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470B1 - 천장면용 천공기 - Google Patents

천장면용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470B1
KR100490470B1 KR1020040101085A KR20040101085A KR100490470B1 KR 100490470 B1 KR100490470 B1 KR 100490470B1 KR 1020040101085 A KR1020040101085 A KR 1020040101085A KR 20040101085 A KR20040101085 A KR 20040101085A KR 100490470 B1 KR100490470 B1 KR 100490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upport
cover
ceil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오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동화
김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동화, 김종오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동화
Priority to KR102004010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58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4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with special provision to enable the machine or the drilling or boring head to be moved into any desired position, e.g. with respect to immovabl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면용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드릴지지체와, 상기 드릴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드릴비트와 상기 드릴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드릴모터를 갖는 드릴부와, 상기 드릴비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드릴지지체에 고정되는 방진커버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단이 천장면에 가압 접촉되도록 상기 드릴지지체를 천장면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천장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드릴모터의 회전구동과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구동조작부와, 상기 구동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드릴모터의 회전구동과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천장면용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방진커버는 바닥면의 중앙영역에 드릴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릴통과공이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도록 상기 드릴지지체에 결합되는 컵 형상의 하부방진커버와,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바닥면을 향해 슬라이딩이동하고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해제될 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상부방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먼지를 방진커버에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면용 천공기{Drilling Machine for Ceiling Surface}
본 발명은 천장면용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바닥면에 서서 천장면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신축건물이나 철도차량의 객실 등의 천장에는 조명기구, 케이블랙 등의 천장부대설비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천장부대설비를 설치하기 위해 천장면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종래 천장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면에 설치된 작업대나 사다리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해머드릴로 천공작업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이 작업대나 사다리에 올라가서 천장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은 천공작업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먼지등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바닥면에 서서 천장면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천공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6은 종래의 천장면용 천공기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천장면용 천공기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통형상의 드릴지지체(110)와, 드릴지지체(110)의 상단에 결합된 칩커버조립체(120)와, 드릴지지체(11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로드(131)를 구비한 위치조절부(130)와, 위치조절부(13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위치조절부(130)의 저부에 결합된 승강부(140)와, 승강부(140)를 지지하는 4개의 지지파이프(150)와, 지지파이프(150)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바닥지지체(170)와, 승강부(140)를 조작하기 위한 승강운전부(180)와, 드릴지지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드릴모터(161)를 갖는 드릴부(160)를 갖고 있다.
칩커버조립체(120)는 원형단면 관형상의 커버몸체(121)와, 커버몸체(121)의 상단에 결합된 깔때기 형상의 제1칩커버(122)와, 커버몸체(121)의 하단에 결합된 원형단면 관형상의 제2칩커버(123)와, 제2칩커버(123)와 드릴지지체(110)사이에 개재하는 베이스플레이트(124)와, 베이스플레이트(124)의 상부에 기립 설치되는 스프링(125)을 갖고 있다.
스프링(125)의 상측에는 스프링지지판(126)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140)는 직선상의 컬럼(141)과, 컬럼(141)의 내부에 수용된 랙기어(142)와, 랙기어(142)의 상단을 둘러싸는 랙커버(143)를 갖고 있다.
랙커버(143)의 상단에는 위치조절부(130)가 결합된다.
승강운전부(180)는 핸들(181)과, 핸들(181)의 회전방향에 따라 랙커버(143)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랙기어(142)에 연결된 스피어기어(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드릴부(160)는 드릴모터(161)에 더하여 모터축에 연결되도록 드릴비트(163)를 장착하기 위한 드릴척(162)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천장면용 천공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릴척(162)에는 드릴비트(163)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핸들(181)을 조작하여 랙커버(143)를 상승시킨다. 랙커버(143)가 상승함에 따라 드릴비트(163)는 천장면을 향해 상승된다. 여기서 랙커버(143)의 상승조작은 드릴비트(163)의 상단이 천장면에 인접할 때까지 실시된다.
