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990B1 -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 Google Patents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990B1
KR102515990B1 KR1020160046966A KR20160046966A KR102515990B1 KR 102515990 B1 KR102515990 B1 KR 102515990B1 KR 1020160046966 A KR1020160046966 A KR 1020160046966A KR 20160046966 A KR20160046966 A KR 20160046966A KR 102515990 B1 KR102515990 B1 KR 10251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ilet seat
upper member
toil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9154A (en
Inventor
김영표
전두열
정다운
한지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90B1/en
Publication of KR2017011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904Handle means having sanitary characteristic, e.g. to prevent transmission of germs
    • Y10S16/905Toilet seat lif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좌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착좌를 가이드 하거나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변좌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변좌 리프팅 장치는 변기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측이 회전되게 체결되어 변기에 안착되고 착좌면이 구비된 변좌와, 상기 변좌의 착좌면이 변기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변좌의 일측 또는 타측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변좌의 후방 측을 들어 올려 사용자의 착좌를 안전하게 가이드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서 변좌의 전방 측을 들어 올려 사용자의 배변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capable of guiding a user's seating or inducing defecation by rotating the toilet seat, wherein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in a toilet bowl,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rotated and fastened to the toilet seat. and a toilet seat having a seating surface, and a lifting unit that lifts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oilet seat so that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is inclined with the toilet.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guide the user's seating by lifting the rear side of the toilet seat, and effectively induce defecation of the user by lifting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seat while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Description

변좌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Toilet seat lifting device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본 발명은 변좌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좌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착좌를 가이드 하거나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변좌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capable of guiding a user to sit or induce defecation by rotating a toilet seat.

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기기인데, 최근에는 위생을 위해서 비데가 설치된 변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데는 용변 후 사용자의 국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하는 장치로,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세척하므로 국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 toilet is a device in which a user can sit and defecate, and recently, a toilet equipped with a bidet has been widely used for hygiene. A bidet is a device that sprays water on the user's private parts to clean them after defecation. Since the bidet is washed with water without using toilet paper, it has the advantage of keeping the private parts clean.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비데를 사용시 화장실 바닥면과 비데 사이의 높이가 낮아 노약자 및 환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 착좌 시 큰 불편함을 겪거나 낙상 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using such an existing bidet, the height between the toilet floor and the bidet is low, so users with reduced mobility, such as the elderly and patients, may experience great discomfort when sitting or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 accidents may occur. .

그리고, 기존의 비데는 쾌변 기능을 통하여 배변 전에 강한 수압으로 항문을 자극하여 배변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강한 수압을 통한 쾌변 기능은 항문에 무리한 압력을 주어 치질유발 또는 세균침투를 통한 질환유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bidet induces defecation by stimulating the anus with strong water pressure before defecation through a pleasant defecation function. However, the pleasure function through strong water pressure may cause problems such as inducing hemorrhoids or inducing diseases through bacterial penetration by applying excessive pressure to the an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변좌의 착좌면이 변기와 경사지게 회전시켜 사용자의 착좌를 가이드 하거나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변좌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capable of guiding a user's seating or inducing defecation by rotating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obliquely with the toilet bow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좌 리프팅 장치는, 변기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회전되게 체결되어 변기에 안착되고, 착좌면이 구비된 변좌; 및 상기 변좌의 착좌면이 변기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변좌의 일측 또는 타측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on a toilet; a toilet seat having one side rotated to the main body, seated in the toilet bowl, and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and a lifting unit that lifts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oilet seat so that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is inclined with the toilet seat.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본체와 변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가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변좌와 변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변좌의 일측 또는 타측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lat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toilet and fastened to the main body; a second plate disposed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a lifting unit configured to lif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oilet seat by rotating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그리고, 상기 리프팅 유닛은, 변기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fram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to which a support unit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fastened.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를 밀어 올리는 회동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is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pushes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up; and an actuator disposed on the base frame and rotating the rotating part.

그리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상부 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연결되는 제2 상부 부재;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제2 상부 부재의 연결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vo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upper member disposed obliquely under the first plate; a second upper member disposed obliquely under the second pl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member; a lower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upper member and the second upper member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a hinge portion that rotatably fastens the connecting portion to the base frame.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제2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Y자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ivoting par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upper member, the second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form a Y shape.

