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269B1 - 사용두께가작고고가요성을지닌트랜스더멀치료시스템및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용두께가작고고가요성을지닌트랜스더멀치료시스템및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269B1
KR100490269B1 KR10-1998-0707627A KR19980707627A KR100490269B1 KR 100490269 B1 KR100490269 B1 KR 100490269B1 KR 19980707627 A KR19980707627 A KR 19980707627A KR 100490269 B1 KR100490269 B1 KR 10049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yer
layered system
film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010A (ko
Inventor
라인하르트 폰 클라인소르젠
브리타 폰 클라인소르젠
Original Assignee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1998-070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2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기체에 활성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은 분리층(2)을 갖는 기체(1),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필름층(3) 및 비접착성 피니쉬를 갖는 보호층(4)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층(2)이 필름층(3)에 대한 결합이 파괴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린팅 방법에 의해, 사용두께가 작고 고 가요성을 지닌 시스템이 제조될 수 있고, 기체/분리층 복합체의 대채품으로서 접착성을 지닌 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위치에 대한 활성물질 함유 영역을 한정하는 프린팅 방법은 폐기물 처리문제를 경감시킨다.

Description

사용 두께가 작고 고 가요성을 지닌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사용 두께가 작고 고 가요성을 유지하는, 사람 또는 동뭉 피부에 제어된 양의 활성물질을 방출하는 트랜스더멀(transdermal) 치료 시스템 및 이의 적절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 또는 동물 피부로 제어된 양의 활성물질을 방출하는 시스템은 그 중에서도 특히 소위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TTS) 또는 “트랜스더멀 방출 시스템(TDS)”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의 구성 및 활성물질 방출 형태에 따라, 소위 백 또는 저장기 시스템과 매트릭스 시스템으로 세분화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이들 시스템은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플랫 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한 측부는 활성 성분 및 불활성 성분에 대하여 불투과성을 지니고, 반대측은 반투과성을 지니며 피부 접착용 접착제로 도포되는 컨트롤 막으로서 형성된다. 이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개별 구성성분을 분리제조한 후 결합하여 시스템을 제조해야 하므로 시스템의 제조에 있어서 막대한 비용을 요한다. 또한, 시스템의 두께는 착용성을 손상시킨다. 또한, 백형 시스템은 소위 “약물 급속이동”, 즉, 예를 들면 막 또는 백의 물리적 파괴의 결과로서 피부로의 갑작스런 실제 활성물질 방출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EP 0 285 563의 공보에는 이와 같은 에스트로겐과 게스타겐의 혼합 도포용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US-PS 4 624 665의 공보에는 저장기 내에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저장기는 백킹층과 막 사이에 삽입된다. 시스템의 에지는 감압성 접착제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 및 제조는 활성물질이 마이크로캡슐화되어 균일하게 분포된 후, 백킹층과 막 사이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또한, 시스템은 접착에지를 구비해야 하고 보호층으로 커버되어야 한다. 매트릭스 시스템은 통상 활성물질 및 보조제에 대하여 불투과성을 지니고 피부 반대측에 있는 백킹층 및 활성물질이 분포되어 있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하는 접착방지성을 나타내도록 마무리된 보호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DE-OS 20 06 969의 공보에는 피임물질이 접착성분 또는 접착필름에 혼입되어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접착필름이 아크릴레이트이어도 좋다고 기재되어 있다.
라벨과 유사하게, 매트릭스 시스템은 비접착성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자기 접착성 라미네이트로부터 펀칭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보호층 상의 스탬핑은 추가의 단계에서 분리되어 완성된 TTS로 제조된다. 활성물질 함유 접착층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펀칭 피스 사이의 영역은 활성물질 함유 폐기물로서 처리되어야 한다. DE 39 39 376, DE 29 08 432 및 EP 0 400 078 B1의 공보에는 이러한 폐기물을 피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실례가 나타나있다.
