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120B1 -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120B1
KR100492120B1 KR10-2003-0009177A KR20030009177A KR100492120B1 KR 100492120 B1 KR100492120 B1 KR 100492120B1 KR 20030009177 A KR20030009177 A KR 20030009177A KR 100492120 B1 KR100492120 B1 KR 10049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compensation
signal
backlight
areas
b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182A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1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4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복수의 기설정된 역광보정영역 중 소정 개수의 역광보정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모드선택키와,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처리부와, 촬상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을 산출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며, 산출된 각각의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 중 최저휘도레벨을 갖는 제1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한 후, 선택된 제1역광보정영역의 최저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조리개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조리개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조리개의 개폐율을 조정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부발광체, 피사체의 위치 등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역광보정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함으로써 수동으로 역광보정영역을 재선택할 필요없이 역광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back light compens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광상태에 있는 피사체를 촬상할 때 역광보정이 필요한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역광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역광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용 감시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할 때, 피사체 주위에 자연광 또는 형광등과 같은 외부발광체가 있는 경우, 피사체는 외부발광체에 의해 역광상태에 놓이게 되어 선명하지 못하고 어둡게 촬상된다.
이는, 역광보정모드를 설정하지 않고 일반촬상모드로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저휘도레벨은 고려하지 않고, 촬상장치의 조리개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발광체에 대한 고휘도레벨에 따라 조리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즉, 일반촬상모드에서는 외부발광체의 고휘도레벨에 따라 조리개의 개구율을 축소하여 CCD(Charge Coupled Device)에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촬상장치에는 역광보정(Back Light Compensation, 이하 "BLC"라 한다) 기능이 내재되어 있다. BLC 기능은 피사체의 선명한 화질을 확보하기 위해 피사체에 대한 외부발광체, 기타간섭의 영향 등을 감소시켜 역광을 보정함으로써 최적의 선명도를 갖는 영상이 촬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BLC 기능은 촬상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소정의 조작키에 의해 BLC 모드가 선택되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BLC 모드가 선택되어 BLC 모드로 진입되면, 종래의 촬상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로 도 1과 같은 OSD(On Screen Display) 화면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OSD 화면은 48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BLC 기능수행을 위한 BLC 영역은 본체에 마련된 소정의 방향키 등을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선택된다. 도 1의 경우 검은색으로 도시된 4 개의 BLC 영역이 소정의 방향키 등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으며, 종래의 촬상장치는 선택된 BLC 영역에 대해 역광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조리개의 개폐정도를 제어한다. 이로써, 조리개를 통해 유입되는 광량이 조절되며 결국 BLC 기능이 수행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촬상장치는 BLC 모드 수행시, 피사체 및 촬상장치의 위치, 외부발광체의 유무 등의 주변환경에 따라 적합한 BLC 영역을 수동으로 선택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BLC 영역을 선택하므로 적합한 BLC 영역의 선택이 어려우며, 주변환경이 변할 때마다 적합한 BLC 영역을 재선택하지 않으면 BLC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BLC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주변환경이 변할 때마다 수동으로 적합한 BLC 영역을 재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발광체, 피사체의 위치 등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BLC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함으로써 선명한 피사체가 촬상되도록 하는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는, 복수의 기설정된 역광보정영역 중 소정 개수의 역광보정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모드선택키와,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촬상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을 산출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며, 산출된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 중 최저휘도레벨을 갖는 제1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의 최저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조리개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리개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개폐율을 조정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저휘도레벨보다 소정 비율 큰 휘도레벨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역광보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하며, 선택된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의 휘도레벨에 대한 평균휘도레벨을 산출한 후 산출된 상기 평균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상기 조리개구동제어신호를 상기 조리개 구동부로 출력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을 합한 개수는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역광보정영역의 30% ~ 40% 이내의 개수가 되도록 상기 제2역광보정영역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되, 상기 최저휘도레벨과 최소의 휘도레벨차를 갖는 역광보정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소정 비율은 110% 이내이며,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은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역광보정영역과 소정 영역 중복된다.