다음에 드릴지지체(110)를 가이드로드(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드릴비트(163)의 위치를 조정한다. 여기서 드릴비트(163)의 위치조정은 천공지점에 드릴비트(163)의 상단이 일치할 때까지 실시된다.
드릴비트(163)의 위치조정이 완료되면, 핸들(181)을 조작하여 랙커버(143)를 다시 상승시킨다. 여기서 랙커버(143)의 2차 상승조작은 드릴비트(163)의 상단이 천장면에 접촉할 때까지 실시된다.
다음에 온오프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드릴모터(161)에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드릴모터(161)에 구동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드릴비트(163)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천공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천공작업시 발생하는 먼지는 제1칩커버(122)에 유입되거나 제1칩커버(122)와 천장면사이의 갭을 통해 비산(飛散)하게 된다. 제1칩커버(122)에 유입된 먼지는 제2칩커버(123)에 수집된다.
드릴모터(161)에의 구동전압 공급이 차단되면, 핸들(181)을 조작하여 랙커버(143)를 하강시킨다. 랙커버(143)가 하강함에 따라 드릴비트(163)도 천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된다. 여기서 랙커버(143)의 하강조작은 드릴비트(163)가 장애물의 방해를 받지 않고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을 때까지 실시된다.
다음에 바닥지지체(170)를 밀어 다음 천공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전술한 방법으로 천공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천공기는 1998년 특허출원 58154호(발명의 명칭 : 천정 천공드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천장면용 천공기에 따르면, 천공작업시 발생하는 먼지 중 일부는 제1칩커버(122)와 천장면사이의 갭을 통해 비산(飛散)하기 때문에 먼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수집되지 않은 먼지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이 손상되고 주변화경이 오염되는 등의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작업시 발생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한 천장면용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드릴지지체와, 상기 드릴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드릴비트와 상기 드릴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드릴모터를 갖는 드릴부와, 상기 드릴비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드릴지지체에 고정되는 방진커버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단이 천장면에 가압 접촉되도록 상기 드릴지지체를 천장면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천장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드릴모터의 회전구동과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구동조작부와, 상기 구동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드릴모터의 회전구동과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천장면용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방진커버는 바닥면의 중앙영역에 드릴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릴통과공이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도록 상기 드릴지지체에 결합되는 컵 형상의 하부방진커버와,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바닥면을 향해 슬라이딩이동하고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해제될 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상부방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면용 천공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방진커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를 상기 드릴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천공작업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와 상기 상부방진커버는 적어도 어느 일방은 투명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진커버에 수집된 먼지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는 상기 드릴통과공의 주위영역에 먼지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바닥면은 상기 먼지배출공이 최저점이 되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드릴통과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와 상기 드릴지지체사이에 개재하는 높이유지관부와, 상기 먼지배출공에 연결되는 도관을 통해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내부공간에 연결된 집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드릴지지체와 드릴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드릴부를 드릴지지체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6,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방진커버를 드릴지지체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상부유지관부와 하부유지관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상부유지관부와 하부유지관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집진백 영역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집진백 영역의 결합사시도이며,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태의 드릴지지체(10)와, 드릴비트(2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드릴지지체(10)에 결합된 드릴부(20)와, 드릴비트(23)를 둘러싸도록 드릴지지체(10)에 고정되는 방진커버(60)와, 방진커버(60)와 드릴지지체(10)사이에 개재하는 높이유지관부(70)와, 도관(81)을 통해 방진커버(60)의 내부공간에 연결된 집진백(80)과, 드릴부(2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0)와, 승강부(30)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상자형태의 바닥지지체(90)와, 드릴부(20)와 승강부(3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구동조작부(40)와, 구동조작부(4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드릴모터(24)와 승강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갖고 있다.
드릴지지체(10)는 전면에 도어(12)가 형성된 함체(11)와, 함체(11)의 바닥면에 고정된 안착부(19)와, 함체(11)의 내부 후벽면에 높이차를 두고 가로방향을 따라 결합된 상부안내채널(13) 및 하부안내채널(16)과, 한 쌍의 상부고정볼트(15)를 통해 상부안내채널(13)에 결합된 상부압착부(14)와, 한 쌍의 하부고정볼트(18)를 통해 하부안내채널(16)에 결합된 하부압착부(17)를 갖고 있다.
