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004B1 -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 Google Patents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004B1
KR100468004B1 KR10-2002-0043734A KR20020043734A KR100468004B1 KR 100468004 B1 KR100468004 B1 KR 100468004B1 KR 20020043734 A KR20020043734 A KR 20020043734A KR 100468004 B1 KR100468004 B1 KR 100468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lower plate
toile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09709A (en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4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004B1/en
Publication of KR2004000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7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00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판을 사용자 중심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에 관한 것으로, 국부나 항문의 세정 위치를 비데의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movabl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for adjusting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to the user's center, and relates to a seat-movabl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for inducing a local or anus cleaning position to be precisely matched to the water jet nozzle of the bidet. .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은,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워진 하우징 형상의 이동 공간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볼베어링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면 볼베어링홈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하우징 내벽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과 점접촉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하는 볼베어링과,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좌판의 원활한 위치 이동성을 부여하여 변기에 앉아 좌판을 움직이면서 원하는 세정부위를 물 분사점에 맞출 수 있으므로, 비데기가 구비된 좌변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킨다.The position-movabl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plate seated on the seat while the rear seat is fixed to the toilet sea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eat of the toilet bowl body,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form an outer side of the lower plate. An upper plate having a moving space of the housing shape empty inside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be movable in a given range along the slider, a slider having a ball bearing groov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ball bearing grooves of the slider A ball bearing moving along the slider while making point contact with a housing inner wall of the upper plat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coupling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ouching each other to couple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by sliding contact. Consisting of couplings engaged in sliding contact coupling on the basis of It characterized. Accordingly, by providing a smooth position mobility of the seat plate to move the seat plate to the desired cleaning area while moving the seat plate, it improves the ease of use of the toilet seat equipped with a bidet.

Description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판을 사용자 중심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자세에서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에 국부나 항문을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국부나 항문의 세정 위치를 비데의 물 분사 노즐에 정화히 맞출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좌변기의 위치 가변형 좌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movabl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for adjusting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to the user's center, and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user to access the local or anus to the water jet position of the bidet nozzle in a seated position. A position variable seat plate of a toilet seat for guiding the cleaning position of an anus to be cleanly aligned with a water jet nozzle of a bidet.

일반적으로 좌변기(10)는 도 1과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11) 및 그 본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12)와, 상기 변기 본체(11)의 윗면부인 좌대(11a)와 닿아 변기 본체(11)의 좌대(11a)를 가리고 필요에 따라 올리고 내릴수 있게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변기 본체(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13)과, 상기 변기 본체(11)에 일단을 회전 되게 고정하여 좌판(13)과 닿아 물이 담겨 있는 수조(12)의 구멍을 덮어주는 뚜껑(14)으로 되어 있다.In general, the toilet seat 10 has a toilet main body 11 install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1, a water tank 12 formed in the main body to discharge and store water, and a base 11a which is an upper surface of the toilet main body 11. And the seat plate (11a) of the toilet seat 11a is fixed to the toilet seat main body 11 is rotatably fixed to the toilet seat 11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as needed, the seat plate 13 and the seat, One end is fixed to the toilet body 11 so as to contact the seat plate 13 is made of a lid 14 to cover the hole of the water tank (12) containing water.

좌변기(10)에 비데(Bidet)를 설치하는 경우, 변기 본체(11)의 주변부 적당한 위치에 물을 제어할 수 있는 비데(15)를 설치하고, 수조(12)에는 세정용 물 분사 노즐(16)을 설치한다.In the case where a bidet is installed in the toilet 10, a bidet 15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is provided at a periphery of the toilet main body 11, and the water tank 12 has a water spray nozzle 16 for cleaning. Install).

단순 세정기능으로만 이해되던 비데에 여러 가지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달아 차별화 시킨 제품이 근래에 많이 출시되었고 실현성이 큰 다양한 기술들도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었다.Bidet, which was understood only as a simple cleaning function, has been released with various convenient and diverse functions in recent years, and various technologies with high practicality have been introduced in various forms.

위생필터를 사용하여 거른 물로 세정하여 사용자에게 상쾌한 느낌과 청결함을 준다던지, 유압식 댐퍼를 이용하여 부드러운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이용중에 갑자기 좌판이 떨어져 다칠 염려를 줄여준다든지, 또한 좌판 커버의 탈.부착이 자유로워 실제 청소할 때 편리하도록 한 인체공학적 설계도 있다.Use sanitary filter to clean with filtered water to give the user a fresh feeling and cleanliness, or to open and close smoothly using hydraulic damper to reduce the risk of accidental falling of the seat plate and injuring the seat cover. There is also this ergonomic design that makes this free and convenient for actual cleaning.

그러나, 일반적인 좌변기 뿐만아니라 비데가 설치된 모든 좌변기들의 좌판(13)은 물 분사 노즐(16)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노즐(16)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위치와 국부 및 항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었다.However, since the seat plate 13 of all the toilets in which the bidet is installed as well as the general toilet is fixedly installed at a constant position, the water injection nozzle 16 is consistent with the local and anal positions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16. It is not uncommon to slip off without doing so.

