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624A - functional healthy toilet - Google Patents

functional healthy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624A
KR20230137624A KR1020220035287A KR20220035287A KR20230137624A KR 20230137624 A KR20230137624 A KR 20230137624A KR 1020220035287 A KR1020220035287 A KR 1020220035287A KR 20220035287 A KR20220035287 A KR 20220035287A KR 20230137624 A KR20230137624 A KR 2023013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nit
drain
control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7071B1 (en
Inventor
예관희
Original Assignee
예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관희 filed Critical 예관희
Priority to KR102022003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71B1/en
Publication of KR2023013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6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71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 E03D11/125Height adjustable bow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배변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에 관한 것으로, 저수조와 좌대로 이루어지는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와 하수구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구와,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 유닛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상기 변기 본체와 높낮이 조절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높낮이 조절부와 회전 결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 및 회전 결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and maintained in a posture that facilitates bowel movements, comprising a toilet body consisting of a water tank and a seat, and a lower part of the toilet body, , a drain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main body and the sewer, 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and including a raising and lowering unit formed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between the toilet main body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It is coupl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otary coupling part that rotates the toilet body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rotary coupling part, and includes a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rotary coupling part.

Description

기능성 건강 쾌변기{functional healthy toilet}Functional healthy toilet {functional healthy toilet}

본 발명은 기능성 건강 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배변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o maintain the user in a position that facilitates bowel movements.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걸터 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로서, 이용상의 편의성으로 인해 휴계소, 식당, 공항 등은 물론 일반가정에도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a toilet is a flush-type Western toilet that allows you to sit down to defecate. Due to its convenience, it is basically applied to rest areas, restaurants, airports, etc., as well as to general homes.

이러한 기존의 양변기는 대소변 겸용으로 남녀노소 구분없이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장에 구분없이 일정한 높이 및 크기로 제조되고 있다.These existing toilets are used by people of all ages and genders for both toilet and toilet use, and are manufactured with a certain height and siz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user.

그리고 쾌변을 하기 좋은 자세로는 화변기에서 배변 활동하는 자세로, 무릎이 가슴 방향으로 올려지는 자세를 유지할 경우, 직장과 관략근의 각도가 160 내지 180℃로 수평에 가까워지면서 배변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so, a good posture for having a comfortable bowel movement is having a bowel movement in a toilet. If you maintain a posture with your knees raised toward your chest, the angle between the rectum and the valgus muscle approaches horizontal at 160 to 180°C, making bowel movements easier. can do.

반면, 사용자가 배변 활동을 할 때 치골 직장근과 관략근이 이루는 각도가 중요한데 반해, 일괄적인 크기로 제조되는 양변기에서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힘을 주게 되어 치질, 탈항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angle formed by the puborectalis muscle and the protruding muscle is important when the user performs bowel movements, toilets manufactured in uniform sizes force the user into an incorrect posture depending on the user's height, which can cause hemorrhoids, prolapse, etc. There was a problem.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변비에 걸리기 쉬운 이유가 바로 변기 사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성인 신체에 맞춰진 변기를 사용할 경우, 발이 닿지 않기 때문에 직장과 관략근의 각도가 좁아져 쾌변을 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they are prone to constipation is using the toilet. When using a toilet that is designed for an adult's body, the angle between the rectum and the valgus muscle narrows because the feet cannot reach, making it difficult to defecate comfortably. there wa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4609호(2015.07.0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34609 (2015.07.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2471호(2016.03.2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32471 (2016.03.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변기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양변기 또는 화변기 자세로 변경하여 쾌변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and healthy toilet that can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for a comfortable toile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ilet to suit the user's body or changing the position to a toilet or toilet. It is to provide energy.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저수조와 좌대로 이루어지는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와 하수구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구와,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 유닛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상기 변기 본체와 높낮이 조절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높낮이 조절부와 회전 결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 및 회전 결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main body consisting of a water storage tank and a seat, a drain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main body and a sewer, and a lowe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and including a raising and lowering unit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a rotation coupling unit coupled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rotating the toilet body, and a rotation coupling unit with the height adjustment uni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the rotation coupling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 유닛의 승하강 동작을 조절하는 높낮이 제어 유닛과, 상기 회전 결합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eigh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and a rotation adjustment unit that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coupling unit.