함체(11)는 상면 중앙영역에는 드릴고정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걸림판(35)에 고정된다.
안착부(19)는 상면에 반원형의 안착홈(19b)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19b) 형성면에는 탄성재질(고무 등)의 안착판(19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압착부(14)는 상호 대향하도록 반원형의 상부압착홈(14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상부고정편(14c, 14d)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압착부(17)는 상호 대향하도록 반원형의 하부압착홈(17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정편(17c, 17d)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상부고정편(14c, 14d)의 상부압착홈 형성면과 한쌍의 하부고정편(17c, 17d)의 하부압착홈 형성면에는 각각 탄성재질(고무 등)의 상부압착판(14b) 및 하부압착판(17b)이 형성되어 있다.
드릴부(20)는 드릴비트(23)에 더하여 대략 원통형상의 드릴하우징(21)과, 드릴하우징(21)의 상면에 드릴하우징(2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드릴척(22)과, 드릴하우징(21)에 내장된 드릴모터(24)를 갖고 있다.
드릴비트(23)는 드릴척(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드릴부(20)는 드릴하우징(21)의 저면이 안착부(19)의 안착판(19a)에 면접촉하고, 측면이 상부압착부(14) 및 하부압착부(17)의 상부압착판(14b) 및 하부압착판(17b)에 면접촉하며, 드릴척(22)의 상부영역이 함체(11)의 드릴고정공(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드릴지지체(10)에 장착된다.
방진커버(60)는 투명재질(투명 플라스틱 등)로 제작되고, 드릴비트(23)를 둘러싸도록 드릴지지체(10)에 고정되는 원형단면 컵형상의 하부방진커버(61)와,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하부방진커버(61)에 결합되는 원형단면 관형상의 상부방진커버(66)를 갖고 있다.
하부방진커버(61)는 바닥면의 중앙영역에 드릴통과공(61a)이 형성되어 있고, 드릴통과공(61a)의 주위영역에 먼지배출공(6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방진커버(61)의 바닥면은 먼지배출공(61b)이 최저점이 되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고, 외표면에 3개의 하강안내부(62)가 120도만큼 이격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 하강안내부(62)는 내부에 안내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공간의 하부에는 스프링(63)이 기립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하강안내부(62)의 하단에는 스프링(63)을 외부로부터 안내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스프링수용캡(62a)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방진커버(61)는 후술하는 높이유지관부(70)를 통해 함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방진커버(66)는 원형단면의 관형상 바디부(67)와, 바디부(67)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68)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방진커버(66)는 플랜지부(68)를 고정나사(69a)를 통해 3개의 연결봉(69b) 상단에 연결하고 연결봉(69b)의 하단에 각 스프링(63)의 상단을 결합시킴으로써 하부방진커버(61)에 결합된다. 상부방진커버(66)는 하부방진커버(61)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부(67)의 외표면이 하부방진커버(61)의 내표면에 면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방진커버(66)는 상부로부터 드릴지지체(10)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가해질 때 하부방진커버(61)의 바닥면을 향해 슬라이딩이동하고 드릴지지체(10)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해제될 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방진커버(60)는 플랜지부(68)가 드릴비트(23)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높이유지관부(70)는 함체(11)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함체(11)의 상면에 기립상태로 결합된 하부유지관부(72)와, 드릴통과공(61a)에 연통하도록 하부방진커버(61)의 저면에 결합된 상부유지관부(71)를 갖고 있다.
하부유지관부(72)는 상부유지관부(7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주면 상측에는 원호상의 고정홈(71c)이 삽입개구(71b)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분산 형성되어 있다.
상부유지관부(71)는 상단면이 하부방진커버(61)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고, 외주면 하단에는 결합돌부(71a)가 하부유지관부(72)의 고정홈(71c)에 대응하도록 분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유지관부(71)는 각 결합돌부(71a)를 삽입개구(71b)를 통해(삽입개구(71b)에 삽입한 후 회전시킴) 고정홈(71c)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유지관부(7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집진백(80)은 밴드(82)를 사용하여 도관(81)의 하단영역에 결합된다.