또한,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개의 역광보정영역을 OSD 처리하여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OSD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소자에 의해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역광보정을 수행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복수의 역광보정영역 중 소정 개수의 역광보정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모드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 중 최저휘도레벨을 갖는 제1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의 최저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조리개의 개폐율을 제어하는 조리개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 선택단계 이후, 상기 최저휘도레벨보다 소정 비율 큰 휘도레벨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역광보정영역이 상기 복수의 역광보정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저휘도레벨보다 소정 비율 큰 휘도레벨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역광보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의 휘도레벨에 대한 평균휘도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2역광보정영역 선택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을 합한 개수가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역광보정영역의 30% ~ 40% 이내의 개수가 되도록 상기 제2역광보정영역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되, 상기 최저휘도레벨과 최소의 휘도레벨차를 갖는 역광보정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소정 비율은 110% 이내이다. 또한,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 수신단계 이 후, 상기 복수개의 역광보정영역을 OSD 처리하여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BLC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조리개의 개폐율을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의 휘도레벨을 조정하므로, 주변환경의 변화시에도 수동으로 BLC영역을 재설정할 필요없이 항상 최적의 역광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200)는 조리개(210), 조리개 구동부(212), 조리개구동 제어부(214), 펄스발생부(220), CCD 촬상부(230), 신호변환부(240), 신호처리부(250), 키입력부(260), OSD 처리부(270), 저장부(280) 및 제어부(290)를 갖는다.
조리개(210)는 조리개(210)의 개구경값, 즉, 개폐정도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며, 조리개 구동부(212)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조리개 구동부(212)는 제어부(290)로부터 발생되는 조리개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조리개구동 제어부(214)에 의해 제어된다.
펄스발생부(220)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CCD의 영역에는 전하가 축적되도록 하며, 외부발광체에 대응하는 CCD의 영역에는 전하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전하소거펄스를 후술할 제어부(290)의 제어에 의해 CCD 촬상부(230)로 출력한다.
CCD 촬상부(230)는 펄스발생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전하소거펄스에 따라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출력한다. 신호변환부(240)는 CCD 촬상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상관이중샘플링 및 자동이득조절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250)는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인코딩 및 압축 등의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50)는 신호변환부(24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출력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50)는 후술할 BLC 모드선택키(260a) 및 BLC 자동모드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소정 개수로 분할된 BLC 영역 각각에 대한 휘도레벨을 산출하여 제어부(290)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60)는 촬상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 또는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290)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를 위해, 키입력부(260)는 각종 기능들에 대한 수행명령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키(미도시) 뿐만 아니라, 역광보정을 위한 BLC 모드선택키(260a)를 갖는다.
BLC 모드선택키(260a)가 선택된 후, 키입력부(260)의 키조작에 의해 BLC 자동모드 또는 BLC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OSD 처리부(270)는 도 3과 같은 9개의 BLC 영역(1 내지 9)으로 분할된 OSD 화면을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로 출력한다.
여기서, BLC 자동모드는 각 BLC 영역의 휘도레벨에 따라 역광보정이 필요한 BLC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BLC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BLC 수동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역광보정이 필요한 BLC 영역에 대해 BLC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또한, 표시장치는 찰상장치(200)에 구비되거나 또는 통신인터페이스(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는 외부표시장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선으로 도시된 영역은 복수의 BLC 영역 중 서로 인접한 BLC 영역(예를 들어, 1과 2, 2와 3, 4와 5, 5와 6, 7과 8, 8과 9)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각 BLC 영역의 일부를 중복되게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BLC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저장부(280)에는 소정 개수로 분할된 BLC 영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90)는 저장부(280) 또는 그 외의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키입력부(260)의 키조작에 따라 촬상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저장부(280)로부터 각각의 BLC 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독출한 후 독출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제어신호를 펄스발생부(220)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BLC 기능수행과 관련된 제어부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촬상장치의 BLC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촬상장치(200)에 전원이 온(on) 된 후, BLC 모드선택키(260a)가 선택된 신호가 수신되면(S405, S410), 제어부(290)는 도 3과 같은 OSD 화면을 표시장치로 제공하도록 OSD 처리부(270)를 제어한다(S415). OSD 화면은 소정 개수의 BLC 영역으로 분할되며, 분할개수는 제한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9개의 영역(1 내지 9로 도시됨)으로 분할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도 3의 OSD 화면에서 각 BLC 영역의 일부를 중복하여 OSD 처리하는 것은, 제어부(29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 BLC 영역들의 평균휘도레벨 산출시, 평균휘도레벨과 선택된 BLC 영역간의 휘도레벨 차이를 최소화하여 조리개(210)의 개폐율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피사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함이다.
S415단계 수행 후 키입력부(260)의 키조작에 의한 BLC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S420), 제어부(290)는 각각의 BLC 영역에 대한 전하소거펄스를 발생하도록 펄스발생부(220)를 제어하며, 전하소거펄스에 따라 입사되어 광전변환된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산출하여 각각의 BLC 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을 산출하도록 신호처리부(250)를 제어한다(S425).
