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230B1 - 우산 프레임 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프레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230B1
KR100493230B1 KR10-2003-0004898A KR20030004898A KR100493230B1 KR 100493230 B1 KR100493230 B1 KR 100493230B1 KR 20030004898 A KR20030004898 A KR 20030004898A KR 100493230 B1 KR100493230 B1 KR 10049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restraining
umbrella frame
frame devic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676A (ko
Inventor
맥스 왕
Original Assignee
맥스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스 왕 filed Critical 맥스 왕
Priority to KR10-2003-000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2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002/950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retaining means other than an outer sleeve, e.g. male-female connector between stent and instrument
    • A61F2002/9511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retaining means other than an outer sleeve, e.g. male-female connector between stent and instrument the retaining means being filament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61F2002/96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with additional retai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우산 프레임 장치는 닫집모양의 덮개(canopy)를 펴고 접기 위해 자루(10, 10", 100)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브 결합된 러너(runner)(20, 200)를 포함한다. 억제 부재(22, 22', 22", 220)는 러너(20, 200)의 슬롯(24, 250)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자루(10, 10", 100)상에 배치된 돌출부(113)상의 슬라이드웨이(slideway)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러너(20, 200)의 내측으로 연장가능한 억제 단부(222, 222', 222")를 갖는다. 억제 단부(222, 222', 222")는 러너(20, 200)가 결합 위치로 이동된 경우 숄더(13)상에 억제되도록 돌출부(113)의 상측 에지위로 미끄러지게 된다. 슬리브 부재가 러너(20, 200)를 둘러싸고 그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결합 위치에서 러너(20, 200)를 저지하는 마찰력에 의해 억제 단부(222, 222', 222")를 반경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캠 표면부(31, 31", 310)를 갖는다.

Description

우산 프레임 장치{UMBRELLA FRAME DEVICE}
본 발명은 우산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러너(runner)를 결합 및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슬리브 부재를 갖는 우산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우산은 스프링-장착 정지부(spring-loaded stop)가 그 내에 제공되는 상측의 기다란 구멍을 갖는 기다란 자루(stem)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너가 자루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브 결합되어 자루의 상단상에 장착된 리브 조립체를 지지한다. 러너는 자루를 따라 리브 조립체가 펴지는 상부 위치와 리브 조립체가 접어지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부 위치에서, 러너는 정지부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종래의 우산 프레임 장치의 자루가 정지부를 수납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하여야 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자루에 대해 중실의 구조체(solid structure)가 고려되지 않았다. 강도의 견지에서 우산 프레임 장치의 주 부분인 자루의 이러한 고유한 제한으로 인해, 자루의 강성 및 그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내구성을 개선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리브 조립체를 접기 위해, 뾰족하고 단단한 표면을 갖는 정지부의 단부를 가압하는 것이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닫집모양의 덮개(canopy)를 펴고 접기에 편리하고 편안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우산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 프레임 장치는 축방향의 축선을 따라 연장하며 축선을 둘러싸는 외주 자루 표면을 갖는 기다란 자루를 포함한다. 외주 자루 표면은 닫집모양의 덮개가 그 상에 장착되는 상단부, 하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갖는다.
돌출부가 상단부에 인접하게 중간부상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에 슬라이드웨이(slideway)를 갖는다. 슬라이드웨이는 중간부와 함께 숄더를 형성하는 상측 에지에서 종지된다. 숄더는 상측 에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관형 러너는 자루상에 슬리브 결합되며 닫집모양의 덮개를 펴고 접기 위해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서 자루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러너는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내주 및 외주 러너 표면을 갖는다. 외주 러너 표면은 상기 내주 러너 표면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갖는다. 내주 러너 표면은 상기 슬라이드웨이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억제 부재는 슬롯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슬라이드웨이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내주 러너 표면의 내측으로 연장가능한 억제 단부를 갖는다. 억제 단부는, 내주 러너 표면이 축선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웨이를 따라 하부 위치에 대응하는 분리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에 대응하는 결합 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숄더상에 억제되도록 상기 상부 에지위로 미끄러지게 된다.