이렇게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는 변하지 않고 사용자 마다 좌변기에 않는 위치와 습성 등이 달라져 결과적으로 비데의 물 분사 방향이나 위치는 항상 정해져 있는데 반해 물 분사 작용점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분사 노즐로 부터 분사되는 물이 닿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 함으로서, 그 만큼 세정 효율이 떨어지고 감각적으로 느끼는 상쾌함을 충족시키기 어려웠고, 실제로 세정효율도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As such, the position of the water spray of the bidet nozzle does not change, and the position and habit of the toilet seat are different for each user. As a result,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water spray of the bidet is always determined. This results in a result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does not reach exactly the desired part of the user, so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refreshing feeling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sensory feeling, and the cleaning efficiency was also inferior in the cleanliness.

이와 같이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원하는 부위에 닿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좌판(13)에서 일어나 신체의 전신을 움직여서 물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원하는 부위에 접촉하도록 하는 사용법을 취하고 있으나, 노약자나 미성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감각적 조치를 취하기가 어렵고 또한 좌변기에 착석한 채로 신체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행동자체가 부자연스럽고, 번거로워 비데의 사용 자체가 부담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었다.As such, when the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does not reach the desired area, the user takes up the seat plate 13 and moves the whole body of the body so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contacts the desired area. In the case of children, it is difficult to take such sensory measures and because the body cannot move freely while sitting on the toilet, the behavior itself is unnatural, and the use of bidet itself is a burden.

이같은 현상은 비데 기능이 있음에도 물 분사 노즐을 통한 물 분사점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접촉시키기 어려워 비데 기능이 있는데도 휴지를 사용하는 사용상의 문제는 흔히 경험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쉽고 편리하며 위생적인 비데의 우수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사용상의 한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었다.This phenomenon is difficult to contact the water spray point through the water jet nozzle to the desired area even though it has a bidet function, the problem of using the toilet paper even though the bidet function is a common experience, which is easy and convenient and hygienic Despite its excellent features, it has been pointed out as an important issue that reveals its limitations in use.

이러한 비데기의 사용상의 한계를 감안하여 물 분사 노즐(16)을 도 2와 같이, 앞으로 더 연장된 국부 세정용 분사 노즐(17)과 항문세정용 분사 노즐(18)을따로 설치하여 물 분사점이 국부와 항문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물 분사 노즐의 개선 구조도 제시되었지만, 마찬가지로 물 분사 노즐(16)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는 수동적인 구조 인데 반해, 사용자의 착석 위치, 신체 특성 차이 등에 따라 물 분사점이 수시로 변동되어, 이로 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부위에 의도하는 대로 물을 닿게 하지 못해 만족할 만한 세정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n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the bidet, the water jet nozzle 16 is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local cleaning jet nozzle 17 and the anal cleaning jet nozzle 18 further extended as shown in FIG.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water jet nozzle that can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act on the anus and the anus has been proposed, but likewise, the position of the water jet nozzle 16 is a fixed passive structure, depending on the seating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fference in physical characteristics. Water injection point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this has caused a problem that the user is not able to satisfactorily wash the water to the desired site as inten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 기능이 있는 좌변기의 사용에 있어서 좌변기 사용자가 착석 위치에서 물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 되는 물의 분사점을 기준으로 원하는 세정 부위를 착석 상태에서 접근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toilet seat user to approach a desired cleaning part in a seated state based on an injection point of water sprayed through a water spray nozzle in a seated position in the use of a toilet with a bidet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분사 노즐을 통한 물 분사점이 항상 일정함에 따라 나타나는 비데의 사용상의 불편을 좌판의 위치 가변을 통해 착석 상태에서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원하는 세정부위를 접근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비데의 사용을 활성화 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 of the bidet is always constant through the water spray nozzle through the water jet nozzle to guide the water cleaning nozzle to the water jet nozzle in the seated position to accurately approach the desired cleaning sit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To activate the use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세정부위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데기의 사용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use effect of the bidet by making it possible to exactly match the cleaning site to the water jet nozz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착석 위치 기준으로 엉덩이를 들지 않은 상태에서 착석 위치 조절이 가능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seating position without lifting the hips based on the seating position of the user.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se objects,

바닥에 설치되고 물을 담는 수조가 있으며 뚜껑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좌판을 지지하는 좌대가 형성된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상기 수조를 중심으로 물 분사 노즐이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The toilet body is installed at the bottom and has a water tank, and a toilet body hav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lid and a seat for supporting a seat plate, and a seat fixed to the toilet body while covering the seat of the toilet body by touching the seat that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a seat plate made to be seated by a user and a bidet provided with a water jet nozzle around the water tank.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되는 하판과,A lower plate seated on the seat and fixed to the toilet seat while contacting along the upper seat of the toilet body,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워진 하우징 형상의 이동 공간을 구비하는 상판과,An upper plate having a moving space having a housing shape vacated therein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form an out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be movable in a given range along the lower plate;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놓여져 상판을 하판을 따라 이동 시키는 슬라이더와,A slider plac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move the upper plate along the lower plate;

상기 슬라이더를 상판과 하판으로부터 이격 시키기 위해 슬라이더의 상하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하우징 내벽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과 점접촉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베어링과,A ball bearing install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er to separate the slider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make poin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move along the slider;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couple the upper plate by the sliding contact movable to the lower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movable seat of the toilet seat consisting of the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sliding contact coupling relative to the contact surface.