나아가,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상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면접촉하고, 타측면이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1 지지 블록;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상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면접촉하고,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2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lifting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upper member and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base frame, one side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A first support block in surface contact; and a second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upper member and rotatably fastened to the base frame, one side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and an inclined surface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block;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타측면은, 상기 변좌의 착좌면이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lock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in a state where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is horizontal;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ich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is rotated.

그리고,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타측면은, 상기 변좌의 착좌면이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lock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which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in a horizontal stat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ich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is rotated.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가 형성된 회동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ivoting part may include a pivot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plat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plate; and a hinge portion that rotatably fastens the rotational member to the base frame.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동 부재에서 상기 제1 돌기 측 또는 제2 돌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Also, the actuato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side or the second protrusion side of the rotation member to rotate the rotation member.

본 발명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에 따르면, 변좌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본체 측을 들어 올려 변좌의 착좌면이 사용자 측을 향하도록 변좌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착좌를 안전하게 가이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ifting the main body side to which the toilet seat is fastened to be rotated and rotating the toilet seat so that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faces the user side, an effect of safely guiding the user's seating can be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의 다리를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변좌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배변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seat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lifting the legs of the user seated on the toilet seat, so that the user can effectively induce bowel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의 제1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의 제2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의 제1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의 제2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operating state of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operating state of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operating state of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변좌 리프팅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Note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accompanying drawing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ven if the same components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they are intended to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변좌 리프팅 장치의 제1 및 제2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first and second operating states of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장치는 변기(10)에 배치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일측(32)이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변기(10)에 안착되고 착좌면(31)이 구비된 변좌(30), 그리고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상기 변기(10)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변좌(30)의 일측(32) 또는 타측(33)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유닛을 포함한다.
1 to 4, in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20 disposed in a toilet 10 and one side 32 are rotatably fastened to the main body 20, One side ( 32) or a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other side 33.

상기 본체(20)는 변기(1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변좌(30)를 회전되게 지지한다. The main body 20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0 and supports the toilet seat 30 to be rotated.

그리고, 상기 본체(2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비데로 마련되어 용변 후 사용자의 국부에 물을 분사하는 세정부와, 세척 후 온풍을 공급하여 물기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과 건조 기능뿐만 아니라, 수압 조절, 수온 조절, 변좌 온도 조절 및 무선통신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체(20) 내부에 회로기판, 전자 소자, 바이메탈, 무선통신 수신부 등 다수의 전자부품들이 실장될 수도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washing unit provided as a bidet and spraying water on the user's private parts after toileting, and a drying unit supplying warm air after washing to dry the water. In addition to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various functions such as water pressure control, water temperature control, toilet seat temperature control,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and the like, may be mounted.

물론, 상기 본체(20)가 비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변좌(30)를 회전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Of course, the main body 20 is not limited to a bidet, and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toilet seat 30 in a rotatable manner.

상기 변좌(30)는 상기 변기(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32)이 상기 본체(20)에 회전되게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변좌(30)는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상부에 착좌면(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30)는 사용자의 배변이 관통하도록 중심이 관통 형성된다.
The toilet seat 30 is disposed above the toilet 10, and one side 32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main body 20. In addition, a seating surface 31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30 so that a user may sit on it.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toilet seat 30 is formed so that the user's bowel movement passes through.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변좌(30)의 일측(32)을 들어 올려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사용자 측을 향하도록 상기 변좌(30)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변좌(30)에 기대면서 앉을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착좌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The lifting unit lifts one side 32 of the toilet seat 30 and rotates the toilet seat 30 so that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faces the user, so that the user leans on the toilet seat 30. It guides you to sit down more safely.

그리고,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변좌(30)에 사용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상기 변좌(30)의 타측(33)인 전방을 들어 올려 복압을 증가시켜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ting unit may induce smooth defecation activities by lifting the front side, which is the other side 33 of the toilet seat 30, to increase abdominal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30.