또한, 상기 변기 본체의 상기 좌대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골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골반 받침 유닛을 포함하는 자세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osture maintaining unit including a fixing uni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eat of the toilet body, and a pelvic support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fixing unit and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elvis.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유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세 유지부의 위치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ture maintenance unit and further includes a postur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sition and rotation angle of the posture maintenance unit.

또한, 상기 변기 본체는 하측 외주면에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변기 본체와 배수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변기 본체와 배수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몸체와, 상기 회전 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ilet body has a coupling groove recess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rotating bod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astening unit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본 발명의 기능성 건강 쾌변기는 변기 본체, 높낮이 조절부, 회전 결합부 및 제어부를 포함함에 따라, 변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제어부를 통해 변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높이로 변경하여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the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body, a height adjustment unit, a rotation coupl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e height of the toilet body is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uni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body to suit the user's body. It provides the effect of enabling bowel movements by changing to .

또한,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부는 지면에 타설되고, 배수구, 승하강 유닛 및 고정 몸체를 포함함에 따라, 변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노폐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키고, 승하강 유닛이 승하강 동작함에 따라 변기 본체와 승하강 유닛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를 통해 지면에서 변기 본체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st on the ground and includes a drain, a lifting and lowering unit, and a fixed body, so that waste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dy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and as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moves up and down, the toilet main body It provides the effect of eas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ilet body from the ground through a fixed body tha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게다가, 변기 본체와 배수구 사이에 회전 결합부가 형성되어 변기 본체를 배수구 상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장시간 변기 본체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다리가 저리거나 근육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rotating joint is formed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allowing the toilet body to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on the drain, providing the effect of preventing numbness in the legs or muscle strain of users who sit on the toilet for a long time. .

또한, 좌대의 후방에 자세 유지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좌대에 앉은 경우, 사용자의 골반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숙여지도록 유도하여 배변 활동에 용이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osture maintenance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at, so tha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it contacts the user's pelvis and induces the user's upper body to bend forward at a certain angle, providing the effect of maintaining a posture that is convenient for bowel movements. do.

더불어, 본 발명의 회전 결합부는 회전 몸체와 체결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변기 본체와 배수구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변기 본체 내부의 이물질이 변기 본체와 배수구 사이의 틈으로 누설되지 않고, 변기 몸체의 하면과 배수구의 상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coupl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body and a fastening unit, so that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are rotatably coupl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toilet body do not leak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and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are rotatably coupled. It provide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otate while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are in conta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의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의 승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 본체, 배수구 및 회전 결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ed state of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in an elevated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ilet body, drain, and rotary coupl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below.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의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의 승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쾌변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 본체, 배수구 및 회전 결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in a lowered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in an elevated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ilet body, drain, and rotary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건강 쾌변기(1000)는 변기 본체(100), 높낮이 조절부(200), 회전 결합부(300), 자세 유지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body 100, a height adjustment part 200, a rotation coupling part 300, a posture maintaining part 400, and a control part. It consists of 500.

먼저, 상기 변기 본체(100)는 저수조(110)와 좌대(120)로 이루어지며, 저수조(110)는 일정한 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통상의 양변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저수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First, the toilet main body 100 consists of a water tank 110 and a seat 120, and the water tank 110 is a space that holds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is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water tank disposed at the rear of a typical toilet. .

그리고 상기 좌대(120)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좌대(120) 역시 통상의 양변기의 좌대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at 12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buttocks, and the seat 120 may also be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seat of a typical toilet.

여기서, 상기 좌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후방보다 일정 높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He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at 120 is formed to gradually slope upward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the front i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above the rear.