이렇게 좌변기의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좌판에 착석 상태에서 물 분사 노즐의 분사점을 중심으로 세정부위를 쉽고 편하게 접근시킬 수 있게된다.Thus, by allowing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to be able to move in a desired range along the seat of the top of the toilet body in a desired direction, the se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pproached around the spray point of the water jet nozzle in a seated state. .

도 1은 일반적인 좌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toilet seat.

도 2는 종래 물 분사 노즐의 설치 좌변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toilet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water injection nozz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변기 본체와 좌판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seat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좌대와 좌판의 결합 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at and the seat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슬라이더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 (b)는 슬라이더와 볼베어링의 접촉관계를 보인 도면, (c)(d)(e)는 각각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베어링홈의 다양한 형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Figure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ample of a specific shape of the slider, (b) is a view showing a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er and the ball bearing, (c) (d) (e ) Shows examples of various shapes of the bearing grooves formed on the sliders,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상판 및 하판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state between the slider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설치 및 배열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상판을 하판 전체에 씌운 올(all)커버형 배열 구조, (b)는 상판을 하판의 양측 일부분에 배열한 부분(part) 커버형 배열 구조를 보인 도면Figure 7 shows the installation and arrangement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all-cover arrangement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top plate (b)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p plate Drawing showing a one part cover type arrange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좌판 30:변기본체20: seat 30: valve body

31:수조 32:뚜껑31: water tank 32: lid

33:좌대 34:물분사노즐33: left 34: water spray nozzle

35:비데기 40:하판35: bidet 40: lower plate

41:가이드레일 42:하부면41: guide rail 42: bottom

50:상판 51:플랜지슬라이더50: top 51: flange slider

52:이동공간 53:하우징52: moving space 53: housing

54:밑면 60:결합부54: bottom 60: coupling portion

70:고정부 72:리턴스프링70: High government 72: Return spring

73:힌지브래킷 74:힌지브래킷홈73: hinge bracket 74: hinge bracket groove

75:고정핀 80:슬라이더75: fixed pin 80: slider

81.81a:볼베어링 82:볼베어링홈81.81a: Ball bearing 82: Ball bearing groov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를 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variable left toilet seat of th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변기 본체와 좌판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좌대와 좌판의 결합 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슬라이더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를 보인 도면이고, (b)는 슬라이더와 볼베어링의 접촉관계를 보인 도면 이며, (c)(d)는 각각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베어링홈( )을 기울기를 두어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상판 및 하판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설치 및 배열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상판을 하판 전체에 씌운 올(all)커버형 배열 구조, (b)는 상판을 하판의 양측 일부분에 배열한 부분(part) 커버형 배열 구조를 보인 도면 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seat plate of the lef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at and the seat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pecific shape of the slider, (b) is a view showing a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er and the ball bearing, (c) (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earing grooves () formed on the sliders are inclined, respectively.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state between the slider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installation and arrangement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all-cover arrangement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top plate (b)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p plate The figure shows a one part cover type arrangement.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구조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바닥에 설치되고 물을 담는 수조(31)가 있으며 뚜껑(32)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좌판을 지지하는 좌대(33)가 구성된 변기 본체(30)와, 변기 본체(30)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33)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33)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20)과, 수조(31)를 중심으로 물 분사 노즐(34)이 설치된 비데(35)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적용된다.Positionable seat plate structure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7, there is a water tank 31 is installed on the bottom to contain water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lid 32 and the seat 33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is One end is rotatably fixed to the toilet body 30 while covering the toilet seat 30 which forms the toilet body 30 and the base 33 which forms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dy 30, and covers the base 33 of the toilet body. It is applied to the left toilet provided with a seat plate 20 made to be able to, and a bidet 35 provided with a water jet nozzle 34 around the water tank 31.

(도 3 참조)(See Figure 3)

구체적으로는, 도 4와 같이, 상기 변기 본체(30)의 윗면부 좌대(33)를 따라접촉하면서 그 좌대(33)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30)에 고정되는 하판(40)과, 하판(40)과 결합되어 그 하판(40)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40)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워진 하우징(53) 형상의 이동공간(52)을 구비하는 상판(50)과, 상판(50)과 하판(40) 사이에 놓여지고 베어링홈(82)을 구비하는 슬라이더(80)와, 슬라이더(80)의 베어링홈(82) 상하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판(50)의 하우징(53) 내벽면과 하판(40)의 상면과 점접촉을 이루는 동시에 슬라이더(80)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베어링(81)(81a)과, 상판(50)을 하판(40)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40)과 상판(50)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plate 40 which is seated on the seat 33 and the rear is fixed to the toilet seat 30 while contacting along the upper seat 33 of the toilet body 30, A moving space having a shape of a housing 53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40 to form an exterior of the lower plate 40 and is empti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40 to be movable along a lower plate 40 in a given rang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50 including the 52, the slider 80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50 and the lower plate 40 and including the bearing grooves 82,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earing grooves 82 of the slider 80. Ball bearings 81 and 81a and upper plate 50, which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plate surface of the housing 53 of the upper plate 50 and the point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0, and are movable along the slider 80.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liding contact coupling based on the coupling surface where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5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upling part (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에 관하여 제시된 상기 구조는 다음과 같은 선택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present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movable seat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optional configuration.

