된다.
배기가스 수집기(5)는 압력용기이며, 예를들어 11 개의 실린더를 갖는 엔진의 경우 1 - 6 번 실린더로 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용기와 7 - 11 번의 실린더로 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용기와 같이 복수개의 용기들로 분할될 수 있다. 과급장치의 수는 엔진 실린더의 수에 따르며, 통상적으로는 4 - 실린더 엔진에는 하나의 과급장치가 제공되고 6 - 실린더 엔진에는 2개의 과급장치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통하여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의 감소용 반응기(11)가 엔진에 제공된다. 그 반응기 자체는 잘 알려진 유형이며, 예를들어 덴마크의 제조사인 할도를 톱세의 소위 SCR 반응기로 될 수 있다. 반응기 하우징은 10 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압력 용기이다. 그 반응기 하우징은 배기가스 수집기 보다 상당히 작으며 어디에든 충분한 공간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이프 연결을 짧게 하기 위하여, 배기가스 수집기에 직각으로 예를들어 배기가스 수집기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인입관(13)이 배기가스 수집기의 일단부로 부터 나오며 펌프부재(14)를 구비하여 수집기의 배기가스 흐름의 일부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가압하여 반응기의 촉매재료를 통하여 반응기 하우징의 타단부로 부터 배출되게 하며, 그로부터 배기가스 수집기의 타단부에 연결된 배출관(15)은 정화된 배기가스를 수집기로 귀환시키고, 그 배기가스 수집기에서 정화된 배기가스와 정화되지 않은 배기가스가 혼합되어 중간 파이프(6)를 거쳐 배기장치를 통하여 전방으로 유동한다.
펌프부재(14)의 상류측에는 질소산화물 환원제의 공급을 위해 인입구(13)에 노즐(16)이 있으며, 상기 환원제는 암모니아 또는 요소 수용액이거나, 또는 무수 암모니아액과 같은 암모니아를 기초로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변형예는 배기가스 수집기와 반응기 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과 동일 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2와 도 3에서, 반응기 하우징(12)은 배기가스 반응기(5)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압력 용기로서 구성될 필요가 없다. 도 2에서, 인입 및 배출관들은, 인입 및 배출 구멍들을 갖는 자유단부가 배기가스 수집기의 단부판들에 근접하기에 적당한 길이로 되며, 상기 펌프 부재(14)는 배기가스 수집기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인입관은 배기가스 수집기의 단부로 부터 나오며, 수집기 외부에는 펌프부재(14)와 노즐(16)이 배치된 외측 부분(13')을 갖는다. 인입관은 배기가스 수집기의 벽을 관통하며 내측부분(13")으로 반응기 하우징에 연속된다.
도 4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서, 인입관(13)은 배기가스 수집기(5)에 연결되며, 배출관(15)은 고정된 오리피스(17)가 제고된 중간 파이프(6)에 연결되고, 고정된 오리피스(17)는 그 하류측에서 배기가스의 압력 강하를 발생시킨다. 중간 파이프로의 연결은, 도관(15)이 복수개의 또는 모든 중간 파이프들에 연결되도록 분기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중간 파이프들은 연결부분의 상류측에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의 질소 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엔진 배기가스 중의 NOx의 정화정도 및 NH3 의 감소 정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기가스 수집기(5)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유량(flow)중의 일부의 유량에 대해서만 NOx의 함량을 저감하는 정화(purification)가 수행되며, 이러한 새로운 구상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가 보다 작은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성능상 및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에 설치되는 반응기의 크기 및 그 반응기안의 촉매물질은 그 크기를 적게 하여도 되는데, 이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전체 유량 중에서 실제적으로 상기 질소산화물 함량 저감용 반응기를 통하여 흐르는 부분적인 배기가스 유량에 대해서만 정화(purification)가 수행되도록 그 정화의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비로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 전부하(MCR)상태에서의 상기 반응기에 의한 배기가스 중의 NOx 성분의 제거율은, 그 반응기의 출구 구멍에서 측정하면, 그 입구 구멍에서의 배기가스 중에 들어있던 NOx 함량의 60-85% 만이 제거되는 것으로 되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질소 산화물 함량 저감용 반응기의 효율성이 그만큼 한정되는 셈이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은, 종래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가 장착된 내연기관의 경우에 비해, 훨씬 작은 반응기와 반응기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반응기에 공급되는 환원제(reducing agent)의 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가진 내연기관에서는, 그 반응기를 통해 흐르는 배기가스의 유량으로부터 NOx 함량을 100% 제거하기 위해서 보다 큰 촉매 부피를 가진 큰 반응기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를 이용한 내연기관은 훨씬 작은 반응기와 반응기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환원제의 양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내연기관보다 배기가스 중의 NOx 함량을 감소하는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점은 도5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비가스유량(m3/h)에 대한 반응기의 크기는 촉매 재료의 활성도, 질소산화물 감소의 요구되는 정도, NH3와 NOX의 질량비 및 정화된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NH3의 허용가능한 상측 제한수치등에 따라 정해진다는 사실은, 본원 출원인의 "2행정 저속 디젤기관의 방출 제어"라는 제목의 공보에서와 같이 잘 알려져 있다. 질소산화물의 감소는 반응기로의 배기가스 유량에서 반응기에서 제거된 질소산화물 함량의 백분율로 표시한다. 이런 사실은 도 5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그래프 b는 5,000 Nm3/m3h 의 공간속도 NHSV(입방미터 단위의 촉매재료 체적 및 시간당 관통하여 유동하는 규정된 입방미터 체적의 배기가스)에서의 NOX의 감소를 표시하는 반면, 그래프 a는 10,000 Nm3/m3h 의 공간속도에서 NOX의 감소를 표시한다. 