승강부(30)는 바닥지지체(9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정방형상단면의 승강안내관(31)과, 승강안내관(3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승강안내관(31)에 결합된 승강체(32)와, 승강체(32)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승강피스톤(33b)을 구비한 승강유압장치(33)를 갖고 있다.
승강안내관(31)은 상단에 상승제한턱(31a)이 전 둘레영역에 걸쳐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승강체(32)는 하단에 승강안내관(31)의 상승제한턱(31a)과 상호 작용하는 걸림턱(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이탈방지턱(32b)이 전 둘레영역에 걸쳐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체(32)는 이탈방지턱(32b)의 하부영역에 방진(防振)공간(32c)이 형성되어 있다.
방진공간(32c)에는 복귀스프링과 완충기(Shock Absorber)를 갖는 네 개의 방진기(34)가 걸림판(35)과 승강체(32)의 상면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유압장치(33)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Actuator)로서의 승강실린더(33a), 유압펌프(도시되지 않음), 유압펌프구동용 전동기(도시되지 않음), 기름탱크(도시되지 않음), 압력계(도시되지 않음), 유로배관(도시되지 않음) 등을 갖고 있다.
승강실린더(33a)는 승강피스톤(33b)이 승강안내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압력계(도시되지 않음)는 승강안내관(31)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고, 유압펌프 등 다른 부품은 바닥지지체(9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지지체(90)는 저면 네모서리영역에 구름바퀴(91)가 부착되어 있고,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는 4개의 유동방지구(92)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조작부(40)는 승강피스톤(33b)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버튼(41)과, 승강피스톤(33b)을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버튼(42)과, 드릴비트(23)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드릴버튼(43)을 갖고 있다.
제어부(50)는 입력단에 상승버튼(41), 하강버튼(42) 및 드릴버튼(43)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 드릴모터(24) 및 승강유압장치(33)가 전압스위칭부(5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압스위칭부(51)는 제어부(5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압공급부(52)로부터 공급되는 드릴모터(24)의 구동전압과 승강유압장치(33)의 구동전압을 각각 온오프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를 사용하여 천장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천장면용 천공기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승버튼(41)을 누름 조작한다. 상승버튼(41)이 누름 조작되면, 제어부(50)는 상승버튼(41)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 승강유압장치(33)에 상승동작을 위한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전압스위칭부(51)를 제어한다. 이러한 상승버튼(41)의 누름조작과 제어부(50)의 제어동작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승강유압장치(33)에 구동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승강피스톤(33b)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드릴비트(23)와 방진커버(60)도 천장면을 향해 상승한다.
상승버튼(41)의 누름조작동작은 드릴비트(23)의 상단이 천장면에 가압접촉할 때까지 계속한다. 드릴비트(23)의 상단이 천장면에 접촉할 때 방진기(34)에는 충격력이 흡수되는 한편 탄성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상승버튼(41)의 누름조작동작은 방진기(3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천공작업의 진행 중에 드릴비트(23)의 상단이 천장면에 계속하여 가압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천공작업의 진행 중에 드릴비트(23)의 상단이 천장면에 가압접촉하지 않을 경우 다시 조금씩 상승버튼(41)의 누름조작동작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드릴비트(23)가 천장면에 가압접촉되는 동안 상부방진커버(66)는 하강하고 천장면에 가압 접촉된다. 상부방진커버(66)가 하강하는 동안 스프링(63)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드릴비트(23)의 상단이 천장면에 접촉하면, 작업자는 드릴버튼(4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드릴버튼(4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제어부(50)는 드릴모터(24)에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전압스위칭부(51)를 제어한다. 드릴모터(24)에 구동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드릴비트(23)는 회전 구동한다.
드릴비트(23)가 회전구동함에 따라 드릴비트(23)가 천장면에 가압 접촉된 상태로 천공작업이 이루어진다(도15 참조).
