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007B1 - 전치 증폭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치 증폭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007B1
KR100493007B1 KR10-1998-0022750A KR19980022750A KR100493007B1 KR 100493007 B1 KR100493007 B1 KR 100493007B1 KR 19980022750 A KR19980022750 A KR 19980022750A KR 100493007 B1 KR100493007 B1 KR 10049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signal
capacitor
preamplifier
refere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149A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0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전치 증폭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는, 커패시터와,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커패시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색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 신호 추출 수단 및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색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치 증폭 수단으로 구성되고, 동기 신호 추출 수단과 전치 증폭 수단은 일체화된 채 집적되고,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색 신호는 단일 핀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치 증폭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에 입력되는 색 신호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는 전치 증폭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전치 증폭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동기를 실은 그린 신호의 파형도이다.
일반적인 모니터는 알.지.비.(RGB)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외부로부터 각각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수평 동기 신호를 외부로부터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동기 신호(7)가 포함된 그린(green) 신호(5)(SOG:Sync On Green)를 입력하고, 입력한 SOG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모니터도 있다.
도 2는 종래의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10)의 외관으로서, 동기 분리부(12)와 비디오 프리 앰프부(pre-amp)(14)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동기 분리부(14)는 SOG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Sync out)를 추출하는 역할을 하고, 비디오 프리 앰프부(12)는 외부로부터 입력한 R, G(또는, SOG) 및 B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R, G 및 B 신호들의 이득을 조정하고, 조정된 R, G 및 B 신호들(Rout, Gout 및 Bout)을 각각의 핀을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10)에서, 비디오 프리 앰프부(12)와 동기 분리부(1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SOG신호를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핀을 통해서 SOG 신호를 입력한다. 이는, 비디오 프리 앰프부(12)와 동기 분리부(14)가 각각의 클램프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종래의 일례의 회로도로서, 버퍼(30), 상호 콘덕턴스 증폭기(32) 및 증폭부(34)로 구성되는 비디오 프리 앰프부(20)와, 비교기들(36 및 38)과 다이오드(D1)로 구성되는 동기 분리부(24), 커패시터들(C1 및 C2) 및 마이콤(40)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비디오 프리 앰프부(22)와 동기 분리부(24)는 도 2에 도시된 비디오 프리 앰프부(12)와 동기 분리부(14)에 각각 해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리 앰프부(22)의 상호 콘덕턴스 증폭기(32)는 마이콤(40)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램프 게이트 신호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비디오 프리 앰프부(22)와 동기 분리부(24)는 각각의 커패시터(C1 또는 C2)와 각각의 핀을 통해 입력되는 동일한 SOG 신호가 필요하다. 여기서, 마이콤(40)은 외부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SYNC1)가 입력되지 않으면, 동기 분리부(24)에서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SYNC2)를 동기 신호로 인식한 다음, 클램프 게이트 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두개의 커패시터들(C1 및 C2)이 필요한 이유는, 상호 콘덕턴스 증폭기(32)는 클램프 게이트 신호를 필요로 하는 반면, 클램프 게이트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SYNC2)가 분리된 후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비디오 프리 앰프부(22)는 G(또는, SOG 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 레벨(Vref3)에 클램프 시키기 위해서, 커패시터(C1) 및 상호 콘덕턴스 증폭기(32)를 사용하고, 동기 분리부(24)는 SOG 신호의 동기 레벨을 기준 레벨(Vref1)에 클램프시키기 위해 커패시터(C2), 비교기(36) 및 다이오드(D1)를 사용한다.
결국, 전술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전치 증폭 장치는 SOG 입력 핀을 두개 마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두개의 별도의 커패시터들을 장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색 신호를 하나의 핀만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전치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치 증폭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는, 커패시터와,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색 신호로부터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 신호 추출 수단 및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치 증폭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기 신호 추출 수단과 상기 전치 증폭 수단은 일체화된 채 집적되고,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는 단일 핀으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전치 증폭부와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 신호 추출부가 일체화된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의 본 발명에 의한 동작 방법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색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적은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적으면,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전치 증폭 장치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치 증폭 장치가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지 않으면, 상기 색 신호를 상기 전치 증폭부로 보내는 단계와, 상기 전치 증폭 장치가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으면,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크면,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발생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소정 시간 동안 가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색 신호로부터 상기 가변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이득이 조정될 색 신호를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커패시터(C3), 버퍼(70)와 증폭부(72)로 구성되는 전치 증폭부(62), 비교기들(74 및 76)과 다이오드(D2)로 구성되는 동기 신호 추출부(64)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패시터(C3)를 제외한 동기 신호 추출부(64)와 전치 증폭부(62)는 집적화되어 전치 증폭 장치(60)를 이룬다.