각각의 BLC 영역의 휘도레벨이 산출되면, 제어부(290)는 산출된 각각의 BLC 영역의 휘도레벨 중 최저휘도레벨을 갖는 제1BLC 영역을 선택한다(S430).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250) 각각의 BLC 영역의 휘도레벨이 도 5a와 같은 값을 갖는 경우, 제어부(290)는 도 3의 7로 표시된 BLC 영역에 대응하는, 즉, '70IRE'의 최저휘도레벨을 갖는 BLC 영역을 선택한다. IRE(Institute Radio Engineers)는 영상신호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BLC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290)는 최저휘도레벨보다 소정 비율 큰 휘도레벨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BLC 영역에 대한 존재여부를 판단하여(S435),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BLC 영역을 선택한다(S440).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90)는 소정 비율 110% 이내 즉, (최저휘도레벨 ×1.1)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BLC 영역의 유무를 판단하여, (최저휘도레벨 ×1.1)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BLC 영역 중 저휘도레벨을 갖는 제2BLC 영역을 소정 개수 더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선택된 BLC 영역을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OSD 처리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90)는 제1 및 제2BLC 영역을 합한 개수는 분할된 BLC 영역의 30% ~ 40% 이내의 개수가 되도록 제2BLC 영역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되, 최저휘도레벨과 최소의 휘도레벨차를 갖는 BLC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S435단계 수행 후, 본 발명에서는 전체 9개의 BLC 영역의 1/3개 즉, 3개의 제1 및 제2BLC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290)는 두 개의 제2BLC 영역을 더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15개의 BLC 영역을 갖는 경우에는 5개 내지 6개의 제2BLC 영역을 더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290)는 '70IRE'의 110% 즉, '77IRE' 이내에 존재하는 휘도레벨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도 5a의 경우, 제어부(290)는 도 3의 8로 표시된 BLC 영역에 대응하는 '75IRE'를 갖는 BLC 영역을 더 선택한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290)는 S430단계에 의해 최저휘도레벨 '70IRE'를 갖는 제1BLC 영역을 선택한 후, S435단계를 수행한다. S435단계에서 '70IRE'의 1.1배 이내 즉, '77IRE'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BLC 영역이 없으므로 제어부(290)는 제2BLC 영역을 선택하지 않는다.
BLC 기능수행을 위한 제1 및/또는 제2BLC 영역이 자동으로 선택되면, 제어부(290)는 신호처리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선택된 BLC 영역 즉, 제1 및 제2BLC 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S445), 산출된 평균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하는 조리개구동 제어신호를 조리개구동 제어부(214)로 출력한다(S450).
S450단계에서, 산출된 평균휘도레벨을 보정하기 위한 값은 기준휘도레벨로써 예를 들어, 대략 '100IRE' 정도의 값이며, 제어부(290)는 조리개구동 제어부(214)를 제어하여 조리개(210)를 통해 입사되는 선택된 BLC 영역의 휘도레벨이 대략 '100IRE'를 갖도록 한다. 이로써 전체 BLC 영역의 휘도레벨도 소폭 상승하게 된다.
조리개구동 제어부(214)는 제어부(290)로부터 출력되는 조리개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조리개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조리개구동부(212)는 조리개구동신호에 따라 조리개(210)의 개폐정도를 조정한다. 이로써, 조리개(210)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이 조절됨으로써 자동으로 BLC 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S410단계에서 BLC 모드선택키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290)는 BLC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피사체를 촬상하는 일반촬상모드에 대한 루틴을 실행한다(S455).
또한, S420단계에서 BLC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아닌 BLC 수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9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BLC 영역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460). 소정 개수의 BLC 영역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90)는 선택된 BLC 영역을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OSD 처리부(27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된 BLC 영역에 대한 평균휘도레벨을 산출한 후(S465), 산출된 평균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하는 조리개구동 제어신호를 조리개구동 제어부(214)로 출력한다(S450).
