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934B1 -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934B1
KR100492934B1 KR10-2002-0082645A KR20020082645A KR100492934B1 KR 100492934 B1 KR100492934 B1 KR 100492934B1 KR 20020082645 A KR20020082645 A KR 20020082645A KR 100492934 B1 KR100492934 B1 KR 10049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eparation
wastewater
separation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101A (ko
Inventor
강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9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9Settling tank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for separation of magnetic materials, e.g. magnetic flocc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폐수의 부유물(Suspended Solid)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처리장치와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폐수처리장치는 제철폐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원폐수 저장조(10),
외측에 자석(22)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다공의 판상인 필러(24)가 일정간격을 두고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원폐수 저장조와 폐수소통관계로 연결되어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철폐수의 부유물을 필러(24)와 본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고, 필러의 상부에는 세척용 노즐(26)이 구비되는 1개 이상의 자성분리조(20),
상기 자성분리조(20)의 상부와 처리수 소통관계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상기 자성분리조의 노즐(26)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처리수 배출관이 구비되는 처리수 저장조(40)
상기 자성분리조(20)의 하부와 세척수 소통관계로 연결되어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필러를 통과하여 인입되는 세척수 저장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 장치를 이용하여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방법도 제공된다.
이 폐수처리장치는 자성체를 함유하는 제철폐수의 처리시간을 4시간 30분에서 약 22분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침전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설규모도 1/10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응집제와 같은 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슬러지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APPARATUS FOR REMOVAL OF SUSPENDED SOLIDS IN STEEL WASTEWATER BY MAGNETIC SEPARATION AND TREATMENT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제철폐수내 부유물(Suspended Solid)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처리장치와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폐수의 부유물을 자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제철폐수의 제거장치와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업은 많은 물을 사용하는 업종중의 하나로서, 제철폐수가 많이 발생한다. 제철폐수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로 응집ㆍ침전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응집ㆍ침전법의 공정순서도가 나타나 있다. 응집ㆍ침전법은 물속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응집제 등의 약품을 사용하여 조대 플럭을 형성시킨 후 침전조에서 중력에 의해 자연 침강법으로 침전시켜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처리공정 중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기존의 응집ㆍ침천법은 기술이 안정되어 있고 또한 처리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수처리공정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정이다. 그러나, 미세입자는 자연침강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응집된 플럭을 침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이 길어 매우 큰 침전조가 필요하다. 또한 약품을 사용하므로, 슬러지의 발생량이 많고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방법으로, 응집제 등의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빠른 속도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고액분리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액분리기술로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폐수의 부유물을 처리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1984-2329호와 국내 공개특허공보 1986-1763호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984-2329호는 폐수중의 현탁물의 분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가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이 분리장치는 내외조의 2중으로 구성되고 외조의 밑바닥에는 자석을 부설한 것으로, 폐수에 감자성분체를 혼합한 혼합물을 내조로 유입하여 현탁물이 부착된 감자성분체가 침강하면서 자석에 의해 흡착시키고 상등액을 방수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 장치는 현탁물이 부착된 감자성분체를 침강시키기 위한 침전조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시설규모와 처리시간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986-1763호는 자장을 이용한 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가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침전조에 연관된 폐수유입통로에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에 의한 강력한 자장을 형성하여 폐수를 자장속으로 통과시킨 다음, 침전처리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폐수처리방법은 폐수유입통로를 통과한 부유물을 침전조에서 침전시키기 위해서 체류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침전조를 사용하지 않고 제철폐수에서 부유물을 자성분리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는,