도 5 (a) 및 (b)들은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각 부의 파형도들로서, 도 5 (a)는 SOG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5 (b)는 수평 동기 신호의 파형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동기 신호 추출부(64)는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커패시터(C3)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단자 IN을 통해 입력되는 색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 5 (b)에 도시된 수평 동기 신호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동기 신호 추출부(64)의 비교기(74)는 커패시터(C3)를 통해 출력되는 도 5 (a)에 도시된 색 신호와 제1 기준 레벨(Vref1)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다이오드(D2)로 출력하고, 다이오드(D2)는 제1 비교기(74)에서 비교된 결과와 연결되는 양극과 커패시터(C3)를 통해 출력되는 색 신호와 연결되는 음극을 갖으며, 비교기(76)는 다이오드(D2)의 음극에 전압과 제2 기준 레벨(Vref2)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도 5 (b)에 도시된 수평 동기 신호로서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이 때, 동기 신호 추출부(64)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비교기(74)는 도 5 (a)에 도시된 SOG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보다 적을 때, "고" 논리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다이오드(D2)는 턴 온되며, 외부의 커패시터(C3)는 충전된다. 그러나, SOG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보다 클 때, 비교기(74)의 출력은 "저" 논리 레벨이 되므로, 다이오드(D2)는 턴 오프되고, 커패시터(C3)는 충전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패시터(C3)는 도 5 (a)에 도시된 SOG 신호의 최저 레벨이 기준 레벨(Vref1)과 같아질 때까지 충전하므로, SOG 신호는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레벨(Vref1)에 클램프된다. 그리고, 커패시터(C3)를 통과한 도 5 (a)에 도시된 SOG 신호는 비교기(76)에서 다시 기준 레벨(Vref2)과 비교된 후, SOG 신호의 수평 동기 신호의 구간에는 SOG 신호의 전압이 기준 레벨(Vref2)보다 낮으므로, 비교기(76)의 출력은 "저" 논리 레벨이 되고, 그 밖의 구간에는 SOG 신호의 전압이 기준 레벨(Vref2)보다 높으므로 비교기(76)의 출력은 "고" 논리 레벨로 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해 동기 신호 추출부(64)는 SOG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해낸다.
한편, 전치 증폭부(62)는 커패시터(C3)로부터 출력되는 도 5 (a)에 도시된 색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조정된 이득을 갖는 색 신호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전치 증폭부(62)의 버퍼(70)는 커패시터(C3)를 통해 출력되는 색 신호를 버퍼링하여 증폭부(72)로 출력하고, 증폭부(72)는 버퍼(70)로부터 출력되는 색 신호의 이득을 가변하여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커패시터(C3)로부터 출력되는 색 신호는 단일 핀으로 입력되며,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G신호(또는, SOG 신호)일 수 있다. 한편, R 및 B 신호들은 도 4에 도시된 전치 증폭부(6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별도의 전치 증폭부들(미도시)에서 그들의 이득이 가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커패시터(C4), 버퍼(90)와 증폭부(92)로 구성되는 전치 증폭부(82), 비교기들(96, 98 및 100)과 다이오드(D3)와 감산기(94)로 구성되는 동기 신호 추출부(84)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전치 증폭부(82)와 동기 신호 추출부(84)는 집적화되어 전치 증폭 장치(80)를 이룬다.
도 7 (a) ∼ (e)들은 도 6에 도시된 장치의 각 부의 파형도들로서, 도 7 (a)는 커패시터(C4)를 통해 출력되는 색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7 (b)는 수평 동기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7 (c)는 클램프 게이트 신호(CGP)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7 (d)는 비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7 (e)는 감산기(9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전치 증폭부(82)와 동기 신호 추출부(84)는 도 4에 도시된 전치 증폭부(62)와 동기 신호 추출부(64)에 각각 해당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회로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On Screen Display)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지 않는 전치 증폭 장치에 해당하고, 도 6에 도시된 회로는 OSD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전치 증폭 장치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동기 신호 추출부(84)의 비교기(96)는 커패시터(C4)를 통해 출력되는 도 7 (a)에 도시된 색 신호와 기준 레벨(Vref1)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다이오드(D3)로 출력한다. 이 때, 다이오드(D3)는 비교기(96)에서 비교된 결과와 연결되는 양극 및 커패시터(C4)를 통해 출력되는 색 신호와 연결되는 음극을 갖는다. 비교기(98)는 다이오드(D3)의 음극에 전압과 기준 레벨(Vref2)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인 도 7 (b)에 도시된 수평 동기 신호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커패시터(C4), 비교기(96) 및 다이오드(D3) 및 비교기(98)를 이용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동기 신호 추출부(64)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 때, 비교기(100)는 다이오드(D3)의 음극에 전압 즉, 수평 동기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에 클램프된 도 7 (a)에 도시된 신호와 기준 레벨(Vref1)을 도 7 (c)에 도시된 클램프 게이트 펄스(CGP:Clamp Gate Pulse)가 발생되는 동안 비교하고, 도 7 (d)에 도시된 비교된 결과를 감산기(94)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7 (c)에 도시된 클램프 게이트 펄스(CGP)는 도 7 (a)에 도시된 색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보다 크고, 도 7 (b)에 도시된 수평 동기 신호가 발생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 발생된다. 여기서, 감산기(94)는 커패시터(C4)를 통해 출력되는 도 7 (a)에 도시된 색 신호로부터 비교기(100)에서 비교된 도 7 (d)에 도시된 결과를 감산하고, 도 7 (e)에 도시된 감산된 결과를 비디오 페데스탈(pedestal) 레벨이 기준 레벨(Vref1)에 클램프된 신호로서 전치 증폭부(82)로 출력한다.