도 4와 같이, 변기 본체(30)의 좌대(33)와 하판(40)이 서로 닿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하여 서로 평면접촉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좌대(33)와 하판(40) 접촉면의 균형을 이루어 전체 밸런스 유지와 흔들림 등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4, a surface in which the seat 33 and the lower plate 40 of the toilet body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formed in a plane to guide each other in planar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is to balance the base 33 and the lower plate 40 to reduce the overall balance and shaking.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판(50)은 하판(40)과 결합되어 그 하판(40)의 외부를 감쌓아 가리기 위해 하판(40)의 윗면부를 수용하는 비워진 이동공간(52) 있는 하우징(53)으로 형성된다. 이는 하판(40)의 외부를 상판(50)으로 가려서 겉으로 드러나는 외관을 미려하게 처리하면서도 슬라이더(80)와 볼베어링(81)(81a)의 이탈을 방지하고 하판(40)의 노출을 가려서 작동 안전을 도모 하는 것이다.4 and 5, the upper plate 50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40, the housing having an empty moving space 52 to receiv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0 to cover the outside of the lower plate 40 ( 53). This prevents detachment of the slider 80 and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while covering the exterior of the lower plate 40 by the upper plate 50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slider 80 and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thereby preventing operation safety. It is to plan.

또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판(50)과 하판(40) 사이에 설치하는 슬라이더(80)는 볼베어링(81)(81a)의 설치하기 위해 베어링홈(82)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베어링홈(82)을 가로세로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의 (b)와 같이 슬라이더(82)상의 베어링홈(82)의 폭을 'L2'로 할 때, 볼베어링(81)(81a)의 직경 크기는 베어링홈(82)의 폭 'L2' 넓이 보다 큰 'L1'의 직경 사이즈로 한다. 이러한 L2 〈L1 의 유지는 볼베어링(81)(81a)이 슬라이더(80)의 베어링홈(8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lider 80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50 and the lower plate 40 rules the bearing groove 8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install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Or irregularly formed. FIG. 5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bearing grooves 82 are regular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en the width of the bearing groove 82 on the slider 82 is set to 'L2' as shown in FIG. 5B, the diameter size of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is the width 'L2' width of the bearing groove 82. A larger diameter of L1 is assumed. The holding of L2 < L1 is for preventing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earing grooves 82 of the slider 80.

또한, 슬라이더(80)상에 형성되는 가로세로방향의 베어링홈(82)은 도 5의 (c)(d)와 같이 θ 의 기울기를 주어서 형성할 수 있으며, (e)와 같이 곡률을 부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어링홈(82) 기울기 또는 그 형상을, 좌대(33)와 하판(40) 그리고 상판(50)의 전체 곡률정도에 따라 슬라이더(80) 및 베어링홈(82) 형상 설계에 반영하면, 상판(50)으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성 힘에 의한 볼베어링(81)(81a)의 위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판(5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groove 8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formed on the slider 80 may be formed by giving an inclination of θ as shown in FIG. 5 (c) (d), and giving a curvature as shown in (e). It may be formed. When the inclination or shape of the bearing groove 82 is reflected in the shape design of the slider 80 and the bearing groove 82 according to the overall curvature degree of the base 33,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50, the upper plate ( Since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by the direc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50 can be made more smooth, the result which makes the movement of the upper plate 50 smooth can be obtained.

하판(40)과 상판(50)의 결합부(60)는, 하판(40)의 윗면부를 수용하는 일정한 이동 공간(52)을 가지며 양 방향이 벽으로 이루어진 상판(50)의 하우징(53)과, 하판(40)에 상판(50)을 결합하기 위해 상판(50)의 하우징(52) 벽면 가장자리 양측면을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여 하판(40)에 결합되는 플랜지 슬라이더(51)와, 상판(50)의 플랜지 슬라이더(51)가 결합될 때 그 단부측과 양방향이 일정한 'a2'간격을 유지한 채로 플랜지 슬라이더(51)를 안내 결합하기 위해 하판(40)의 양측 벽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41)로 구성함으로서, 하판(40)과 상판(50)을 결합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60 of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50 has a constant moving space 52 for accommod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0 and the housing 53 of the upper plate 50 formed of walls in both directions. In order to couple the upper plate 50 to the lower plate 40, the both sides of the housing 52 wall edges of the upper plate 50 are bent inwardly, and the flange slider 51 coupled to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50. Guide rail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 walls of the lower plate 40 for guiding coupling the flange slider 51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2' spacing at both ends thereof when the flange sliders 51 are coupled. 41,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50 can be combined.

