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586B1 -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 Google Patents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586B1
KR100490586B1 KR10-2002-0043729A KR20020043729A KR100490586B1 KR 100490586 B1 KR100490586 B1 KR 100490586B1 KR 20020043729 A KR20020043729 A KR 20020043729A KR 100490586 B1 KR100490586 B1 KR 10049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eat
toilet
toilet body
rol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09704A (en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Priority to KR10-2002-004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586B1/en
Publication of KR2004000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5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판을 사용자 중심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판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자세에서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에 국부나 항문을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국부나 항문의 세정 위치를 비데의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eat toilet seat for adjusting the seat of the toilet seat to the user center,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user to approach the local or anus to the water jet position of the bidet nozzle in a seated position on the seat, It relates to a variable seat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to guide the cleaning position to the water jet nozzle of the bidet.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는,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설치된 좌판과, 상기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전후 좌우 평면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안내하기 위해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좌판을 결합하고 그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좌판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가이더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좌판 사이에 설치되어 변기 본체 윗면부와 좌판을 서로 이격시켜 일정한 이동공간을 형성하면서 좌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수직 운동을 받아 좌판의 운동을 자유운동으로 유도하는 구름부재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과 좌판 사이에서 구름부재 안내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비데의 물 분사 노즐의 분사점에 맞추어 좌판을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다.Positionable left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late is installed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toilet body so as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toilet body, and guides by combining the seat plate to allow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lanar motion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toilet body. A guider for coup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the seat plate and allowing the seat plate to move around the coupling point,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the seat plate so that the toilet body upper part and the seat plat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constant movement. Forming a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lling member for receiving a horizontal vertical movement transmitted from the seat plat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to free movement, and a guide for fixing the rolling member guid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body. Thereby, the seat can be convenient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spraying point of the water spray nozzle of the bidet.

Description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판을 사용자 중심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판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자세에서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에 국부나 항문을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국부나 항문의 세정 위치를 비데의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eat toilet seat for adjusting the seat of the toilet seat to the user center,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user to approach the local or anus to the water jet position of the bidet nozzle in a seated position on the seat, It relates to a variable seat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to guide the cleaning position to the water jet nozzle of the bidet.

일반적으로 좌변기(10)는 도 1과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11) 및 그 본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12)와, 상기 변기 본체(11)의 윗면부(11a)와 닿아 변기 본체(11)의 윗면부(11a)를 가리고 필요에 따라 올리고 내릴수 있게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변기 본체(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13)과, 상기 변기 본체(11)에 일단을 회전 되게 고정하여 좌판(13)과 닿아 물이 담겨 있는 수조(12)의 구멍을 덮어주는 뚜껑(14)으로 되어 있다.In general, the toilet 10 includes a toilet main body 11 install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1, a water tank 12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water tank 12 for discharging and storing water,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11a of the toilet main body 11. The seat plate 13 is fixed to the toilet main body 11 so as to cover the top 11a of the toilet main body 11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as necessary, and rotatably seated by the user. One end is fixed to the toilet body 11 so as to contact the seat plate 13 is made of a lid 14 to cover the hole of the water tank (12) containing water.

좌변기(10)에 비데(Bidet)를 설치하는 경우, 변기 본체(11)의 주변부 적당한 위치에 물을 제어할 수 있는 비데(15)를 설치하고, 수조(12)에는 세정용 물 분사 노즐(16)을 설치한다.In the case where a bidet is installed in the toilet 10, a bidet 15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is provided at a periphery of the toilet main body 11, and the water tank 12 has a water spray nozzle 16 for cleaning. Install).

단순 세정기능으로만 이해되던 비데에 여러 가지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달아 차별화 시킨 제품이 근래에 많이 출시되었고 실현성이 큰 다양한 기술들도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었다.Bidet, which was understood only as a simple cleaning function, has been released with various convenient and diverse functions in recent years, and various technologies with high practicality have been introduced in various forms.