제철폐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원폐수 저장조,
외측에 자석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다공의 판상인 필러가 일정간격을 두고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원폐수 저장조와 폐수소통관계로 연결되어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철폐수의 부유물을 필러와 본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고, 필러의 상부에는 세척용 노즐이 구비되는 1개 이상의 자성분리조,
상기 자성분리조의 상부와 처리수 소통관계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자성분리조의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처리수 배출관이 구비되는 처리수 저장조
상기 자성분리조의 하부와 세척수 소통관계로 연결되어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필러를 통과하여 인입되는 세척수 저장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방법은,
제철폐수를 내부에 다공의 판상인 필러가 구비된 제1자성분리조의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하여 부유물을 제1자성분리조의 본체와 필러에 자력에 의해 포집하고 처리수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자성분리조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교반하는 단계,
교반된 처리수를 제2자성분리조의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하여 부유물을 제2자성분리조의 본체와 필러에 자력에 의해 포집하고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분리조의 본체와 필러에 부유물 부착능이 포화된 시점에는 상기 자성분리조의 자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 저장조의 처리수를 자성분리조의 상부에 세척수로 분사하여 부착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철공업은 그 특성상 발생 폐수중에 철과 같은 자성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부유물 중 자성체의 함량은 약 40 ~ 80% 정도 범위이다. 그 예로는 제강공장, 미니밀공장, 열간압연공장, 냉간압연공장, 연주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들이다. 이 중에서도 제강공장 집진폐수의 경우는 부유물의 함량이 높아 부유물만 제거하게 되면 다시 집진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철폐수의 경우 자석을 이용하면 약품을 사용치 않음은 물론 부유물을 중력대신 자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제거할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자력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개발하게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는 종래의 부유물 처리기술과는 달리, 침전조를 이용하지 않고 자력에 의해 부유물을 빠른 속도로 제거하므로 처리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를 도 4을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유물 제거장치는, 원폐수저장조(10), 자성분리조(20), 처리수 저장조(40), 세척수 저장조(50)의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교반조(30), 탈수기 또는 원심분리기(60)가 추가로 포함된다.
원폐수 저장조(10)은 제철폐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측에는 원폐수 유입구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원폐수 공급구가 구비된다. 원폐수 공급구와 자성분리조(20)의 하부는 배관(14)을 통해 원폐수 소통관계를 형성한다. 이 배관(14)에는 원폐수 공급펌프(12)가 구비된다.
자성분리조(20)는 외측에 자석(22)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다공의 판상인 필러(24)가 일정간격을 두고 1개 이상 구비되며, 필러의 상부에는 세척용 노즐(26)이 구비된다. 자성분리조(20)는 원폐수 저장조(10)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제철폐수를 상향류 방향으로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자성분리조는 제철폐수를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하면서 자력에 의해 폐수중의 자성체와 부유물을 필러와 자성분리조의 본체에 포집시키므로 침전조를 사용하지 않고 폐수처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자석(22)은 원폐수 저장조의 배관(14)를 통해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된 제철폐수의 부유물을 필러와 본체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영구자석, 전자석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자석은 2개가 한 세트로서 자성분리조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의 세기는 자성분리조의 중심자력이 1,500Gauss이상 되면 제철폐수내 부유물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자력의 세기가 강할수록 부유물 제거효율이 커진다.
필러(24)는 폐수를 통과시키면서 부유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다공체로서 판상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철망이 있다. 도 5에는 자성분리조의 측면도와 평면도로서 철망을 필러로 이용한 것으로, 철망을 일정간격을 두어 1개 이상, 다수개 설치한 것이다.
노즐은 도 5와 같이 필러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여 필러(24)와 본체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자성분리조(20)를 2개이상 설치하는 경우에 그 자성분리조(20a)(20b) 사이에 교반조(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조(30)는 하측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처리수를 교반할 수 있도록 교반기(3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기는 두개의 자성분리조(20)의 중간에 위치하는 높이로 설치되어 교반조를 통과한 처리수가 수두 차이에 의해 제2자성분리조(20b)에 공급되어 상향류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교반하는 과정에서는 제1 자성분리조(20a)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부유물들이 자성플럭을 형성하게 된다. 이 자성플럭은 제2 자성분리조(20b)를 한번 더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력에 의해 제거된다.
처리수저장조(40)는 자성분리조(20)의 상부와 처리수 소통관계로 연결되어 처리수를 공급받아 상등액을 배출한다. 한편, 자성분리조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처리수 저장조(40)의 세척수를 배관(42)을 통해 노즐(26)로 공급하게 된다. 배관(42)에는 세척펌프(44)와 블로어(46)가 구비되어 세척수를 고압으로 노즐에 공급한다.