이 결합부(60)는, 상판(50)을 하판(40)에 고정시켜 놓은 조건에서 상판(50)이 하판(40)에서 떨어지지 않고 또한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면서, 상판(50)에 형성된 플랜지 슬라이더(51)가 하판(40)의 가이드레일(41)과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로 상판(50)의 플랜지 슬라이더(51)가 하판(40)의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결합구조로 제시된 것이다.The coupling part 60 is a flange slider formed on the upper plate 50 while the upper plate 50 does not fall off the lower plate 40 and the solid bond is maintained while the upper plate 50 is fixed to the lower plate 40. The flange slider 51 of the upper plate 50 may move freely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guide rail 41 of the lower plate 40 while the 51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41 of the lower plate 40. It is presented as a coupling structure to enable.

또한, 상판(50)은, 도 7의 (a)와 같이 하판(40)의 모든 부분을 감쌓는 올(all)커버형으로 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도 7의 (b)와 같이 하판(40)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나뉘어진 분리형 배열로 할 수 있다. 하판(40)에 대한 상판(50)의 올커버 또는 양방향 분리형 부분 배열 등의 선택은 상판의 배치 및 설계 자유도 그리고 사용자 선택성, 배열에 대한 디자인 다양성 등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50 may be an all-cover type covering all parts of the lower plate 40 as shown in (a) of FIG. 7, and alternatively, the lower plate 40 as shown in (b) of FIG. 7. It can be a separate arrangement divided in both directions based on). Selection of the all-cover or bi-directional separate partial arrangement of the top plate 50 relative to the bottom plate 40 is to take into account the layout and design freedom of the top plate, user selectivity, design diversity for the arrangement, and the like.

도 7의 (a)와 같은 올커버형 상판(50)인 경우, 그 뒤쪽에 리턴스프링(72)을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압축스프링과 같이 복원성이 있는 스프링의 한쪽 끝을 상판(50)에 뒤쪽에 달고 다른 쪽 끝을 변기 본체(30)에 고정해 놓으면 상판(50)이 앞으로 이동되었더라도 사용자가 일어서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한 상판(50)이 제자리를 찾아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all-cover top plate 50 as shown in FIG. 7A, a return spring 72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upper cover 50. This is, if one end of the restorable spring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is attached to the top plate 50 to the rea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toilet body 30, even if the top plate 50 is moved forward to the spring restoring force The upper plate 50 is to find the pla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도 7과 같이 고정부(70)를 구성하면, 하판(40)을 변기 본체(30)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하판(40)의 뒤쪽에 돌출된 힌지브래킷(73)과, 그 힌지브래킷(73)을 고정하여 하판(40)을 변기 본체(3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해 변기 본체(30)에 형성된 힌지브래킷홈(74)과, 힌지브래킷(73)을 힌지브래킷홈(74)에 회전되게 고정하는 고정핀(75)으로 구성 가능하다.When the fixing unit 7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the lower plate 40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rear of the toilet body 30. Specifically, a hinge bracke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lower plate 40 may be used. 73 and the hinge bracket 73 formed in the toilet body 30 to fix the lower bracket 40 to the toilet body 30 by fixing the hinge bracket 73 and the hinge bracket 73. It can be configured as a fixing pin 75 to be fixed to the bracket groove (74) to be rotated.

여기서, 하판(40)에 형성한 힌지브래킷(73)은 단순히 하판(40)을 변기 본체(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기능 만을 한다. 따라서, 힌지브래킷(73)을 하판(40)이 아닌 변기 본체(30)에 두고, 이와 대응 되어 변기 본체(30)에 구성하는 것으로 제시한 힌지브래킷홈(74)을 하판(40)에 형성한다고 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Here, the hinge bracket 73 formed on the lower plate 40 merely serves to fix the lower plate 40 rotatably to the toilet body 30. Therefore, the hinge bracket 73 is placed on the toilet body 30 instead of the bottom plate 40, and the hinge bracket groove 74 proposed to be configured in the toilet body 30 correspondingly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40. Even the same result is shown.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20)의 작용 및 효과를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판(50)에 사용자가 착석한 조건을 기준으로 상판(50)의 위치 이동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osition-movable seat plate 20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osition movement state of the top plate 50 on the basis of the condition that the user is seated on the top plate 50 with reference to FIGS. Is as follows.

도 4 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20)에 착석하여 전후(Ay),좌우(Ax)로 움직이는 힘은 상판(50)에 전달되고 이 방향성 힘에 따라 상판(50)이 움직인다.As shown in FIG. 4,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plate 20 and the force moving back and forth (Ay) and left and right (Ax) is transmitted to the top plate 50 and the top plate 50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force.