위생필터를 사용하여 거른 물로 세정하여 사용자에게 상쾌한 느낌과 청결함을 준다던지, 유압식 댐퍼를 이용하여 부드러운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이용중에 갑자기 좌판이 떨어져 다칠 염려를 줄여준다든지, 또한 좌판 커버의 탈.부착이 자유로워 실제 청소할 때 편리하도록 한 인체공학적 설계도 있다.Use sanitary filter to clean with filtered water to give the user a fresh feeling and cleanliness, or to open and close smoothly using hydraulic damper to reduce the risk of accidental falling of the seat plate and injuring the seat cover. There is also this ergonomic design that makes this free and convenient for actual cleaning.

그러나, 일반적인 좌변기 뿐만아니라 비데가 설치된 모든 좌변기들의 좌판(13)은 물 분사 노즐(16)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즐(16)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위치와 국부 및 항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었다.However, since the seat plate 13 of all the toilets in which the bidet is installed, as well as the general toilet, is fixedly installed at a constant position of the water spray nozzle 16, the position of the jet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16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local and the anus. It is not uncommon to slip off without doing so.

이렇게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는 변하지 않고 사용자 마다 좌변기에 않는 위치와 습성 등이 달라지는데 반해 비데의 물 분사 방향이나 위치는 항상 정해져 있어 물 분사 작용점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분사 노즐로 부터 분사되는 물이 닿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 함으로서, 그 만큼 세정 효율이 떨어지고 감각적으로 느끼는 상쾌함을 충족시키기 어려웠고, 실제로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As such, the position of the water jet of the bidet nozzle does not change, and the position and habit of the toilet seat are different for each user, whereas the direction of water jet and the position of the bidet are always determined, and thus the water injection action point is different for each user. This results in a result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does not reach exactly the desired part of the user, so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refreshing feeling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sensory feeling, and the problem was inferior in cleanliness.

이와 같이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원하는 부위에 닿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좌판(13)에서 일어나 신체의 전신을 움직여서 물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원하는 부위에 접촉하도록 하는 사용법을 취하고 있으나, 노약자나 미성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감각적 조치를 취하기가 어렵고 또한 좌변기에 착석한 채로 신체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행동자체가 부자연스럽고, 번거로워 비데의 사용 자체가 부담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었다.As such, when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does not reach the desired area, the user takes up the seat plate 13 and moves the whole body of the body so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contacts the desired area. In the case of children, it is difficult to take such sensory measures and because the body cannot move freely while sitting on the toilet, the behavior itself is unnatural, and the use of bidet itself is a burden.

이같은 현상은 비데 기능이 있음에도 물 분사 노즐을 통한 물 분사점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접촉시키는 비데 기능이 있는데에도 휴지를 사용하는 이용상의 문제로 나타났으며, 이는 쉽고 편리하며 위생적인 비데의 우수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사용상의 한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었다.This phenomenon appeared to be a problem in using a toilet paper, even though it has a bidet function, but also has a bidet function for contacting the water spray point through the water spray nozzle to a desired area, which is an excellent function of an easy, convenient and hygienic bidet. Nevertheless, it was pointed out as an important problem that reveals the limitations of use.