세척수 저장조(50)는 자성분리조(20)의 하부와 세척수 소통관계로 연결되어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필러를 통과하여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세척수 저장조의 일측에는 원심분리기(6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슬러지 펌프(52)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척수 저장조(50)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부유물을 케이크 형태로 만들어 처리수와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탈수기 또는 원심분리기(60)를 이용할 수 있다. 탈수기 또는 원심분리기(60)에서 나오는 처리수는 다시 원폐수 저장조(10)로 공급되거나 방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철페수의 부유물 제거장치를 이용한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철폐수를 내부에 다공의 판상이 필러(24a)가 구비된 제1 자성분리조(20a)의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하여 부유물을 자력에 의해 자성분리조의 본체와 필러(24a)에 포집하고, 처리수는 배출한다. 자성분리조(20)의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철폐수의 유입선속도는 30~50m/hr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유입선속도가 30m/hr미만이면 자성분리장치가 너무 커지게 되며 50m/hr 보다 빠르면 유입선속도가 너무 빨라서 부유물 제거효율이 떨어진다. 자석의 세기는 자성분리조의 중심자력이 1,500Gauss이상 되면 제철폐수내 부유물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자력의 세기가 강할수록 부유물 제거효율이 커진다.
다음으로 자성분리조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교반한다. 자성분리조에서 포집하지 못하고 배출된 미세 자성체와 부유물은 교반조(30)에서 교반기(32)의 의해 교반되면서 자성플럭으로 형성된다. 자성플럭을 함유한 1차 처리수는 교반조(30)와 제2 자성분리조(20b)와의 수두 차에 의해 제2 자성분리조(20b)내를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때 폐수중의 자성플럭은 제2 자성분리조(20b)의 본체와 필러(24b)에 포집되고, 2차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조(4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폐수처리를 계속하면, 자성분리조(20a)(20b)의 본체와 필러(24a)(24b)에 부유물이 포집 축적되어 더 이상의 부유물을 제거할 수 없는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즉, 부유물 포착능이 포화된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 시점이 되면 부유물을 자성분리조(20)에서 탈리하는 세척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세척방법은 우선적으로 자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세척펌프(44)를 가동시켜 자성분리조(20)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26)을 통해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때 세척 효율을 높이기 위해 블로어(46)를 가동시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할 수도 있다. 자성분리조가 세척되면 자성체와 부유물을 고농도로 함유한 세척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세척수는 세척수 저장조(50)로 유입되게 된다.
고농도의 부유물을 함유한 세척수는 펌프(52)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심분리기(60)로 유입되어 고형물과 물의 비중차에 의해 원심력으로 분리된다. 원심분리기(60)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다시 원수저장조(10)로 유입되고 탈수된 케이크(Cake)는 원심분리기(16)에서 배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종래예
제철소의 제강공장 집진폐수의 처리를 도 1의 종래방법에 따라 처리하였다. 먼저, 폐수집수조에 폐수를 모은 후 반응조에서 NaOH를 주입하여 pH를 조절한 다음, 고분자응집제와 30분 동안 반응시켜 조대플럭을 형성시킨 후 3시간의 체류시간을 갖는 침전조에서 중력에 의해 조대플럭을 침전시켜 슬러지와 상등액으로 고액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배출하고 슬러지는 농축조에서 농축시킨 후 필터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탈수시켜 케이크 형태로 배출하였다. 이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발명예
제강공장의 제철폐수내 자성체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3회 실시 결과 미니밀공장의 제철폐수 부유물 중 자성체의 함량은 57.1 ~ 79.2%의 범위였고, 평균 함량은 66.9%로 분석되었다. 다음 표 1은 제강공장 폐수의 자성체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부유물농도(mg/L) 자성체의 함량(mg/L) 부유물중 자성체의 비율(%)
평균 4736 2728 57.6
도 4와 같이 구성된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폐수처리하였다. 표 2에는 이 장치의 기본사양이 제시되어 있다. 자성분리조에서는 전자석을 이용하였는데, 전자석의 표면자력은 8,000Gauss 중심자력은 2,000Gauss이다.
