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076B1 -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 Google Patents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076B1
KR100493076B1 KR1019980007292A KR19980007292A KR100493076B1 KR 100493076 B1 KR100493076 B1 KR 100493076B1 KR 1019980007292 A KR1019980007292 A KR 1019980007292A KR 19980007292 A KR19980007292 A KR 19980007292A KR 100493076 B1 KR100493076 B1 KR 100493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ne
unit
line matching
modu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982A (ko
Inventor
고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0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0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5Arrangements for providing or supporting expa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분산 구조형 교환망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구축하기 위해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된 형태의 교환 기술을 가지는 국선 정합 모듈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데이터 통신망과 랜을 통해 연결되어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랜인터페이스부와, 국선과 정합을 위한 국선정합부와, 상기 국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압축하는 음성압축부와, 상기 랜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국선정합부와 상기 음성압축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와, 국선 정합 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분산 구조형 교환망의 구축에 필요한 국선 정합 모듈을 제공해준다.

Description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본 발명은 분산 구조의 통신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 구조의 통신망과 접속되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장거리 통신망과 국선간의 인터페이스 기능과 자체 제어부를 가지는 국선 정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중앙 집중식 사설 교환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10과 메모리부120과 스위치부130과 국선정합부140과 가입자정합부150과 클럭부160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설 교환기100은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국선정합부140과 가입자정합부150간의 음성 스위칭 동작을 스위치부130에서 수행한다.
국선정합부14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코딩부141과 PCM 인터페이스부142와 코덱143-1∼143-n과 국선정합부144-1∼144-n과 보호부145-1∼145-n으로 구성된다. 종래 사설 교환기에서 국선정합부140은 국선의 정합에 있어서 낙뢰등의 보호를 위한 보호부145-1∼145-n과 국선 정합을 위한 국선정합부144-1∼144-n을 가진다. 국선정합부140은 코덱143-1∼143-n을 통해 국선정합부144-1∼144-n으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PCM 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해 하이웨이로 전송한다. 디코딩부141은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코덱143-1∼143-n과 국선정합부144-1∼144-n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종래 중앙 집중식 사설 교환기에서 국선정합부는 국선의 포트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국선을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중앙 집중식 사설 교환기에서 국선정합부는 교환기에 종속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설치 및 운영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통신망 또는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분산 구조형 교환망에 접속되어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로운 국선 정합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산 구조형 교환망에서 국선의 증설이 용이한 국선 정합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구축하기 위한 국선 정합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산 구조형 교환망과 근거리 통신망 또는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와, 국선 정합을 위한 국선정합부와, 국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국선정합부와 상기 압축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국선 정합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구조형 교환망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통 자원 랜 모듈210과 서비스 랜 모듈220과 회의 통화 랜 모듈230과 ISDN 랜 모듈240과 무선 랜 모듈250과 디지폰 랜 모듈260과 가입자 랜 모듈270과 국선 정합 모듈300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선 정합 모듈의 블록 구성도로서, 전원부310과 제어부320과 랜인터페이스부330과 음성압축코덱340-1∼340-n과 국선정합부350-1∼350-n과 보호부360-1∼360-n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선 정합 모듈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선 정합 모듈300은 종래 중앙 집중식 제어 방식의 사설 교환기내의 국선정합부가 아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또는 장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을 통해 분산 구조형 교환망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국선 정합 모듈3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기존의 PCM 하이웨이가 아닌 근거리 통신망 또는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선 정합 모듈300은 종래의 중앙 집중식 제어 방식이 아닌 모듈 단위로 분산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구축하기 위한 국선과 망과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원부310은 국선 정합 모듈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320은 내부 메모리에 국선 정합 모듈300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리드하여 랜인터페이스부330과 음성압축코덱340-1∼340-n과 국선정합부350-1∼350-n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즉, 제어부320은 국선 정합 모듈300에 연결되는 국선과의 시그널링(signalling) 및 제어를 담당하며, 음성 압축과 이를 랜상에 싣는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0은 랜을 통해 연결되는 다른 모듈210∼290들과의 네트워킹(networking)을 위해서 각 모듈의 IP 어드레스 정보가 있어야 하므로 IP 어드레스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 가입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IP 어드레스는 분산 구조형 교환망의 전체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역동적으로 관리 및 보완된다.
랜인터페이스부330은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장거리 통신망에 적합한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한다. 즉, 랜인터페이스부330은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음성압축코덱340-1∼340-n으로부터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TCP/IP의 패킷 형식으로 근거리 통신망의 데이터 네트워크200상에 싣는다.
음성압축코덱340-1∼340-n은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국선정합부350-1∼350-n을 통해 각각 국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랜인터페이스부330을 통해 연결된 데이터 네트워크200으로 전송한다.
국선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음성압축코덱340-1∼340-n에 의해 실시간 처리를 위한 압축 과정을 거치면, 종래 8K 샘플링으로 64Kbps의 대역폭으로 전송하던 것을 8Kbps의 대역폭으로 전송가능해진다.
국선정합부350-1∼350-n은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보호부360-1∼360-n을 통해 연결되는 국선과의 상호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보호부360-1∼360-n은 국선 정합 모듈300에 연결된 국선을 낙뢰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산 구조형 교환망에 적합한 국선 정합 모듈을 제공하므로 랜을 통해 자유롭게 연결되어 설치 및 증설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구축하기 위한 국선 정합 모듈로서, 국선 연결을 위한 배선반(Main Distribution Frame)이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랜을 사용함에 따라 국선 모듈을 국선 즉 전화국에 직접 설치할 수 도 있으므로 전화국과 사설 교환시스템과의 경로도 없애고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중앙 집중식 사설 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국선정합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구조형 교환망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선 정합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4)