또한, S420단계에서 BLC 수동모드가 선택되면, 제품 생산 과정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소정 개수의 BLC 영역을 이용하여 BLC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S410단계에서 BLC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3과 같은 OSD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없이 S420단계를 수행한 후, S420단계의 BLC 자동모드 선택여부에 따라 OSD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S420단계에서 BLC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만 OSD 화면을 제공하여 S460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200)는 BLC 모드선택키(260a)가 선택된 후, BLC 수동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만 도 3과 같은 OSD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며, BLC 자동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OSD 화면의 출력없이 자동으로 BLC 기능을 구현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S420단계에서 선택된 BLC 자동모드 또는 BLC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는 저장부(280)에 저장되며, 새로 전원이 온될 때 제어부(290)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모드를 이용하여 BLC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200)는 외부발광체 또는 피사체의 위치 등 주변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BLC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BLC 영역의 평균휘도레벨에 따라 조리개(210)의 개폐율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BLC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200)는 CCTV시스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디지털 촬상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BLC 모드 수행 후,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BLC 영역을 재선택함으로써 BL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외부발광체, 피사체의 위치 등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역광보정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을 보정함으로써 선명한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다. 즉, 주변환경의 변환시에도 수동으로 역광보정영역을 재선택할 필요없이 최적의 역광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촬상장치로부터 제공되는 BLC 기능구현을 위한 OSD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OSD 처리부에 의해 구현되는 OSD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촬상장치의 BLC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OSD 처리부에 의해 구현되는 OSD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00 : 촬상장치 210 : 조리개
230 : CCD 촬상부 250 : 신호처리부
260a : BLC 모드선택키 270 : OSD 처리부
290 : 제어부

Claims (12)

  1. 복수의 기설정된 역광보정영역 중 소정 개수의 역광보정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모드선택키;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촬상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을 산출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며, 산출된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 중 최저휘도레벨을 갖는 제1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의 최저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조리개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리개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리개의 개폐율을 조정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저휘도레벨보다 소정 비율 큰 휘도레벨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역광보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하며, 선택된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의 휘도레벨에 대한 평균휘도레벨을 산출한 후 산출된 상기 평균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상기 조리개구동제어신호를 상기 조리개 구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을 합한 개수는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역광보정영역의 30% ~ 40% 이내의 개수가 되도록 상기 제2역광보정영역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되, 상기 최저휘도레벨과 최소의 휘도레벨차를 갖는 역광보정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은 1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은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역광보정영역과 소정 영역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개의 역광보정영역을 OSD 처리하여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OSD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촬상소자에 의해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역광보정을 수행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역광보정영역 중 소정 개수의 역광보정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모드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에 대한 휘도레벨 중 최저휘도레벨을 갖는 제1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의 최저휘도레벨을 보정하도록 조리개의 개폐율을 제어하는 조리개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광보정영역 선택단계 이후, 상기 최저휘도레벨보다 소정 비율 큰 휘도레벨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역광보정영역이 상기 복수의 역광보정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저휘도레벨보다 소정 비율 큰 휘도레벨 이내의 휘도레벨을 갖는 역광보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역광보정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의 휘도레벨에 대한 평균휘도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광보정영역 선택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역광보정영역을 합한 개수가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역광보정영역의 30% ~ 40% 이내의 개수가 되도록 상기 제2역광보정영역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되, 상기 최저휘도레벨과 최소의 휘도레벨차를 갖는 역광보정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은 1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은 각각의 상기 역광보정영역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역광보정영역과 소정 영역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 선택신호 수신단계 이 후, 상기 복수개의 역광보정영역을 OSD 처리하여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09177A 2003-02-13 2003-02-13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9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177A KR100492120B1 (ko) 2003-02-13 2003-02-13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177A KR100492120B1 (ko) 2003-02-13 2003-02-13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182A KR20040073182A (ko) 2004-08-19
KR100492120B1 true KR100492120B1 (ko) 2005-06-01

Family

ID=3736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177A KR100492120B1 (ko) 2003-02-13 2003-02-13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001B1 (ko) * 2008-07-03 2014-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역광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및 그 방법
KR101459779B1 (ko) * 2008-08-13 2014-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역광보정 방법
KR101146015B1 (ko) * 2010-09-20 2012-05-1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폰 기반의 역광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182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200B1 (ko) 이동 검출 장치, 이동 검출 방법, 촬상 장치 및 감시 시스템
KR100620947B1 (ko) 자동 광도 조절기능을 포함하는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US831986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7646406B2 (en) Image taking apparatus
KR20050094213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광 보정 방법
US7310113B2 (en) Camera for automatically adjusting image brightness for an image on a display
EP0801496B1 (en) Color image pickup apparatus
US2006026815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0492120B1 (ko) 역광보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7948525B2 (en) Imaging device having a linear/logarithmic imaging sensor
US20060268154A1 (en) Image pickup apparatus
JP4260003B2 (ja) 電子カメラ
KR100570565B1 (ko) 줌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의 자동노출제어방법
US6980251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which carries out optimum exposure control of subject
JP2006333052A (ja) 露出調整装置
JP2006325132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及びテレビドアホン装置の逆光補正方法
JP2002223386A (ja) 撮影装置
JP3250676B2 (ja) 撮像装置
JP3513953B2 (ja) 逆光補正装置
JPH01218178A (ja) 撮像装置
KR10142765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처리속도 조정 장치및 방법
JP2006332954A (ja) 撮像装置
JPH0556331A (ja) 撮像装置
KR101442607B1 (ko) 색온도 조절 필터를 이용한 영상의 색온도 제어 장치 및방법
JP2001255468A (ja) 顕微鏡自動認識機能付き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