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807B1 -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807B1
KR100488807B1 KR10-2002-0031514A KR20020031514A KR100488807B1 KR 100488807 B1 KR100488807 B1 KR 100488807B1 KR 20020031514 A KR20020031514 A KR 20020031514A KR 100488807 B1 KR100488807 B1 KR 100488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fine dust
water purifie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698A (ko
Inventor
금경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8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삼투압 정수기에 설치된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여 정수기의 물탱크에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미세 분진 여과필터를 이용한 정수기 물탱크의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과할 물을 침전필터, 전처리필터, 멤브레인필터 및 후처리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하고, 상기 정수된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는 역삼투압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카본필터와 물탱크 사이에 상기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는 여과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역삼투압 정수기에 설치된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여 정수기의 물탱크에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설치된 미세 분진 여과필터를 교환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Filter for filterating micro dust of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삼투압 정수기에 설치된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여 정수기의 물탱크에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라 수질 및 토양오염 등의 자연환경 오염이 더욱 가중되어 원수(수돗물)를 취수 정화시켜 보급함에도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 수돗물을 정수하여 깨끗한 물을 식수로서 활용하기 위해 정수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정수기의 형태는 수돗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내지는 각종 오염균을 정수 및 살균 처리하여 정화하는 형태의 것으로, 역삼투압 정수시스템과 UV살균램프에 의한 살균과정을 거쳐 정수를 취하는 형태가 있으며, 이와 같은 정수에 대하여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을 실행하여 온수로서 변환된 상태로 취수하거나 또는 냉동 싸이클에 의한 냉각수행으로 냉수로서 취수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역삼투압 정수기의 정수과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은 침전필터(12)에서 유입된 수돗물에 잔류하는 각종 오염물질(부유물)을 제거하고, 전처리 카본필터(14)에서는 수돗물중에 잔류하는 염소성분, 유기화학물질 등이 제거된다. 또한, 멤브레인필터(16)는 수돗물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용존 고형물 및 폴링물질 등이 필터링 되어지며, 후처리 카본필터(18)를 통과하면서 가스와 색소 및 냄새 등의 성분이 제거되어 맑은 상태의 물로 정수되고, 이 정수된 물은 일단 물탱크(20)에 저장되며 이 물탱크(20)에 저장된 물은 다시 히터를 거쳐 온수탱크(22) 또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동과정을 거쳐 냉수탱크(24)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 또는 냉수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역삼투압 정수기는 물의 가스와 색소 및 냄새 등의 성분을 제거하고 정수된 물의 맛을 개선하기 위하여 후처리 필터로서 카본필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후처리 카본필터의 미세 분진에 의해 물탱크에 물띠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물띠의 발생은 소비자들로부터 정수기의 청결성에 대하여 불신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역삼투압 정수기에 설치된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여 정수기의 물탱크에 물띠 생성을 방지하고, 반영구적으로 교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미세 분진 여과필터를 이용한 정수기 물탱크의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과할 물을 침전필터, 전처리필터, 멤브레인필터 및 후처리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하고, 상기 정수된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는 역삼투압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카본필터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는 여과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 분진 여과필터는 여과필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는 미세 분진 여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 분진 여과막은 물이 통과하는 미세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분진 여과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미세 분진 여과필터(100)는 미세 분진 여과막(110)과 상기 여과막(110)을 감싸는 제 1 케이스(120) 및 제 2 케이스(122)와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일측 단부에 후처리 카본필터(미도시)에서 연장된 파이프와 결합하는 흡입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122)의 일측 단부에 물탱크(미도시)에서 연장된 파이프와 결합하는 배수부(132)가 형성된다.
미세 분진 여과막(110)은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고, 물에 포함된 직경 1㎛∼10㎛ 사이의 미세 분진을 여과할 수 있도록 0.1㎛∼0.9㎛의 미세 관통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막(110)의 크기는 바람직하게 반경방향으로 직경이 4.9㎝이다.
제 1 케이스(120)와 제 2 케이스(122)는 미세 분진 여과막(110)을 내재하고, 상기 제 1, 제 2 케이스(120, 122)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 케이스(120)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121)이 형성되고, 제 2 케이스(122)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1)과 치합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제 1 케이스(120)와 제 2 케이스(122)를 결합/해제한다.
제 1 케이스(120)의 타측 단부와 제 2 케이스(122)의 타측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흡입부(130) 및 배수부(132)는 후처리 카본필터(230)에서 연장된 파이프에 상기 제 1 케이스(120)의 타측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흡입부(130)가 삽입되어 결합하고, 물탱크(300)에서 연장된 파이프에 상기 제 2 케이스(122)의 타측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배수부(13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분진 여과필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처리 카본필터(230)에서 유출되는 정수된 물은 미세 분진 여과필터(100)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미세 분진 여과막(110)을 통과하며 소정 크기 이상의 미세 분진이 여과막(110)에서 여과되고 정수된 물만 통과하여 물탱크(300)로 유입된다. 또한,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 여과막(110)에 축적된 미세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전필터(200)와 전처리필터(210) 사이의 연결부를 분리하고, 상기 침전필터(200)의 출구측에 상기 여과필터(100)의 배수부(132)를 결합하여 역방향으로 세척함으로써 여과막(110)에 축적된 미세 분진을 제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역삼투압 정수기에 설치된 후처리 카본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 분진을 제거하여 정수기의 물탱크에 물띠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설치된 미세 분진 여과필터를 교환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역삼투압 정수기의 정수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분진 여과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도 2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를 설치한 정수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세 분진 여과필터 110 : 미세 분진 여과막
112 : 미세 관통공 120 : 제 1 케이스
121 : 나사산 122 : 제 2 케이스
130 : 흡입부 132: 배수부
200 : 침전필터 210 : 전처리필터
220 : 멤브레인필터 230 : 후처리필터
300 : 물탱크 310 : 온수탱크
320 : 냉수탱크

