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863B1 -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의현탁액조성물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의현탁액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863B1
KR100487863B1 KR1019970050765A KR19970050765A KR100487863B1 KR 100487863 B1 KR100487863 B1 KR 100487863B1 KR 1019970050765 A KR1019970050765 A KR 1019970050765A KR 19970050765 A KR19970050765 A KR 19970050765A KR 100487863 B1 KR100487863 B1 KR 10048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cathode ray
color cathode
coating layer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529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8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3Aperture pla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77Coatings
    • H01J2229/0783Coatings improving thermal radiation properti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현탁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억제하는 동시에 마스크와 피복층간의 막결합력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섀도우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방열 및 전자방사기능을 가진 피복층을 형성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피복층 형성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텅스텐, 실리카(SiO2), 순수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화합물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현탁액 조성물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저감하기 위해 섀도우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형성되는 섀도우마스크의 현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 녹, 청으로 각각 발광하는 돗트(dot)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타입의 형광막(1)이 그 내측면에 도포되어 있는 패널(2)과, 상기 패널(2)의 후단에 융착되어 음극선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펀넬(3)과, 상기 펀넬(3)의 네크부(4)에 봉입되는 전자총(5)과, 상기 전자총(5)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6)이 형광막(1)의 전체면을 타격시킬 수 있도록 전자빔(6)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7)와, 다수의 슬롯(slot) 또는 도트(dot)형상의 개공이 배열되어 있어 전자빔(6)의 색선별 기능을 하는 섀도우마스크(8)와, 상기 섀도우마스크(8)를 지지하는 프레임(9)과, 패널(2)에 고정되어 있는 스터드핀(10)과, 상기 프레임(9)과 스터드핀(10)을 연결하는 스프링(11)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에 전원이 인가되면 네크부(4)에 삽입된 전자총(5)으로부터 전자빔(6)이 방사되고, 이 전자빔(6)의 약 20%는 섀도우마스크(8)의 개공을 통해 형광막(1)을 타격하여 화상을 재현하게 된다.
한편, 전자빔(6)의 나머지 80%는 섀도우마스크(8)에 충돌하여 온도상승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섀도우마스크(8)는 열팽창이 일어나 그 면이 부풀어 오르는 도밍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도밍현상으로 인해 전자빔(6)의 미스랜딩량이 증가하여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 특허 90-3951"에서는 열복사능력 및 전자반사능력이 좋은 산화비스무스(Bi2O3) 또는 텅스텐(WO3)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기에 규산칼륨(K2SiO3, potassium silicate), 그리고 순수를 추가한 현탁액을 제조한 후 섀도우마스크(8)의 전자빔(6) 입사면의 표면상에 다수층으로 도포한 섀도우마스크(8)를 제조하였다.
이를 적용한 섀도우마스크(8)의 제조공정은 마스크 성형→흑화→M-R용접(마스크와 프레임의 용접), S-R용접(스프링과 프레임의 용접)→마스크 안정화 열처리→형광체 도포→베이킹→CMA(coated mask assembly)상태에서 패널과 마스크를 분리한 후 스프레이 실시→프릿트 실링 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섀도우마스크(8) 표면상에 현탁액을 피복함으로써 전자총(5)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6)의 섀도우마스크(8) 충돌시 발생하는 열에 대한 열방사기능과, 전자를 섀도우마스크(8)의 후면방향으로 산란을 시키는 전자반사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섀도우마스크 피복물 중 산화비스무스(Bi2O3)는 열방사기능은 우수하나 전자반사기능이 약하고, 텅스텐(WO3)은 열방사기능이 취약해 마스크의 도밍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텅스텐, 규산칼륨, 순수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마스크면으로부터 쉽게 탈락하여 마스크막힘, 방전 등의 문제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섀도우마스크 피복을 위한 현탁액을 텅스텐(WO3), 실리카 용액(SiO2), 순수를 일정배율로 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억제하고, 피복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섀도우마스크의 피복재의 구성은 전자반사기능 및 열방사기능이 우수한 텅스텐(WO3)과, 열방사기능 및 결합력이 우수한 실리카 용액(SiO2)을 순수와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계수면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열방사기능은 0.90∼0.95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전자반사기능은 0.45∼0.50의 수준을 유지하는 개념으로 되어 있다.
이를 아래의 표 1에 상세히 설명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조건
1. 피복층 : 1㎎/㎠의 재료 함유(A. K Mask)
2. 흑화된 마스크에 피복 후 400∼500℃하에서 1시간 연소시킨 것(공기중)
상기와 같이 높은 열방사 및 전자반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텅스텐 보다 높은 열방사계수를 가진 실리카 때문이며, 이 성분은 종래의 취약 부분인 막 강도(막결합력)의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현탁액의 조성비를 살펴보면 먼저, 텅스텐 대 실리카의 구성비율은 60∼70% 대 30∼40%이고, 텅스텐+실리카 대 순수의 구성비율은 5∼30% 대 70∼95% 정도로 구성한다.
이를 근거로 한 섀도우마스크의 피복층 형성공정은 피복재 현탁액 제조→스프레이→건조의 순으로 진행되는데, 먼저 텅스텐, 실리카, 순수를 일정비율로 섞어 볼링한 후 2차로 순수를 추가, 볼링하여 피복재 현탁액을 제조하게 된다.
이후, CMA상태에서 마스크를 분리하여 지그에 장착한 후 스프레이를 실시하고, 50∼100℃하에서 5분 정도 가열, 건조하여 완성한다.
이와 같이 피복층을 형성한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특성을 도 2 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을 구동시키면 전자빔의 작용으로 섀도우마스크가 팽창하여 초기에는 가장 높은 미스랜딩치를 나타내게 되고, 이후 프레임 및 스프링의 작용으로 다소 안정화되어 일정한 미스랜딩상태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이때,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종래에 비해 초기 미스랜딩 피크치가 약 30% 정도, 안정화시간(b) 및 안정화된 후의 미스랜딩량(c)도 종래에 비해 약 30% 정도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막 결합력도 우수하여 이로 인한 공막힘 및 방전불량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섀도우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피복층을 형성함에 있어, 그 현탁액을 텅스텐, 실리카, 순수를 일정배율로 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특성을 개선하여 색순도 저하를 방지하게 되고, 막강도 부족으로 인한 공막힘 및 방전불량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한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특성 비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초기 미스랜딩 피크치 b : 안정화시간
c : 안정화된 후의 미스랜딩량