슬리브 부재는 외주 러너 표면을 둘러싸며 축선을 따라 외주 러너 표면에 대해 이동가능한 내주 슬리브 표면을 갖는다. 내주 슬리브 표면은 억제 부재와 직면하며 러너가 하부 위치에 있는 경우 억제 부재의 억제 단부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슬리브 부재가 억제 부재에 의해 중력에 대항하여 유지되는 동안 결합 위치에서 내주 러너 표면을 저지하는 마찰력에 의해 억제 단부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캠 표면부를 갖는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데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1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기다란 자루(10)와, 자루(10)상에 슬리브 결합되어 자루(10)에 대해 닫집모양의 덮개(도시안됨)를 펴고 접는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관형의 러너(20)와, 슬리브 부재(30)를 포함한다.
자루(10)는 축방향으로 축선(L)을 따라 연장하며 축선(L)을 둘러싸는 외주 자루 표면(11)을 갖는다. 외주 자루 표면(11)은 닫집모양의 덮개가 그 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단부(111)와, 하단부와, 상단부(111)와 하단부 사이의 중간부(112)를 갖는다. 한 쌍의 아치형 돌출부(113)가 상단부(111)에 인접하게 중간부(112)상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각각 그 상에 슬라이드웨이(slideway)를 갖는다. 각각의 슬라이드웨이는 중간부(112)와 함께 숄더(shoulder)(13)를 형성하는 상측 에지에서 종지된다. 숄더는 상측 에지의 내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돌출부(113)는 중간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3)는 자루(10)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제한 돌기(14)가 상단부(1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러너(20)는 축선(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내주 러너 표면(25) 및 외주 러너 표면(21)을 갖는다. 외주 러너 표면(21)은, 각기 반경방향으로 내주 러너 표면(25)을 통해 연장하고 하측 에지 벽(241)까지 하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슬롯(24)을 갖는다. 내주 러너 표면(25)은 돌출부(113)의 슬라이드웨이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한 쌍의 억제 부재(22)가 러너(20)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억제 부재(22)는 각각의 하측 에지 벽(241)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 단부(221)와, 고정 단부(221)에 축방향으로 대향된 억제 단부(222)를 갖는데, 억제 부재(22)는 억제 단부(222)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바이어싱력을 갖는다. 따라서, 억제 단부(222)는 각각의 슬롯(24)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각각의 슬라이드웨이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내주 러너 표면의 내측으로 연장가능하다. 또한, 억제 단부(222)는 축선(L)을 향해 돌출하는 내측 돌기(223)와, 내측 돌기(223)로부터 멀어지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 접촉 범프(bump)(224)를 갖는다. 내주 러너 표면(25)이 축선(L)에 대해 슬라이드웨이를 따라 러너(20)의 하부 위치에 대응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위치로부터 러너(20)의 상부 위치에 대응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위치로 이동된 경우, 억제 단부(222)는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각각의 돌출부(113)의 상측 에지위로 미끄러지게 되고, 내측 돌기(223)가 각각의 숄더(13)에 접촉하게 되어 숄더(13)상에 억제되게 된다. 또한, 환상의 상측 제한 부재(213)가 러너(20)의 상측부(211)에 형성되고, 환상 하측 제한 부재(231)가 러너(20)의 하측부(212)에 형성된다.
슬리브 부재(30)는 외주 러너 표면(21)을 둘러싸며 축선(L)을 따라 외주 러너 표면(21)에 대해 이동가능한 내주 슬리브 표면을 갖는다. 내주 슬리브 표면은 억제 부재(22)와 직면하는 캠 표면부(3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캠 표면부(31)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너(20)가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억제 부재(22)의 억제 단부(222)로부터 분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30)가 억제 부재(22)에 의해 중력에 대항하여 유지되는 동안, 캠 표면부(31)는 결합 위치에서 내주 러너 표면(25)을 저지하는 마찰력에 의해 억제 단부(222)의 외측 접촉 범프(224)를 반경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부재(30)는 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상측 에지 벽(32)과 하측 에지 벽(33)을 갖는다.