제조방법 및 사용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두께는 공지의 매트릭스 시스템의 단점이다. 이러한 두께는 시스템의 가요성에 영향을 미쳐서 착용성에 영향을 주는데 반해, 시스템의 편안한 착용감은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증대된다.
또한, 공지의 매트릭스 시스템은 활성물질 또는 특정 활성물질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시간 및 위치에 따라 다른 각종 활성물질의 원하는 용도를 부여하는 대체적인 투여량, 활성물질 농도 또는 가변적인 화학물질계 조성을 동시로도 연대순으로도 제공할 수 없다는 점으로 한계가 있다.
도 1은 3개의 “일회분 투여량” 시스템를 갖는 “다수회분 투여량”단위의 단면도,
도 2는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랜스더멀 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또 하나의 트랜스더멀 조합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 및 난점을 피하고, 두께 감소로 인한 향상된 착용성을 포함하여 가요성이 매우 우수하며, 여러가지 분리형 “일회분 투여량”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소위 “다수회분 투여량”단위를 제조할 수 있는 트랜스더멀 치료 매트릭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것들은 활성물질/활성물질의 농도/시스템 영역/시스템 두께/시스템의 화학조성의 파라미터 종류에 따라 상이하므로, “다수회분 투여량”단위에 의해 동시에 또는 연대순으로 대체적인 투여량을 제공할 수 있다.
활성물질을 기체(substrate)에 방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성에 따른 형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때문에, 본 발명은 작은 두께로 인한 우수한 가요성으로부터 얻어진 향상된 착용성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목적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제조기술에 의해, 분리형 “일회분 투여량”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소위 “다수회분 투여량”단위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회분 투여량”단위의 “일회분 투여량”시스템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차이점을 부여하는 파라미터는 활성물질의 종류, 시스템 당 활성물질의 농도, 시스템 영역, 시스템 두께 및 시스템의 화학조성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회분 투여량”방출단위에 의해, 대체 투여량을 동시에 연대순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회분 투여량”단위는 또한 활성물질 자체 또는 활성물질 혼합비가 상이한 “일회분 투여량”일 수 있으며, 이는 상이한 시기에 각종 활성물질의 원하는 특정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공지의 시스템에 대한 저가의 대체품을 제공한다. 의외로, 소위 “전사술”=“전사”또는 “문신”의 원리는 트랜스더멀 요법에 있어서 활성물질 캐리어 또는 도포 시스템으로서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종래에 사용된 “예술적인”피부 염색과 관련하여 종래에 사용된 “용어“문신”은 장식목적으로 “전사술”의 용도로서 문헌에 채택되어 왔다.
“전사”는 예를 들면 세라믹 공업에 공지된 장식목적으로서의 “전사 그림”이다. 이것들은 용매 가용성 분리층을 구비하고 그 위에 래처층을 갖는 페이퍼 기체로 구성된다. 페이퍼는 래커층과 도자기를 결합하기 전이나 그 동안에 용매에 젖기 때문에, 분리층이 용해한다. 래커층을 페이퍼 캐리어로부터 푸시하여 장식될 기체 상에서의 그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복합체는 베이킹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활성물질의 트랜스더멀 용도로서의 전사는 하기의 구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가용성 분리층은 페이퍼, 직물, 부직포, 또는 용매 투과성을 지닌 고분자층, 예를 들면 고분자막으로 이루어진 기체 상에 도포된다. 이러한 라미네이트의 2개의 개별층으로의 세분화는 사용시에 성분들이 기체에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용성 분리층을 갖춘 모세관 활성 불용성 기체는 필수적이다. 기체의 두께는 20∼200㎛, 바람직하게는 50∼120㎛의 범위이고,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60∼90㎛이다. 분리층은 5∼50㎛, 바람직하게는 20∼40㎛의 두께를 갖고 있다. 기체와 연결된 분리층은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을 갖추고 있다. 이것은 개별층이 상이한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층에 면하는 라미네이트층은 활성물질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피부와 양호하게 접촉하기 위해서는, 분리층의 반대쪽의 라미네이트층은 접착제일 수 있다. 라미네이트의 개별층은 중합체 기제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다수회분 투여량” 단위에 있어서, 분리층을 갖춘 기체는 활성물질 함유필름층의 편평한 각종 섬형 영역으로 프린트된다. 적절한 프린트 방법은 요구된 균일한 중량을 갖는 상테로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을 도포할 수 있는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모든 프린트 방법 또는 스프레이 방법 또는 노즐 도포방법을 들 수 있다.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은 하나 또는 다수의 개별 프린팅 단계에서 도포될 수 있고, 멀티컬러 프린터와 유사하게, 제 1 프린트의 부분영역만이 프린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필름층을 도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된다. 그리하여, “멀티컬러 프린트”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성, 층 두께 및 활성물질(상이한 안료)이 상이한 다른 사이즈의 섬형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을 한 캐리어 섹션에 도포할 수 있다.