Claims (4)

  1. 악취를 제거하는 정수기의 카본필터를 통과한 물로부터 미세 분진을 여과하는 다수의 미세 관통공을 형성한 여과막; 및
    상기 여과막을 수납하고, 일측에는 상기 정수기의 카본필터로부터의 상기 미세 분진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흡입부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상기 여과막을 통과하여 상기 미세 분진이 제거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형성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 필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 및 배수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 양측단부로 각각 소정 길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관통공은 0.1 ~ 0.9㎛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 필터.
KR10-2002-0031514A 2002-06-05 2002-06-05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 KR10048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514A KR100488807B1 (ko) 2002-06-05 2002-06-05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514A KR100488807B1 (ko) 2002-06-05 2002-06-05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698A KR20030093698A (ko) 2003-12-11
KR100488807B1 true KR100488807B1 (ko) 2005-05-12

Family

ID=3238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514A KR100488807B1 (ko) 2002-06-05 2002-06-05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60B1 (ko) 2007-09-21 2013-12-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KR20190103837A (ko) 2018-02-28 2019-09-05 (주)원봉 정수기의 미분 방지 필터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99B1 (ko) * 2009-10-21 2012-01-16 이대훈 접이식 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32A (ko) * 1995-09-16 1997-04-28 배순훈 냉 · 온 제빙정수기
KR19990006727U (ko) * 1997-07-29 1999-02-25 배순훈 역삼투압 정수기의 폐수 재활용장치
KR20000066370A (ko) * 1999-04-15 2000-11-15 최병규 역삼투막 정수기의 제균 및 항균 시스템
KR200265610Y1 (ko) * 2001-08-13 2002-02-25 정관표 폐수 없는 역삼투압 정수 장치
KR20020020427A (ko) * 2000-09-08 2002-03-15 송 재 식 한외 여과막과 소형펌프를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32A (ko) * 1995-09-16 1997-04-28 배순훈 냉 · 온 제빙정수기
KR19990006727U (ko) * 1997-07-29 1999-02-25 배순훈 역삼투압 정수기의 폐수 재활용장치
KR20000066370A (ko) * 1999-04-15 2000-11-15 최병규 역삼투막 정수기의 제균 및 항균 시스템
KR20020020427A (ko) * 2000-09-08 2002-03-15 송 재 식 한외 여과막과 소형펌프를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KR200265610Y1 (ko) * 2001-08-13 2002-02-25 정관표 폐수 없는 역삼투압 정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60B1 (ko) 2007-09-21 2013-12-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KR20190103837A (ko) 2018-02-28 2019-09-05 (주)원봉 정수기의 미분 방지 필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698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angli et al. Coagulation pretreatment for a large-scale ultrafiltration process treating water from the Taihu River
KR100521628B1 (ko) 전기탈이온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KR20070103159A (ko) 정수필터, 정수필터 어셈블리 연결구 및 이들이 설치된정수장치
KR0152144B1 (ko)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장치
KR200403991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100488807B1 (ko) 정수기의 미세 분진 여과필터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20090089776A (ko) 양방향 유로관 및 그를 이용한 블록형 정수 장치
KR100439730B1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KR19990070114A (ko) 고투수성한외여과막모듈을이용한중앙정수시스템
KR200314642Y1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KR200260159Y1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KR100575130B1 (ko) 필터식 정수 시스템
KR200199539Y1 (ko) 정수장치
KR19980066986A (ko) 역삼투압 정수기
KR200370743Y1 (ko) 정수용 전처리침전필터
KR19980034319U (ko) 필터교환용 필터 케이스구조
KR200333669Y1 (ko) 정수기 필터
KR200286721Y1 (ko) 2단 정수 필터
KR20070091406A (ko) 정수 및 정수수 활성화 기능을 갖는 정수 시스템
KR100235833B1 (ko) 상수 정화장치
KR19990010045A (ko) 활성탄을 이용한 상수 여과시스템
KR200198698Y1 (ko) 정수기
KR19990010639U (ko) 정수기용 필터 고정장치
KR0156716B1 (ko) 정수기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