항목 주요사양 체류시간(min)
원폐수저장조 Φ1.0m X 1.0m 11.78
원폐수공급펌프 6.0㎥/hr X 2.0㎏/㎠ X 5.5kW
자성분리조(2set) 0.3mW X 0.3mL X 1.0Mh 1.35 X 2 = 2.70
전자석(2 set) 8000Gauss X 7.0Kw
필러(2 set) 1.0 ~ 2.0cm, SS 400(아연도금)
교반조 Φ0.8m X 1.0m 7.54
교반기 0.4Kw
세척펌프 6.0㎥/hr X 10.0㎏/㎠ X 5.5kW
슬러지펌프 1.0㎥/hr X 2.0㎏/㎠ X 0.75kW
세척수 저장조 0.9mW X 1.2mL X 1.07mH
처리수 저장조 0.9mW X 0.7mL X 1.07mH
블로어 1.5kW
원심분리기 100L/min X 2200rpm X 2.95kW
총 체류시간 22.02
종래 폐수처리공정의 반응조와 침전지의 총 체류시간은 4시간 30분인 반면 본 발명의 자성분리 장치의 체류시간은 전부 합하여 22분에 불과하였다.
자성분리조내 제철폐수의 유입선속도를 44.4m/hr로 유지하여 30분 동안 폐수를 유입시켜 자성체와 부유물을 포집제거 한 후 1분 동안은 전자석을 끊고 물과 공기를 이용하여 부유물을 탈리시키는 세척공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운전하였다. 다음 표 3은 현장에서의 수차례 실험 결과 기존의 응집 침전공정과 본 발명에서 제안된 자성분리공정의 부유물 제거율을 분석한 실험결과이다.
구분 원수(mg/L) 1차처리수(mg/L) 2차처리수(mg/L) 부유물제거율(%)
종래예(응집침전) 4736 110 97.7
발명예(자성분리) 4736 518 66.7 98.6
제강공장의 제철폐수의 부유물 농도는 4736 mg/L 였으며, 1차 자성분리 처리수의 부유물 농도는 518 mg/L로 1차 자성분리에서 89.1%의 부유물이 제거되었다. 2차자성분리 처리수의 부유물 농도는 66.7 mg/L로 본 발명의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부유물 제거율은 98.6%였다. 반면, 종래의 응집침전공정의 처리수 부유물 농도는 110mg/L로서 부유물 제거율은 97.7%였다. 본 발명의 부유물 제거효율이 종래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4의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세척수를 원심분리기(60)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는데, 유입유량은 1㎥/hr로 유지하고, 원심분리 시간은 30분, 케이크(Cake) 배출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여 운전하였다. 원심분리기 처리수는 원폐수 저장조(10)으로 다시 유입시키고 케이크는 배출하였다. 케이크의 함수율은 평균 23.2%로 기존의 필터 프레스의 함수율 24.2%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 표는 케이크의 함수율과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구분 함수율(%) 성분 분석 결과(%)
T-Fe SiO2 Al2O3 CaO MgO ZnO S
원심분리기 23.2 55.13 0.79 0.30 14.29 1.54 4.65 0.02
필터프레스 24.2 46.70 0.83 0.30 20.76 2.16 4.52 0.03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 설명한 폐수처리장치와 그 방법은 하나의 예로서 일부의 장치나 공정을 생략, 교체하거나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반조, 원심분리기는 임의로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석 대신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유사한 작용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차이점이 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체를 함유하는 제철폐수의 처리시간을 4시간 30분에서 약 22분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시설규모도 1/10이하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제철폐수 처리공정의 순서도
도 2는 종래의 자성분리에 의한 현탁물 분리장치
도 3은 종래의 자성분리에 의한 부유물 처리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
도 5는 본 발명의 자성분리조의 상세도로서,
도 5a는 측면도
도 5b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폐수저장조 12 .....원수공급펌프
20..... 자성분리조 22..... 자석
24..... 필러 26..... 노즐
30..... 교반조 32..... 교반기
40..... 처리수저장조 44..... 펌프
46..... 블로어
50..... 세척수 저장조 52..... 펌프
60..... 원심분리기

Claims (6)

  1. 제철폐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원폐수 저장조(10),
    외측에 자석(22)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다공의 판상인 필러(24)가 일정간격을 두고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원폐수 저장조(10)와 폐수소통관계로 연결되어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철폐수의 부유물을 필러(24)와 본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고, 필러(24)의 상부에 세척용 노즐(26)이 구비되는 1개 이상의 자성분리조(20),
    상기 자성분리조(20)의 상부와 처리수 소통관계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상기 자성분리조(20)의 노즐(26)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처리수 배출관이 구비되는 처리수 저장조(40),
    상기 자성분리조(20)의 하부와 세척수 소통관계로 연결되어 노즐(26)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필러(24)를 통과하여 인입되는 세척수 저장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성분리에 의한 제철폐수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리조(20) 사이에는 처리수를 교반하는 교반기(32)가 내부에 구비되고, 처리수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교반조(30)가 1개 또는 2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분리에 의한 제철폐수의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조(50)의 세척수를 공급 받아 부유물을 케이크로 만들어 처리수와 분리하여 배출하는 원심분리기(6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분리에 의한 제철폐수의 처리장치.