매우 작은 두께 및 최적 가요성에 의해, 종래의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신체의 어려한 부위, 예를 들면 귀 부위, 음부 부위 또는 발톱 부위 및 손톱 부위인 경우에도 영구적으로 도포하기에 적합하다. 장식 가능성 때문에, 또한 시스템을 의복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신체표면에 시스템을 착용시킬 수 있다.
필름층이 추가의 감압성 접착층을 갖지 않는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리층의 반대위치에 있는 필름층 영역은 도포시에 자기 접착성을 지닌다. 이는 분리층이 용해될 때에 층 영역이 또한 습윤되고, 고분자 필름층의 팽윤영역이 피부에 결합상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용매의 휘발후에 필름층의 피부 반대쪽에서 손실되는 접착성을 얻는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필름층의 두께는 5∼50㎛, 바람직하게는 5∼30㎛이고,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0∼25㎛이다. 필름층 또는 필름층 섬의 개별 영역의 전체면 또는 상술한 필름층의 전체면은 접착방지성 피니쉬를 가질 수 있는 보호층으로 커버된다. “다수회분 투여량” 시스템의 공통 기체에 대한 필름층 영역의 섬형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보호층 및 기체는 “섬”사이의 영역에 구멍을 내어, 부분영역을 전체 시스템에서 잡아 뗌으로써 “일회분 투여량”으로서 제거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50∼100㎛이다.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의 보호층은 제거되고 기체를 갖는 필름층은 기체가 사용위치와 반대쪽에 있도록 사용위치에 도포되며, 그때문에 용매가 습윤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은 용매로서 사용된다. 캐리어의 모세관 성질로 인해, 이 경우에 물은 수용성을 지닌 분리층에 이른다. 이의 용해화 상태 또는 용해 상태에 있어서, 필름층에 대한 결합력을 잃게 되므로, 기체로부터 사용위치에 잔존하는 필름층과 함께 필름층이 벗겨질 수 있다.
분리층이 수용성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당류 또는 다당류, 폴리히드록시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젤라틴 등의 또 하나의 수용성 중합체의 화학적 성질을 지닌다.
분리층이 지용성인 경우에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왁스의 화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대한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리층은 열 영향하에 액화되어, 필름층에 대한 결합력이 손실된다.
필름층은 피막 형성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절한 피막 형성 중합체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40:60, 에틸셀룰로스,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트리메틸암모늄메틸아크릴레이트와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디메틸아미노메타아크릴산과 중성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셸락,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프탈레이트, 메타아크릴산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 에틸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공중합체 70:30,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0:50, 젤라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분산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니트로셀룰로스 및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래커 또는 피막 형성제를 들 수 있다. 필름의 요구된 가용성에 따른 피막 형성제에 연화제가 첨가되어야 한다.
라미네이트 형태에 있어서, 사용위치에 면하는 필름층의 층은 후술되는 성분에 의한 감압성 접착제일 수 있다. 이 점에서의 성분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접착제를 포함하고, 또한 드레싱 또는 패치 형태,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이소부틸렌계, 폴리우레탄계, 실리콘계 등의 접착제의 형태로 상처 세척에 사용된다.