상판(50)은 플랜지 슬라이더(51)가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변기 본체(30)의 좌대(33)에 닿아 있는 하판(40)의 가이드레일(41)에 장착되어 상판(50)은 하판(40)을 따르는 유동 가능하다.The upper plate 50 is mounted on the guide rails 41 of the lower plate 40, in which the flange slider 51 is bent in both directions and touches the base 33 of the toilet body 30, and the upper plate 50 is attached to the lower plate 40. Following the flow is possible.

또한, 상판(50)과 하판(40) 사이에는 슬라이더(80)가 그 상하면상으로 볼베어링(81)(81a)을 돌출시켜 베어링홈(82)을 따라 자유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판(50)을 통해 전달되는 방향성 힘이 있을 때, 이 힘이 볼베어링(81)(81a)에 전달되어 볼베어링(81)(81a)은 슬라이더(80)의 베어링홈(82)의 영역에서 회전과 위치 이동을 하면서, 상판(50)의 움직임을 돕는다. 여기서, 하판(40)은 변기 본체(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으며, 슬라이더(80)는 상판(50)의 이동공간(52)에서 운동 가능하지만, 주 기능은 볼베어링(81)(81a)의 회전과 위치이동을 돕는데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upper plate 50 and the lower plate 40, the slider 80 protrudes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so as to allow free rolling motion along the bearing grooves 82. When there is a direc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50, this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so that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rotate and position in the region of the bearing groove 82 of the slider 80. While moving, help the movement of the top plate (50). Here, the lower plate 40 is fixed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30 does not move, the slider 80 is movable in the moving space 52 of the upper plate 50, the main function is ball bearings 81 (81a) To help rotate and move the position.

도 4를 참고로 보면, 상판(50)과 하판(40)은 서로 플랜지 슬라이더(51)와 가이드레일(41)을 통해 결합되어 플랜지 슬라이더(51)의 끝단과 가이드레일(41)은 일정한 'a2' 간격이 유지되고 있다. 동시에 상판(50)의 이동 공간(52)에 수용되는 형태로 조합된 하판(40)의 윗면부 양측벽은 상판(50)의 하우징(52) 내벽과 일정한 'a1' 간격이 유지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pper plate 50 and the lower plate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lange slider 51 and the guide rail 41 so that the end of the flange slider 51 and the guide rail 41 are constant 'a2. 'The gap is maintained. At the same time, both side wall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0, which are combined in a shape accommodated in the moving space 52 of the upper plate 50, maintain a constant 'a1' spac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52 of the upper plate 50.

이 상태에서, 옆으로 미는 Ax 방향의 힘, 즉 좌우측 한쪽 방향 힘이 상판(50)에 전달되면 플랜지 슬라이더(51)와 가이드레일(41)과의 간격 'a1'과 간격 'a2'가 벌어지거나 좁혀진다.In this state, when the force in the Ax direction that is pushed to the side, that is, the force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late 50, the interval 'a1' and the interval 'a2' between the flange slider 51 and the guide rail 41 are opened or Narrows.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미는 Ay 방향의 힘이 상판(50)에 전달되면, 상판(50)은 앞쪽이나 뒤쪽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a1, a2간격의 변화를 동반하거나 아니면 동반하지 않는데, 통상 좌변기의 좌대(33)가 유연하게 구부러진 경우가 흔한 형상이고, 그 위에서 접촉하는 하판(40)이 좌대(33)를 따라 동일하게 구부러져 있다고 가정하면, a1,a2의 간격은 상판(50)의 전후 현재 위치가 구부러짐 각도를 달리 갖게 됨으로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ilarly, when a force in the Ay direction push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late 50, the upper plate 50 moves forward or backward. At this time, it is accompanied by a change of the a1, a2 interval or not accompanied, usually the seat 33 of the toilet seat is a common shape is flexible, the lower plate 40 in contact thereon is the same along the seat 33 Assuming that it is bent, the interval between a1 and a2 can be regarded as a change because the front and rear current positions of the upper plate 50 have different bending angles.

이때, 볼베어링(81)(81a)은 상판(50)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받아 베어링홈(82)에서 위치이동 하거나 구름작용을 통해 상판(50)의 위치 이동을 돕는다. 여기서, 볼베어링(81)(81a)의 이동을 규제하거나 제한하는 도 5의(a)~(e)와 같은 가로세로방향의 베어링홈(82)의 형상을 설계에 반영하여 적용하면, 상판(50)의 위치 이동작용을 더 원활하고 방향성 이동량을 특정 방향으로 늘리는 설계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receive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plate 50 to move the position in the bearing groove 82 or to assist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upper plate 50 through rolling. Here, if the shape of the bearing groove 8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5 (a) to (e) for restrict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is applied to the design, the upper plate 50 ),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more smoothly and increase the amount of directional movement in a specific direction.