즉, 배변 시에는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위해 직장 항문각(rectoanal angle)이 형성되므로, 배변 시에 몸을 조금 앞으로 숙이거나 다리를 들어 올려 배에 힘을 주면 항문이 열리고 복압과 장의 힘으로 대변이 나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팅 유닛을 작동 시켜 변좌(30)의 타측(33)인 전방을 들어 올려 직장 항문각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활한 배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rectal anus angle is formed for smooth defecation during defecation, if you lean forward a little or lift your legs to give strength to your stomach, the anus opens and feces come out with abdominal pressure and intestinal force. do. At this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al anus angle can be formed by operating the lifting unit to lift the front side 33 of the toilet seat 30, and as a result, the user can perform smooth defecation activities.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본체(20)와 상기 변기(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20)가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210)와, 상기 변좌(30)와 상기 변기(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2 플레이트(220),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 또는 제2 플레이트(220)를 회전시켜 상기 변좌(30)의 일측(32) 또는 타측(33)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변기(1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체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ifting unit includes a first plate 210 disposed between the body 20 and the toilet 10 and to which the body 20 is fastened, the toilet seat 30 and the toilet 10 A second plate 220 disposed between and rotatably fastened to the first plate 210, and one side 32 of the toilet seat 30 by rotating the first plate 210 or the second plate 220 ) or a lifting part for lifting the other side 33. In addition, the base frame 100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oilet 10 and fastened with the support part 230 for supporting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to be rotated may be further included. .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는 지지부(230)로 체결되어 서로 구속 없이 회전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는 상기 변좌(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회전되게 체결된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는 상기 변좌(30)와 동일하게 중심이 관통 형성된다.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re fastened to the support part 230 so as to rotate without restraining each other. Also,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re provid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30 . That is,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 which are fastened to be rotated, is formed through the same as the toilet seat 30 .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는 적어도 일측이 상기 변좌(3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부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리프팅부가 변기(10)의 양측에 배치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는 양측이 상기 변좌(3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protrudes outward from the toilet seat 30 a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At this time, when the lifting part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oilet bowl 10,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toilet seat 30.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210) 또는 제2 플레이트(220)를 밀어 올리는 회동부(310),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310)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320)를 포함한다.The lift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0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rotates in the first plate 210 or the second plate. It includes a pivoting part 310 that pushes up the 220, and an actuator 320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0 and rotating the pivoting part 310.

상기 회동부(31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상부 부재(31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부재(311)와 연결되는 제2 상부 부재(312)와, 상기 제1 상부 부재(311)와 제2 상부 부재(312)의 연결부(314)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되는 하부 부재(313), 그리고 상기 연결부(314)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되게 체결하는 힌지부(3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회동부(310)는 상기 제1 상부 부재(311)와 제2 상부 부재(312)와 하부 부재(313)가 Y자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ivoting part 310 includes a first upper member 311 incli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210 and a first upper member 311 incli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220 . A second upper member 312 connected to and a lower member 3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314 of the first upper member 311 and the second upper member 312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320 ), and a hinge portion 315 that rotatably fastens the connection portion 314 to the base frame 100. The pivoting part 3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upper member 311, the second upper member 312, and the lower member 313 form a Y shape.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로드(321)가 삽입되게 이동하면, 상기 회동부(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동부(310)의 제1 상부 부재(311)가 상기 제1 플레이트(210)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가 지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210)에 체결된 본체(20)를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변좌(30)의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착좌를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d 321 of the actuator 320 is moved to be inserted, the pivoting part 3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upper member 311 of the pivoting part 310 The first plate 210 is pushed up. Then, the first plate 210 is rotated around the support part 230 so that the main body 20 fastened to the first plate 210 is lifted and rotated, finally as shown in FIG. 3 .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arranged to face forwar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toilet seat 30, it is possible to safely guide the user's seating.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로드(321)가 돌출되게 이동하면, 상기 회동부(3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동부(310)의 제2 상부 부재(312)가 상기 제2 플레이트(220)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0)가 지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20)가 상기 변좌(30)의 타측(33) 즉, 전방을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변좌(30)의 배치를 통해 상기 변좌(30)에 착좌한 사용자의 복압을 증가시켜 배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Also, when the rod 321 of the actuator 320 protrudes and moves, the pivoting part 310 rotates clockwise, and the second upper member 312 of the pivoting part 310 moves the second The plate 220 is pushed up. Then, the second plate 220 rotates around the support part 230 so that the second plate 220 lifts and rotates the other side 33 of the toilet seat 30, i.e., the front, and finally helps. As shown in FIG. 4,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disposed toward the rear. Through such arrangement of the toilet seat 30, the abdominal pressure of the user seated on the toilet seat 30 can be increased to induce defecation more effectively.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10, 220)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부재(311, 312) 사이에 제1 및 제2 지지 블록(330, 340)을 배치하여 각 구성 간에 면접촉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변좌(3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places first and second support blocks 330 and 34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210 and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members 311 and 312 so that the surfaces between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supported while contacting, and the toilet seat 3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in a rotated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 블록(330)은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1 상부 부재(3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면(331)이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면접촉하고, 타측면(332)이 상기 제1 상부 부재(311)와 면접촉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block 3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210 and the first upper member 311 and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0, and one side surface 331 This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210, and the other side surface 332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311.