실리콘 수지로 피복된 페이퍼 또는 중합체로 이루어진 보호층은 상이한 디자인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접착제에 적합한 실리콘나이즈된 접착성 보호층 또는 “릴리스 라이너” 로서 특수화된 업계에서 얻을 수 있다.
시스템으로 펀칭될 수 있는 구멍은 시스템의 분리형 변형체를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각종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량 및 작용 기간을 갖는 단위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약물 또는 복합체가 특정 투여량 농도로 일정기간에 걸쳐서 투여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기체는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소정 간격진 영역의 형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약물 및/또는 약물 복합체로 프린트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에스트라디올 또는 게스타겐을 사용하는 사이클릭 호르몬 치료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활성물질”은 화학원소,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을 의미하며, 이것들은 이것들을 함유하는 일반적인 장치의 성분으로부터 확산되어, 의도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인체용, 가축용 및 식물용 약제는 본 발명의 장치의 용도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분야를 나타낸다.
방출되는 활성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국소 피부 질환의 피부치료, 질환의 피내 및 트랜스더멀 치료, 상처 치료 또는 화장용 제제의 스킨 케어에 사용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층은 외향, 즉 피부와 반대측 방향으로 방출되는 고 휘발성 활성물질의 캐리어로서 작용한다. 이것들은 또한 넓은 의미에서 활성물질 성질을 갖는 향수 오일 등의 향기로운 물질을 포함한다(후각물질).
국소 마취제, 국소 항생제, 방부제, 항진균제, 항히스타민제 및 항지양제; 각질 용해제 및 부식제; 바이러스 억제제, 개선치료제, 스테로이드; 및 여드름, 건선, 광선성 피부증 또는 전암 증상기의 치료를 위한 다른 물질이 국소 피부 질환에 사용된다. 피내 경로에 의해 사용가능한 활성물질로는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 및 비스테로이드 항류머티스제, 국소 마취제, 혈류를 자극하는 물질, 또는 혈관 치료용 바소프로텍터(vasoprotector) 및 혈관수축신경약, 및 피하지방조직내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물질을 들 수 있다. 트랜스더멀하게 사용가능한 활성물질로는 예를 들면 진통제, 항부정맥성 약물, 마취제 및 이의 길항약, 신경이완제, 호르몬 또는 호르몬 대용제, 항울제, 진정제, 수면제, 정신흥분제, 항파킨슨증후군제, 신경절 블로커, 교감신경흥분제, 알파 교감신경차단제, 베타 교감신경차단제, 항교감신경강장제, 항천식제, 제토제, 식욕억제제, 이뇨제 또는 체중 감량용 활성물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작은 두께로 인해, 바람직한 활성물질은 이미 매우 작은 농도에서 이들의 작용을 전개시키는 것들이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활성물질의 예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프로게스테론, 노레티스데론, 노레틴드론, 레보노르게스트렐 등의 스테로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에티노디올디아세테이트, 노르게스타메이트, 게스타겐, 데소게스트렐, 데메게스트론, 프로메게스트론, 테스토스테론, 히드로코르티손 및 이들의 유도체; 아밀니트레이트, 니트로글리세린, 이소르비드디니트레이트 등의 니트로 화합물; 니코틴, 클로르페니라민, 테르페나딘 및 트리프롤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 피르옥시캄 등의 옥시캄 유도체; 티오무카아제 등의 무코폴리사카라아제; 부프레노르핀, 모르핀, 펜타닐 및 이의 염, 유도체 또는 동족체, 날록손, 코데인, 디히드로에르고타민, 리세르그산 유도체, 피조틸린, 살부타몰, 테르부탈린 등의 오피오이드 물질; PGA, PGB, PGE 및 PGF계, 예를 들면 미소프로스톨 및 엔프로스틸, 오메프라졸, 이미프라민 등의 프로스타글란딘; 메토클로프라민 및 스코폴라민 등의 벤즈아미드; 펩티드 및 EGF, TGF, PDGF 등의 발육소; 소마토스타틴; 클로니딘; 니페디핀, 니트렌디핀, 베라파밀, 딜티아젬, 에페드린, 프로판올롤, 메토프롤롤, 스피로노락톤 등의 디히드로피리딘;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및 플루나리진 등의 티아지드를 들 수 있다.