한편, 전치 증폭부(82)의 버퍼(90) 및 증폭부(92)는 도 4에 도시된 버퍼(70) 및 증폭부(72)에 각각 해당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집적화된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 제2 및 제3 전치 증폭부들(124, 126 및 128)로 구성되는 전치 증폭부(122)와 동기 신호 추출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커패시터(C7)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커패시터(C3 또는 C4)에 각각 해당한다. 또한, 제3 전치 증폭부(128) 및 동기 신호 추출부(130)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전치 증폭부(62 또는 82) 및 동기 신호 추출부(64 또는 84)에 각각 해당한다.
도 8에 도시된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120)는 R, G 및 B신호들의 이득을 각각 조정하는 전치 증폭부들(124, 126 및 128)과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 신호 추출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전치 증폭부(124)는 제1 핀(P1)을 통해 입력한 R신호의 이득을 가변하고, 가변된 이득을 갖는 R 신호를 제4 핀(P4)을 통해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치 증폭부(126)는 제2 핀(P2)을 통해 입력한 B신호의 이득을 가변하고, 가변된 이득을 갖는 B 신호를 제5 핀(P5)을 통해 출력한다.
이 때, 제3 전치 증폭부(1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외부의 핀을 통해 수평 동기 신호가 포함된 G신호(SOG 신호)를 입력하지 않고, 동기 신호 추출부(130)로부터 출력되는 G 신호를 입력한다. 즉, 동기 신호 추출부(130)는 제3 핀(P3)을 통해 입력되는 SOG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평 동기 신호를 제7 핀(P7)을 통해 출력하고, 제3 전치 증폭부(128)는 동기 신호 추출부(130)로부터 입력한 G신호의 이득을 가변하고, 가변된 이득을 갖는 G신호를 제6 핀(P6)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치 증폭 장치와 달리 집적회로 외부에 마련되는 핀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마련되는 커패시터들의 수도 적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동작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제140 및 142단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 여부에 따라 이득 가변될 색 신호를 전치 증폭부로 출력하는 단계(제144 ∼ 제154 단계)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색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보다 적은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140 단계). 만일, 색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보다 적으면, 색 신호를 기준 레벨(Vref1)에 클램프하고, 클램핑 동안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한다(제142 단계). 여기서, 제140 및 제142 단계들은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동기 신호 추출부(64 또는 8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42 단계후에, 전치 증폭 장치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가를 판단한다(제144 단계). 만일, 전치 증폭 장치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지 않으면, 도 4에 도시된 전치 증폭 장치의 동기 신호 추출부(64)는 커패시터(C3)를 통해 출력되는 색 신호를 전치 증폭부(62)로 보낸다(제146 단계).