슬리브 부재(30)가 자루(10)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될 때, 러너(20)는 외측 접촉 범프(224)의 구성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뒤 내측 돌기(223)가 각각 돌출부(113)의 상측 에지위로 미끄러지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표면부(31)에 의해 외측 접촉 범프(224)를 누름으로써 숄더(13)상에 억제되어, 내주 러너 표면(25)이 결합 위치에 설치되고, 이에 의해 닫집모양의 덮개가 펴지게 된다. 러너(20)의 상방 운동은 제한 돌기(14)에 의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 부재(30)의 상측 에지 벽(32)은 상측 제한 부재(213)에 의해 제한되어 슬리브 부재(30)가 축방향으로 러너(2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닫집모양의 덮개를 접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슬리브 부재(30)가 자루(10)의 하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당겨진다. 억제 부재(22)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억제 단부(222)가 축선(L)으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어 숄더(13)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0)의 하단부를 향해 슬리브 부재(30) 및 러너(2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슬리브 부재(30)의 하측 에지 벽(33)은 하측 제한 부재(231)에 의해 제한되어 슬리브 부재(30)가 러너(20)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1. 자루(10)가 구멍(이것은 자루의 구조적 강도를 약하게 함)을 갖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루(10)는 비교적 슬림(slim)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전체 중량이 감소된다.
2. 자루(10), 러너(20) 및 슬리브 부재(30)는 구조가 간단하며 조립이 용이하다.
3. 닫집모양의 덮개를 펴고 접을 때, 사용자는 러너(20)가 상부 및 하부 위치로 이동하도록 슬리브 부재(3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우산 프레임 장치를 작동하는 것이 편리하고 편안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2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억제 부재(22')가 바이어싱력을 갖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제조되고 러너(20)의 하측부(212)에 근접하게 러너(20)의 외주 러너 표면(21)에 고정된 고정 단부(221')와 고정 단부(221')에 축방향으로 대향된 억제 단부(222')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양호한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다. 억제 단부(222')는 외주 러너 표면(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며 억제 단부(222')의 내측 돌기(223')가 각각의 숄더(13)상에서 억제되도록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슬리브 부재(30)의 캠 표면부(31)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외측 접촉부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3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억제 부재(22")가 바이어싱력을 갖는 리프 스프링으로 제조되고 러너(20)의 상측부(211)에 근접하게 러너(20)의 외주 러너 표면(21)에 고정된 고정 단부(221")와 고정 단부(221")에 축방향으로 대향된 억제 단부(222")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2 양호한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다. 억제 단부(222")는 외주 러너 표면(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접촉부를 갖는다. 또한, 슬리브 부재(30")의 캠 표면부(31")는, 슬리브 부재(30")가 외주 러너 표면(21)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될 때,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외측 접촉부를 누르도록 축선(L)에 대해 상방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관형 부재(15")는 자루(10")의 외주 자루 표면(11")의 상단부(111")상에 제공되는 상측 마운트(top mount)(16")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 자루 표면(11")의 상단부(111") 및 중간부상에 슬리브 결합된다. 관형 부재(15")는 러너(20)의 상방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숄더로서 형성된 환상 제한부(14")를 갖도록 형성된다. 관형 부재(15")는 둘러싸는 바닥 에지 벽(151")까지 하측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구멍 한정 벽(13")을 갖는데, 이것은 각각 바닥 에지 벽(151")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구멍을 한정하도록 축선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구멍 한정 벽(13")은 선행 실시예들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숄더(13)로서 작용하는 하측 벽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슬라이드웨이는 하측 벽 부분과 바닥 에지 벽(151") 사이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4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억제 부재(220)가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접촉 및 억제 단부를 갖는 볼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 3 양호한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다. 