이때, 상기 좌대(120)의 하부는 화장실의 지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좌대(120)의 하부 지면은 타공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부(200)가 설치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ground of the toilet, and the lower ground of the pedestal 120 is perforated to install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부(200)는 상기 변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지면에 타설되며, 상기 변기 본체(100)를 승하강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100, is cast on the ground, and is formed to raise and lower the toilet main body 1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200)는 상기 변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100)의 내부와 하수구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구(210)와, 상기 변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 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includes a drain 210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the sewer, and the toilet main body ( It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100) and includes a raising and lowering unit 220 that is formed to be raised and lowered.

먼저, 상기 배수구(210)는 상기 변기 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변기 본체(100)에서 배출되는 노폐물을 하수구로 배수시키는 구성으로, 재질은 자바라 또는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길이 가변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drain 2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toilet body 100 and drains waste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dy 100 into the sewer. The drain 210 is made of bellows or corrugated pipe and has a variable length. It is desirable to consist of

이는, 상기 승하강 유닛(2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배수구(210)도 같이 승하강 동작하게 되는데, 승하강 이동되면서 변기 본체(100)와 하수구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더라도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배수구(21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This means that the drain 210 also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ais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20.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the drain increases as it moves up and down, the drain 210 is moved to correspond to this. (210) is made of a material whose length can be varied.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 유닛(220)은 상기 변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구(210)의 하부에 결합된다.Next,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20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is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210.

상세하게는, 상기 승하강 유닛(220)은 상기 배수구(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본체(221)와, 상기 실린더 본체(2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구동되는 구동 피스톤(222)과, 상기 구동 피스톤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221)의 내면과 형상맞춤되어 상기 구동 피스톤(222)의 상하 구동시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수평 유지 부재(223)로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20 includes a cylinder body 221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210, a driving piston 222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body 221 and driven up and down, and ,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piston and is shaped to fi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221, and consists of a horizontal maintenance member 223 configured to maintain verticality when the driving piston 222 is driven up and down.

먼저, 상기 실린더 본체(221)는 상부가 상기 배수구(210)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동 피스톤(222)과 수평 유지 부재(223)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First, the upper part of the cylinder body 22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 hole 210,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o accommodate the driving piston 222 and the horizontal maintaining member 223.

여기서, 상기 구동 피스톤(222)은 상기 실린더 본체(221)의 상부 방향으로 승하강 동작되며, 구동 피스톤(22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 본체(221)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수구(210)에 상방으로 상승력을 제공하여, 배수구(210)와 변기 본체(1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driving piston 222 moves up and down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ylinder body 221, and moves upward into the drain hole 210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cylinder body 2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iston 222. By providing upward force, the drain 210 and the toilet body 100 can be moved upward.

그리고 상기 수평 유지 부재(223)는 상기 구동 피스톤(222)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221)의 바닥면에서 상기 구동 피스톤(222)이 수직 방향으로 정교하게 이동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And the horizontal maintenance member 223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piston 222, and can fix the driving piston 222 to precisel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221.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부(200)는 상기 변기 본체(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210) 및 승하강 유닛(22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 유닛(2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지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 몸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main body 200, and a space in which the drain 21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220 are accommodated is formed,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220 ) may include a fixed body 230 that slides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raising and lowering motion.

여기서, 상기 고정 몸체(230)는 상기 변기 본체(110)의 하부 지면에 타공된 위치에 수용되며, 상기 변기 본체(110)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배수구(210)와 승하강 유닛(220)이 수용된다.Here, the fixing body 230 is accommodated in a position perforated in the lower ground of the toilet body 110, is coupled to the toilet main body 110, and has a drain 210 and a lifting unit 220 therein. It is accepted.

이때, 상기 승하강 유닛(220)의 상하 동작에 따라 배수구(210)와 변기 본체(110)가 수직 이동되고, 고정 몸체(230)는 변기 본체(110)가 이동되면서 같이 수직 이동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drain 210 and the toilet body 110 are vertically moved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20, and the fixing body 230 is vertically moved together with the toilet body 110 moving.

