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239B1 - 고압액체 성분의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 - Google Patents

고압액체 성분의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239B1
KR100493239B1 KR10-2003-0039943A KR20030039943A KR100493239B1 KR 100493239 B1 KR100493239 B1 KR 100493239B1 KR 20030039943 A KR20030039943 A KR 20030039943A KR 100493239 B1 KR100493239 B1 KR 10049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mponent
discharge
pressure
empty space
pressur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525A (ko
Inventor
정찬광
Original Assignee
(주)에코미스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미스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코미스트코리아
Publication of KR2004010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97Means for filling or refilling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5Piston pumps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용기내에 충진된 고압성 액체를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에 상관없이 동일한 양으로 분사하는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는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공급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배출부로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빈 공간부에 위치하면서 액상성분의 배출량을 결정짓는 배출량 결정부와; 상기 배출량 결정부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 발생부와; 상기의 탄성력 발생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량 결정부를 내리누르는 내림누름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고압액체 성분의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Injection apparatus for high pressure liquid substance and injection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압력용기내에 충진된 고압성 액체를 분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용기내에 고압으로 충진되어 있는 액체 성분을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에 상관없이 균일하고 정량만큼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 있는 분사 장치 및 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용기는 인간에게 유용한 각종의 액체성분을 고압으로 충진하고, 그 고압의 액체를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양만큼, 필요한 시간에 이용하기 위하여 고안된 소형의 밀폐용기이다. 또한, 이러한 밀폐용기에 소정의 액체성분이나 미세한 고체분말을 고압으로 충진한 다음, 그 충진된 성분을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소위 분사장치이다. 이러한 고압액체의 분사장치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오고 있다.
현재 이러한 분사장치로서 일반화되어 있는 것이 전자식 분사장치이다. 전자식 분사장치는 압력용기에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전자식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방시키고 폐쇄시키는 장치이다. 그에 관한 대표적인 사례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4668호 및 제1998-246699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16306호 및 제20-232581호를 예시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24668호 및 제1998-246699호에 의한 전자식 분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의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분사장치에 의하면, 이는 압력용기(1)에서 배출된 고압의 액체가 용액이송공(21)과 대기공(22)을 통하여 직접 노즐부(40)로 이송되어지고, 노즐부의 배출구(41)와 배출공(42)을 통하여 대기로 방출되어진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한 분사장치를 사용할 경우, 대기로 방출되어지는 고압의 액체는 압력용기(1) 내부의 압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상기의 분사장치는 압력용기(1) 내부의 압력이 고압일 경우와 저압일 경우에 상당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압력용기(1)를 처음 사용할 때와 같이 내부의 압력이 매우 높을 경우에는, 그 분사압력이 높을 수밖에 없고, 대기압과의 차이가 큰 만큼 많은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압력용기(1)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종래의 분사장치를 계속 사용함에 따라 압력용기(1) 내부의 압력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데, 그 내부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질수록 그 분사량은 급격히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분사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도 2는 상기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16306호 및 제20-232581호에 의한 전자식 분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의 등록실용신안 공보에 기재된 분사장치는 상기의 선행 공개공보에 기재된 분사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에 의한 종래의 전자식 분사장치는 압력용기(1)에 충진된 고압의 액체 또는 미세분말이 대기중으로 분출되어질 경우 그 압력차이로 인하여 상당한 양의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데, 도 2에 의한 전자식 분사장치는 그러한 소음을 감소시켜 주기 위해, 배출부(40)의 배출구(41) 내부에 스프링과 포핏밸브를 장착시키거나, 상기 배출구(41) 내부에 다공성 수지로 구성된 소음부재(44)를 장착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력용기(1)의 내부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그 압력차이를 상기의 스프링 및 포핏밸브에 의해 일부 상쇄시키거나, 상기의 소음부재(44)에 의해 일부 상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압력용기(1)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오히려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압력용기(1)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의 스프링 및 포핏밸브와 상기의 소음부재(44)가 압력용기(1)의 내부 압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대기압보다 훨씬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배출부(40)의 배출구(41)를 훨씬 빨리 닫아버리게 된다. 