이러한 비데기의 사용상의 한계를 감안하여 분사 노즐의 물 분사 노즐(16)을 도 2과 같이, 앞으로 더 연장된 국부 세정용 분사 노즐(17)과 항문세정용 분사 노즐(18)을 따로 설치하여 물 분사점이 국부와 항문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물 분사 노즐의 개선 구조도 제시되었지만, 마찬가지로 물 분사 노즐(16)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는 수동적인 구조 인데 반해 사용자의 착석 위치, 또는 신체 특성 차이에 따라 물 분사점이 수시로 변동되는 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자는 비데를 사용하면서 원하는 부위에 의도하는 대로 물을 닿게 하지 못하여 만족 할 만한 세정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n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the bidet, the water jet nozzle 16 of the jet nozzle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local cleaning jet nozzle 17 and an anal cleaning jet nozzle 18 extending further as shown in FIG. Although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water jet nozzles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jet points can act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on the local and anus, the position of the water jet nozzle 16 is likewise a fixed passive structure, whereas the user's seating position or body characteristics By forming a relationship in which the water injection point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the user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satisfactorily washed because the user can not touch the water to the desired area while using the bide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 기능이 있는 좌변기의 사용에 있어서 좌변기 사용자가 착석 위치에서 물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 되는 물의 분사점을 기준으로 원하는 세정 부위를 착석 상태에서 접근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toilet seat user to approach a desired cleaning part in a seated state based on an injection point of water sprayed through a water spray nozzle in a seated position in the use of a toilet with a bidet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분사 노즐을 통한 물 분사점이 항상 일정함에 따라 나타나는 비데의 사용상의 불편을 좌판의 위치 가변을 통해 착석 상태에서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원하는 세정부위를 접근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비데의 활용성을 개선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 of the bidet is always constant through the water spray nozzle through the water jet nozzle to guide the water cleaning nozzle to the water jet nozzle in the seated position to accurately approach the desired cleaning sit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To improve the us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테기의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세정부위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데기의 사용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use effect of the bidet by making it possible to exactly match the cleaning site to the water jet nozzle of the bid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착석 위치 기준으로 착석 위치 조절이 가능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capable of adjusting a seating position based on a seating position of a user.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se objects,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 및 그 본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물 분사 노즐이 수조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The toilet body is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 water tank formed in the main body to discharge and store water, and fixed to the toilet body whil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dy, it is made so that the user can be seated In the left toilet which has a seat plate and a bidet provided with a water jet nozzle in a suitable position of a water tank,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설치된 좌판과, A seat plate install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상기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전후 좌우 평면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안내하기 위해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좌판을 결합하고 그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좌판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가이더와,A guider that combines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the seat plate and guides the seat plate to move around the top of the toilet body so as to guide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lane motions along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dy;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좌판 사이에 설치되어 변기 본체 윗면부와 좌판을 서로 이격시켜 일정한 이동공간을 형성하면서 좌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수직운동을 받아 좌판의 운동을 자유운동으로 유도하는 구름부재와,A roll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body to receive a horizontal vertical motion transmitted from the seat plate while forming a certain moving space by separating the toilet seat upper surface part and the seat plate from each other, and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to a free movement;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좌판 사이에서 구름부재의 구름운동을 안내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를 특징으로 한다.The sea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toilet seat with a fixing portion for guiding the rolling motion of the rolling member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body.

이렇게 좌변기의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좌판에 착석 상태에서 물 분사 노즐의 분사점을 중심으로 세정부위를 쉽고 편하게 접근시킬 수 있게된다.Thus, by allowing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to be able to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 desired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the se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pproached around the spray point of the water jet nozzle in a seated sta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를 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variable left toilet seat of th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는 도 3 내지 도 5과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11) 및 그 변기 본체(11)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30)와, 변기 본체(11)의 윗면부(20)와 닿아 변기 본체(11)의 윗면부(20)를 가리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60)과, 물 분사 노즐(16)이 수조(30)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비데(15)를 구비하는 좌변기(10)에 있어서, 주요 부분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변기 본체(11)의 윗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변기 본체(10)의 윗면부(20)를 따라 설치된 좌판(60)과, 좌판(60)을 변기 본체(11)의 윗면부(20)를 따라 전후 좌우 평면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안내하기 위해 변기 본체(11)와 좌판(60)의 결합지점에 구성한 가이더(70)와, 변기 본체(11)의 윗면부(20)와 좌판(60) 사이에 설치되어 변기 본체 윗면부(20)와 좌판(60)을 서로 이격시켜 일정한 이동공간(83)을 형성하면서 좌판(6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수직 운동을 받아 좌판(60)의 운동을 자유운동으로 유도하는 구름부재(80)와, 변기 본체(11)의 윗면부(20)와 좌판(60) 사이에서 구름부재(80)의 구름운동을 안내하는 고정부(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o 5, the variable position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toilet main body 11 and the toilet main body 11 is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 water tank 30 for discharging and storing water, toilet bowl The seat plate 60 and the water jet nozzle 16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0 of the main body 11 to cover the upper surface 20 of the toilet main body 11, and allow the user to sit. In the left toilet 10 having a bidet 15 installed at a suitable position of the main portion as shown in Figs. The seat plate 60 provided along the top surface 20 of the toilet body 10 and the seat plate 60 along the top surface 20 of the toilet body 11 so as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toilet body 11. The guider 70 configured at the coupling point of the toilet main body 11 and the seat plate 60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20 and the seat plate 60 of the toilet seat main body 11 are combined to guide the front and rear plane motion. Installed in the toilet main body upper part 20 and the seat plate 60 is spaced from each other to form a constant moving space 83 while receiving the horizontal vertical movement transmitted from the seat plate 60 to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60 to free move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lling member 80 for guiding, and a fixed portion 90 for guiding the rolling motion of the rolling member 80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and the seat plate 60 of the toilet body 11. .