천공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상부방진커버(66)는 계속하여 하강하고 천장면에 대한 가압 접촉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그리고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먼지는 방진커버(60)에 1차적으로 수집되고, 방진커버(60)에 수집된 먼지는 경사면을 따라 먼지배출공(61b)으로 이동한 다음(드릴부의 진동에 의해 먼지는 자연스럽게 먼지배출공으로 이동하게 됨) 집진백(80)에 모아진다.
일 천공지점에서의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드릴버튼(43)을 오프상태로 조작한다.
드릴버튼(43)이 오프되면 제어부(50)는 드릴모터(24)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차단되도록 전압스위칭부(51)를 제어한다. 드릴모터(24)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차단되면 드릴비트(23)의 회전동작 즉, 천공작업이 중지된다.
드릴비트(23)의 회전동작이 중지되면 작업자는 상승버튼(41)의 누름조작상태를 해제시킨다.
상승버튼(41)의 누름조작상태가 해제되면, 제어부(50)는 승강유압장치(33)에 공급되는 상승을 위한 구동전압이 차단되도록 전압스위칭부(51)를 제어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하강버튼(42)을 누름 조작한다. 하강버튼(42)이 누름 조작되면, 제어부(50)는 하강버튼(42)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 승강유압장치(33)의 하강동작을 위한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전압스위칭부(51)를 제어한다. 이러한 하강버튼(42)의 누름조작과 제어부(50)의 제어동작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승강유압장치(33)에 하강동작을 위한 구동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승강피스톤(33b)은 하강하고, 이에 따라 드릴비트(23)도 바닥면을 향해 하강한다.
하강버튼(42)의 누름조작동작은 드릴비트(23)의 상단이 장애물의 방해를 받지 않고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하강할 때까지 계속한다.
승강피스톤(33b)의 하강초기에 상부방진커버(66)는 스프링(6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하부방진커버를 기준으로)로 상승한다.
다음에 바닥지지체(90)를 밀어 다음 천공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상승버튼(41)의 누름 조작, 드릴버튼(43)의 온상태 조작, 천공작업, 드릴비트(43)의 오프상태 조작, 상승버튼(41)의 누름 조작해제, 하강버튼(42)의 조작을 반복하여 천공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모든 천공지점에서의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드릴버튼(43)의 오프상태 조작, 상승버튼(41)의 누름 조작해제, 하강버튼(42)의 조작(드릴지지체(10)가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까지)을 통해 마무리한다.
천공작업이 마무리되면 방진커버(60)를 드릴지지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하고, 집진백(80)에 모아진 먼지를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방진커버(60)와 천장면사이의 가압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먼지를 방진커버(60)에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방진커버(61)를 드릴지지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방진커버(6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방진커버(61)와 상부방진커버(66)를 투명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작업자는 용이하게 천공깊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진커버(60)에 모아진 먼지를 집진백(80)으로 안내시킴으로써,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68)가 드릴비트(23)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방진커버(60)를 설치하고 있으나, 플랜지부(68)가 드릴비트(23)의 상단보다 높은 곳 또는 약간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방진커버(60)를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방진커버(60)를 투명재질로 제작하고 있으나, 반투명 또는 불투명재질로 방진커버(60)를 제작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이 때 드릴비트(23)에 의한 천공깊이는 드릴비트(23)의 동작시간을 체크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업자는 확인할 수 있음).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높이유지관부(70)를 상하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있으나, 일체로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집진부를 백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바닥지지체(90)에 장착되는 서랍형태로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승강안내관과 승강체를 X링크 등 다른 형태로 구현하여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방진커버와 천장면사이의 가압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먼지를 방진커버에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드릴지지체와 드릴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드릴부를 드릴지지체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방진커버를 드릴지지체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상부유지관부와 하부유지관부의 확대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상부유지관부와 하부유지관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집진백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집진백 영역의 결합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의 제어블록도,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면용 천공기에 따라 먼지가 안내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종래의 천장면용 천공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드릴지지체 11 : 함체