Claims (1)

  1.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섀도우마스크의 전자총 대향면에 방열 및 전자방사기능을 가진 피복층을 형성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피복층 형성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텅스텐, 실리카(SiO2), 순수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화합물로 구성하며,
    상기 텅스텐 대 실리카의 구성비는 60 ∼ 70(%): 30∼40(%)이고,
    텅스텐+실리카 대 순수의 구성비는 5∼30% : 7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현탁액 조성물.
KR1019970050765A 1997-10-01 1997-10-01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의현탁액조성물 KR10048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765A KR100487863B1 (ko) 1997-10-01 1997-10-01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의현탁액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765A KR100487863B1 (ko) 1997-10-01 1997-10-01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의현탁액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29A KR19990030529A (ko) 1999-05-06
KR100487863B1 true KR100487863B1 (ko) 2005-08-01

Family

ID=3730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765A KR100487863B1 (ko) 1997-10-01 1997-10-01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의현탁액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8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615A (en) * 1985-07-17 1988-03-29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US4884004A (en) * 1988-08-31 1989-11-28 Rca Licensing Corp.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heat dissipative, electron reflective coating on a color selection electrode
JPH07182986A (ja) * 1993-12-22 1995-07-21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615A (en) * 1985-07-17 1988-03-29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US4884004A (en) * 1988-08-31 1989-11-28 Rca Licensing Corp.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heat dissipative, electron reflective coating on a color selection electrode
JPH07182986A (ja) * 1993-12-22 1995-07-21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29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214A (en) Electron tube provided with porous silicon oxide getter
US6504293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cathode
KR100487863B1 (ko)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의현탁액조성물
US2004015199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cathode ray tube (CRT)
KR100258993B1 (ko) 새도우마스크형 칼라브라운관과 그 제조방법
KR100229708B1 (ko) 음극선관용 형광막 제조방법
KR100331539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JPH01194234A (ja) カラー陰極線管の製造方法
US20040235386A1 (en) Methods to improve insulator performance for cathode-ray tube (CRT) applications
KR20040111688A (ko) 듀얼 컬러 필터 음극선관(crt)을 제조하는 방법
KR100705844B1 (ko)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칼라 음극선관
KR100284492B1 (ko) 칼라음극선관의 형광막구조 및 형성방법
KR100224969B1 (ko) 새도우 마스크의 흑화층코팅구조
KR100552626B1 (ko) 칼라음극선관의 형광막 형성방법
KR20000066137A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와 그의 제조방법
KR100492949B1 (ko) 칼라음극선관의형광막형성방법
KR19990079515A (ko)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반사막 조성물
KR20000026831A (ko)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반사막 조성물 및 그 형성방법
JPS6376249A (ja) 陰極線管
KR19990042526A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US2003023212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cathode ray tube (CRT)
KR19990079700A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의 제조방법
JPH0554789A (ja) 電子管陰極及びその陰極を備えた陰極線管
KR20010077288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9980067486A (ko) 칼라음극선관의 형광체 발광 엠보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