또한, 상기 가이더(70)는, 좌판(60)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20)에 결합하기 위해 좌판(60)의 가장자리를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플랜지 슬라이더(61)와, 좌판(60)의 플랜지 슬라이더(61)를 안내하여 좌판(60)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20)를 따라 결합하기 위해 변기 본체(11)의 윗면부(20) 아래 부분을 가이드레일(21)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guider 70 is a flange slider 61 formed by bending the edge of the seat plate 60 inward to couple the seat plate 60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and the seat plate 60.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11 is formed by the guide rails 21 in order to guide the flange slider 61 of the seat plate 60 to be coupled along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

또한, 변기 본제의 윗면부(20)와 좌판(60)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60)의 운동을 안내하는 구름부재(8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90)는, 변기 본체의 윗면부(20)를 구름부재 고정용 인서트홀(22)로 형성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9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and the seat plate 60 of the toilet seat main body to fix the rolling member 8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60,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 Is formed by insert hole 22 for fixing the rolling member.

또한, 인서트홀(22)을 따라 안착된 구름부재(80)를 상승 탄력으로 받쳐 주기 위해 인서트홀(22)에 탄성부재(81)를 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the rolling member 80 seated along the insert hole 22 with upward elasticity, the elastic member 81 may be embedded in the insert hole 22.

사용 가능한 탄성부재(81)로서는, 코일형 스프링, 판상형 스프링, 와이어 스프링 등도 가능 하지만 수축 복원 편심이 적은 코일형 스프링이 적당하다.As the elastic member 81 that can be used, a coil spring, a plate spring, a wire spring, and the like can be used, but a coil spring with less shrinkage restoring eccentricity is suitable.

또한, 탄성부재(81)와 구름부재(80)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구름부재(80)를 받쳐주는 플레이트(82)를 부설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ate 82 supporting the rolling member 80 may b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where the elastic member 81 and the rolling member 80 contact each other.

또한, 좌판(60)에 형성되는 플랜지 슬라이더(61)는 내면 절곡형 연속형 플랜지 슬라이더(61) 또는 불연속형 플랜지 슬라이더(62)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slider 61 formed on the seat plate 60 may be formed of an inner surface bent continuous flange slider 61 or a discontinuous flange slider 62.

또한, 상기 좌판(60)에 형성되는 불연속형 플랜지 슬라이더(62)는 서로 어긋난 비대칭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ontinuous flange slider 62 formed on the seat plate 60 may be formed at asymmetrically displaced positions.

좌판(60)의 재료로는 가능하면, 탄성이 있고 쿠션이 큰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seat plate 60 is preferably formed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elastic and has a large cush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변기 본체의 윗면부(20)를 따라 결합된 좌판(60)의 평면 구조의 도식적 그림으로서, 좌판(60)이 변기 본체의 윗면부(20)에 올려져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4 (a) and 4 (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lanar structure of the seat plate 60 coupled along the top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wherein the seat plate 60 is the top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It is shown in a state that it is mounted on).