접촉 단부는 러너(200)내의 슬롯(25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슬리브 부재(300)의 캠 표면부(310)는 슬리브 부재(300)가 외주 러너 표면(201)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될 때 접촉 단부를 누르도록 축선(L)에 대해 상방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관형 부재(150)는, 제 3 양호한 실시예의 관형 부재(15")와 유사하게, 자루(100)의 외주 자루 표면(110)의 상단부 및 중간부상에 슬리브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관형 부재(150)는 제한 링(140) 및 각각 구멍을 한정하도록 축선(L)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구멍 한정 벽(130)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구멍 한정 벽(130)은 선행 실시예들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숄더(13)로서 작용하는 하측 벽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슬라이드웨이는 하측 벽 부분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고 양호한 실시예라고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넓은 해석 및 균등한 구성의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닫집모양의 덮개(canopy)를 펴고 접기에 편리하고 편안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우산 프레임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1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분리 상태에 있는 우산 프레임 장치의 러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결합 상태에 있는 러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2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3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프레임 장치의 제 4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자루 11, 11", 110 : 외주 자루 표면
20, 200 : 러너 22, 22', 22", 220 : 억제 부재
30, 30", 300 : 슬리브 부재

Claims (12)

  1. 닫집모양의 덮개(canopy)를 펴고 접기 위한 우산 프레임 장치로서,
    축방향의 축선(L)을 따라 연장하여 축선(L)을 둘러싸는 외주 자루 표면(11, 11", 110)을 갖는 기다란 자루(10, 10", 100)로서, 상기 외주 자루 표면(11, 11", 110)은 상기 닫집모양의 덮개가 그 상에 장착되는 상단부(111, 111"), 하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중간부(112)를 갖는, 상기 기다란 자루(10, 10", 100)와,
    상기 자루(10, 10", 100)상에 슬리브 결합되며 상기 닫집모양의 덮개를 펴고 접기 위해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서 상기 자루에 대해 이동가능한 관형 러너(20, 200)로서, 상기 러너는 축선(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내주 러너 표면(25) 및 외주 러너 표면(21, 201)을 갖는, 상기 관형 러너(20, 200)를 포함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11, 111")에 인접하게 상기 중간부(112)상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상에 슬라이드웨이(slideway)를 갖는 돌출부(113)로서, 상기 슬라이드웨이는 상기 중간부(112)와 함께 숄더(13)를 형성하는 상부 에지에서 종지되며, 상기 숄더(13)는 상기 상부 에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돌출부(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 201)은 상기 내주 러너 표면(25)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24, 250)을 가지며, 상기 내주 러너 표면(25)은 상기 슬라이드웨이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슬롯(24, 250)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웨이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상기 내주 러너 표면(25)의 내측으로 연장가능한 억제 단부(222, 222', 222")를 갖는 억제 부재(22, 22', 22", 220)로서, 상기 억제 단부(222, 222', 222")는 상기 내주 러너 표면(25)이 축선(L)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웨이를 따라 하부 위치에 대응하는 분리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에 대응하는 결합 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숄더(13)상에 억제되도록 상기 상부 에지위로 미끄러지게 되는, 상기 억제 부재(22, 22', 22", 220)와,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 201)을 둘러싸며 축선(L)을 따라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 201)에 대해 이동가능한 내주 슬리브 표면을 갖는 슬리브 부재(30, 30", 300)로서, 상기 내주 슬리브 표면은 상기 억제 부재(22, 22', 22", 220)와 직면하며 상기 러너가 하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억제 부재(22, 22', 22", 220)의 억제 단부(222, 222', 222")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상기 슬리브 부재(30, 30", 300)가 상기 억제 부재(22, 22', 22", 220)에 의해 중력에 대항하여 유지되는 동안 결합 위치에서 상기 내주 러너 표면(25)을 저지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억제 단부(222, 222', 222")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캠 표면부(31, 31", 310)를 갖는, 상기 슬리브 부재(30, 30", 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부(31)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4)은 하측 에지 벽(241)까지 상기 하단부를 향해 연장하며, 상기 억제 부재(22)는 상기 하측 에지 벽(241)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억제 단부(222)가 상기 억제 단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바이어싱력을 받도록 축방향으로 상기 억제 단부(222)에 대향된 고정 단부(2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단부(222)는 상기 내주 러너 표면(25)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숄더(13)에 접촉하도록 축선(L)을 향해 돌출하는 내측 돌기(223)와, 상기 내측 돌기(223)로부터 멀리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며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상기 