효소, 방부제, 살균제 및 항생제 등의 수렴성 활성물질 및 상처세척물질; 통증경감제 및 마취성 활성물질 및 육아 발생을 촉진하고 혈관 신생을 유도하며 상피 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처 치유를 향상시키는 활성물질이 상처 치료에 사용된다.
트랜스더멀 용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층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바람직하게는 에스트라디올 단독 또는 다른 약물과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고, 폐경기후의 호르몬 대용제로 또는 골다공증 치료에 트랜스더멀하게 사용된다. 한편, 에스트라디올 방출장치는 또한 상처 치료를 위해 장기 상처, 예를 들면 대퇴부 궤양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층은 추출물 또는 팅크 등의 식물 제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국소 피부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오크 나무껍질 추출물, 호두나무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하마멜리스 추출물, 주엽 맥아즙, 팬지 추출물, 백리향속 또는 세이지 추출물을 들 수 있고, 손상되거나 상처난 피부의 치료용으로는 예를 들면 세인트 존 맥아즙(St. John's wort) 맥아즙 팅크, 구과꽃 팅크, 카모밀레 추출물 또는 금송화 팅크를 들 수 있으며, 피로에 지치고 손상된 피부의 치료용으로는 자작나무잎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콜드스풋(coldsfoot) 추출물, 캄프리 팅크, 속새 추출물 또는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식물 제제는 또한 질환의 피내 치료를 위해 필름층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것으로, 정맥 질환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마로니에 및 참나리과의 일종의 추출물, 또는 좌상, 염좌 또는 출혈의 경우에는 아르니카, 금송화 및 고추의 추출물 및 팅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식물 제제는 또한 트랜스더멀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노인병의 경우에는 인삼 추출물; 과도흥분, 수면장해 및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진정 효과를 유발하는 길초 팅크, 멜리사 및 호프의 추출물; 자극 효과를 달성하는 콜라 및 차의 추출물; 또는 순환계를 안정시키는 산사나무 추출물을 들 수 있다.
활성물질 또는 활성물질 추출물 자체가 피막 형성 특성을 갖는 특수한 경우에는, 필름층은 단지 활성물질 또는 이에 상응하는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의 필름층은 담배 분말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치는 담배, 궐련 또는 유사 궐련 제품의 대체품으로서 흡연자에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피막 형성 동식물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 수가 총망라되어 있지 않다.
또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는 마취제, 향정신약, 및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 치료제의 담체로서의 본 발명의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고 효능을 갖는 약물은 여러날 동안 착용성을 보장하고 폐기물을 산출하지 않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건은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을 스크린 프린팅하여. 시스템의 가요성 및 층 두께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필름층 세그먼트는 또한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컬러, 문자, 숫자, 날짜, 코드, 그림문자 등의 형태로 마크될 수 있다. 불가피하게, 가용성 염료 또는 안료에 의해 필름층을 착색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시스템은 또한 완전히 투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전분 이외에도 필러로서 카올린을 포함하는 황산알루미늄 비함유 펄프 원료로부터 제조된 페이퍼 150g(100∼200 g/㎡)에 사이징 용액을 표면상으로 퍼지게 한 후, 건조시킨다. 최외 페이퍼층의 구멍 만이 커버되도록 코팅을 행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페이퍼 캐리어 상에 코팅 바 또는 그라비아 롤로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가한 다음, 건조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페이퍼는 분리층(폴리비닐알콜)을 갖고 추가 사용을 위해 롤 형태로 존재하는 페이퍼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에 따라 수행되는 하기의 프린팅 공정용 기체로서 작용한다. 시스템의 디자인에 따라, 프린팅 단계 및 스텐실의 갯수를 다르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에 도시된 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처음에, 시스템 명을 시판용 컬러를 사용하여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기체 상에 프린트한다. 그 후에, 도포 후에 외부에 존재하는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의 제 1 층이 프린트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건조 후에 5㎛의 필름을 형성하는 10% 아세틸트리이소부틸시트레이트와 함께 활성물질 비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분산제(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30 퍼 센트(per Cent) Ph.Eu.)를 사용하여 프린팅을 행한다. 최종 시스템의 영역이 상기 프린팅 절차에 의해 한정되도록 스크린 프린팅 스텐실을 필요한 크기로 한다. 그 다음에, 활성물질 함유층을 프린트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층의 완전 표면 상에서 직접 행한다. 이러한 프린팅 매체의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는 하기에 중량부로 나타낸다.