도 5는 변기 본체의 윗면부(20)와 좌판(60)의 결합 단면도로서, 좌판(60)은 플랜지 슬라이더(61)가 양방향으로 절곡 되어 변기 본체의 윗면부(20)에 속하는 가이드레일(21)에 장착되어 좌판(60)이 변기 본체의 윗면부(20)를 따라 유동 가능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좌판(60)과 변기 본체의 윗면부(20)는 서로 구름부재(80)에 의해 일정한 'a2' 간격이 유지되고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는 'a1' 간격이 주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좌판(60)의 플랜지 슬라이더(61)의 끝단은 변기 본체의 윗면부(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의 벽면과도 일정한 'a3'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중 a1,a3 간격은 좌판(60)에 가해지는 전후좌우 운동 방향에 따라 변화된다. 이중 변기 본체의 윗면부(20)와 좌판(60) 사이의 'a2'간격은 구름부재(80)를 탄성부재(81)로 받치고 있는 경우, 수직방향 힘에 눌려서 변화된다. 즉, 단순히 인서트홀(22)에 구름부재(80)를 넣어놓은 경우이면 'a2'간격은 변하지 않는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body main body 20 and the seat plate 60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at plate 60 includes a guide rail 21 belonging to the upper part 20 of the toilet body in which the flange slider 61 is bent in both directions. The seat plate 60 is movable along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In addition, the seat plate 60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are maintained at a constant 'a2' interval by the rolling member 80, and the 'a1' interval is give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imilarly, the end of the flange slider 61 of the seat plate 60 forms a constant 'a3' spacing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guide rail 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body. The intervals a1 and a3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movements applied to the seat plate 60. The interval 'a2'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and the seat plate 60 of the double toilet body is changed by being pressed by the vertical force when the rolling member 8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81. In other words, if the rolling member 80 is simply inserted into the insert hole 22, the 'a2' interval does not change.

도 6은 좌판(60)에 형성하는 플랜지 슬라이더(61)의 모양으로서, 반드시 플랜지 슬라이더(61)를 도 6의 (a) 처럼 전부 형성할 필요는 없다. 도 6의 (b)와 같이 군데군데 불연속적인 플랜지 슬라이더(62)로 형성하여도 좌판(60)이 변기 본체(11)의 윗면부(20)를 따라 이동하는데 별다른 지장이 없다.6 is a shape of the flange slider 61 formed in the seat plate 60, and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form all the flange sliders 61 as shown in FIG. Even when formed as a discontinuous flange slider 62 as shown in FIG. 6 (b), the seat plate 60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main body 11.

도 7의 (a)는 좌판(60)에 좌우(Ax) 또는 수직(Ay) 방향의 힘이 전달될 때 나타나는 변기 본체의 윗면부(20)봐 좌판(60)의 측벽간의 'a1'간격 변화와 'a3'간격 변화를 나타낸다. Ax 방향으로 전달되는 간격 변화량은 a1=a3 이다. Az 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한 'a2 '간격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81)의 설치 여부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7 (a) is a change in the 'a1' interval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seat plate 60,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of the toilet main body appears when a force in the left and right (Ax) or vertical (Ay)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at plate 60 And 'a3' represent interval changes. The interval change amount transmitted in the Ax direction is a1 = a3. The 'a2' interval due to the force transm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z direc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elastic member 81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구름부재(80)를 탄성부재(81)로 받쳐 놓으면 수직 방향에 대한 탄성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좌판(60)에 쿠션을 줄수 있다.Supporting the rolling member 80 with the elastic member 81 can give a cushion to the seat plate 60 because it can give elasticity to the vertical direction.

도 7의 (b)는 좌판(60)에 전후(Az) 직선 방향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로서, 도 7의 (a)와 같이 a1,a3의 간격 변화를 동반하거나 아니면 a1,a3의 간격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좌판(60)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이다.FIG. 7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orce in the front and rear (Az) linear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at plate 60. As shown in FIG. 7A, the space change of a1 and a3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space between a1 and a3. This is the case that the seat plate 60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out causing the problem.