따라서, 비록 압력용기(1)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경우에도, 더 이상 그 내부의 액체 성분이나 미세한 분말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분사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478호에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공개특허 공보는 단지 청구범위와 도면만을 간단히 소개하고 있으며, 그 도면에 의할 경우에도 매우 복잡한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용기에 사용되는 분사장치는 압력용기의 압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므로, 사용시간이 경과되면 경과될수록 배출되는 액체 성분의 양이 점점 줄어들게 되어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액체 성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분사장치는 압력용기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여 그 내구성에 문제점이 다수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분사장치의 단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압력용기 내부 압력에 상관없이 균일한 양의 액체 성분을 대기중으로 방출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손쉽게 작동가능한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용기 내부의 액상 성분을 대기 중으로 균일한 양으로 배출하여 분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압력용기 내부의 액체 성분을 그의 내부 압력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 있는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는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공급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배출부로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빈 공간부에 위치하면서 액상성분의 배출량을 결정짓는 배출량 결정부와; 상기 배출량 결정부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 발생부와; 상기의 탄성력 발생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량 결정부를 내리누르는 내림누름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상 성분의 배출량 결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빈 공간부에 밀착되어 그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액상 성분 공급부를 개폐시키는 머리부와, 상기의 머리부와 함께 상기의 빈 공간부에 밀착되어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액상 성분 배출부를 개폐시키는 다리부와, 상기의 머리부 및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액상 성분 배출부는 액상 성분을 대기중으로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액상 성분 배출부와 분사 노즐이 결합되는 그 사이에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액상 성분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해주는 와류 형성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압 액체의 분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전문가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압 액체의 분사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압 액체의 분사장치(10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케이스(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몸체부(110)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11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몸체부(110)는 그의 바깥쪽 일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공급부(114)를 가지고 있으며, 액상 공급부(114)는 압력용기의 배출밸브에 결합되어, 압력용기에서 공급된 고압의 액상 성분을 상기의 빈 공간부(112)로 인입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압력용기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캔의 형태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충진된 액상 성분에 따라 그 용도가 결정되어지는데, 이러한 액상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프로판가스와 같은 액상 연료의 형태와 공기중에 분사하여 사용되는 화학방향제와 천연향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의 배출밸브와 액상성분 공급부(114) 사이의 결합관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의 몸체부(110)는 그의 바깥쪽 타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배출부(116)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액상 성분 배출부(116)는 상기의 빈 공간부(112)에 이미 충진되어 있는 액상 성분을 몸체부(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의 액상 성분 배출부(116)는 통상의 경우와 동일하게 액상 성분을 대기 중으로 분무할 수 있는 분사노즐(118)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빈 공간부(112)에 위치하면서 액상성분의 배출량을 결정짓는 배출량 결정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는 상기 몸체부의 빈 공간부(112)에 밀착되어 그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액상 성분 공급부(114)를 개폐시키는 머리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머리부(122)는 평상시에는 상기 액상 성분 공급부(114)의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액상 성분 공급부(114)를 개방시키고, 그로 인하여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경우 항상 상기의 빈 공간부(112)에 액상 성분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는 상기의 머리부(122)와 함께 상기의 빈 공간부에 밀착되어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액상 성분 배출부(116)를 개폐시키는 다리부(1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다리부(124)는 평상시에는 상기의 액상 성분 배출부(116)를 폐쇄시키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받아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의 머리부(122)가 액상성분 공급부(114)를 점차 폐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의 다리부(124)는 그 반대로 액상성분 배출부(116)를 점차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는 상기의 머리부(122)와 다리부(124)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12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연결부(126)는 머리부(122)와 다리부(124)를 서로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로 인하여 머리부(122)와 다리부(124)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몸체부의 빈 공간부(112) 내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왕복이동으로 인하여 동일한 양의 액상 성분이 상기 빈 공간부(112) 내에서 왕복이동을 하도록 해주며, 그 과정에서 액상 성분이 상기의 배출부(116)로 분출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100)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배출량 결정부(120)를 한쪽 방향(즉, 위쪽)으로 밀어내는 탄성력 발생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탄성력 발생부(13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량 결정부(120)를 탄성력에 의해 밀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배출량 결정부(120)의 머리부(122)가 액상성분 공급부(114)를 개방시켜서 압력용기 내부의 액상 성분이 분사장치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올 수 있게 해준다(도 3 참조). 