그래프 c는 그래프 a에 대응하는 NH3 슬립을, 비정화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과 첨가된 암모니아 체적 사이의 비율의 함수로서 표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반응기의 최대용량을 언급할 때, 이것은 NH3 슬립(slip)에 대한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갖는 반응기가 미리 설정된 정화정도로 정화할 수 있는 관통하여 유동하는 가스 체적(m3/h)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용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6개의 실린더를 가진 2행정 크로스헤드 엔진은 94 rpm의 속도에서 34,320 kW의 공칭 최대 연속 속도(MCR)를 갖고, 전부하에서 엔진은 313,800 m3/h의 배기가스 유량을 발생한다. 엔진의 비정화된 배기가스는 17.0 g/kWh 이며, 이것은 2 g/kWh 까지 감소시킬 것이 요구된다. 도 5의 그래프 b에 대응된 공간 속도에서 80%의 질소산화물 감소의 미리 설정된 정화 정도로 그리고 5 ppm의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하의 최소 NH3 슬립만이 요구됨에 따라, 반응기는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14.7%에 해당하는, (313,800 ×2)/(17 ×0.8) m3/h = 46,147 m3/h 의 최대 용량을 위한 크기로 된다. 그때 반응기는 46,147/5,000 m3 = 9.23 m3 체적의 반응 재료를 포함해야 한다. 배기가스의 14.7%의 부분적인 유량은 요구되는 소정의 감소량(A %), 즉 11.76%의 1.25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것과 다른 엔진들, 예를들어 배기수집기를 갖지 않는 펄스 터보과급방식의 2행정 크로스헤드 엔진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응기는 일부 실린더들에서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관련된 터보과급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된 반면, 다른 실린더들로 부터의 배기가스는 터보과급기들로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진은 또한 500 - 6,000 kW의 출력을 갖는 중간속도의 엔진과 같은 4행정 엔진으로 될 수 있다. 더욱이, 펌프부재 앞에서 질소산화물 환원제를 첨가하는 대신에 그 뒤쪽에서 첨가할 수도 있으며, 또는 펌프 부재를 장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대형의 실린더 보어(적어도 200 mm 직경을 갖는 보어)를 갖는 엔진의 경우, 엔진의 배기가스에서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는, 엔진 전부하에서의 엔진의 배기가스중 일부분만을 반응기를 통해 정화시키고 나머지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기로 방출되도록 최대 용량을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기 크기는 소형의 장점을 가지며, 배기가스의 두 부분적인 유량들은 혼합되어 요구되는 한계값 이하의 질소산화물 함량을 갖는 공통의 흐름으로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수집기의 개략도.
도 3은 배기가스 수집기와 반응기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반응기가 배기가스 수집기와 평행하게 연결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NH3 감소 및 정화정도를 나타내는 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엔진 5 : (배기가스) 수집기
7 : 터보과급장치 11 : 반응기
12 : (반응기) 하우징 13 : 인입관
14 : 펌프 부재 15 : 배출관
16 : 노즐

Claims (13)

  1. 하우징(12)에 수용된 촉매 재료를 포함하는, 특히 저속 2행정 크로스헤드 엔진 배기가스의 NOx 의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는 엔진 전부하(MCR)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flow) 중의 일부의 유량만을 정화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을 갖도록 설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 중의 나머지 부분의 유량(flow)은 상기 NOx 함량의 감소를 위한 반응기를 통과함이 없이 외기(外氣)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NOx 의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하우징(12)의 인입관(13)은 엔진의 터보과급장치(7)로의 배출관들과 독립된 엔진 배기가스 수집기(5)에 접속되고 송풍기와 같은 펌프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13)은 환원제를 배기가스로 공급하도록 펌프부재(14)의 상류측에 적어도 하나의 노즐(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하우징의 인입관(13)과 배출관(15)은 배기가스 수집기(5)의 양측 단부들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하우징(12)은 배기가스 수집기(5)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13)의 펌프부재(14)는 배기가스 수집기(5)의 외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하우징의 인입관(13)과 배출관(15)들은 적어도 하나의 터보과급장치(7)의 배기장치의 상류측에서 고정된 오리피스(17)의 양측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의 전부하(MCR)에서, 반응기는 그 배출구에서 인입구에서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NOX 함량의 60 - 85%를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9. 제 1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하우징의 인입구로 공급되는 배기가스 유량의 일부분은 엔진 전부하에서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최대 60%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10. 엔진의 전부하 운전시에 소정의 백분율(A %) 만큼 상한값을 초과하는 NOx 함량을 갖는 배기가스를 발생하는 내연기관에서 NOx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를 제공하여 내연기관 배기가스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응기는 엔진 전부하(MCR)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flow)중의 일부의 유량만을, 즉,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소정 백분율(A %)의 1 - 5배 범위의, 그러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60%를 넘지 않는 최대의 부분적인 유량만을 정화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을 갖도록 설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유량 중의 나머지 부분의 유량(flow)은 상기 NOx 함량의 감소를 위한 반응기를 통과함이 없이 외기(外氣)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엔진 전부하에서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소정 백분율(A %)의 1.2 - 3 배 범위의 부분적인 유량을 최대로 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최대 용량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엔진의 전부하에서의 전체 배기가스 유량의 최대 25 %의 부분적인 유량을 정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최대 용량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13. 