캠 표면부(31)에 의해 눌려지도록 구성된 외측 접촉 범프(bump)(2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22')는 바이어싱력을 갖는 리프 스프링으로 제조되며 축방향으로 상기 억제 단부(222')에 대항하며 상기 하단부에 근접하게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에 고정된 고정 단부(221')를 가지며, 상기 억제 단부(222')는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상기 캠 표면부(31)에 의해 눌려지도록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22")는 바이어싱력을 갖는 리프 스프링으로 제조되며 축방향으로 상기 억제 단부(222")에 대향되며 상기 상단부(111")에 근접하게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에 고정된 고정 단부(221")를 가지며, 상기 억제 단부(222")는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상기 캠 표면부(31")에 의해 눌려지도록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부(31")는, 상기 슬리브 부재(30")가 상기 외주 러너 표면(21)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외측 접촉부를 누르도록 축선(L)에 대해 상방 외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220)는 상기 억제 단부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고 상기 슬롯(250)의 외측에 배치된 접촉 단부를 갖는 볼이며; 상기 캠 표면부(310)는, 상기 슬리브 부재(300)가 상기 외주 러너 표면(201)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접촉 단부를 누르도록 축선(L)에 대해 상방 외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외주 자루 표면(1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자루(10)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11") 및 중간부상에 슬리브 결합되며 둘러싸는 바닥 에지 벽(151")까지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형 부재(15", 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형 부재(15", 150)는 상기 바닥 에지 벽(151")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구멍을 한정하도록 축선(L)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 한정 벽(130, 13")을 가지며, 상기 구멍 한정 벽(130, 13")은 상기 숄더로서 작용하는 하측 벽 부분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웨이는 상기 하측 벽 부분과 상기 바닥 에지 벽(15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30, 30", 300)가 상기 러너(20, 200)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하측 및 상측 제한 부재(231, 2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 장치.
KR10-2003-0004898A 2003-01-24 2003-01-24 우산 프레임 장치 KR10049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898A KR100493230B1 (ko) 2003-01-24 2003-01-24 우산 프레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898A KR100493230B1 (ko) 2003-01-24 2003-01-24 우산 프레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676A KR20040067676A (ko) 2004-07-30
KR100493230B1 true KR100493230B1 (ko) 2005-06-02

Family

ID=3735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898A KR100493230B1 (ko) 2003-01-24 2003-01-24 우산 프레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60B1 (ko) 2011-01-06 2013-02-21 시아-후이 첸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60B1 (ko) 2011-01-06 2013-02-21 시아-후이 첸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676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229B2 (en) Umbrella frame device
KR101235960B1 (ko)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US6311707B1 (en) Umbrella
US6523707B2 (en) Structure of a tube rack with telescoping function
KR20140051097A (ko) 우산
EP0425071B1 (en) Automatic umbrella
KR100784765B1 (ko) 자동개폐용 우산
US5253666A (en) Umbrella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thout use of spring latches
US6070602A (en) Opening structure of a multiple folded umbrella
KR100493230B1 (ko) 우산 프레임 장치
EP1733948A2 (en) Locking device used in combination with frame assembly
JP4439105B2 (ja) 自立可能な杖
US20080289668A1 (en) Operation mechanism for umbrella
US5829462A (en) Umbrella frame capable of automatic folding and unfolding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KR100625111B1 (ko) 접힘가능한 우산대를 포함한 우산
EP1438906B1 (en) Umbrella runner with locking device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KR200347258Y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RU2234226C1 (ru) Каркас зонта
CN212280236U (zh) 方便开收的顺杆式折叠伞
CN211241990U (zh) 顺杆式折叠伞
KR100755358B1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200346300Y1 (ko) 우산 구조체
JP4091615B2 (ja) 傘の骨組み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備えた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