특히, 베어링홈(82)의 형상에 기울기를 부여하는 경우(도 5의 (c)(d), 또는 베어링홈(82) 형상에 곡률을 준 경우(도 5의 (e)) 등은 좌대(33)와 하판(40)에 전체 곡률이 있는 경우등에 적용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는 주로 변기 본체의 좌대(33)가 보통 곡률을 가지고 있고 여기에 배열하는 하판(40)과 상판(50)을 좌대(33)의 곡률을 따라 배열하는 경우 베어링홈(82)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좌대(33)와 하판(40) 그리고 상판(50)의 관계가 전체적으로 직선 결합인 경우는 베어링홈(82)의 형상에 기울기나 곡률을 주지 않아도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inclination is given to the shape of the bearing groove 82 ((c) (d) of FIG. 5, or when the curvature is given to the shape of the bearing groove 82 ((e) of FIG. 5) or the like, 33) and a structure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case that there is a total curvature in the lower plate 40. This is mainly the base plate 33 of the toilet body has a normal curvature and arranged on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 50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base 33, the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bearing groove 8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33, the lower plate 40 and the upper plate 50 as a whole linear coupling Does not have to give an inclination or curvature to the shape of the bearing groove 82.

상판(50)과 하판(40) 사이에 볼베어링(81)(81a) 및 그 이동을 규제하고 안내하는 슬라이더(80)를 설치하여 상판(50)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구조는, 볼베어링(81)(81a)과 그 이동을 규제하는 슬라이더(82)의 설계 자유도가 크기 때문에 보다 계획적인 상판(50)의 위치 이동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ball bearing 81 and 81a and a slider 80 for regulating and guiding the movement between the upper plate 50 and the lower plate 40 are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upper plate 50. 81a) and the slider 82 which restricts the movement thereof have a large design freedom,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al structure of the top plate 50 can be designed relatively simp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50)이 볼베어링(81)(81a)의 회전과 위치이동에 따른 도움을 받아 하판(40)을 따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상판(50)에 앉은 채로 원하는 방향으로 상판(50)을 엉덩이로 밀면, 엉덩이를 들지 않고 국부나 항문을 물 분사 노즐(34) 근처로 접근시키는 결과로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pper plate 50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lower plate 40 with the help of the rotation and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ball bearings 81 and 81a. Pushing the top plate 50 to the hips in the desired direction while still appearing results in approaching the local or anus near the water jet nozzle 34 without lifting the hips.

하판(40)의 뒤쪽을 회전 가능한 회전 구조를 적용하여, 힌지브래킷(73)으로 변기 본체(30)에 고정해 놓으면, 하판(40)을 젖히고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좌판(20)의 전체를 변기 본체(30)의 좌대(33)로 부터 들어올려 청소도 가능하다. 이는 기존 좌판과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도 좌판의 위치 이동기능만 부가된 경우와 같다.By applying a rotating structure rotatable to the rear of the lower plate 40, if the hinge bracket 73 is fixed to the toilet body 30, the lower plate 40 can be raised and lowered, so the whole of the seat plate 20 is 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lift by lifting from the base 33 of (30). This is the same as the case in which the position shift function of the seat is added while the same function as the existing seat.

한편, 좌변기 사용자가 좌판(20)에 착석한 조건을 기준으로 좌판(20)의 원할한 움직임은 곧 사용자가 물 분사 노즐(34)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을 적절하게 접근시킬 수 있는 것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smooth movement of the seat plate 20 on the basis of the condition that the toilet seat user is seated on the seat plate 20 is as if the user can properly approach the local or anus of the water jet nozzle 34.

예를들면, 좌판(20)에 앉아서 물 분사 노즐(34)을 통해 분사 되는 물의 분사점이 자신의 국부나 항문에 일치하지 않고 너무 뒤에 있다고 생각되면, 좌판(20)을 엉덩이로 뒤로 밀면 좌판(20)이 뒷 방향으로 이동하여 물 분사 노즐(34)에 자신의 국부나 항문이 최대로 접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물 분사 점이 너무 앞쪽에 형성되면 엉덩이로 좌판을 앞쪽으로 끌어서 물 분사점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에 정확히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sitting on the seat plate 20 and the spray point of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water jet nozzle 34 is thought to be too far behind the local or anus, pushing the seat 20 back to the buttocks seat 20 ) Can move backwards to maintain its local or anus close to the water jet nozzle 34, and conversely, if the water jet is formed too forward, drag the seat forward with the hip to move the water jet. It can act exactly on your local or anus.

또한, 물 분사 점이 좌우 방향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려 있다고 생각되면, 엉덩이로 좌판(20)을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밀면 마찬가지로 미는 방향으로 좌판(20)이 움직여서 정확하게 물 분사점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 목표지점에 일치시킬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it is thought that the water jet point is directed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ushing the seat plate 20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buttocks moves the seat plate 20 in the same pushing direction, so that the water jet point can be accurately moved to the local or anus. Can match the target poin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좌판은 좌판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몇 번만 사용하면 몸에 익어 숙달된 상태로 좌판의 위치를 물 분사 노즐의 분사점에 맞추어 편안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비데의 기능 강화로 보건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직간접적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sea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so that anyone can use it only a few time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comfortably and freely according to the spray point of the water spray nozzle. Therefore, since it is effective to make effective use of the function of the bidet, there is a direct or indirect effect to improve the health and hygiene environment by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bidet.