제 10 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에서 정화될 부분적인 배기가스 유량에 환원제 첨가량은 엔진 부하에 기초하여 피드-포워드 제어(feed-forward control)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의 NOX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999-0043587A 1998-10-12 1999-10-09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및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0493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199801295 1998-10-12
DK199801295A DK199801295A (da) 1998-10-12 1998-10-12 Forbrændingsmotor med en reaktor til reduktion af NO x -indhold i udstødsgassen samt en fremgangsmå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953A KR20000028953A (ko) 2000-05-25
KR100493415B1 true KR100493415B1 (ko) 2005-06-07

Family

ID=810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587A KR100493415B1 (ko) 1998-10-12 1999-10-09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및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93161B2 (ko)
KR (1) KR100493415B1 (ko)
DK (1) DK1998012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098B1 (ko) 2012-03-15 2016-05-10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727970B1 (ko) * 2015-11-09 2017-05-02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밸브 배열체를 갖는 대형 2행정 엔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7455B (zh) * 2011-09-09 2016-08-24 日立造船株式会社 废气净化装置
JP5878860B2 (ja) * 2011-12-08 2016-03-08 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アンド・ターボ・フィリアル・アフ・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アンド・ターボ・エスイー・ティスクランド 排気ガス浄化機能を有するターボ過給式大型2ストローク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5753485B2 (ja) * 2011-12-13 2015-07-22 日立造船株式会社 尿素水噴霧構造
JP5295403B2 (ja) * 2012-03-02 2013-09-18 日立造船株式会社 船舶用排ガス脱硝反応容器および排ガス脱硝設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923A (ja) * 1992-02-06 1993-08-31 Hino Motors Ltd エンジン排ガスの触媒によるNOx低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923A (ja) * 1992-02-06 1993-08-31 Hino Motors Ltd エンジン排ガスの触媒によるNOx低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098B1 (ko) 2012-03-15 2016-05-10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727970B1 (ko) * 2015-11-09 2017-05-02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밸브 배열체를 갖는 대형 2행정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20426A (ja) 2000-04-25
KR20000028953A (ko) 2000-05-25
JP3493161B2 (ja) 2004-02-03
DK199801295A (da) 200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5057B1 (en) Exhaust-gas denitration system, ship equipped therewith,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haust-gas denitration system
KR101671271B1 (ko) 배기가스 정화기능을 갖는 대형 터보차지 2-행정 디젤 엔진
EP2612006B1 (en) Exhaust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US9719386B2 (en) Multi-lobed soot blower
US8250857B2 (en)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JP5349675B2 (ja) 排気ガス浄化機能を有するターボ過給式大型2ストロークディーゼルエンジン
EP2543837A1 (en) Exhaust purifica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6022213A1 (ja) 排気浄化装置
US20090007551A1 (en) Exhaust Gas Aftertreatment System
CN102695855A (zh) 往复式内燃机的废气净化方法和废气净化系统
KR100493415B1 (ko)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량 감소용 반응기를 갖는 내연기관 및 질소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US10287950B2 (en) Housing member for enclosing aftertreatment module of engine
KR20170113337A (ko) 배기 가스 후처리 시스템 및 내연 기관
CN101180455A (zh) 用于排气后处理系统的再生的方法
EP2527612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ship
CN212039866U (zh) 一种船舶尾气脱硝系统
JP7033000B2 (ja) 排ガス後処理システムおよび内燃機関
CN102116187A (zh) 一种用于柴油机尾气处理的催化转化器
CN109424403B (zh) 燃烧发动机系统
EP3030766B1 (en) Catalytic converter
WO2024063685A1 (en) An exhaust recirculation device for a 4-strok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CN114790956A (zh) 一种船用氨燃料发动机减排装置及控制方法
KR20220153600A (ko) 배기가스 탈질장치
JP201103848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KR20170099114A (ko) Scr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