상기 고정 몸체(230)를 통해 지면에 타공된 수용 공간에 배치된 배수구(210) 및 승하강 유닛(220)을 차단시켜 미관을 우수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변기 본체(100)가 어느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Not only does it improve aesthetics by blocking the drain 21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22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perforated in the ground through the fixing body 230, but also prevents the toilet body 100 from being deflected in any direction. It can be supported so that it can be moved vertically.

다음으로, 상기 회전 결합부(300)는 상기 변기 본체(100)와 배수구(210)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210) 상에서 상기 변기 본체(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Next, the rotational coupler 300 is coupled between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the drain 210, and is coupled so that the toilet main body 100 can rotate on the drain 210.

여기서, 상기 회전 결합부(300)는 변기 본체(100)와 배수구(210)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수구(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본체(100)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Here, the rotation coupling part 30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the drain 210 are coupled, and the toilet main body 100 rotates at a certain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drain 210 is fixed. Possibly combined.

일예로, 상기 회전 결합부(300)는 배수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과, 상기 변기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rotation coupling part 300 may be made of mal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210 and female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100.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결합부(300)는 회전되는 범위가 20℃ 이내로 설정되며, 변기 본체(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10℃씩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otational range of the rotational coupler 300 is set to within 20°C, and it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10°C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toilet body 100 is installed.

상기 회전 결합부(300)를 통해 변기 본체(100)를 배수구(210) 상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장시간 변기 본체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다리가 저리거나 근육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00, the toilet body 100 can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on the drain 210, thereby preventing numbness in the legs or muscle strain of a user who sits on the toilet body for a long tim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 본체(100)는 하측 외주면에 결합홈(110)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300)는 상기 변기 본체(100)와 배수구(2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변기 본체(100)와 배수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몸체(310)와, 상기 회전 몸체(3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30)에 수용되는 체결 유닛(320)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toilet body 100 has a coupling groove 110 recess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00 is between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the drain 210. A rotating body 310 disposed in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body 100 and the drain 210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310 and in the coupling groove 130. It consists of a fastening unit 320 that is accommodated.

이때, 상기 회전 몸체(310)는 변기 본체(100)와 배수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변기 본체(100)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rotating body 310 is formed in a ring shap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the drain 2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main body 100.

그리고 상기 체결 유닛(320)은 상기 회전 몸체(31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30)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 몸체(310)가 회전됨에 따라 변기 몸체(110)도 따라 회전되게 된다.And the fastening unit 320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310 and is received in the coupling groove 130. As the rotating body 310 rotates, the toilet body 110 also rotates. .

여기서, 상기 회전 결합부(300)는 상기 변기 몸체(100)와 배수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면서, 변기 몸체(100)와 배수구(210)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물 또는 이물질이 변기 몸체(100)가 회전되더라도 변기 몸체(100)와 배수구(210) 사이의 틈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Here, the rotation coupler 30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body 100 and the drain 210, so that water or foreign matter contained between the toilet body 100 and the drain 210 flows into the toilet body 100. ) plays a role in preventing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oilet body 100 and the drain hole 210 even if it is rotated.

이에 따라, 변기 본체(100)와 배수구(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변기 본체(100) 내부의 이물질이 변기 본체(100)와 배수구 사이(210)의 틈으로 누설되지 않고, 변기 몸체(100)의 하면과 배수구(210)의 상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the toilet body 100 and the drain 210 are rotatably couple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toilet body 100 do not leak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oilet body 100 and the drain 210, and the toilet body ( It can be rotated while the lower surface of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hole 210 are in contact.