여기서, 구름부재(80)는 전후좌우로 작용되는 좌판(60)의 방향성 운동을 구름운동을 통해 촉진 시키고 좌판의 이동에 도움을 준다.Here, the rolling member 80 facilitates the directional movement of the seat plate 60 act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through the rolling motion and helps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한편, 좌변기 사용자가 좌판(60)에 착석한 조건을 기준으로 좌판(60)의 원할 한 움직임은 곧 사용자가 물 분사 노즐(16)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을 적절하게 접근시킬 수 있는 것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desired movement of the seat plate 60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 toilet seat user is seated on the seat plate 60 is as if the user can properly approach the local or anus of the water jet nozzle 16.

예를들면, 좌판(60)에 앉아서 물 분사 노즐(16)을 통해 분사 되는 물의 분사점이 자신의 국부나 항문에 일치하지 않고 너무 뒤에 있다고 생각되면, 좌판(60)을 엉덩이로 뒤로 밀면 좌판(60)이 뒷 방향으로 이동하여 물 분사 노즐(16)에 자신의 국부나 항문이 최대로 접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물 분사 점이 너무 앞쪽에 형성되면 엉덩이로 좌판을 앞쪽으로 끌어서 물 분사점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에 정확히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sitting on the seat 60 and think that the spray point of water sprayed through the water jet nozzle 16 does not coincide with its local or anus and is too far behind, pushing the seat 60 back to the hip will cause the seat 60 ) Can move backwards to maintain its local or anus close to the water jet nozzle 16, and conversely, if the water jet is formed too forward, drag the seat forward with the hip to move the water jet. It can act exactly on your local or anus.

또한, 물 분사 점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려 있다고 생각되면, 엉덩이로 좌판(60)을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밀면 마찬가지로 미는 방향으로 좌판(60)이 움직여서 정확하게 물 분사점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 목표지점에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water jetting point is thought to be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ushing the seat 60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buttocks causes the seat 60 to move in the same pushing direction so that the water jetting point can be accurately moved to the local or anal area. Can match the target poin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좌판은 좌판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몇 번만 사용하면 몸에 익어 숙달된 상태로 좌판의 위치를 물 분사 노즐의 분사점에 맞추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데의 기능 강화로 보건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직간접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pray point of the water jet nozzle in a state of mastery when used only a few tim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use the function of the bidet, and there is a direct or indirect effect to improve the health and hygiene environment by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bidet.

도 1은 일반적인 좌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toilet seat.

도 2는 종래 물 분사 노즐의 다른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Figure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installa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water jet nozz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변기 본체와 좌판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seat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한 좌변기의 윗면과 좌판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평면 구성 예로서, (a)는 올(All) 커버형 좌판이고, (b)는 부분 커버형 좌판의 일부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4 is a planar configuration example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at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all-cover seat, (b) is a part of the partially covered seat Drawing cut out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에 의거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본체 윗면과 좌판의 상세 결합 단면도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body upper surface and th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에 의거한 좌판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플랜지 연속형 좌판 구조 (b)는 플랜지 불연속형 좌판 구조를 나타낸 도면Figure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at plate based on the section line B-B 'of Figure 5, (a) is a flange continuous seat structure (b) is a view showing a flange discontinuous seat structur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위치 변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a)는 좌판의 좌우 횡축(Ax)방향과 수직(Ay) 방향의 위치 변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고, (b)는 좌판의 전후(Ay) 방향의 위치 변위를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displacement relationship of th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displacement action of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axis (Ax) direction and the vertical (Ay) direction of the seat plate, (b) is a 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the action of the positional displacement in the front and rear (Ay) direction of the seat pla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좌변기 11:변기본체10: toilet seat 11: toilet body