그리고, 상기 제1 지지 블록(330)의 타측면(332)은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부재(311)와 면접촉하는 제1 경사면(333)과, 상기 제1 플레이트(21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부재(311)와 면접촉하는 제2 경사면(33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surface 332 of the first support block 330 is a first inclined surface 333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311 in a state where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horizontal. ),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334 that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31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210 is rotated is form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블록(330)의 일측면(331)은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1 지지 블록(330)의 타측면(332)의 제2 경사면(334)은 상기 제1 상부 부재(311)의 내측면과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변좌(30)를 회전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disposed to face forward, one side surface 331 of the first support block 330 is the first plate ( 21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34 of the other side surface 332 of the first support block 330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member 311, so that the toilet seat 30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in a rotated state.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은 상기 제2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2 상부 부재(3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면(341)이 상기 제2 플레이트(220)와 면접촉하고, 타측면(342)이 상기 제2 상부 부재(312)와 면접촉한다.The second support block 34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220 and the second upper member 312 and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0, and one side surface 341 has the second upper member 312. I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late 220, and the other side surface 342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312.

그리고,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의 타측면(342)은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부재(312)와 면접촉하는 제1 경사면(343)과, 상기 제2 플레이트(22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부재(312)와 면접촉하는 제2 경사면(34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surface 342 of the second support block 340 is a first inclined surface 343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312 in a state where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horizontal. ),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344 that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312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220 is rotated is formed.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의 일측면(341)은 상기 제2 플레이트(220)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의 타측면(342)의 제2 경사면(344)은 상기 제2 상부 부재(312)의 내측면과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변좌(30)를 회전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disposed to face rearward, one side surface 341 of the second support block 340 is the second plate ( 22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44 of the other side surface 342 of the second support block 340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member 312, so that the toilet seat 30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in a rotated state.

그리고, 상기 제1 지지 블록(330)과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톱퍼(35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부 부재(311)가 상기 제1 지지 블록(330)을 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부재(312)는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톱퍼(350)는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이 하측으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지지 블록(340)의 회전을 제한한다.
A stopper 350 protruding from the base frame 100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support block 330 and the second support block 340 . That is, when the first upper member 311 rotates the first support block 330,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upper member 312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block 340. And, the stopper 350 limits the rotation of the second support block 340 so that the second support block 340 maintain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220 without being rotated downwar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상기 변좌 리프팅 장치의 제1 및 제2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first and second operating states of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에 개시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10, 220), 베이스 프레임(100)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고, 회동부(410) 및 액츄에이터(420)에서 차이가 있다.5 to 7,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plates disclosed in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1 to 4 ( 210 and 220), the base frame 100 is provid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otation part 410 and the actuator 420.

상기 회동부(41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 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4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0) 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413)가 형성된 회동 부재(411)와, 상기 회동 부재(411)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되게 체결하는 힌지부(414)로 구성된다. The pivoting part 41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nd includes a first protrusion 412 protruding toward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 220), a pivoting member 411 having a second protrusion 413 protruding toward the side, and a hinge portion 414 rotatably fastening the pivoting member 411 to the base frame 100.