다음으로, 상기 자세 유지부(400)는 상기 변기 본체(100)의 상기 좌대(120)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유닛(410)과, 상기 고정 유닛(41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골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골반 받침 유닛(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posture maintaining unit 400 is coupled to a fixing unit 410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eat 120 of the toilet main body 100 and an end of the fixing unit 410 and is connected to the user's pelvi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elvic support unit 420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여기서, 상기 고정 유닛(410)은 상기 저수조(110) 또는 좌대(12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골반 받침 유닛(420)은 상기 고정 유닛(4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좌대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골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대(12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Here, the fixing unit 4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water reservoir 110 or the seat 120, and the pelvic support unit 42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ing unit 410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seat. In this case, it is plac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seat 120 to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user's pelvis.

특히, 상기 골반 받침 유닛(4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골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골반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pelvic support unit 42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bent backward to correspond to the user's pelvis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pelvis.

상기 골반 받침 유닛(420)을 통해 사용자가 좌대에 앉은 경우, 사용자의 골반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숙여지도록 유도하여 배변 활동에 용이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through the pelvic support unit 420, it contacts the user's pelvis and induces the user's upper body to bend forward at a certain angle, providing the effect of maintaining a posture that is convenient for bowel movements.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200)와 회전 결합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200) 및 회전 결합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Next, the control unit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and the rotation coupling unit 300,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and the rotation coupling unit 300. .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승하강 유닛(200)의 승하강 동작을 조절하는 높낮이 제어 유닛(510)과, 상기 회전 결합부(3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조절 유닛(520) 및 상기 자세 유지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세 유지부(400)의 위치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유닛(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height control unit 510 that controls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00, and a rotation adjustment unit that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coupling unit 300 ( 520) and a posture control unit 53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ture maintenance unit 400 and controls the position and rotation angle of the posture maintenance unit 400.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저수조(110)의 일측면 또는 좌대(120)에 설치되며,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or on the seat 12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그리고, 각각의 상기 높낮이 제어 유닛(510), 회전 조절 유닛(520) 및 자세 제어 유닛(530)은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height control unit 510, rotation adjustment unit 520, and posture control unit 530 may be installed integratedly and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positions.

먼저, 상기 높낮이 제어 유닛(510)은 상기 높낮이 노절부(200), 특히 상기 승하강 유닛(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하강 동작을 제어한다.First, the height control unit 5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ight nozzle 200, especially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20, and controls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또한, 상기 회전 조절 유닛(520)은 상기 회전 결합부(300)의 회전력을 구동 및 제어하며, 회전 결합부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control unit 520 drives and control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coupler 300 and controls rotation of the rotary coupler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다음으로, 상기 자세 제어 유닛(530)은 상기 자세 유지부(4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 상하로의 수직 이동 및 일정 각도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자세 유지부(400)가 사용자의 골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Next, the posture control unit 530 controls the forward or rearward movement, vertical movement up and down, and rotation angle of the posture maintaining unit 400 so that the posture maintaining unit 400 moves to the user's pelvis. It is controlled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exis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0 : 기능성 건강 쾌변기
100 : 변기 본체
110 : 저수조
120 : 좌대
130 : 결합홈
200 : 높낮이 조절부
210 : 배수구
220 : 승하강 유닛
221 : 실린더 본체
222 : 구동 피스톤
223 : 수평 유지 부재
230 : 고정 몸체
300 : 회전 결합부
310 : 회전 몸체
320 : 체결 유닛
400 : 자세 유지부
410 : 고정 유닛
420 : 골반 받침 유닛
500 : 제어부
510 : 높낮이 제어 유닛
520 : 회전 조절 유닛
530 : 자세 제어 유닛
1000: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100: Toilet body
110: water tank
120: pedestal
130: Combination groove
200: Height adjustment unit
210: drain
220: Raising and lowering unit
221: cylinder body
222: driving piston
223: Horizontal maintenance member
230: fixed body
300: Rotation joint
310: rotating body
320: fastening unit
400: posture maintenance unit
410: fixed unit
420: Pelvic support unit
500: Control unit
510: Height control unit
520: rotation control unit
530: Posture control unit

Claims (5)