또한, 상기의 탄성력 발생부(130)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4 참조),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어지면,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를 원래의 위치로 다시 이동시켜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100)는 상기의 탄성력 발생부(13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량 결정부(120)를 내리누르는 내림누름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내림누름부(140)는 상기의 몸체부(110)를 외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의 내림누름부(140)를 수동식 시스템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의 내림누름부(140)는 사용자가 위에서 눌러 작동할 수 있는 노브(142)와, 상기 노브에서 전달된 힘을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로 전달해주는 연결바(14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연결바(144)에는 보조 스프링(146)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의 보조 스프링(146)을 장착할 경우, 보조 스프링(146)은 사용자가 내리누른 힘을 그의 스프링의 두께만큼만 받아들이고, 사용자의 내리누르는 힘이 제거되어지면, 탄성력 발생부(130)와 함께 그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배출량 결정부(12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수동식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캠에 의한 기계적 시스템과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식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분사장치(100)를 기계적 시스템으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 소형 캠(도시되지 않음)을 상기 노브(142)의 위쪽에 장착하거나, 소형 캠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전자적 시스템으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를 역시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 충분한 것이다. 이러한 기계적 시스템이나 전자적 시스템은 오늘날 통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용하고 있는 이상,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 것임을 명백히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액상 성분 배출부(116)는 액상 성분을 대기중으로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118)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액상 성분 배출부와 분사 노즐이 결합되는 그 사이에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액상 성분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해주는 와류 형성판(11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사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지게 되며, 이는 본 발명의 분사장치를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먼저, 압력용기를 상기의 액상 성분 공급부(114)에 결합시킨다. 이때, 압력용기 내부의 고압 액체는 자연스럽게 몸체부(110)의 빈 공간부로 흘러들어오게 되고, 상기의 액상성분 배출부(116)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어진다. 이는 종래의 분사방법과는 현저하게 상이한 것으로서, 종래의 분사방법은 압력용기의 액상 성분이 곧바로 배출부로 분사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사방법은 압력용기의 액상 성분이 몸체부의 빈 공간부(112)에 일단 충진된 상태를 이루고 이 단계에서는 전혀 대기 중으로 분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력을 가한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은 수동식의 경우 사용자가 위에서 노브(142)를 누르는 것이고, 기계식의 경우에는 캠이 위에서 자동으로 상기의 노브(142)를 누르거나 배출량 결정부(120)를 누르는 것이며, 전자식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가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는 외부의 외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상기의 머리부(122)는 점차적으로 상기의 액상성분 공급부(114)를 폐쇄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의 다리부(124)는 점차적으로 액상성분 배출부(116)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상기 빈 공간부(112)에 충진된 액상 성분은 자연스럽게 상기 액상성분 배출부(116)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지는 것이다(도 4 참조). 또한, 이때 상기 빈 공간부(112)의 직경에 비해 상기 액상성분 배출부(116)의 직경이 현저하게 작으므로, 빈 공간부(112)에 충진된 액상성분은 상기의 와류 형성판과 분사노즐을 통하여 힘차게 대기 중으로 분사되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력을 계속 가하더라도,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는 상기의 보조 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는데(기계식의 경우 캠의 회전에 의해 그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전자식의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해 그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몸체부 내의 액상 성분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양은 항상 일정하게 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의한 분사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액상 성분의 분사단계에 있어서 그 배출량은 상기 머리부(122)의 행정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 압력용기의 압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에 전혀 상관없이 일정한 양으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외부에서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어지면, 상기의 탄성력 발생부(130)는 그 외력에 저항하여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를 위쪽으로 다시 밀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120)의 다리부(124)가 점차적으로 상기의 액체성분 배출부(116)를 폐쇄시켜 나가는 반면에, 상기의 머리부(122)는 점차적으로 상기의 액체성분 공급부(114)를 개방시켜 나가게 된다. 따라서, 압력용기 내부의 고압 액상 성분이 상기의 공급부(114)를 거쳐 빈 공간부(112)로 흘러들어오게 되고, 흘러들어온 액상 성분은 폐쇄된 배출부(116)에 의해 그 진행방향이 방해를 받게 되므로, 상기 몸체부의 빈 공간부(112)에는 다시 일정한 양만큼의 고압 액체성분이 충진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압력용기와 몸체부를 처음 결합하였을 경우의 액상성분의 충진된 상태와 동일하게 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100)는 이러한 액상 성분 충진단계와 액상성분 분사단계를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한 싸이클을 이루면서 압력용기 내의 액상 성분을 동일한 양 만큼 정확하게 대기중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는 압력용기에 충진된 액상 성분이 액체성분 공급부에 의해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있지만, 대기로의 배출은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과는 전혀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다. 