상기 회동 부재(411)는 ㄷ자 형태로 마련되고, 돌출된 양측의 제1 돌기(412)와 제2 돌기(413)의 사이에 상기 힌지부(414)가 체결되어 상기 제1 돌기(412) 및 제2 돌기(41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체결되고, 액츄에이터(420)에 의하여 회전된다.The pivoting member 411 is provided in a U-shape, and the hinge part 414 is fasten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412 and the second protrusion 413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sides,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412 and The second protrusion 413 is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0 so as to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s rotated by the actuator 420 .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420)는 상기 회동 부재(4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 부재(411)에서 상기 제1 돌기(412) 측 또는 제2 돌기(413) 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부재(41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물론, 상기 회동 부재(411)를 회전시키는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회동 부재(4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어떠한 기계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tuator 420 is disposed below the pivoting member 41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412 side or the second protrusion 413 side of the pivoting member 411, so that the pivoting member ( 411) is provided to rotate. Of course, the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pivoting member 4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chanical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pivoting member 411 may be applied.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액츄에이터(420)의 로드(421)가 돌출되게 이동하면, 상기 회동부(4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동부(410)의 제1 돌기(412)가 상기 제1 플레이트(210)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0)가 지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210)에 체결된 본체(20)를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변좌(30)의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착좌를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d 421 of the actuator 420 protrudes and moves, the pivoting part 4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protrusion 412 of the pivoting part 41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plate 210 is pushed up. Then, the first plate 210 is rotated around the support part 230, so that the main body 20 fastened to the first plate 210 is lifted and rotated, finally as shown in FIG. 6.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arranged to face forwar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toilet seat 30, it is possible to safely guide the user's seating.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420)의 로드(421)가 삽입되게 이동하면, 상기 회동부(4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동부(410)의 제2 돌기(413)가 상기 제2 플레이트(220)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0)가 지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20)가 상기 변좌(30)의 타측(33) 즉, 전방을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변좌(30)의 배치를 통해 상기 변좌(30)에 착좌한 사용자의 복압을 증가시켜 배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And, when the rod 421 of the actuator 420 is moved to be inserted, the pivoting part 410 rotates clockwise, and the second protrusion 413 of the pivoting part 410 moves the second plate (220) will be pushed up. Then, the second plate 220 rotates around the support part 230 so that the second plate 220 lifts and rotates the other side 33 of the toilet seat 30, i.e., the front, and finally helps. As shown in FIG. 7,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is disposed toward the rear. Through such arrangement of the toilet seat 30, the abdominal pressure of the user seated on the toilet seat 30 can be increased to induce defecation more effectively.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변좌 리프팅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변좌(30)에 착좌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좌(30)의 착좌면(31)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변좌(30)의 일측(32)을 밀어 올려 사용자가 상기 변좌(30)에 기대면서 앉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사용자가 상기 변좌(30)에 착좌 한 후에는 상기 변좌(30)의 타측(33)을 밀어 올려 사용자의 복압을 증가시켜 배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30, the seat surface 31 of the toilet seat 30 faces the user, so that the toilet seat 30 One side 32 of the toilet seat 32 is pushed up to guide the user to sit while leaning on the toilet seat 30, and after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30, the other side 33 of the toilet seat 30 is pushed up to guide the user. By increasing abdominal pressure, defec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induced.

그리고, 도면에서는 리프팅 유닛을 변기의 일측에만 도시하였지만, 상기 리프팅 유닛이 상기 변기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변좌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e lifting unit on only one side of the toilet, the lifting unit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oilet to rotate the toilet sea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 : 변기 20 : 본체
30 : 변좌 31 : 착좌면
100 : 베이스 프레임 210 : 제1 플레이트
220 : 제2 플레이트 310, 410 : 회동부
311 : 제1 상부 부재 312 : 제2 상부 부재
313 : 하부 부재 320, 420 : 액츄에이터
330 : 제1 지지 블록 340 : 제2 지지 블록
350 : 스톱퍼 411 : 회동 부재
10: toilet 20: main body
30: toilet seat 31: seating surface
100: base frame 210: first plate
220: second plate 310, 410: rotating part
311: first upper member 312: second upper member
313: lower member 320, 420: actuator
330: first support block 340: second support block
350: stopper 411: rotation member

Claims (11)