14 : 상부압착부 17 : 하부압착부
19 : 안착부 20, 160 : 드릴부
30, 140 : 승강부 31 : 승강안내관
32 : 승강체 33 : 승강유압장치
40 : 구동조작부 50 : 제어부
60 : 방진커버 61 : 하부방진커버
66 : 상부방진커버 70 : 높이유지관부
80 : 집진백 90, 170 : 바닥지지체
120 : 칩커버조립체 130 : 위치조절부
150 : 지지파이프

Claims (4)

  1. 드릴지지체와, 상기 드릴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드릴비트와 상기 드릴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드릴모터를 갖는 드릴부와, 상기 드릴비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드릴지지체에 고정되는 방진커버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단이 천장면에 가압 접촉되도록 상기 드릴지지체를 천장면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천장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드릴모터의 회전구동과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구동조작부와, 상기 구동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드릴모터의 회전구동과 상기 승강부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천장면용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방진커버는 바닥면의 중앙영역에 드릴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릴통과공이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도록 상기 드릴지지체에 결합되는 컵 형상의 하부방진커버와,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바닥면을 향해 슬라이딩이동하고 상기 드릴지지체를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해제될 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상부방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면용 천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진커버는 상기 드릴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면용 천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진커버와 상기 상부방진커버는 적어도 어느 일방은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면용 천공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진커버는 상기 드릴통과공의 주위영역에 먼지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바닥면은 상기 먼지배출공이 최저점이 되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드릴통과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방진커버와 상기 드릴지지체사이에 개재하는 높이유지관부와, 상기 먼지배출공에 연결되는 도관을 통해 상기 하부방진커버의 내부공간에 연결된 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면용 천공기.
KR1020040101085A 2004-12-03 2004-12-03 천장면용 천공기 KR10049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085A KR100490470B1 (ko) 2004-12-03 2004-12-03 천장면용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085A KR100490470B1 (ko) 2004-12-03 2004-12-03 천장면용 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0470B1 true KR100490470B1 (ko) 2005-05-18

Family

ID=3730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085A KR100490470B1 (ko) 2004-12-03 2004-12-03 천장면용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34B1 (ko) * 2016-11-18 2017-08-31 재단법인 환경보건기술연구원 건설장비용 이동식 포집장치
CN110253049A (zh) * 2019-08-05 2019-09-20 淮北市腾威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型墙顶钻孔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34B1 (ko) * 2016-11-18 2017-08-31 재단법인 환경보건기술연구원 건설장비용 이동식 포집장치
CN110253049A (zh) * 2019-08-05 2019-09-20 淮北市腾威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型墙顶钻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261B1 (ko) 파이프 절단기
CN110548897A (zh) 一种便于调节间距的机械加工用钻孔装置
KR100490470B1 (ko) 천장면용 천공기
CN210209374U (zh) 一种机械自动化加工用的冲孔打磨装置
KR100490469B1 (ko) 천장면용 천공기
CN214557585U (zh) 一种建筑工程用便于定位的打孔装置
KR101854785B1 (ko) 드릴용 먼지 비산방지장치
CN209077845U (zh) 一种多头钻床
KR100502694B1 (ko) 천공기
CN216506007U (zh) 一种墙体打孔装置
CN210080758U (zh) 一种钻床
CN214053729U (zh) 一种钢管穿孔稳定装置
KR100490471B1 (ko) 휴대형 천공기
CN210848452U (zh) 一种防油雾可活动升降挡板及深孔钻机床
CN210966278U (zh) 一种调节式清洗机
CN212583612U (zh) 一种市政道路建设用打孔装置
CN220700062U (zh) 一种穿墙钻孔装置
CN219276086U (zh) 一种木质家具生产用除尘收集装置
CN218893974U (zh) 一种公路桥梁施工平台
CN114523146B (zh) 一种固定效果好的轴类零件加工用切割装置
CN221089544U (zh) 一种打孔辅助装置
CN215358282U (zh) 一种用于屋顶钻孔的电锤辅助装置
CN113510262B (zh) 一种机械加工用钻孔装置
CN218785678U (zh) 一种室内墙体打孔装置
KR20060115441A (ko) 경사 가능한 버티컬 다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