a) 에스트리올 4
N,N-디에틸-m-톨루아미드 4
아세톤 50
유드래지트(Eudragit) E 30 D 40
플라스토이드(Plastoid) E 35 10
b) 부프레노르핀 10
이소프로필라놀레이트 10
플라스토이드 E 35 65
c) 에스트라디올 4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30 퍼 센트(Ph.Eu.) 100
트리에틸시트레이트 4
프로필렌글리콜 4
아세톤 10
폴리비닐피롤리돈 4
레시틴 1
에탄올 20
실시예 c)에서, 플라스토이드 E 35를 추가로 프린트한다(플라스토이드 및 유드래지트는 상품명(Rhm GmbH 제)이다. 프린팅 후에, 최종 층은 보호층이 형성된다. 프린팅 후에, 최종층은 보호층을 구비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 중 도 1에 있어서, 참고부호 1은 기체, 1b는 배리어층, 2는 분리층, 3은 필름층, 3a는 접착층, 4a는 비접착층, 4는 보호층, 5는 구멍을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는 1은 기체, 2는 분리층, 3은 기체의 반대쪽에 있는 필름층 라미네이트의 비접착층, 3a는 필름층 라미네이트의 활성물질 함유층, 3b는 필름층라미네이트의 접착층, 4는 보호층을 나타낸다.
프린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필름층(3) 상에, (a)에서 스크린 프린팅(b)에 의해 기체(1) 상에 필름층(3a)을 도포한 다음, (c)에서 건조시킨다. (d)에서 다시 스크린프린팅에 의해 필름층(3b)을 도포하여 (e)에서 건조시킨다. (f)에서, 보호층(4)을 라미네이트한다. (g)에서, 컷팅하여 완성된 시스템을 얻는다.
도 3에서, 1은 기체, 2는 분리층, 3a은 활성물질 비함유 접착층, 3b는 활성물질 비함유 필름층, 3은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 4는 보호층, 3a+3b+3c은 필름층 라미네이트를 나타낸다.
도 4에서, 1은 기체, 2는 분리층, 3c는 그림, 3d는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 3e는 활성물질(1),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 활성물질(2), 4는 보호층, 3c+3d+3e은 필름층 라미네이트를 나타낸다.
당연한 일로서, 활성물질층, 특히 프로세스 엔지니어링에 대하여 유용하고 얇은 층 및 가요성 시스템을 얻기에 유용한 좁은 윤곽을 갖는 이와 같은 층의 제조방법은 기체가 제거될 수 있도록 사용시에 용해되거나 액화되는 분리층을 갖춘 기체로부터 제조되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나다.
오히려, 하나 또는 다수의 프린팅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피부에 활성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평판형 또는 시트형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이의 영역에 대한 시스템의 사이즈는 제 1 프린팅 공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대안으로서 시스템의 사이즈는 또한 후속 프린팅 공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프린팅 공정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 표면상에서 비접착성 피니쉬를 갖는 기체 상에 대하여 행해질 수 있다.