즉, 유입된 액상 성분은 몸체부의 빈 공간부에 일단 충진되어지고, 그 이후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가 이동되어지고, 그 이동현상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는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매우 고압일 경우에도 전혀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는 매우 저압일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조금이라도 높을 경우에는 항상 그 압력차이에 의해 액상 성분이 몸체부의 빈 공간부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빈 공간부에 충진된 액상 성분은 외부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이 거의 대기압과 동일하게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액상 성분을 거의 완전하게 분사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외부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액상 성분이 대기중으로 분사되어지므로,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에 전혀 상관없이,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는 무엇보다도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작동관계가 간단하고,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를 천연향의 분사장치로 이용할 경우,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다른 종래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통상의 상태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외압을 받아 내리누름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발명의 분사장치, 110 : 몸체부,
112 : 빈 공간부, 114 : 액상성분 공급부,
116 : 액상성분 배출부, 120 : 배출량 결정부,
122 : 머리부, 124 : 다리부,
126 : 연결부, 130 : 탄성력 발생부,
140 : 내림누름부, 142 : 노브

Claims (7)

  1. a).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빈 공간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공급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액상 성분 배출부로 구성된 몸체부와;
    b). 상기 몸체부의 빈 공간부에 위치하면서 액상성분의 배출량을 결정짓는 배출량 결정부와;
    c). 상기 배출량 결정부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 발생부와;
    d). 상기의 탄성력 발생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량 결정부를 내리누르는 내림누름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액체성분의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성분의 배출량 결정부는 상기 빈 공간부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액상 성분 공급부를 개폐시키는 머리부와, 상기의 머리부와 함께 상기의 빈 공간부에 밀착되어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액상 성분 배출부를 개폐시키는 다리부와, 상기의 머리부 및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액상성분 배출부에는 액상 성분을 대기중으로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성분 배출부와 분사 노즐이 결합되는 사이에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액상 성분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해주는 와류 형성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내림누름부는 사용자가 위에서 눌러 작동할 수 있는 노브와, 상기 노브에서 전달된 힘을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로 전달해주는 연결바와, 상기의 연결바에 장착된 보조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장치.
  6. 압력용기를 분사장치에 결합시켜 대기중으로 액상 성분을 분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압력용기을 액상성분 공급부에 결합시켜서, 압력용기 내부의 액상성분을 몸체부의 빈 공간부에 충진시키는 단계와;
    b). 외부에서 외력을 가하여 배출량 결정부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의 액상성분을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액상성분의 분사단계와;
    c). 상기의 배출량 결정부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기 중으로 방출된 양 만큼의 액상성분을 상기 몸체부로 다시 보충시키는 재충진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성분의 분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b) 액상성분 분사단계와 상기의 c) 액상성분 재충진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성분의 분사방법.
KR10-2003-0039943A 2003-06-05 2003-06-19 고압액체 성분의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 KR100493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528 2003-06-05
KR20030036528 2003-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525A KR20040105525A (ko) 2004-12-16
KR100493239B1 true KR100493239B1 (ko) 2005-07-18

Family

ID=3738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943A KR100493239B1 (ko) 2003-06-05 2003-06-19 고압액체 성분의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54B1 (ko) * 2008-04-16 2010-11-23 최준홍 광역 살포기의 약액 분사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54B1 (ko) * 2008-04-16 2010-11-23 최준홍 광역 살포기의 약액 분사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525A (ko)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1811C2 (ru) Пен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EP0224610B1 (en) A manually operated trigger type dispenser
KR100847460B1 (ko) 액상화장품 용기용 펌핑노즐
TW332808B (en) The miniature pump sprayer
WO2003011475A1 (fr) Distributeur a pompe et pulverisateur comprenant ce dernier
US7726518B2 (en) Dispenser for concentrated injection
KR200387285Y1 (ko) 고압가스로 피스톤을 밀어주는 화장품 용기
KR100493239B1 (ko) 고압액체 성분의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
KR200455888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US6446841B1 (en) Pre-compression spray pump
US6942125B2 (en) Manually operable invertible pump for dispensing atomized liquids
MXPA01004360A (es) Aspersion con bomba atomizadora.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JP2002011389A (ja) 蓄圧式噴霧器
JP3110665B2 (ja) スプレイヤー
KR910007814Y1 (ko) 분무 용기 캡
KR200295501Y1 (ko) 도립상태에서도 작동가능한 수동식 분사펌프
KR102370545B1 (ko) 에어졸 스프레이용 펌핑밸브 조립체
KR102508291B1 (ko) 거품 토출형 화장품 펌프용기
KR200167698Y1 (ko) 건 스프레이의 세컨드 밸브 구조
KR200362349Y1 (ko) 풍선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30173859A (ko) 트리거식 분무용기
JP2002080078A (ja) エアゾール装置用噴射装置
KR200281938Y1 (ko) 자동분사기용 방향제
JPS5921890Y2 (ja) 手動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