  4. 제철폐수를 내부에 다공의 판상인 필러(24a)가 구비된 제1자성분리조(20a)의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하여 자력에 의해 부유물을 제1자성분리조(20a)의 본체와 필러(24a)에 포집하고 처리수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자성분리조(20a)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교반하는 단계,
    교반된 처리수를 제2자성분리조(20b)의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하여 부유물을 제2자성분리조(20b)의 본체와 필러(24b)의 자력에 의해 포집하고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조(40)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분리조(20)의 본체와 필러(24)에 부유물 부착능이 포화된 시점에서는 상기 자성분리조(20)의 자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 저장조(40)의 처리수를 자성분리조의 상부에 세척수로 분사하여 부착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철소폐수의 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리조의 상향류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철폐수의 유입선속도는 30~50m/hr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폐수의 처리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리조의 중심자력은 1,500Gauss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폐수의 처리방법.
KR10-2002-0082645A 2002-12-23 2002-12-23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 KR10049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45A KR100492934B1 (ko) 2002-12-23 2002-12-23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45A KR100492934B1 (ko) 2002-12-23 2002-12-23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101A KR20040056101A (ko) 2004-06-30
KR100492934B1 true KR100492934B1 (ko) 2005-06-02

Family

ID=3734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645A KR100492934B1 (ko) 2002-12-23 2002-12-23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492A1 (ko) * 2012-05-17 2013-11-21 주식회사 그린코어 이엔씨 철분이 함유된 폐수와 폐유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1248B (zh) * 2021-08-05 2022-07-08 江苏德龙镍业有限公司 一种钢铁生产用废水处理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492A1 (ko) * 2012-05-17 2013-11-21 주식회사 그린코어 이엔씨 철분이 함유된 폐수와 폐유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101A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8483B1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999369B1 (ko) 하·폐수 및 오·탁수 처리용 일체형 수처리장치
KR20030062324A (ko) 물 및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393028B1 (ko) 플라즈마 수중방전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101648086A (zh) 快速沉淀方法及快速沉淀分离装置
KR101261839B1 (ko) 반류수 처리장치
KR20040002594A (ko) 액체처리방법 및 장치
KR19980043088A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492934B1 (ko) 제철폐수의 부유물 제거장치와 부유물 제거방법
WO1999033541A1 (fr) Precipitateur de coagulation
KR20030079414A (ko) 가압부상분리와 응집침전분리를 연계한 고농도 유기성오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4384990U (zh) 一种循环冷却水石灰软化澄清过滤处理系统
Bolto et al. Water purification with magnetic particles
KR20010001930A (ko) 폐수처리시스템
CN104529045A (zh) 一种农村乡镇分散式污水处理方法
KR100926005B1 (ko) 자화플록의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자석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60669B1 (ko) 자성분리를 이용한 불소함유 제철폐수의 처리방법
RU257045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N106745917A (zh) 一种酸洗废水处理化净水器的净水方法
KR101885134B1 (ko) 폐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RU2241681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фильтрованием
KR0173968B1 (ko) 폐수처리 공정에서 고-액분리 및 농축방법
KR920008098B1 (ko) 폐유 및 폐수처리장치
SU1125207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ромывной воды фильтровальных сооружений
KR100318620B1 (ko) 접촉재를 사용한 고속응집침전여과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