적어도 마무리된 TTS의 백킹층 및/또는 피부와 접촉하는 자기 접착성 매트릭스층이 프린팅 매체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유용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TS의 백킹층이 프린트 층으로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마크 또는 표시로 프린팅하기 위한 정보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컬러로 프린트될 수 있다. 프린트층으로서 형성되는 백킹층은 접착성 피니쉬를 갖는 시트 또는 지지필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의 접착성은 프린트된 기체보다 작다. 이것은 본 발명이 단지 하나 또는 다수의 프린팅 방법에 의거하는 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사람 또는 동물 피부에 제어된 양의 활성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외로, 프린팅 공정, 예를 들면 특히 충분히 가요성을 지닌 층 두께를 얻기 위해, 예를 들면 이미지 또는 문자를 갖는 T자형 셔츠를 프린팅하는 공정은 또한 접착성을 지닌 기체가 직물 또는 부직포 대신에 프린트된 경우에는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의 제조에도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예를 들면 레트라세트(Letraset; 등록상표) 등의 러브-오프(rub-off) 문자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프린팅 방법도 완전한 TTS의 제조방법으로 변환될 수 있다.
분리층을 갖춘 기체의 두께와 유사하게도 기체의 두께는 20∼200㎛, 바람직하게는 50∼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90㎛이고, 예를 들면 실리코나이즈된 층에 의해 접착성이 부여된다. 피부에 대한 향상된 결합을 얻기 위해서는, 기체에 인접하고 접촉하는 프린팅 매체의 층은 접착성이 부여될 수 있다.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은 하나 또는 다수의 개별 프린팅 단계에서 도포될 수 있고, 또한 멀티컬러 프린트와 유사하게, 종래의 프린트의 부분 영역을 프린트할 수 있다. 적절한 프린팅 방법은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을 균일하게 도포하면서 요구된 중량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것들이다. 프린트되는 개별 프린트층의 각 층은 중합체 배이스 보디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필름층을 도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렇게 하여, 기체 상에 사이즈가 상이한 다수의 섬형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 영역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영역은 “멀티컬러 프린트”의 경우와 유사한 바와 같이 조성, 층 두께 및 활성물질(상이한 안료)이 다르다. 필름층의 두께는 5∼50㎛, 바람직하게는 5∼30㎛이고,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0∼25㎛이며, 층은 고무상 경도로 되어 있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기체를 제거하고, 시스템의 잔여 부분을 사용위치에 가한다. 적절한 프린팅 매체는 피막 형성 중합체 및 상술한 매스(mass)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름층은 라미네이트 형태로 되어 사용위치에 면하는 층에 함유되는 후술하는 성분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성분은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렌, 실리콘 등을 기제로 한 접착제와 같은 드레싱 및 패치의 형태로 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시판용 접착제이다.
용어“활성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상술한 모든 활성물질 및 특수 용도 특성은 다시 기체 및 분리층으로 형성된 시스템에 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시스템은 하기와 같이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리코나이즈된 페이퍼 150g(100∼200g/㎡)은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프린팅 공정용 기체로서 작용한다. 시스템의 디자인에 따라, 프린팅 단계 및 프린팅 스텐실의 갯수를 다르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처음에 사용하는 프린팅 매체가 있는데, 이 프린팅 매체는 감압성 접착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최후에 사용되는 프린팅 매체는 시스템의 사이즈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고무상 피막을 형성한다. 기체에 사용된 완전한 프린트 이미지는 후에 지지필름으로서 작용하고 접착제로 제공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Claims (19)

  1. 분리층(2)을 구비하는 기체(1), 상기 분리층과 인접하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필름층(3) 및 비접착성 피니쉬를 갖고 상기 필름층을 커버하는 보호층(4)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층(2)을 구성하는 물질은, 시스템을 피부에 적용하는 때에 용해되거나 액화될 수 있는 물질로서, 수용성 피막 형성 물질, 지용성 피막 형성 물질, 수용성 및 지용성 피막 형성 물질 또는 온도 상승에 의해 액화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1)와 필름층(3) 사이의 결합은, 상기 분리층(2)을 구성하는 물질의 용해 또는 액화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두께의 활성물질 방출층을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층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2)의 온도상승에 의해 액화될 수 있는 물질은, 온도를 40℃ 이상으로 승온시킴으로써 액화될 수 있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2)은 층 두께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는 층 두께가 2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3)은 라미네이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개별층은 영역, 층 두께 및 조성으로 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한 파라미터가 상이하고, 적어도 하나의 층은 하나 이상의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의 활성물질은 서로 분리된 영역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3)은 보호층의 측부상에 위치하는 자기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3)은 하나 또는 다수의 피막 형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3)은 층 두께가 5∼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3)은 상기 기체(1) 상에 소정간격진 섹션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