16:물분사노즐 20:변기본체의 윗면부16: Water spray nozzle 20: Top part of valve body

21:가이드레일 22:인서트홀(Insert Hall)21: guide rail 22: insert hall

60:좌판 61:플랜지슬라이더60: seat 61: flange slider

70:가이더 80:구름부재70: guider 80: cloud member

81:탄성부재 82:플레이트81: elastic member 82: plate

83:이동공간 90:고정부83: Moving space 90: Fixed government

Claims (5)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 및 그 본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상기 수조에 물 분사 노즐을 설치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The toilet body is installed on the bottom and the water tank formed in the main body to discharge and store the water, and the seat plate is fixed to the toilet body while tou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the user can be seated And a toilet provided with a bidet in which a water jet nozzle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설치된 좌판과,A seat plate install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상기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전후 좌우 평면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안내하기 위해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좌판을 결합하고 그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좌판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가이더와,A guider that combines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the seat plate and guides the seat plate to move around the top of the toilet body so as to guide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lane motions along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dy;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와 좌판 사이에 설치되어 변기 본체 윗면부와 좌판을 서로 이격시켜 일정한 이동공간을 형성하면서 좌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수직운동을 받아 좌판의 운동을 자유운동으로 유도하는 구름부재와,A roll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body to receive a horizontal vertical motion transmitted from the seat plate while forming a certain moving space by separating the toilet seat upper surface part and the seat plate from each other, and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to a free movement;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과 좌판 사이에서 구름부재 안내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Positionable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guide guid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더는,The guider is, 상기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에에 결합하기 위해 좌판의 가장자리를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플랜지 슬라이더와,A flange slider formed by bending an edge of the seat plate inward to couple the seat plate to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dy; 상기 좌판의 플랜지 슬라이더를 안내하여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따라 결합하기 위해 변기 본체의 윗면부 아래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And a guide rail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to couple the seat plat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by guiding the flange slider of the seat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변기 본제의 윗면부와 상기 좌판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의 운동을 안내하는 구름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는,The fix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and the seat plate to fix the rolling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at plate,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구름부재 고정용 인서트홀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Positionable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toilet body to the insert insert for fixing the roll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인서트홀의 내부에는 구름부재를 받쳐 주기 위해 탄성부재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The variable position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built in to support the rolling member inside the insert hol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탄성부재와 구름부재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구름부재를 받쳐주는 플레이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Positionable toilet seat of the sea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for supporting the roll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elastic member and the rolling member.
KR10-2002-0043729A 2002-07-24 2002-07-24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90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29A KR100490586B1 (en) 2002-07-24 2002-07-24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29A KR100490586B1 (en) 2002-07-24 2002-07-24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704A KR20040009704A (en) 2004-01-31
KR100490586B1 true KR100490586B1 (en) 2005-05-24

Family

ID=3731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729A KR100490586B1 (en) 2002-07-24 2002-07-24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5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87B1 (en) * 2002-07-24 2005-05-19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67968B1 (en) * 2002-07-24 2005-01-26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774A (en) * 1995-12-01 1997-06-17 Akihiko Yamaguchi Toilet seat to be opened to outer side by body weight of user
JPH1085156A (en) * 1996-09-12 1998-04-07 Shigenori Tsurukawa Bisected toilet seat allowing width adjustment of toilet seat and use of only one side of toilet seat
KR20040009709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20040009706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774A (en) * 1995-12-01 1997-06-17 Akihiko Yamaguchi Toilet seat to be opened to outer side by body weight of user
JPH1085156A (en) * 1996-09-12 1998-04-07 Shigenori Tsurukawa Bisected toilet seat allowing width adjustment of toilet seat and use of only one side of toilet seat
KR20040009709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20040009706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704A (en)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3789T3 (en) REMOTE CONTROL.
US11759065B2 (en) Toilet
KR101085023B1 (en) horizontal poise change apparatus of Chair armrest
KR100490586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90587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68003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100489765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KR100467969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68004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100489766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KR100467968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US4574406A (en) Tub comforter
JP6480094B1 (en) Flush toilet
JPH09273203A (en) Western-style closet with local part washing water flush device
JP2006263150A (en) Shower apparatus
JPS629412Y2 (en)
JP2591194Y2 (en) Sanitary washing equipment
KR100605035B1 (en) A desk having a chair
JP5129538B2 (en) Bathroom vanity
KR101742184B1 (en) Bidet
KR950009701Y1 (en) Bidet nozzle divice
KR20230137624A (en) functional healthy toilet
JP3615269B2 (en) Bathing equipment
KR20050095472A (en) The sliding control box for bidet
KR20230113091A (en) Wall mounted toilet bowl with foot health car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