저수조와 좌대로 이루어지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내부와 하수구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구와, 상기 변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 유닛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변기 본체와 높낮이 조절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높낮이 조절부와 회전 결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 및 회전 결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
A toilet main body consisting of a water tank and a seat;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body and includes a drain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and a sewer, and a raising and lowering unit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body and configured to rise and fall;
A rotary coupling part coupled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rotating the toilet body; and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comprising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the rotation coupl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the rotation coupl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 유닛의 승하강 동작을 조절하는 높낮이 제어 유닛과, 상기 회전 결합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comprising a heigh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and a rot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상기 좌대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골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골반 받침 유닛을 포함하는 자세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
According to claim 1,
A posture maintaining unit including a fixing uni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eat of the toilet main body and a pelvic support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fixing unit and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elvis. Features: A functional and healthy toil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유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세 유지부의 위치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functional health comfort toilet further comprising a postur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ture maintaining portion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rotation angle of the posture maintain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는,
하측 외주면에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변기 본체와 배수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변기 본체와 배수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몸체와, 상기 회전 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쾌변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ilet body,
A coupling groove is recess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rotational coupling part,
A rotating body disposed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the drain,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fastening unit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Features: A functional and healthy toilet.
KR1020220035287A 2022-03-22 2022-03-22 functional healthy toilet KR102627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87A KR102627071B1 (en) 2022-03-22 2022-03-22 functional healthy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87A KR102627071B1 (en) 2022-03-22 2022-03-22 functional healthy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624A true KR20230137624A (en) 2023-10-05
KR102627071B1 KR102627071B1 (en) 2024-01-18

Family

ID=8829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287A KR102627071B1 (en) 2022-03-22 2022-03-22 functional healthy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7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478A (en) * 2007-12-04 2007-12-24 조현언 The posture correcting toilet bowl for regular bowel movements
KR101176335B1 (en) * 2012-02-03 2012-08-22 유해구 A toilet bowl
KR101534609B1 (en) 2014-02-28 2015-07-08 권태주 A level control device of a toilet bowl
KR20160032471A (en) 2014-09-16 2016-03-24 문동철 Height modifiable support toilet
KR20170043390A (en) * 2015-10-13 2017-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ight adjustable toil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478A (en) * 2007-12-04 2007-12-24 조현언 The posture correcting toilet bowl for regular bowel movements
KR101176335B1 (en) * 2012-02-03 2012-08-22 유해구 A toilet bowl
KR101534609B1 (en) 2014-02-28 2015-07-08 권태주 A level control device of a toilet bowl
KR20160032471A (en) 2014-09-16 2016-03-24 문동철 Height modifiable support toilet
KR20170043390A (en) * 2015-10-13 2017-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ight adjustable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071B1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065B2 (en) Toilet
CN103892762A (en) Portable toilet
GB1595026A (en) Combination water closet and bidet
US20190186115A1 (en) Bariatric Bidet Seat System
US2182979A (en) Toilet
KR102627071B1 (en) functional healthy toilet
KR101229955B1 (en) A toilet bowl integrated with a auto-rotatable urinal
KR200469811Y1 (en) Toilet-stool for man and child
CN213963198U (en) Movable toilet seat with telescopic backrest
US5603130A (en) Sanitary seat
KR20180114761A (en) Toilet boul for inducing defecation
JPH09273203A (en) Western-style closet with local part washing water flush device
KR101980659B1 (en) Pedestal for toilet bowl
KR100489765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CN205822396U (en) A kind of electric dual-purpose toilet seat
KR200442998Y1 (en) Toilet
KR20040009709A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JP6318410B1 (en) Urinal device to prevent urine scattering
KR100467968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CN210249676U (en) Wall hanging type dual-purpose toilet with seat ring capable of being folded
KR100489766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TWI768319B (en) Combined toilet and toilet with combined toilet
CN112869620B (en) Old person helps stool pot structure based on old person's appearance custom of squatting and designs
KR102515990B1 (en)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CN201485941U (en) Toilet bowl capable of cleaning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