변기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회전되게 체결되어 변기에 안착되고, 착좌면이 구비된 변좌; 및
상기 변좌의 착좌면이 변기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변좌의 일측 또는 타측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본체와 변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가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변좌와 변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회전되게 체결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변좌의 일측 또는 타측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부;
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1 상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면접촉하고, 타측면이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1 지지 블록;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2 상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면접촉하고,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2 지지 블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 body disposed in the toilet bowl;
a toilet seat having one side rotated to the main body, seated in the toilet bowl, and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and
a lifting unit that lifts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oilet seat so that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is inclined with the toilet seat;
Including,
The lifting unit,
a first plat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toilet and fastened to the main body;
a second plate disposed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a lifting unit for lift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oilet seat by rotating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Including,
The lifting part,
a first support block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upper member, rotatably fastened to the base frame, and having one side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side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and
a second support block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upper member and rotatably fastened to the base frame, one side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and an inclined surface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Toilet seat lif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변기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frame,
A toilet sea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rotatingly suppor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faste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를 밀어 올리는 회동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lifting part,
a pivoting unit installed to be rotated on the base frame,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rotating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push up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and
an actuator disposed on the base frame and rotating the rotating part;
Toilet seat lifting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제2 상부 부재의 연결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rotating part,
a lower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upper member and the second upper member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Including; a hinge portion that rotatably fastens the connecting portion to the base frame,
The first upper member is disposed obliquely under the first plate,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upper member is inclinedly disposed under the second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제2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Y자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rotating part,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upper member, the second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re provided to form a Y sha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타측면은,
상기 변좌의 착좌면이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2 경사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lock,
a first inclined surface which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in a state where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is horizontal;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ich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is rotated;
Toilet seat lift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타측면은,
상기 변좌의 착좌면이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부재와 면접촉하는 제2 경사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lock,
a first inclined surface which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in a state where the seating surface of the toilet seat is horizontal;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which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is rotated;
Toilet seat lifting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가 형성된 회동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체결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rotating part,
a pivot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plat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plate; and
a hinge portion that rotatably fastens the rotational member to the base frame;
Toilet seat lifting devic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동 부재에서 상기 제1 돌기 측 또는 제2 돌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리프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actuator,
The toilet sea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jection side or the second projection side to rotate the rotation member.

KR1020160046966A 2016-04-18 2016-04-18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KR1025159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66A KR102515990B1 (en) 2016-04-18 2016-04-18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66A KR102515990B1 (en) 2016-04-18 2016-04-18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54A KR20170119154A (en) 2017-10-26
KR102515990B1 true KR102515990B1 (en) 2023-03-30

Family

ID=6030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66A KR102515990B1 (en) 2016-04-18 2016-04-18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99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7002A (en) * 2010-05-31 2013-06-27 ファインエ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Convenient chair for stand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875A (en) * 1996-02-28 1997-09-02 Inax Corp Toilet seat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7002A (en) * 2010-05-31 2013-06-27 ファインエ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Convenient chair for sta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54A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549B2 (en) Flush toilet capable of correcting defecation posture
KR101156165B1 (en) Chamber Pot Apparatus Having Seat Which Can Be Tilted
KR102490256B1 (en)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JP2015012900A (en) Portable toilet
KR102515990B1 (en) Lift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KR101849220B1 (en) A toilet seat of a toilet seat
KR200486616Y1 (en) Toilet Seat
KR101980659B1 (en) Pedestal for toilet bowl
KR101110354B1 (en) Bidet having tilting fuction
JP6817665B1 (en) Toilet armrest device
KR200384272Y1 (en) Stool Cover of the Easing Natural Support Equipped
KR101493875B1 (en) Toilet bowl
JPH09273203A (en) Western-style closet with local part washing water flush device
JP5105129B2 (en) Nursing wheelchair
JP6989935B2 (en) Transfer device
KR102043975B1 (en) Toilet seat have defecation inducement structure
CN106923728B (en) Squat and seat closestool
KR200355599Y1 (en) A footing for chamber pot
CN211512399U (en) Full-electric nursing bed
KR102627071B1 (en) functional healthy toilet
KR200320368Y1 (en) Toilet Bowl
KR200490345Y1 (en) Foot rest for toilet seat
JP4410356B2 (en) Bed system with defecation mechanism
JP2021154099A (en) Defecation-accelerating western-style toilet seat and defecation-accelerating western-style seat
KR200419165Y1 (en) Bidet having Backrest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