  1. 분산 구조형 교환망과 국선을 랜으로 연결하는 국선 랜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국선 랜 모듈에 연결되는 국선과의 정합을 수행하는 국선정합부와,
    상기 국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분산 구조형 교환망과 랜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압축부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전달받아 TCP/IP의 패킷으로 상기 교환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랜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랜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국선정합부와 상기 압축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국선 랜 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 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통해 연결되는 다른 모듈의 IP 어드레스 테이블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 랜 모듈.
  3. 분산 구조형 교환망과 국선을 근거리 통신망 또는 장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국선 정합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국선 정합 모듈에 연결되는 국선을 정합하는 국선정합부와,
    상기 국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압축하는 음성압축부와,
    상기 음성압축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TCP/IP의 패킷 형식으로 상기 교환망으로 전송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국선정합부와 상기 음성압축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국선 정합 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 정합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장거리 통신망에 적합한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하며, TCP/IP의 패킷 형식으로 상기 통신망에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 정합 모듈.
KR1019980007292A 1998-03-05 1998-03-05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KR10049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292A KR100493076B1 (ko) 1998-03-05 1998-03-05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292A KR100493076B1 (ko) 1998-03-05 1998-03-05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982A KR19990073982A (ko) 1999-10-05
KR100493076B1 true KR100493076B1 (ko) 2005-08-01

Family

ID=3730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292A KR100493076B1 (ko) 1998-03-05 1998-03-05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243A (ja) * 1993-02-18 1994-09-02 Hitachi Telecom Technol Ltd Lan接続方式
KR960036494A (ko) * 1995-03-30 1996-10-28 이헌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사설 전화교환장치
KR970013930A (ko) * 1995-08-09 1997-03-29 조백제 종합정보통신망용 전송장치
KR970031739A (ko) * 1995-11-30 1997-06-26 구자홍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일반 전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243A (ja) * 1993-02-18 1994-09-02 Hitachi Telecom Technol Ltd Lan接続方式
KR960036494A (ko) * 1995-03-30 1996-10-28 이헌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사설 전화교환장치
KR970013930A (ko) * 1995-08-09 1997-03-29 조백제 종합정보통신망용 전송장치
KR970031739A (ko) * 1995-11-30 1997-06-26 구자홍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일반 전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982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21796A (ja) 交換装置
US6208639B1 (en) Computer network system with telephonic function
KR100493076B1 (ko)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국선 정합 모듈
KR100265071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인터넷과 연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008164A1 (en) Network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for using such wireless telephone in a network
KR100608640B1 (ko) 음성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493077B1 (ko) 분산 구조의 교환망을 위한 무선 정합 모듈
KR19990047970A (ko) 랜 접속을 위한 통신 장치
KR100394017B1 (ko)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296399B1 (ko) 인터넷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493075B1 (ko)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가입자 랜 모듈
FR2818854B1 (fr) Procede d'etablissement de chemins de communication entre des points d'acces d'un systeme de commutation, et systeme de commutation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RU2000102653A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оток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US6754201B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line appearances on a single line for connecting multiple devices
KR100526558B1 (ko) 분산 구조형 교환망을 위한 회의 통화 랜모듈
WO1998056142A3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71019A (ko) 랜접속을 통한 분산 구조의 교환망
KR100353713B1 (ko) 음성 및 데이터를 통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KR100520659B1 (ko) 인터넷 풀 서비스 및 멀티캐스팅 서비스를 위한 랜 접속 사설교환시스템
JP2002504761A (ja) コンピュータ電話統合pbx
WO1998056143A3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61242A (ko) 교환 시스템의 인터넷 정합장치 및 방법
KR100219227B1 (ko)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설정 표시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405596B1 (ko)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시스템
JPH01185058A (ja) 着信選択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