Claims (4)

바닥에 설치되고 물을 담는 수조가 있으며 뚜껑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좌판을 지지하는 좌대가 형성된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상기 수조를 중심으로 물 분사 노즐이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The toilet body is installed at the bottom and has a water tank, and a toilet body hav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lid and a seat for supporting a seat plate, and a seat fixed to the toilet body while covering the seat of the toilet body by touching the seat that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In the left toilet with a seat plate made to be seated by the user, and a bidet with a water jet nozzle is installed around the tank,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되는 하판과,A lower plate seated on the seat and fixed to the toilet seat while contacting along the upper seat of the toilet body,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워진 하우징 형상의 이동 공간을 구비하는 상판과,An upper plate having a moving space having a housing shape vacated therein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form an out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be movable in a given range along the lower plate;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볼베어링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더와,A slider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ball bearing groove;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면 볼베어링홈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하우징 내벽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과 점접촉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하는 볼베어링과,A ball bearing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ball bearing grooves of the slider to make poin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o move along the slider;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Positionable seat of the toilet seat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for engaging in sliding contact coupling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order to couple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sliding plate mov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더는 볼베어링을 안착시키기 위해 베어링홈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The slider is a movable seat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groove is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to seat the ball bear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판과 상판의 결합부는,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상기 하판에 상판을 결합하기 위해 상판의 하우징 벽면 가장자리 양측면을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여 하판에 결합되는 플랜지 슬라이더와,A flange slider coupled to the lower plate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housing wall edge of the upper plate inward to couple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상기 상판의 플랜지 슬라이더가 결합될 때 그 단부측과 양방향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플랜지 슬라이더를 안내 결합하기 위해 하판의 양측 벽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When the flange slider of the upper plate is engaged, the positionable seat plate of the toilet seat comprising a guide rail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both side walls of the lower plate for guiding coupling the flange slid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end side and both directions.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판을 변기 본체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판의 뒤쪽에 돌출된 힌지브래킷과,A hinge bracke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lower plate so that the lower plate can be rotatably fixed to the rear of the toilet body; 상기 힌지브래킷을 고정하여 하판을 변기 본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해 변기 본체에 형성된 힌지브래킷홈과,A hinge bracket groove formed in the toilet body to fix the hinge bracket to fix the lower plate to the toilet body; 상기 힌지브래킷을 힌지브래킷홈에서 회전되게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Positioning seat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bracket comprises a fixing pin for rotating in the hinge bracket groove.
KR10-2002-0043734A 2002-07-24 2002-07-24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1004680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34A KR100468004B1 (en) 2002-07-24 2002-07-24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34A KR100468004B1 (en) 2002-07-24 2002-07-24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709A KR20040009709A (en) 2004-01-31
KR100468004B1 true KR100468004B1 (en) 2005-01-26

Family

ID=3731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734A KR100468004B1 (en) 2002-07-24 2002-07-24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0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766B1 (en) * 2002-07-24 2005-05-17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KR100490586B1 (en) * 2002-07-24 2005-05-24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68003B1 (en) * 2002-07-24 2005-01-26 주 ) 건축사사무소뿌리건축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101040809B1 (en) * 2009-10-28 2011-06-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Sealing Test Device for Motor Actuation Parallel Gate Valve on Reactor Coola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7A (en) * 1997-06-11 1999-01-06 Koken Eng:Kk Toilet stool provided with toilet seat of excreta mouth width variable type and toilet stool used for it
KR20040009708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20040009706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20040009707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7A (en) * 1997-06-11 1999-01-06 Koken Eng:Kk Toilet stool provided with toilet seat of excreta mouth width variable type and toilet stool used for it
KR20040009708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20040009706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20040009707A (en) * 2002-07-24 2004-01-31 구명화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709A (en)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3789T3 (en) REMOTE CONTROL.
US6226804B1 (en) Automatic toilet cover and sea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US4145767A (en) Combination water closet and bidet
KR100468004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20210020948A (en) Toilet with bidet shower
KR20150004731A (en) Portable toilet
CN100563536C (en) Seat device and toilet-flushing apparatus
KR100489765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KR100468003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KR100489766B1 (en)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KR100467969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67968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90586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KR100490587B1 (en) The Bidet Chamber-Pot of Position Transformation Type Low Bench
JP3149869U (en) Mobile sink
JP2005261883A (en) Scatter prevention device for western style toilet
JPH08243056A (en) Toilet bowl
JP6803556B2 (en) Vanity unit
US5603130A (en) Sanitary seat
KR200220703Y1 (en) The washstand enabled up-down adjustment
CN207700317U (en) A kind of Male urinal with cover
EP0839235B1 (en) A shower device
KR102648109B1 (en) MOVABLE TOILET AND HAIR SHAMPOOING DEVICE for DISABLED PERSON
CN221052779U (en) Folding urinal
JP2005118127A (en) Wash basin counter and wash basin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