그러나, 전치 증폭 장치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으면, 도 6에 도시된 전치 증폭 장치의 동기 신호 추출부(84)의 비교기(100)는 도 7 (a)에 도시된 색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보다 큰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148 단계). 만일, 색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Vref1)보다 크면, 도 7 (b)에 도시된 수평 동기 신호가 발생된 후 즉, 수평 동기 신호가 "고" 논리 레벨에서 "저" 논리 레벨로 전이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150 단계). 만일, 도 7 (b)에 도시된 수평 동기 신호의 레벨이 "고" 논리 레벨에서 "저" 논리 레벨로 전이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도 7 (d)에 도시된 가변 신호를 발생한다(제152 단계). 여기서, 도 7 (d)에 도시된 가변 신호는 도 7 (c)에 도시된 클램프 게이트 펄스(CGP)와 동일한 시간 동안 "고" 논리 레벨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제152 단계후에, 도 6에 도시된 감산기(94)는 도 7 (a)에 도시된 색 신호로부터 도 7 (d)에 도시된 가변 신호를 감산하고, 감산된 결과인 도 7 (e)에 도시된 색 신호를 전치 증폭부(82)로 출력한다(제154 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색 신호를 단일 핀으로만 입력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고, 색 신호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 마련되는 핀수 및 커패시터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동기를 실은 그린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의 외관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종래의 일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5 (a) 및 (b)들은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각 부의 파형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7 (a) ∼ (e)들은 도 6에 도시된 장치의 각 부의 파형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집적화된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치 증폭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5)

  1. 커패시터;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색 신호로부터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 신호 추출 수단; 및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치 증폭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기 신호 추출 수단과 상기 전치 증폭 수단은 일체화된 채 집적되고,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는 단일 핀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추출 수단은
    상기 전치 증폭 수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와 제1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 수단;
    상기 제1 비교 수단에서 비교된 결과와 연결되는 양극과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와 연결되는 음극을 갖는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압과 제2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상기 수평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 비교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추출 수단은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와 제3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3 비교 수단;
    상기 제3 비교 수단에서 비교된 결과와 연결되는 양극 및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와 연결되는 음극을 갖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압과 제4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상기 수평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비교 수단;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압과 상기 제3 기준 레벨을 클램프 게이트 펄스가 발생되는 동안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5 비교 수단; 및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색 신호로부터 상기 제5 비교 수단에서 비교된 결과를 감산하고, 감산된 결과를 상기 전치 증폭 수단에서 이득 조정될 상기 색 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신호는 지(G:Green)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
  5. 전치 증폭부와 수평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 신호 추출부가 일체화된 집적화된 전치 증폭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색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적은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적으면,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전치 증폭 장치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치 증폭 장치가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지 않으면, 상기 색 신호를 상기 전치 증폭부로 보내는 단계;
    상기 전치 증폭 장치가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으면,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크면,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발생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소정 시간 동안 가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색 신호로부터 상기 가변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전치 증폭부에서 이득이 조정될 색 신호를 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증폭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98-0022750A 1998-06-17 1998-06-17 전치 증폭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49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750A KR100493007B1 (ko) 1998-06-17 1998-06-17 전치 증폭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750A KR100493007B1 (ko) 1998-06-17 1998-06-17 전치 증폭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49A KR20000002149A (ko) 2000-01-15
KR100493007B1 true KR100493007B1 (ko) 2005-08-01

Family

ID=1953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750A KR100493007B1 (ko) 1998-06-17 1998-06-17 전치 증폭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0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336U (ko) * 1988-10-18 1990-05-04 삼성전관 주식회사 칼라 브라운관의 휘도 보정회로
JPH05336470A (ja) * 1992-05-29 1993-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制限回路
KR970071455A (ko) * 1996-04-25 1997-11-07 김광호 모니터의 화면밝기 제어회로
KR0136413B1 (ko) * 1995-07-11 1998-05-15 구자홍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336U (ko) * 1988-10-18 1990-05-04 삼성전관 주식회사 칼라 브라운관의 휘도 보정회로
JPH05336470A (ja) * 1992-05-29 1993-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制限回路
KR0136413B1 (ko) * 1995-07-11 1998-05-15 구자홍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KR970071455A (ko) * 1996-04-25 1997-11-07 김광호 모니터의 화면밝기 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49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3914B2 (en) Charge pump circuit
KR100343764B1 (ko) 색차신호 변환회로
CN1092897C (zh) 视频设备中的视频输入电平控制电路
US5841488A (en) Multiple video input clamping arrangement
KR100493007B1 (ko) 전치 증폭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502873B2 (ja) 色信号輪郭補正装置
KR100307010B1 (ko) 클램프회로와동기분리기를결합한다중입력텔레비전수상기
US6967691B2 (en) Color difference signal processing
KR100829764B1 (ko) 텔레비전 신호 처리 디바이스에서 샌드캐슬 신호 발생을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060099331A (ko) 동기신호 검출회로
KR100244989B1 (ko)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US20100020243A1 (en) Video signal processor
KR100291345B1 (ko) 고화질텔레비전의호환클램프신호발생회로
KR100251104B1 (ko) 자동 윤곽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자동 윤곽보정 회로
KR960013303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휘도신호 지연 제어회로
KR100395698B1 (ko) 텔레비젼수상기
KR930010367B1 (ko) 영상동기신호 보호회로
KR100207471B1 (ko) 샘플링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한 상관 이중 샘플링 방법 및 장치
KR960007562Y1 (ko) 자동이득제어회로
KR200154411Y1 (ko) 티브이에서 영상 신호 및 오에스디의 지연 보상 회로
KR100202564B1 (ko) 칼라 레벨 조정장치
KR0139182B1 (ko) 온스크린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950002385A (ko) 다중동기(multi sync) 모니터 어댑터 회로
KR0137429Y1 (ko) 입력영상 자동판별회로
KR100281385B1 (ko) 고화질 텔레비전의 비디오 계통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