  13. 분리층을 갖는 기체와 커버링 보호층 사이의 활성물질 함유 필름층을 제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린팅 공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층상 시스템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프린팅 절차는 영역에 대한 TTS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사이즈는 후속 프린팅 절차 중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의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프린팅 공정은 가용성 또는 액화성 분리층을 갖는 기체 상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의 제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프린팅 매체는 필름층의 도포면 또는 피부와 접촉하는 자기 접착성 매트릭스층의 형성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의 제조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프린팅 매체는 하나 이상의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의 제조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도포면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프린트 층은 마크 또는 표시 또는 컬러링을 위해 프린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시스템의 제조방법.
KR10-1998-0707627A 1996-03-25 1997-03-12 사용두께가작고고가요성을지닌트랜스더멀치료시스템및이의제조방법 KR10049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7627A KR100490269B1 (ko) 1996-03-25 1997-03-12 사용두께가작고고가요성을지닌트랜스더멀치료시스템및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1684.8 1996-03-25
DE19708674.8 1997-03-04
KR10-1998-0707627A KR100490269B1 (ko) 1996-03-25 1997-03-12 사용두께가작고고가요성을지닌트랜스더멀치료시스템및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10A KR20000005010A (ko) 2000-01-25
KR100490269B1 true KR100490269B1 (ko) 2005-10-14

Family

ID=4366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627A KR100490269B1 (ko) 1996-03-25 1997-03-12 사용두께가작고고가요성을지닌트랜스더멀치료시스템및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2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6816A1 (en) * 1992-04-21 1993-10-27 Mli Acquisition Corp. Ii Two-hand pouch patch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6816A1 (en) * 1992-04-21 1993-10-27 Mli Acquisition Corp. Ii Two-hand pouch patch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10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6317B2 (ja) 塗布領域の厚さが薄く柔軟性が高い経皮治療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702502B2 (en)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hot-melt adhesives
DE3634016C2 (ko)
EP030302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arreichungs- und/oder Dosierungsform für Arzneimittelwirkstoffe
JPH03505044A (ja) プリントされた皮膚透過性薬剤投与具
JPH08502279A (ja) 化学的に塩基性の揮発性医療用活性物質の経皮的投与のためのプラスタ
EP065907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ächigen dosierungsform für wirkstoffe.
DE19708674C2 (de)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mit einer wirkstoffhaltigen Filmschicht und einer löslichen Trennschicht, sowie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A2338859A1 (en) Estradiol-containing patch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hormones
DE19654468C1 (de) Extrem flexibles, dermal oder transdermal wirkendes Pflas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5124954A (ja) シート状固形薬剤組成物
CA2250025C (en)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with small application-area thickness and great flexibility, and production process
KR100490269B1 (ko) 사용두께가작고고가요성을지닌트랜스더멀치료시스템및이의제조방법
EP0865274B1 (de) Flächenstabilisiert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zur anwendung auf der haut
KR20100004168A (ko) 피부 접착성과 인장 강도가 개선된 피부 미용 패치
MXPA98007806A (en) Percutaneous therapeutic system with a reduced thickness of application and a high flexibility, as well as the procedures for its manufacture
DE19932651A1 (de)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zur Anwendung von Tolterodin
HRP920858A2 (en) Flat therapeutic system
MXPA98004617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stabilized on the surface to be applied on the 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